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한국어 인용구문의 화용론적 연구 : 라디오 뉴스 인터뷰에 나타나는 인용구문을 중심으로

    • 저자

      조정민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710 판사항(6)

    • DDC

      495.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196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전혜영
      참고문헌: p. 181-191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es of quotative constructions, pragmatic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and the function of discourse revealed in radio news interviews. Studies on quotative constructions have been conducted at the syntactical level mainly focusing on the manner of quotation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quotative construction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quotation is used by focusing on its realization in actual discourse, not by sentence uni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tructure and semantic function of quotative construction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ragmatics including the intention and viewpoint of the speaker.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pragmatic features and discourse functions of quotative constructions by analyzing the usage patterns of constructions with a focus on discourse and pragmatics.
    This study chose radio news interviews to assess the usage pattern of quotative constructions. Radio news interviews have the structure of an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conversation participants and it is a type of discourse that is characterized by information transmissibility, planning, completion, and interchangeability. Among the various mediums for information delivery, radio news interviews not only reveal how participants speak through the delivery of the contents and the manner in which the interview is conducted in comparison with print media interviews, but they also clearly reveal the role of the interviewer as well as the interviewee. In addition, unlike TV news interviews, radio interviews tend to make the conversation participants become more engrossed in the interview because of the absence of visual elements or distrac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researchers, radio interviews are good because radio interviews deliver the message only in spoken language so the discourse can be analyzed by focusing solely on verbal aspects. Moreover, radio interviews allow for the collection of speech data from interviewees from various social backgrounds because the subjects of radio news interviews tend to be employed in a relatively wide range of occupations – from experts to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examined how quotative constructions, whose function of delivering information is encoded in linguistics, is used in realizing the purpose of producing radio interviews and constructing discourse organizationally, and what function the utterance has.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outlin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by categorizing them into studies on quotative constructions and studies conducted from a metapragmatics perspective. In addition, studies on quotative constructions were divided into studies with syntactic features, semantic functions, and the use of quotative constructions as a discourse strategy, and studies conducted from a meta-pragmatic perspective were divided into studies that discussed the concept of metapragmatics and studies that tried to apply the metapragmatic perspective to detailed linguistic phenomenon. At the end of this chapter, the study clarified the research problems related to this study and explained the reason for choosing radio news interviews as the study subjec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views as research data.
    Chapter Ⅱ summarized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types of quotation and quotative constructions. This chapter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the concept of quotation was applied and the subject and contents of quotation, and it defined quotative construction as ‘a construction that expresses the utterance /cognitive act of using others’ or one’s own words or their writings'. In this case, this chapter described that the construction of quotation as a construction focusing on quotative verbs had a component showing quotative construction, and the content of quotation included not only past speech but also a virtual speech or reason. In addition, this chapter developed the discussion that the dichotomous classification which has categorized the construction of quotation as direct speech and indirect speech with regard to the study of existing syntactic perspectives could not adequately describe the realization patterns of various realized quotative constructions in actual conversation situations. This chapter presented thre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types of quotative constructions and summarized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quotative constructions.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types of quotative constructions presented in this paper were: first, source of the speech of quotation; second, content and delivery method of quotation; and third, attitude of the speaker of quotation. According to each type, it was found that the realized patterns of the speaker’s viewpoint, the elements of the higher sentence, the form of the quoted clause, and the quotative marker were different.
    Chapter III dealt with the usage pattern and the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quotative constructions in radio news interviews. This chapter examined the expression of deixis that reveals from whose perspective the contents of quotative constructions are delivered, the manner in which the quotative constructions in specific speech acts are performed, and the assumptions or attitudes toward the contents of the quotation that the speaker ha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 speaker adopted the quotative constru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ragmatics,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course structure and semantic function of quotative constructions are elements related to the speech context, such as the speaking situation of the original speech and the current speech scenario where the quotation occurs. First, this study examined how time deixis expression, spatial deixis expression, and dialogue participants deixis expressions we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speaking context and the speaker's choice. Deixis expressions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ose viewpoint was being expressed between the original speaker and the reporter, or how the message was delivered. Also, there was an example in which a listener-oriented deixis expression was selected to reveal the consciousness of the (radio) listener, recipient of the interview.
