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베트남 남부 방언을 쓰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남부 방언을 쓰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발음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를 대조 분석 하고 학습자 발음의 오류를 분석하고 분류하여 그 원인을 살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 남부 방언을 쓰는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학습자를 대상으로 열린 설문 조사 형식으로 자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발음 교육의 중요성 및 학습자 모어와 목표어의 대조 분석에 기반을 둔 발음 교육의 필요성과 선행 연구에서 이루지 못한 한계점을 바탕으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을 한정한 이유와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다루었다. 대조언어학 이론과 오류 분석 이론, 외국어로서의 발음 교육 이론을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다루었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를 음운·음성학적으로 대조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다루었다. 음절 구조, 음소 및 변이음을 대조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예측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다룬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두 차례에 거쳐 분석하였다. 1차 분석으로 학습자의 오류 패턴을 알아보기 위해서 자기소개 말하기와 교과서 읽기 녹음 자료를 분석하였고, 2차 분석은 1차 분석 결과에서 드러난 오류가 포함된 단어와 문장으로 발화 실험을 하여 그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두 차례에 걸친 학습자 발음 오류의 원인은 언어 간 오류와 언어 내 오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의 복잡성으로 인한 언어내 오류는 초성 위치에서 한국어의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하지 못해서 범한 오류가 있었다. 중성 위치에서는 이중모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한 오류가 있었다. 종성 위치에서는 겹받침을 잘못 줄이는 오류가 있었다. 그리고 음절과 음절이 이어질 때 음운규칙을 인식하지 못해서 범한 오류가 있다.
    둘째, 베트남어의 간섭으로 인한 언어간 오류는 초성 위치에서 조음 위치가 같은 한국어의 자음을 베트남어의 자음으로 대치하여 발음해서 범한 오류이다. 특히 한국어의 평음을 조음 위치가 같은 베트남어의 유성음으로 대치하여 발음한 경우가 많았다. 중성 위치에서는 한국어의 /ㅓ/를 베트남어의 /?/나 /?/로 발음한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베트남어의 남부 방언의 영향으로 /ㅏ/를 /ㅐ/로 발음하는 오류를 범했다. 종성 베트남어의 영향으로 /ㄱ/을 /ㄷ/으로, /ㄴ/을 /ŋ/으로, /ㄷ/을 /ㄱ/으로 /ㄹ/을 /ø/으로, /ㄹ/을 /ㄴ/으로, /ㄹ/을 /ŋ/으로, /ŋ/을 /ㄴ/으로, /ŋ/을 /ㅁ/으로 발음해서 범한 오류들이 있었다. 또한 음절과 음절이 이어질 때 베트남어의 방식으로 음절별로 발음한 경우가 많았다.
    5장에서는 4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오류의 원인에 따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구강 구조를 통해서 학습자의 모국어와 한국어의 음소들의 조음 위치의 차이와 한국어의 음운 규칙이 일어나는 원리를 인식시키고 연습하는 것이다. 둘째, 손동작을 활용하여 한국어의 음소들의 조음 방법의 차이를 인식시키고 연습하는 것이다. 셋째,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소들의 음성 정보 차이를 인식하게 하고 학습자가 발음한 음성 정보를 확인하고 연습시키는 것이다. 넷째, 게임과 말뭉치를 통해서 음운 규칙들을 인식하고 연습하는 것이다. 다섯째, 학습자가 베트남어의 방식으로 음절별로 발음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원어민의 발음을 그림자처럼 바로 뒤따라 겹쳐서 발음하는 쉐도윙(shadowing) 기법을 활용하여 연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교수·학습 방안이 학습자가 학습하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호찌민 지역에 위치한 4년제 정규 대학교의 한국학과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시범 수업을 진행하였다. 시범 수업을 받고 나서 학습자가 한국 발음에 대한 인식과 발음 능력 향상에 대해 열린 설문 조사를 통해서 학습자들로부터 자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한국어의 발음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고 효과적으로 발음 연습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되었으며 발음 오류의 원인을 알게 되어 발음 학습에 도움에 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와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거쳐 학습자 반응을 살펴보지 못했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음절 구조, 음소 및 변이음 체계에 대한 대조 분석과 학습자 오류 분석을 통해 교수·학습 방안을 구성하였다는 점, 한국어 발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ducational method to effectively teach and learn Korean pronunciation. To achieve this, the Vietnamese and Korean phonological systems were contrastively analyzed, pronunciation errors committed by learner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nd the cause of these errors were examined using experimental phonetics. Based on the results, an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method is presented and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survey to learners who performed a self-evaluation on themselves.
