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법학방법론의 전개 = The Development of Legal Methods in Kore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Legal Methods provide legal practitioners, legal scholars and law students
    with a integrated tools fo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 Nowadays
    legal methods deal not only with the traditional foundations of legal
    reasoning but also with logico-philosophical theories of law, including legal
    hermeneutics, legal semantics, topical jurisprudence. Modern legal methods,
    besides, include legal economics, CLS, feminist and post-modernistic legal
    theories etc. Nevertheless, the legal method remained just one of main
    spheres of legal philosophy till now. But it is about to set up as a new
    branch of general jurisprudence.
    Modern legal methods as well as traditional legal methods were unnoticed
    by legal scholars and legal practitioners for a long time in Korea. Only a
    few legal scholars had interests in legal methods, but regarded it as a trivial
    matter of jurisprudence. After so long a time some academic scholars
    devoted their attention to traditional legal method around methods of
    commentary on precedents in 1990s. In addition, the legal method has made
    rapid progress by discussing modern legal methods. It was the Renaissance
    of legal methods in Korea. Henceforth, the legal method has established its
    significance in legal philosophy during 2000s.
    At some risk of over-simplification, the brief history of legal methods in
    Korea is as follows: from a wasteland of legal methods to a main field of
    legal philosophy through reclaimed period, take-off period, specialization
    period, and period of Renaissance. Legal scholars majored in dogmatics of
    main field of law want understanding of legal methods. Needless to say, legal practitioner are the same. All possible efforts to make legal methods
    available for legal scholars and legal practitioners should be exerted in the
    Era of Law School that places great emphasis on practice-oriented
    jurisprudence.

    더보기

    Legal Methods provide legal practitioners, legal scholars and law students
    with a integrated tools fo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 Nowadays
    legal methods deal not only with the traditional foundations of legal
    reasoning but also with logico-philosophical theories of law, including legal
    hermeneutics, legal semantics, topical jurisprudence. Modern legal methods,
    besides, include legal economics, CLS, feminist and post-modernistic legal
    theories etc. Nevertheless, the legal method remained just one of main
    spheres of legal philosophy till now. But it is about to set up as a new
    branch of general jurisprudence.
    Modern legal methods as well as traditional legal methods were unnoticed
    by legal scholars and legal practitioners for a long time in Korea. Only a
    few legal scholars had interests in legal methods, but regarded it as a trivial
    matter of jurisprudence. After so long a time some academic scholars
    devoted their attention to traditional legal method around methods of
    commentary on precedents in 1990s. In addition, the legal method has made
    rapid progress by discussing modern legal methods. It was the Renaissance
    of legal methods in Korea. Henceforth, the legal method has established its
    significance in legal philosophy during 2000s.
    At some risk of over-simplification, the brief history of legal methods in
    Korea is as follows: from a wasteland of legal methods to a main field of
    legal philosophy through reclaimed period, take-off period, specialization
    period, and period of Renaissance. Legal scholars majored in dogmatics of
    main field of law want understanding of legal methods. Needless to say, legal practitioner are the same. All possible efforts to make legal methods
    available for legal scholars and legal practitioners should be exerted in the
    Era of Law School that places great emphasis on practice-oriented
    jurisprudence.

