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근대 프로테스탄트 의료선교사(史) 연구의 흐름 = Research on the History of Chinese Modern Protestant Medical Missionary Work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medical missionary works by taking a general view of performances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Chinese modern protestant medical missionary works in three Eastern Asian countries and considering insufficiencie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history of protestant medical missionary works is a very important research topic to understand the Chinese modern medical history, since those works introduced modern medicine to China in earnest. Besides, this research is required to comprehend the history of Chinese modern Christianity, since medical practice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missionary work.
    Until the 70s, most studies were to criticized medical missionary works, considering them as cultural invasion of imperialism. But after the 80s, studies focusing on positive aspects of medical missionary works began to emerge. Since the 90s, the scope of research has expanded and research topics and regions have diversified.
    The first study on Chinese medical missionary works is a record that a medical missionary in China wrote and left himself. This is valuable as a historical record to show how missionaries thought about China at that time. The second is a study on figures, who were involved in medical missionary works. There are studies focusing on the identities of medical missionaries, who had to perform two roles as a doctor and as a missionary and focusing on lives and activities of medical activities of named medical missionaries. The third is a study on the indigenization discour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leading role of medical missionary activity switched from foreign missionaries to Chinese people. Fourthly, the studies on hospitals and medical schools occupy the biggest proportion of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dical history, since hospitals and medical schools are where medical mission is realized directly. Fifthly the majority of studies on activities and influences of medical missionary groups are concentrated on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Missionary Society in Guangzhou and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Association, their activities, and influences on Chinese society. Lastly, there are studies on translation of medical terms and publication of medical books of medical missionaries.
    After the 1980s, there was an increase in concern about the history of medical missionary works and a lot of research findings were announced. But it is hard to say that research on medical missionary works is a mainstream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and in the history of medicine. For active future research on this field, following studies would be needed.