    In chapter 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nd the importance of pronunciation education, as well as the necessity of pronunciation education based on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native language and target language of learners, and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 limitations of preceding research is presented. Also, the reasons for limiting the research subjects, as well as the research method is presented.
    Chapter 2 consists of preceding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es contrastive linguistics and error analysis, and pronunciation education of a foreign language.
    In chapter 3,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Korean and Vietnamese phonology and phonetics was performed and based on thi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languages are presented. The pronunciation errors by learners were predicted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syllable structures, and phonemes and allophones.
    In chapter 4, using the contents from chapter 3, the pronunciation errors of actual learners were analyzed over two steps. For each and every analysis, the speaking and reading pronunc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Korean in Vietnam were recorded. In the first step of the analysis, to identify error patterns, the recordings of the learners saying their self-introduction and reading from a textbook were analyzed. In the second step, words and sentences where errors were committed that were exposed in the first experiment were used in a speech experiment and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were analyzed. The errors discovered over these two step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ased on whether the cause of the error happened between the two languages or the error was internal within the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due to the complexity of Korean, within-language errors included initial sound errors committed where the Korean lax, aspirated, and tense sounds could not be distinguished. With Korean medials, errors included diphthongs pronounced as monophthongs. With final sounds, final double consonant were not pronounced correctly. Also, when connecting syllables, there were errors because of a lack of awareness of phonological rules.
    Secondly, between-language errors included intial consonants being substituted with Vietnamese consonants that occur in the same position of articulation, due to interference of Vietnamese.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instances of Korean lax consonants were substituted with Vietnamese voiced consonants. In terms of medials, there were many instances of the Korean /?/ being pronounced with the Vietnamese /?/ or /?/. Also,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Vietnamese dialect, there were many errors of /a/ being pronounced as /?/. Due to the influence of Vietnamese coda, there were errors where /k/ was pronounced as /t/, /n/ as /ŋ/, /t/ as /k/, /l/ as /ø/, /l/ as /n/, /l/ as /ŋ/, /ŋ/ as /n/, and /ŋ/ as /m/. In addition, when connecting syllables, there were many instances where they were connected in a Vietnamese way.
    In chapter 5,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rom chapter 4,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produced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errors.
    Firstly, through practice and using the structure of the mouth, learners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honemes of their native language and Korean at positions of articulation and become aware of fundamentals of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Secondly, through practice and using hand movements, learners can become aware of the differences of the manner of articulation of Korean phonemes.
    Thirdly, using a speech analysis program, learners can become aware of the differences in voice information of Korean and Vietnamese phonemes and they can confirm their own pronunciation information.
    Fourthly, using games and corpus, learners can become aware of the phonological rules.
    Lastly, to improve upon learners using the Vietnamese style of pronouncing each syllable individually, have learners use a shadow technique where they follow along with a native Korean speakers pronunci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designed in this study, demonstration classes were taught to second-year learners studying Korea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Ho Chi Minh City area starting from January to February 2015, 3 times a week, for 4 weeks, with a total class time of 24 hou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lasses, to examine what type of influence the educational method designed in this study had on improving the learner's Korean pronunciation awareness and 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learners performing a self-evaluation themselves. The results were that overall there was a growing understudying of Korean pronunciation and learners were able acquire an effective method of practicing pronunciation by themselves and learn the causes of their pronunciation errors.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as that the experiment was unable to be conducted on learners of various levels and on large number of learners, as well as the response of learners over a long term. However, there were a number of meaningful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using a contrastive analysis and error analysis of Vietnamese and Korean syllable structure, system of phonemes and allophone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designed. Secondly, to analyze the learners' pronunciation, experimental phonetic methods were used, raising reliability of this analysis results. Finally, learners were able to raise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pronunciation in a short amount of time. Moving forward, items that were missing from this study will continue to be researched and applied to Korean education for learners from Vietnamese-speaking areas.