    This chapter also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e interview and the participants’ attitude on the interview situation through the quotative constructions in specific speech acts. The chapter examined how the realization of quotative constructions in specific speech acts in the interviews was achieved in different ways, compared to everyday conversations. It was possible to discern how participants in the conversation were able to convey more meaning and understanding compared to the information that had been conveyed to them and how intimacy could be communicated through this. The last part of chapter III examined the situation wherein the speaking verb used in quotative construction obstructed the premise of the quotative construction from being realized and the speech result caused by this. Furthermore,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at the conversation participants took for granted in quotative utterances and the pragmatic premise were also assessed.
    Chapter IV discussed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that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use of reported speech constructions by participants in news interviews. This study tried to elicit the discourse function that quotative constructions performed in radio news interview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existing discussions and the analysis of the quotative constructions in Chapter Ⅱ and Chapter III. As a result, the discourse function of quotative constructions could be summarized by dividing discourse function into ‘monitoring function', and ‘dramatic function’ and ‘distancing function'. The contents and structure ‘monitoring function' of the discourse enables the speaker to actively intervene and evaluate the contents of speech as a commentator, and check and manage the flow of the interview topic. And the ‘dramatic function’ is the function wherein the speaker as the observer describes the context of the original speech and recounts the situation dramatically through the quotative constructions in which the voices of the original speaker and reporter overlap. Lastly, the ‘distancing function' of quotative constructions is a function whereby the speaker secures reliability/credibility as a transmitter of information and smooth communication is facilitated. This chapter found that quotative constructions was mainly used to avoid direct and assertive expressions and that this was chosen by the speaker to create a sense of distance, reduce the possibility of either the speaker or listener losing face, and to establish a sense of connection through cooperative dialogue.
    The Chapter Ⅴ concludes the study by summarizing the discussion and reitera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and points to future tasks.

    더보기

    본 연구는 라디오 뉴스 인터뷰에 나타나는 인용구문의 유형, 화용적 특징, 그리고 담화 기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인용구문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인용의 방식과 인용구문의 구조적 특징 등을 중심으로 통사적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인용구문의 사용양상을 문장 단위가 아닌 실제 담화 속에서 실현되는 양상에 초점을 두어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인용구문의 구조와 의미 기능은 화자의 의도와 관점을 포함한 화용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담화·화용적 차원에서 인용구문의 사용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인용구문이 가진 화용적 특징과 수행하는 담화 기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용구문의 사용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선택한 담화 자료는 라디오 뉴스 인터뷰이다. 라디오 뉴스 인터뷰는 대화참여자들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짜임새를 갖추고 있으며 정보 전달성, 계획성, 완결성, 상호교류성을 갖춘 담화 자료이다.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여러 매체 언어 중 라디오 뉴스 인터뷰는 인쇄 매체의 인터뷰와 비교했을 때, 인터뷰의 내용과 방식을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대화참여자들이 ‘어떻게 말하는가’를 보여주며 인터뷰이뿐만 아니라 인터뷰어의 역할도 잘 드러내 준다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TV 뉴스 인터뷰와는 달리, 시각적인 요소는 차단되어 있어 대화참여자의 입장에서는 인터뷰의 상황에만 몰입할 수 있으며,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음성 언어로만 메시지를 전달하므로 비언어적 측면을 제외한 언어적 측면에 집중해 담화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라디오 뉴스 인터뷰의 대상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다양한 직업군의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 있는 인터뷰이의 발화 자료 수집이 가능하다. 정보를 전달하는 의미 기능을 언어적으로 부호화한 인용구문이 라디오 인터뷰의 생산 목적을 실현하고 담화를 유기적으로 구성하는 데 있어 어떻게 사용되며,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는지 고찰해 보기로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기술하고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인용구문에 대한 연구와 메타화용론(metapragmatics)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들로 나누어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인용구문 연구는 통사적 특징과 의미 기능, 담화 전략으로서의 인용구문의 사용 등을 다룬 연구들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메타화용론적 관점의 연구들은 메타화용론의 개념을 논의한 연구들과 그 관점을 구체적인 언어 현상에 적용하고자 시도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Ⅰ장의 마지막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밝히고, 연구에서 라디오 뉴스 인터뷰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와 자료로서의 의의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인용과 인용구문의 개념 및 유형 분류를 정리했다. 인용의 개념이 적용되는 범위, 인용의 대상과 내용에 대해서 검토하고 인용구문은 ‘남이나 자신의 말 또는 글을 끌어 쓰는 발화/인지 행위를 표현한 구문’이라고 정의했다. 이때 인용구문은 인용동사를 중심으로 하는 구문으로 인용 발화임을 보여주는 구성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인용의 내용은 과거의 발화뿐만 아니라 가상의 발화 또는 사유까지도 포함하는 것임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통사적 관점의 연구에서 인용구문을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으로 분류해 온 이분법적 분류는 실제 대화 상황에서 다양한 실현되는 인용구문의 실현 양상을 제대로 기술할 수 없다고 보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인용구문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고 인용구문의 유형 분류를 정리해 보았다. 본고에서 제시한 인용구문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은 첫째, 인용 발화의 출처, 둘째, 인용의 내용 및 전달 방식, 셋째 인용화자의 태도였다. 각 유형에 따라 화자의 관점, 상위문의 요소, 피인용구문의 형식, 인용표지 등의 실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Ⅲ장에서는 라디오 뉴스 인터뷰에 나타나는 인용구문의 사용 양상과 화용적 특징을 다루었다. 이 장에서 화자가 인용구문을 선택하는 기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살펴본 것은 누구의 관점으로 인용 내용을 전달하는지 보여주는 화시 표현, 특정 화행과 함께 나타나는 인용구문의 실현양상, 그리고 인용 내용에 대해 화자가 가지는 전제나 태도 등이다.