    First, there should be a study to compare and consider the histori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edical missionary works, since medical missionaries worked in Korea and Japan as well as in China and they highly influenced modern medical development in Korea, China and Japan. This comparative study would help in figuring out the reasons why medical missionary works could develop in modern East Asia. Second, the studies on figures are mostly focused on specific regions or specific figures. Thus, microhistorical research focusing on more diverse figures and missionary groups should be conducted. Third, research on indigenization needs to consider both missionaries and Chinese people.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elf-propagating”, in mission hospitals and medical schools. Fourth, research on the medical history lacks a consideration of specificity of church medical works represented by religiosity. On the contrary, research o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lacks an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medical field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se two aspects comprehensively. Fifth, it is required to do comparative research, which includes activities of Catholicism, in addition to protestant medical missionary works.

    더보기
    • 머리말
    • Ⅰ. 의료선교 연구사의 시작
    • Ⅱ. 의료선교사(醫療宣敎師) 연구
    • Ⅲ. 토착화론에 초점을 맞춘 연구
    • Ⅳ. 의료사 관점에서의 연구
    • Ⅴ. 의료선교단체의 활동과 영향에 대한 연구
    • Ⅵ. 의학용어의 번역 및 의학서 출판에 관한 연구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 1 徐克偉, "「解剖」 「解剖學」について: 近代中日解剖學術語の訳出と確立" 10 : 2017
    • 2 松本秀士, "「精」の概念をめぐる西醫東漸における中國解剖學用語の變遷" 16 : 2009
    • 3 松本秀士, "「神經」と東西身體思想の諸相: 近代中國における醫療宣敎師創出の譯語をめぐって" 7 : 2009
    • 4 조정은, "협력과 대립 : 근대 중국 서의계(西醫界)의 파벌문제" 대한의사학회 25 (25): 241-272, 2016
    • 5 신규환, "한중 선교병원의 ‘정체성’ 논쟁 비교연구: 제중원과 시의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72) : 169-193, 2015
    • 6 신규환, "청말 해부학 혁명과 해부학적 인식의 전환" 대한의사학회 21 (21): 67-99, 2012
    • 7 조정은, "중국 근대 미션계 의학교의 발전과 토착화 -의학교육 체계화를 위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학사학회 (31) : 233-270, 2015
    • 8 노재식, "중국 근대 기독교사 연구 동향盧 在 軾" 중국근현대사학회 (28) : 2005
    • 9 조정은, "의사인가, 선교사인가 ― 醫療宣敎師의 정체성 문제와 역할의 변화 ―" 중국근현대사학회 (62) : 129-157, 2014
    • 10 조정은, "의료선교사의 중의학에 대한 인식: 박의회보(博醫會報)를 중심으로(1887-1932)" 대한의사학회 24 (24): 163-194, 2015
    • 11 신규환, "동아시아의학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대한의사학회 19 (19): 69-87, 2010
    • 12 張大慶, "高似蘭 : 醫學名詞翻譯標準化的推動者" 4 : 2001
    • 13 余新忠, "馬根濟與近代天津醫療事業考論: 兼談“馬大夫”與李中堂“興醫”的訴求歧異與相處之道" 3 : 2012
    • 14 梁其姿, "面對疾病 : 傳統中國社會的醫療觀念與組織"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2
    • 15 邵金遠, "醫藥傳敎與西方醫學在中國的本土化: 以近代豫北加拿大長老會醫藥傳敎爲例" 3 : 2013
    • 16 鄧杰, "醫療與布道 : 中華基督敎會在川康邊地的醫療服務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1
    • 17 胡成, "醫療, 衛生與世界之中國(1820-1937)" 科學出版社 2013
    • 18 李傳斌, "醫學傳敎士與近代中國西醫翻譯名詞的確定和統一" 4 : 2005
    • 19 吳義雄, "醫務傳道方法與“中國醫務傳道會”的早期活動" 3 : 2000
    • 20 陶飛亞, "邊綠的歷史: 基督敎與近代中國" 上海古籍出版社 2005
    • 21 陶飛亞, "邊綠的歷史 : 基督敎與近代中國" 上海古籍出版社 2005
    • 22 Hume, Edward H., "道一風同: 一位美國醫生在華30年" 中華書局 2011
    • 23 孫琢, "近代醫學術語的創立: 以合信及其「醫學英華字釋」爲中心" 4 : 2010
    • 24 陶飛亞, "近代醫學共同體的嬗變: 從博醫會到中華醫學會" 2014
    • 25 李永安, "近代来華新敎醫學傳敎士的西醫譯" 1 : 2005
    • 26 郭强, "近代廣東敎會醫院的創辦及時空分布" 2 : 2014
    • 27 楊珊珊, "近代安徽敎會醫院對西醫傳播的作用分析 : 以蕪湖弋磯山醫院爲例" 14 (14): 2016
    • 28 杜志章, "近代基督敎在華醫藥事業迅速發展原因之分析" 8 : 2008