    더보기
    • 1 허웅, "「국어학」", 샘문화사, 1985
    • 2 이호영, "국어음성학", 태학사, 1996
    • 3 김무림, "국어 음운론", 새문사, 2009
    • 4 김진우, "“국어 음절론”", 한글학회, 「한글」 282호, 한글학회, 2008
    • 5 신지영, "「말소리 이해」", 한국문화사, 2008
    • 6 이진호,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2005
    • 7 고경석, "영어 발음 학습법", 학문사, 2003
    • 8 김재원, 임병빈, 박경자, "「응용언학사전」", 경진문화사, 2001
    • 9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2002
    • 10 한재영, 최정순, 이호영, "「한국어 발음 교육」", 한림, 2003
    • 11 이현복, "“한국어의 모음음가”", 대한음성학회, <말소리와 음성과학>, 한국음성학회,56~70쪽, 1980
    • 12 박숙희, "「한국어 발음 교육론」", 역락, 역락, 2013
    • 13 배주채, "「국어 음운론의 체계화」", 한국문화사, 1996
    • 14 Stern, H. H, "「언어교수의 기본 개념」", 하우, 하우 출판사, 1995
    • 15 임용기, "“서평: 한국어 발음 교육”", 「외국어로서한국어교육」,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91~98쪽, 2006
    • 16 조경하, "국어의 후두 자질과 음운 현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17 김평원, "말하기 평가의 분석 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8 양순임, "한국어 발음교육의 내용과 방법", 태학사, 2014
    • 19 최정순, "한국어 발음 교육의 현황과 과제", 「언어와 문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95~324쪽, 2012
    • 20 송향근, "“음운 이론과 한국어 발음교육”", 한국어학회, 「국어학」, 50호, 한국어학회 , 1~27쪽, 2011
    • 21 이문규, "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 국어 음운론", 한국문화사, 2004
    • 22 김정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 방법", 「한국어 교육연구」3호, 한국어교육학회, 2000
    • 23 정명숙,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이중언어학」7호, 이중언어학획, 423~451쪽, 2011
    • 24 국립국어연구원,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원, 2003
    • 25 허용, 김선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박이정, 2006
    • 26 허용, 허경행,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문법론」", 한국문화사, 2003
    • 27 오성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61~567쪽, 2003
    • 28 김신자, "“한국어 자음과 받침의 발음지도방안”",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중국조선어문」,46~52쪽, 2012
    • 29 김수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억양 교육 연구”", 「한국문화연구」18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69~87쪽, 2010
    • 30 정아영, "“한국어와 영어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l2-1호, 이중언어학회, 1985
    • 31 조향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531~559쪽, 2013
    • 32 허웅, "국어 음운학 –우리말 소리의 오늘․어제-", 샘문화사, 1985
    • 33 김성란, "한국어와 중국어 자음의 음성학적 대조고찰", 「인문논총」 21호,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 34 김길동,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35 이경희, 정명숙,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적 특성과 자작단서”", 「음성과학」 l10-2호, 한국음성학회, 154~170쪽, 2000
    • 36 변광수, "“한국어와 스웨던어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l9-1호, 이중언어학회, 1992
    • 37 김원필, "“노래를 통한 스펜인어 리듬 학습 방안 연구”", 「Foreignlanguages educati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56-283쪽, 2004
    • 38 김선정, "“영어 모국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61~567쪽, 1999
    • 39 함은주,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음운 지도 방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40 김형복, "“한국 음운 변동 규칙의 교수 학습 순서 연구”", 「한국어 교육」15-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41쪽, 2004
    • 41 이병운,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사용 오류경향 분석",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2
    • 42 이혜강,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음 지도 방안”",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43 김형복, "“한국어 Phonics를 통한 발음 규칙 교수 학습방안”",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코기토」,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77~298쪽, 2009
    • 44 백소영, "“러시아어권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45 김혜순, 이기철, 변영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논문지」, 한국정보과학회, 1807~1824쪽, 1993
    • 46 김용범, "「영어발음 학습의 맥-한국인을 위한 영어음성학」",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3
    • 47 정미라, "“네팔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의 원인과 교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48 Brown, H., "D,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이흥수, 박매란 외 옮김", Pearson Education Korea, 2001
    • 49 이묘영, "“교육 연극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방안 연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한국어문화교육」, 한국어 문화교육학회, 171~194쪽, 2010
    • 50 노미숙,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파찰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한국어문화교육」5-2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63~88쪽, 2011
    • 51 강현화, "「대조 분석론: 한국어 스페인어 문형 대조를 바탕으로」", 역락, 역락, 2003