    화용론적 관점에서 인용구문의 담화 구조와 의미 기능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원발화의 발화 상황과 인용발화가 이루어지는 현재의 발화 장면 등 발화 맥락과 관련된 요소이다. 우선 발화 맥락과 화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 화시 표현, 공간 화시 표현, 대화참여자 화시 표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검토하였다. 화시 표현은 원화자와 인용화자 중 누구의 관점을 드러내느냐,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인터뷰의 수신자인 청취자를 의식한 청취자지향적인 화시 표현이 선택되는 예도 관찰되었다.
    또한 화행 속에 나타나는 인용구문을 통해서 인터뷰의 대화참여자들 간 관계와 대화참여자들이 사태에 대해 보이는 태도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정 화행 속에 실현되는 인용구문은 일상대화와는 다른 방식으로 화자가 화행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기능하였다. 이를 통해 대화참여자들이 말해진 것보다 더 함축된 의미를 추론하고 상대방에게 친밀감을 표시하는 방식 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Ⅲ장의 마지막 부분에는 인용구문에 사용되는 발화 동사가 피인용구문 전제의 실현을 차단하는 현상과 그로 인한 발화 효과, 인용 발화에서 대화참여자들이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이는 배경 정보, 화용론적 전제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뉴스 인터뷰에서 대화참여자들이 인용구문을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담화 기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기존의 논의들에 대한 검토와 2장과 3장에서 살펴본 인용구문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라디오 뉴스 인터뷰에서 인용구문이 담당하는 담화 기능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용구문의 담화 기능은 ‘담화 내용 및 구조 점검’, ‘극적 연출’, ‘거리감 조절’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었다. 담화 내용 및 구조 점검 기능은 해설자로서의 화자가 발화의 내용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평가하며, 인터뷰 화제의 흐름을 점검하고 관리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극적 연출 기능은 원화자와 인용화자의 목소리가 겹쳐 드러나는 인용구문을 통해 관찰자로서의 화자가 원발화의 장면을 무대에 올리고 그 상황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이다. 마지막으로 살펴본 인용구문의 거리감 조절 기능은 화자가 전달자로서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돕는 기능이다. 주로 직접적이고 단정적인 표현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용구문은 인용 내용에 대해 화자가 거리를 두거나 화자 자신과 청자의 체면 손상을 줄이고 협력적인 대화를 통해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Ⅴ장은 결론으로서 논의를 요약하고 논문의 의의와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더보기
    • Ⅰ. 서론 1
    •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B. 선행연구 검토 5
    • 1. 인용구문 연구 5
    • 2. 메타화용론적 관점의 연구 14
    • C. 연구 대상 및 자료 19
    • 1. 라디오 뉴스 인터뷰의 특징 20
    • 2. 자료 선정 기준과 목록 27
    • Ⅱ. 인용구문의 개념과 유형 분류 33
    • A. 인용구문의 개념 33
    • B. 인용구문의 유형 분류 43
    • 1. 인용 발화의 출처에 따른 분류 45
    • 2. 인용의 내용 및 전달 방식에 따른 분류 48
    • 3. 인용화자의 태도에 따른 분류 61
    • Ⅲ. 라디오 뉴스 인터뷰에 나타나는 인용구문의 화용적 특징 65
    • A. 인용구문에 나타나는 화시 표현의 특징 66
    • 1. 시간 화시 표현 67
    • 2. 공간 화시 표현 81
    • 3. 대화참여자 화시 표현 87
    • B. 인용구문과 화행 100
    • 1. 라디오 뉴스 인터뷰에 나타나는 화행의 유형 101
    • 2. 인용구문과 개별 화행 실현 양상 104
    • C. 인용구문과 전제 129
    • Ⅳ. 라디오 뉴스 인터뷰에 나타나는 인용구문의 담화 기능 136
    • A. 담화 내용 및 구조 점검(monitoring) 137
    • 1. 인용 내용에 대해 메타적으로 언급하기 138
    • 2. 화제의 흐름 관리하기 145
    • B. 극적 연출 151
    • C. 거리감 조절 161
    • 1. 인용 내용으로부터 거리 두기 161
    • 2. 대화참여자 간 거리 좁히기 165
    • Ⅴ. 결론 및 논의 175
    • 참고문헌 181
    • Abstract 192
    더보기
    • 1 Cook, G., "Discourse", Oxford University Press. 김지홍 역(2003), 담화, 서울: 범문사, 1989
    • 2 김해연, "담화분석", 종합출판 EnG, 서울: 종합출판 Eng, 2016
    • 3 장경희, "“대명사”",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연구원, 새국어생활, 제12권 2호, 147-161쪽, 2002
    • 4 김경애, "영어화용론", EnG, 종합출판 EnG, 2012
    • 5 윤평현, "국어 의미론", 역락, 서울: 역락, 2008