    • 29 李丹, "近代在華西式醫院探微 : 廣州眼科醫局硏究(1835年~1855年)" 38 (38): 2017
    • 30 王友平, "近代四川敎會醫院述論" 3 : 2010
    • 31 曺貞恩, "近代中國におけるプロテスタント醫療宣敎の展開: 中國醫療傳道協會を中心に(1886-1932)" 東京大學 2014
    • 32 渡邊祐子, "近代中國におけるプロテスタント傳道: 「反發」と「受容」の諸相" 東京外國語大學 2006
    • 33 王爾敏, "近代上海科技先驅之仁濟醫院與格致書院" 宇宙光 2006
    • 34 陶飛亞, "身體ㆍ靈魂ㆍ自然: 中國基督敎與醫療, 社會事業硏究" 上海人民出版社 2010
    • 35 劉天路, "身體ㆍ靈魂ㆍ自然 : 中國基督敎與醫療, 社會事業硏究" 上海人民出版社 2010
    • 36 李傳斌, "身體ㆍ霊魂ㆍ自然: 中國基督敎與醫療, 社會事業硏究" 上海人民出版社 2010
    • 37 杜志章, "論近代敎會醫藥事業對中國醫學早期現代化的影響" 12 : 2011
    • 38 程瀚章, "西醫浅說" 商務印書館 1934
    • 39 何小蓮, "西醫東漸與文化調適" 上海古籍出版社 2006
    • 40 松本秀士, "西醫東漸をめぐる「筋」の概念と解剖學用語の變遷" 17 : 2009
    • 41 王申, "西醫東渐側面觀 : 合信的西醫編譯策略" 2015
    • 42 土肥歩, "華南中國の近代とキリスト敎" 東京大學出版會 2017
    • 43 哈鴻潜, "臺湾早期之敎會醫學" 2 : 1995
    • 44 熊月之, "聖約翰大學史" 上海人民出版社 2007
    • 45 宋大仁, "美帝利用醫藥侵華的黑幕" 8 : 1964
    • 46 譚樹林, "美國傳敎士伯駕在華醫療事業影響述論" 9 : 2005
    • 47 譚樹林, "美國傳敎士伯駕在華活動硏究(1834-1857)" 群言出版社 2010
    • 48 周典恩, "福建基督敎新敎敎會醫院沿革之初探" 1 : 2005
    • 49 陶飛亞, "硏究生ㆍ學術入門手冊 : 基督敎與中國社會硏究入門" 復旦大學出版社 2009
    • 50 聶資魯, "百餘年来美國的基督敎在華傳敎史硏究" 3 : 2000
    • 51 馮秋季, "療靈與療身 : 近代加拿大傳敎士在衛輝的借醫傳敎活動" 4 : 2010
    • 52 蒲豊彦, "異文化交流史の再検討: 日本近代の「經験」とその周邊" 平凡社 2011
    • 53 牛桂曉, "滄桑" 2014
    • 54 王樹槐, "淸末翻譯名詞的統一問題" 1 : 1969
    • 55 田濤, "淸末民初在華基督敎醫療衛生事業及其專業化" 5 : 1995
    • 56 松本秀士, "淸末刊行の中國文人體解剖學書について" 53 (53): 2007
    • 57 張瑞嶸, "江漢論壇" 2017
    • 58 温昌斌, "民國科技譯名統一工作實踐與理論" 商務印書館 2011
    • 59 신규환, "民國時期 醫師免許制度의 成立過程과 醫師의 社會的 地位" 동양사학회 (114) : 155-182, 2011
    • 60 李傳斌, "條約特權制度下的醫療事業 : 基督敎在華醫療事業硏究(1835—1937)" 湖南人民出版社 2010
    • 61 吳德鐸, "林則徐與伯駕﹝Peter Parker﹞: 鴉片戰爭的迴響" 31 : 1990
    • 62 于永敏, "東北地區西醫傳入先驅者: 司督閣博士" 13 (13): 1992
    • 63 梅曉娟, "晩淸在華傳敎士與英漢科技詞典編纂" 4 : 2007
    • 64 島田和幸, "明治初期の解剖學書: 中國より輸入された解剖書『全體新論』について" 6 (6): 2003
    • 65 張大慶, "早期醫學名詞統一工作 : 博醫會的努力和影響" 24 (24): 1994
    • 66 何蘭萍, "早期中國敎會醫院的病患選擇與風險規避" 16 (16): 2015
    • 67 李傳斌, "敎會醫療事業在近代中國産生, 發展的原因探析" 26 (26): 2004
    • 68 Balme, Harold, "支那と近代醫學: 支那醫療傳道史" 新生堂 1941
    • 69 楊飛龍, "愛德華ㆍ胡美在早期中美合作辦學中的貢献及影响" 23 (23): 2017
    • 70 高晞, "德貞的西醫學譯著" 4 : 1995
    • 71 高晞, "德貞傳 : 一個英國傳敎士與晩淸醫學近代化" 復旦大學出版社 2009
    • 72 李永安, "從西醫中譯看中醫名詞英譯標準化" 2 : 2002
    • 73 王國平, "從苏州博習醫院看敎會醫院的社會作用與影響" 3 : 2004
    • 74 史如松, "従醫療到硏究: 傳敎士醫生的再轉向-以博醫會硏究委員會爲中心" 4 : 2010
    • 75 劉遠明, "廣州重建著名醫學傳敎士嘉約翰墓地" 36 (36): 2015
    • 76 王芳, "對“瘋癲”的認知與嘉約翰創辦廣州瘋人醫院" 25 (25): 2012
    • 77 土肥歩, "宣敎師と中國近代: 各國の硏究動向を中心に(第25回青山學院大學史學會大會報告)" 38 : 2006
    • 78 李尚仁, "宗敎與醫療" 聯經 2011
    • 79 林富士, "宗敎與醫療" 聯經 2011
    • 80 Christie, Dugald, "奉天三十年(上)(下)" 岩波書店 1938
    • 81 陳才俊, "基督新敎来華與中國學校英語敎學的發端" 2008
    • 82 顧衛民, "基督敎與近代中國社會" 上海人民出版社 1996
    • 83 楊天宏, "基督敎與民國知識分子 : 1922年-1927年中國非基督敎運動硏究" 人民出版社 2005
    • 84 林治平, "基督敎與中國本色化 : 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 宇宙光 1990
    • 85 顧杏元, "基督敎會醫院與帝國主義侵略" 1 : 1960
    • 86 成先總, "基督敎在西南少数民族地區的傳播 : 以醫療衛生事業爲例" 4 : 2001
    • 87 吳義雄, "在宗敎與世俗之間 : 基督敎新敎傳敎士在華南沿海的早期的活動硏究" 廣東敎育出版社 2000
    • 88 王尊旺, "嘉約翰與西醫傳入中國" 33 (33): 2003
    • 89 陳勝崑, "嘉約翰[John G. Kerr]與中國精神醫學" 89 : 1983
    • 90 趙璞珊, "合信「西醫五種」及在華影響" 2 : 1991
    • 91 王迪, "合信《全體新論》編纂特點及影響" 41 (41): 2017
    • 92 陳醒哲, "司督閣與東北現代醫學" 7 (7): 2009
    • 93 邱廣軍, "司督閣在中國東北施醫布道初探" 28 (28): 2005
    • 94 周東華, "去醫院就洋醫: 淸末杭州廣濟醫院的女患者及其醫療場景" 2 : 2014