    • 52 조동현, "“캄보디아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의 원인과 교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53 김영선,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경음화 발음 교육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15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1~73쪽, 2004
    • 54 왕정정,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이중모음 교육 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55 손영헌, "“인도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발음 교육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56 김기훈, "“중국어 성조를 활용한 한국어 평음 경음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57 김평원, "포먼트(formant) 및 <표준 발음법 >을 통한 국어 발음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58 H.H, "Stern 『언어교수의 기본 개념』, 심영택, 위호정, 김봉순 옮김", 하우, 2003
    • 59 양순음, "“음절 말 자음과 관련된 변동 규칙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4
    • 60 이건희, "“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찰음 대조 연구 - 변이음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61 김예원, "“베트남 출신 여성경혼이민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62 강정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분석 및 교육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63 윤혜숙,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64 김은애, "“음향 분석을 통한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65 박미영, "“베트남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에 대한 토론문”", 한국문법교육학회,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문법교육학회,131~132쪽, 2011
    • 66 이순영, "“중국어권 학습자의 효과적인 한국어 초급 발음교육을 위한실험”", 한국어문화교육학회, 한국어문화교육 1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69~89쪽, 2007
    • 67 이경희, 정명숙, "“학습자 모국어의 변이음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효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1~167쪽, 2000
    • 68 나미경, "“자음 체계표를 활용한 비음화. 유음화 현상의 원리 지도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69 박지영,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북부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70 오선, ""중국어 성조를 활용한 한국어 평음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71 신정애,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72 김낙복, "“Shadowing 훈련이 영어 듣기 능력과 전략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사례 연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영어교과교육」9-3,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119~140쪽, 2010
    • 73 조혜란,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발음 교육방안 : 장애음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74 서연희,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 학습법이 고등학생의 영어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75 김보람, "“배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파열음 인지와 발화: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76 허용, "“한국어 교육에서의 대조언어학과 보편문법의 필요성 연구”,「이중언어학」 36호", 이중언어학회, 2008
    • 77 기우종,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 수업모형 개발- 발음 ‘차이 인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78 김영옥,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자음 발음 교육 전략: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79 정윤자,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실험, 「우리말연구」 27호", 우리말학회, 73-94쪽, 2010
    • 80 김종덕, "“일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의문문 억양 연구-의문사 있는‘네/아니요’의문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언어 사실과 관점 24, 연세대학교언어정보연구원, 2009
    • 81 강정희, "“베트남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자음 대조및 학습자 자음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한국문법교육학회학술발표논문집」, 121~130쪽, 2011
    • 82 박호은,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음운 대조분석과 학습자 오류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83 김지은, "“지각 훈련을 활용한 한국어 분절음 교육 방안: 중국인 초급학습자의 파찰음 지각과 산출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0
    • 84 박덕유, 허유라 , "“한국어교육: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발음교육 방안연구 - 음운 변동 규칙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학회, 363-388쪽, 2012
    • 85 민상희,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독학용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 방안 연구: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86 허용, "“영어 단어 구조를 이용한 한국어 음운변동의 발음교육원리-자음동화와 경음화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 14-1호",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93~310쪽, 2007
    • 87 이지선, 쩐투이빈 , "“외국어로서 베트남어와 영어 발음 교수법에 대한연구 -베트남어 원어민과 영어 원어민의 학습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19~242쪽, 2010
    • 88 우인혜, 이은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성 /ㄱ,ㄷ,ㅂ/발음 교육 방안-한국어 음절 구조를 중국어 음절 구조에 반대로 적용하여-", 「새국어교육 97호, 한국국어교육학회, 327~359쪽,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