    • 6 정희자, "담화와 추론",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2
    • 7 정희자, "『담화와 문법』",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8
    • 8 문금현, "전제(前提)의 유형",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 의미학, 제14권, 223-254쪽, 2004
    • 9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파주:집문당, 2008
    • 10 박용익, "질문이란 무엇인가?", 한국텍스트언어학회,텍스트언어학, 제14권, 295-319쪽, 2003
    • 11 박성희, "현대 미디어 인터뷰", 나남, 파주:나남, 2013
    • 12 윤평현, "「국어의미론 강의」", 역락, 서울: 역락, 2013
    • 13 이승은,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교육비평사, 교육비평사, 교육비평, 제29권, 181-189쪽, 2011
    • 14 방성원, "韓國語 引用句文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 15 이필영, "국어의 인용구문 연구", 탑, 탑출판사, 1993
    • 16 김종현, "한국어의 메아리 질문",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제6권 1호, 31-71쪽, 1999
    • 17 박철우, "국어 화시 표현의 유형",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 제29권, 141-164쪽, 2011
    • 18 문숙영, "한국어 시제 범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 19 박용익, "대화분석론(재개정 3판)", 백산서당, 2010
    • 20 남기심, "?국어 완형 보문법 연구?", 계명대학교한국학연구소, 탑출판사, 1973
    • 21 장경희, "국어의 完形補節의 해석", 국어학회, 국어학, 제16집, 487-519쪽, 1987
    • 22 남기심, "인용구문의 구조와 성격",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제12집, 223-233쪽, 1971
    • 23 전혜영, "한국어 공손표현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 의미학, 제15권, 71-91쪽, 2004
    • 24 장경희, "진술에 대한 긍정과 부정",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 의미학, 제5권, 311-332쪽, 1999
    • 25 박나리, "‘-는 것이다’ 구문 연구", 국어학회, 국어학, 제65권, 251-279쪽, 2012
    • 26 문숙영, "“인용과 화시소의 전이”", 국어학회, 국어학회, 국어학 제65권, 219-249쪽, 2012
    • 27 이상복, "「한국어의 인용문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1권, 131-154쪽, 1974
    • 28 이성범, "혼종반복어의 화용적 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인지언어학 회, 담화와인지, 제15권 2호, 101-120쪽, 2008
    • 29 이성범(Lee Sungbom), 홍승진(Hong Seungjin), "생략적 발화의 화용적 기능",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 인지언어학회, 담화와인지, 제16권 1호, 63-82쪽, 2009
    • 30 구현정 ( Koo Hyun Jung ), "대중 매체 언어와 국어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한국문학언어학회, 어문론총, 제70호, 9-30쪽, 2016
    • 31 이민형, "토론의 인용 전략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32 이성만, "미디어 언어의 텍스트화용론", 도서출판 경진, 2012
    • 33 이필영, "간접화행 해석의 조건과 방향",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 어학회, 텍스트언어학 제15권, 313-339쪽, 2003
    • 34 정희자, "시제와 상의 화용상 선택조건", 애산학회, 애산학회, 애산학보, 제15권, 47-106쪽, 1994
    • 35 임동훈, "「담화 화시와 사회적 화시」",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 의미학, 제36권, 39-63쪽, 2011
    • 36 이창덕, "“현대 국어 인용 체계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 회, 텍스트언어학, 제6권, 255-299쪽, 1999
    • 37 이준희, "국어의 간접 화행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 38 고창운, "전제 개념과 국어의 전제 분석",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건국대국어 국문학연구회, 겨레어문학, 제11/12집, 375-394쪽, 1987
    • 39 이원표, "“신문 사설에서의 직접인용”",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인지언어학 회, 담화와인지, 제12권 2호, 117-151쪽, 2005
    • 40 박진희, "인용구문의 이해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41 전혜영, "‘-다고' 반복 질문의 화용적 기능", 한국언어학회(언어), 한국언어학회, 언어, 제21권 3호, 889-911쪽, 1996
    • 42 김정남, "신문 기사 인용문의 특성에 대하여", 국어학회, 국어학회, 국어학, 제46권, 277-294쪽, 2005
    • 43 김정남 ( Jung Nam Kim ), "한국어 대명사 "우리"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 의미학회, 한국어 의미학, 제13권, 257-274쪽, 2003