    • 95 袁媛, "南湘雅, 北協和 : 我國早期的敎會醫學校" 27 (27): 2010
    • 96 馮秋季, "加拿大傳敎士與近代豫北醫學活語權的進與退" 3 : 2011
    • 97 陶飛亞, "傳敎士中醫觀的變遷" 5 : 2010
    • 98 高晞, "傳敎和行醫 : 不同道不相爲謀" 4 : 1996
    • 99 陳兆肆, "借醫布道: 走在醫療與傳敎之間: 從《奉天三十年》一書看晩淸東北地區傳敎" 7 : 2010
    • 100 陳才俊, "伯駕鼓動美國占領中國臺灣考述" 6 : 2011
    • 101 毛劍峰, "伯駕與廣州眼科醫局" 1995
    • 102 顔宜葳, "伯駕在新加坡的醫療活動與早期敎會醫院的建立動因" 34 (34): 2013
    • 103 王吉民, "伯駕利用醫藥侵華史實" 3 (3): 1951
    • 104 陳才俊, "伯駕1856年對華修約失敗及其原因" 27 (27): 2010
    • 105 趙慶文, "以“醫”傳“道”: 英美會在川醫療傳敎活動述論" 4 : 2013
    • 106 松本秀士, "人體解剖學の專門書『全體闡微』の解剖學用語について" 12 : 2006
    • 107 尚季芳, "亦有仁義: 近代西方来華傳敎士與西北地區的醫療衛生事業" 3 : 2011
    • 108 劉遠明, "中華醫學會與博醫會的合作及合倂" 2 : 2012
    • 109 李傳斌, "中華博醫會初期的敎會醫療事業" 23 (23): 2003
    • 110 조정은, "中國醫療傳道協會의 역할 ― 초기 활동을 중심으로(1886~1907) ―" 명청사학회 (37) : 197-243, 2012
    • 111 曺貞恩, "中國醫療傳道協會から中華醫學會へ" 95 (95): 2014
    • 112 陳邦賢, "中國醫學史" 科學書院 1989
    • 113 陳星, "中國近代西醫學及皮膚花柳病學開拓者嘉約翰及其專著" 28 (28): 2014
    • 114 温昌斌, "中國近代的科學名詞審査活動 : 1915-1927" 2 : 1996
    • 115 崔軍鋒, "中國博醫會與近代東亞西醫學的一體化發展(1886-1932): 基于《博醫會報》相關報道的分析" 2017
    • 116 崔軍鋒, "中國博醫會與中國地方疾病硏究1886-1911: 以『中國疾病』一書爲中心的考察" 5 : 2010
    • 117 渡邊祐子, "中國プロテスタント傳道硏究の視角" 61 : 2007
    • 118 吉田寅, "中國プロテスタント傳道史硏究" 汲古書院 1997
    • 119 吉田寅, "中國キリスト教初期醫療傳道史硏究 : ホブソン著中國語醫學書の一考察" 12 : 1996
    • 120 山本澄子, "中國キリスト敎史硏究 増補改訂版" 山川出版社 2006
    • 121 倉田明子, "中國キリスト敎史基礎文献ㆍ所蔵機関案内" 765 : 2014
    • 122 松本秀士, "中國における西洋解剖學の受容について: 解剖學用語の變遷から" 15 : 2008
    • 123 徐亦猛, "中國におけるキリスト敎本色化運動: 西洋宣敎師の動向についての考察" 7 : 2009
    • 124 八耳俊文, "ウェルカム圖書館蔵ホブソン文書を用いたベンジャミン・ホブソン(合信)傳" 11 : 2003
    • 125 吉田寅, "アメリカ宣敎醫師カー(嘉約翰)の中國文醫學書について: 『西藥略釋』と『皮膚新編』を中心として" 19 : 1981
    • 126 梁其姿, "『面對疾病: 傳統中國社會的醫療觀念與組織"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2
    • 127 松本秀士, "『全體新論』に掲載される解剖圖の出典について" 55 (55): 2009
    • 128 梁碧瑩, "“醫學傳敎”與近代廣州西醫業的興起" 1999
    • 129 高晞, "“解剖學”中文譯名的由来與確定: 以德貞『全體通考』爲中心" 6 : 2009
    • 130 李浩從, "“福音的婢女”到政治的婢女: 美國早期来華傳敎醫生" 2003
    • 131 Choa, Gerald H, "“Heal the Sick” was their Motto: The Protestant Medical Missionaries in China" Chinese University Press 1990
    • 132 Shen Xiao Hong, "Yale’s China and China’s Yale: Americanizing Higher Education in China, 1900-1927" Yale University 1993
    • 133 Bowers, John Z., "Western Medicine in a Chinese Palace: Peking Union Medical College, 1917-1951" The Josiah Macy, Jr. Foundation 1972
    • 134 Lockhart, William, "The Medical Missionary in China: A Narrative of Twenty Years’ Experience" Hurst and Blackett 1861
    • 135 George, B. Stevens, "The Life of Peter Parker" Congregational Sunday School and Publishing Society 1896
    • 136 Hensman, B, "The Kilborn Family: a Record of a Canadian Family's Service to Medical Work and Education in China and Hong Kong" 97 : 1967
    • 137 "The Chinese Year Book" The Chinese Year Book Publishing Company 1939
    • 138 "The Chinese Repository"
    • 139 "The Chinese Recorder and Missionary Journal"
    • 140 "The Chinese Recorder"
    • 141 "The Chinese Medical Journal English Section"
    • 142 "The China Mission Year Book"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for China 1925
    • 143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Journal"
    • 144 "The China Medical Journal"
    • 145 "The China Medical Journal"
    • 146 "The China Christian Year Book"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1935
    • 147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 Held at Shanghai" AmericanPresbyterianMissionPress 1890
    • 148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 Held at Shanghai"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78
    • 149 Gulick, Edward V., "Peter Parker and the Opening of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 150 Cheung Yuet-wah, "Missionary Medicine in China: A Study of Two Canadian Protestant Missions in China before 1937"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8
    • 151 Tatchell, W. Arthur, "Medical Missions in China: in Connexion with the Wesleyan Methodist Church" Robert Culley 1909
    • 152 Bryson, Mary Isabella, "John Kenneth Mackenzie: Medical Missionary To China" 1891
    • 153 Wong K. Chimin, "History of Chinese Medicine :Being a Chronicle of Medical Happenings in China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Period" The Tientsin Press 1932
    • 154 Kilborn, Omar Leslie, "Heal the Sick: An Appeal for Medical Missions in China"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Church 1910
    • 155 Dunch, Ryan, "Fuzhou Protestants and the Making of a Modern China 1857-1927" Yale University Press 2001
    • 156 Kingston, De Gruchè, "Doctor Apricot of “Heaven-below.” The story of Hangchow Medical Mission (C. M. S.)" Fleming H. Revell co. 1911
    • 157 Bays, Daniel H, "Christianity in China: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6
    • 158 Gao, Xi, "Chinese Perspectives on Medical Missionaries in the 19th Century: The Chinese Medical Missionary Journal" 5 : 2014
    • 159 "China Centenary Missionary Conference Records"
    • 160 Minden, Karen, "Bamboo Stone: The Evolution of a Chinese Medical Elit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4
    • 161 Bullock, M. B., "An American Transplant: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Peking Union Medical Colleg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 162 Buck, Peter, "American Science and Modern China, 1876-1936" Cambridge UniversityPress 1980
    • 163 Renshaw, Michelle, "Accommodating the Chinese: The American Hospital in China 1880-1920" Routledge 2005
    • 164 Latourette, Kenneth Scott, "A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in China" Macmillan 1929
    • 165 Young Theron Kue-Hing, "A Conflict of Professions: The Medical Missionary in China, 1835-1890" 47 (47): 1973
    • 166 MacGillivray, Donald, "A Century of Protestant Missions in China (1807-1907)"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1907
    • 167 趙曉陽, "60年来基督敎與近代中國醫療衛生事業硏究評述" 2017
    • 168 조정은, "20세기 초 중국 미션계 병원의 토착화 - 경제적 자립에 대한 의료선교사의 동향을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43) : 291-323, 2015
    • 169 趙艾東, "20世纪初美國傳敎士史德文在康區打箭爐的醫療活動" 3 : 2008
    • 170 李傳斌, "20世期基督敎在華醫療事業硏究綜述" 2006
    • 171 조정은, "19세기 중국에서 활동한 醫療宣敎師는 왜 中藥을 연구하였을까" 한국의사학회 27 (27): 77-86, 2014
    • 172 Stauffer Milton T, "1901-1920年中國基督敎調査資料(修訂)(上下)"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87 2.008 0.29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