    • 44 박재연, "“인용 동사의 의미론적 분류 방법”",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 미학회, 한국어 의미학, 제39권, 205-229쪽, 2012
    • 45 張奭鎭(Suk-Jin Chang), "“한국어 화행동사의 분석과 분류.”",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어학연구, 제23권 3호, 1987
    • 46 장인봉, "신문 텍스트에 나타난 직접인용 분석", 한국수사학회, 한국수사학 회, 수사학, 제14권, 61-100쪽, 2011
    • 47 민경모, "「Deixis의 개념 정립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의 미학회, 한국어의미학, 제37권, 27-52쪽, 2012
    • 48 박나리, "한국어의 ‘자기인용구문’에 대하여",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서강 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언어와 정보 사회, 제23호, 1-31쪽, 2014
    • 49 노은희, "대화에서 반복표현의 성립조건과 유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서 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제4권 1호, 101-122쪽, 1997
    • 50 이은영, "직접적인 대답과 간접적인 대답의 기능",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회, 한국어학, 제20권, 175-190쪽, 2003
    • 51 문금현(Moon, Keum-Hyun), "한국어 공손성 표현의 생성 유형별 특징", 국어학회, 국어학회, 국어학, 제82권, 22-66쪽, 2017
    • 52 강현자, "한국어 호칭의 특성: 사회언어학적 접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제1권 2호, 201-218쪽, 2005
    • 53 김해연 ( Kim Haeyeon ), "신문 보도 기사 텍스트의 전달 구문 분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 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제42권, 1-29쪽, 2017
    • 54 박재연, 황선엽, 이선웅, 이진호,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1: 개관, 음운, 형태, 통사", 집문당, 서울:집문당, 2015
    • 55 이필영, 정종수, "구어자료의 정보화; 간접화행 판단의 제문제",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 제28권, 47-67쪽, 2005
    • 56 김소연, "토론에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반론 양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2014
    • 57 이성범, "『화용론 연구의 거시적 관점- 이론과 실제』", 소통, 소통, 2012
    • 58 송창선, "국어 인용표지 ‘이라고, 고’의 문법적 특성", 한국어문 학회, 어문학, 제131권, 33-54쪽, 2016
    • 59 김선효, "인용구문 ‘-다고 하는’과 ‘-다는’의 특성",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 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어학연구, 제40권 제1호, 101-121쪽, 2004
    • 60 이슬비,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61 이준호 ( Jun Ho Lee ), "학술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 헤지 표현 선정 연구",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제 49호, 269-297쪽, 2012
    • 62 권재일, "한국어 인용 구문 유형의 변화와 인용 표지의 생성",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제22권, 59-79쪽, 1998
    • 63 안주호, "“인용동사의 문법적 고찰: 근대국어를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학회, 우리말 글, 제37권, 143-169쪽, 2006
    • 64 조국현, "텍스트의 매체성: ‘인터뷰’의 매체적 변이형 고찰",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제 41권, 295-317쪽, 2016
    • 65 안경화, "한국어 인용 구문의 연구: 유형과 융합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5
    • 66 이성범, "Metapragmatics of Speech and Its Interactions with Pragmatic Inferences",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인지, 제14권 2호, 117-136쪽, 2007
    • 67 강범모, 허명희, 김흥규, "통계적 방법에 의한 한국어 텍스트 유형 및 문체 분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제22호, 3-56쪽, 1998
    • 68 신명선 ( Myeong Seon Sin ), "국어 학술텍스트에 드러난 헤지(Hedge) 표현에 대한 연구", 배달말학회, 배달말학회, 배달말, 제 38권, 151-181쪽, 2006
    • 69 이원표, "담화분석: 방법론과 화용 및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실례", 한국문화사, 2001
    • 70 채숙희, "“현대 한국어 인용 구문 연구: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71 강지혜, "「번역에서 인용의 문제: CNN.com 뉴스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한국번역학회, 번역학연 구, 제9권 4호, 7-40쪽, 2008
    • 72 이혜용, "한국어 정표화행 연구-정표화행의 유형 분류와 수행 형식",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73 이은미, "“체험담 내러티브에서의 문말표현 ‘-것이다’에 대하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 학, 제10권 1호, 131-151쪽, 2013
    • 74 박나리 ( Na Ree Park ), ""담화화용 및 텍스트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자기인용구문"""",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 언어학, 제37권, 65-96쪽, 2014
    • 75 Fairclough, N., "Media Discourse, London: E. Arnold. 이원표 역(2004), 대중 매체 담화 분석", 한국문화사, 1995
    • 76 이유경,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인용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제27권 3호, 203-232쪽, 2016
    • 77 김현강, "매체 인터뷰의 담화 전략 연구 -라디오의 시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78 유예진, "생략표현(省略表現)의 연구: 상위화용론적(メタ語用論的) 관점에서",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제43권, 395-416쪽, 2012
    • 79 이선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담화에서의 상대 발화 인용 전략 사용 양상 분석",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제37권, 163-190쪽, 2017
    • 80 Grundy, P., "Doing pragmatics, 2nd (ed.), London: Hodder Education. 박철우 역(2016), 화용론의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 81 이창덕, "간접화행과 문법제약의 불규칙성에 대하여 -한국어 질문문을 중심 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제19권, 109-132쪽, 2005
    • 82 서 경 희, "적대성과 중립성의 조율 -한국어 뉴스 인터뷰 진행자 질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한국사회언어학회, 사회언어학, 제22권 3호, 59-87쪽, 2014
    • 83 박철우, "「화용론의 현재와 미래-언어 연구의 방법적 성격과 외연을 중 심으로」", 중앙어문학회, 중앙어문학회, 語文論集, 제62권, 105-140쪽, 2015
    • 84 한송화, "인용문과 인용동사의 기능과 사용 양상: 신문 기사와 신문 사설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외국어교육, 제21권 1호, 241-266쪽, 2014
    • 85 정미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반론하기’의 전략과 언어 표현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학, 제8권 2호, 205-224쪽, 2011
    • 86 송경숙(Song, Kyong-Sook), "영어 트위터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에서 인용하기와 대화체 구성하기 담화전략", 새한영어영문학회, 새한영어영문학, 제55권 1호, 233-254쪽, 2013
    • 87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2:의미, 화용, 텍스트, 어휘, 규범, 15세기 한국 어, 한국어사, 문자", 서울:집문당, 2016
    • 88 강현화, 황미연, "한국어 교육을 위한 불평표현 문형 연구 – 불평화행 과 인용표현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 제24권. 5-31쪽, 2009
    • 89 조정민, "한국어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일본어권 한 국어 고급학습자를 대상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90 Renkema, J., "Discourse Studies: An Introductory Textbook, Amsterdam /Philadelpia: Benjamins. 이원표 역(1997), 담화연구의 기초", 서울: 한 국문화사, 1993
    • 91 남가영,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형태론, 형태론, 형태론, 제11권 2호, 313-334쪽, 2009
    • 92 김현강, "라디오 인터뷰의 진행 단계별 특성과 인터뷰어의 발화 행위 연구: 시사 프로그램 인터뷰를 대상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한국문학언어 학회, 어문론총, 제47호, 277-308쪽, 2007
    • 93 제민경,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 신문 텍스트에서 ‘-었었-’과 ‘- ㄴ 바 있-’의 선택을 중심으로", 한국텍스트 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 제34권, 179-206쪽, 2013
    • 94 Moeschler, J., Reboul, A., "Dictionnaire encyclopedique de pragmatiqu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최재호 홍종화 김종을 공역 (2004), 화용론 백과사전", 한국문화사,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