    더보기
    • 1 이광범, "「대법원판례」의 의미" 11 : 2002
    • 2 김형배, "현대민법론" 고시원 1982
    • 3 남기윤, "현대 미국에서의 제정법 해석 방법논쟁과 방법론의 새로운 전개" 한국법학원 (100) : 40-79, 2007
    • 4 최대권, "헌법해석 에 관한 연구" 헌법재판소 1994
    • 5 김정오, "헌법판례에 나타난 법적 논증의 구조적.비판적 분석 ― 간통죄의 위헌여부에 관한 헌법판례(89헌마82)를 중심으로 ―" 4 (4): 2001
    • 6 계희열, "헌법의 해석" 고려대출판부 1993
    • 7 강진철, "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법학방법론" (5) : 1993
    • 8 U. Schroth, "해석학의 문제점" 동아대 (28) : 1994
    • 9 N. MacCormick/Summers, "해석과 정당화(상)/(하)" 5/6 (5/6): 2003
    • 10 조성혜, "합리적 선택이론과 행동법경제학"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 11 최봉철, "한국적 사법해석론 ― 법개념을 중심으로" 연세대 9 (9): 2000
    • 12 오세혁, "한국에서의 법령해석 ―우리나라 법원의 해석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법철학회 6 (6): 119-150, 2003
    • 13 "프랑스 사법 학에서 법학방법론의 전개" 2005
    • 14 오세혁, "판례평석 방법론에 관한 시론적 고찰 - 민사법 분야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13 (13): 741-766, 2006
    • 15 박정훈, "판례의 법원성"
    • 16 김주수, "판례와 법해석학" (178) : 1985
    • 17 R. Dworkin, "판결하기 어려운 사안" 3 : 1993
    • 18 심헌섭, "켈젠법이론선집" 법문사 1990
    • 19 윤철홍, "칸토로비츠의 ‘법학을 위한 투쟁’에 관한 소고" 8 (8): 2005
    • 20 "철학연구 제2집"
    • 21 최대권, "제정법의 해석" 서울대 30 (30): 1989
    • 22 오병선, "제도적 자연법과 법의 해석" 한국법철학회 5 (5): 83-114, 2002
    • 23 "입법학의 과제"
    • 24 "입법학서설(I)/(II)" 3, 4 : 1997
    • 25 박영도, "입법학과 입법정책" 한국법정책학회 5 (5): 11-34, 2005
    • 26 이상영, "입법학 정립을 위한 변증론" 충북대 7 (7): 1995
    • 27 한국입법학연구소, "입법산업과 입법부 현황과 전망, 그리고 입법학"
    • 28 "입법기초이론과 입법기술" 한국법제연구원 1 : 1991
    • 29 "입법기술의 이론과 실제" 한국법제연구원 5 : 1997
    • 30 이정식, "입법․행정과정에 있어서의 법률해석" 10 (10): 1969
    • 31 "일본 민법학의 법사고 와 법해석 방법론" (6) : 2005
    • 32 강희원, "이른바 일반조항(Generalklauseln)에 대한 기초법학적 이해" (1) : 1994
    • 33 박영도, "의원입법의 타당성, 효율성에 대한 검토와 개선방안" 한국공법학회 34 (34): 91-112, 2006
    • 34 박종수, "유형개념의 이해" 한국법철학회 5 (5): 157-184, 2002
    • 35 장영민, "유추금지와 목적론적 축소" 7 : 1999
    • 36 "외국법제의 계수에 관한 연구"
    • 37 윤철홍, "예링의 법사상"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 38 황동준, "영국재판관과 제정법 해석 ― 특히 자연법 정의의 원칙에 관하여―" (100) : 1969
    • 39 강희원, "역사법학과 사비니" 33 (33): 1998
    • 40 박은정, "여성주의와 정의론" (4) : 1994
    • 41 김대휘, "알프 로스의 법원론" 3 : 1993
    • 42 양현아, "실증주의 방법론과 여성주의 법학" 법학연구소 46 (46): 198-237, 2005
    • 43 오세혁, "신법우선의 원리" 홍익대 3 : 2001
    • 44 "새로운 학문유형으로서의 입법학의 필요성과 성립가능성"
    • 45 권영애, "상사입법과 실험적 입법방법론" 법학연구소 23 (23): 161-196, 2006
    • 46 "사회과학에 있어서의 가치판단과 객관성의 문제" 6 : 1971
    • 47 이상돈, "사실인정의 이론과 실제: 공판절차에서 마당적 이해의 실현" 110 : 2006
    • 48 오세혁, "사법부의 해석방법론에 대한 비판" 법과사회이론학회 (27) : 185-209, 2004
    • 49 권경휘, "비트겐슈타인의 규칙-따르기 고찰과 법이론"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 50 심헌섭, "분석과 비판의 법철학" 법문사 207-, 2001
    • 51 차강진, "법현상의 인식방법론에 관한 일고찰" 부산대 (1) : 1991
    • 52 김지수, "법해석학의 존재론적 전환"
    • 53 고상용, "법해석학의 연구방향" 성균관대 (25) : 1979
    • 54 "법해석학의 금후의 과제" (13) : 1965
    • 55 백남휴, "법해석학의 과학성" 12 (12): 1957
    • 56 강진철, "법해석학과 포스트모더니즘" (8) : 1993
    • 57 김병규, "법해석학과 철학적 해석학" (24) : 1998
    • 58 "법해석의 성질" (45) : 1967
    • 59 양창수, "법해석의 다양한 양상 또는 실정법학자의 법학방법론 : 크라머의 법학방법론 을 읽고" 서울대 41 (41): 2000
    • 60 김명재, "법해석론에 관한 소고" 전남대 (11) : 1983
    • 61 심헌섭, "법학의 학문성" 서울대 23 (23): 1982
    • 62 이상훈, "법학의 방법" 서울대 21 (21): 1977
    • 63 D.Schmalz, "법학연구를 위한 방법론"
    • 64 이준일, "법학에서의 대화이론" 3 (3): 2000
    • 65 "법학에서의 담론과 방법론상 문제점" 33 (33): 2000
    • 66 이준일, "법학에서 최적화" 3 (3): 2000
    • 67 최종고, "법학사" 경세원 1986
    • 68 "법학방법론의 새로운 장을 열면서" 29 (29): 1994
    • 69 박상기, "법학방법론의 사적 고찰"
    • 70 남기윤, "법학방법론으로의 유형이론에 관한 고찰"
    • 71 장태주, "법학방법론연구서설 ― 법학방법론의 탐색적 접근"
    • 72 K. Larenz, "법학방법론 입문" 세종출판사 2001
    • 73 김유미, "법학방법론 연구" 울산대 출판부 2004
    • 74 K. Larenz, "법학방법론" 세종출판사 2000
    • 75 R. Zippelius, "법학방법론" 삼영사 1976
    • 76 "법학" 서울대 24 (24): 1983
    • 77 오세혁, "법체계의 통일성" 2000
    • 78 "법체계의 정합성과 법적 논증의 정합성 원칙" (4) : 1994
    • 79 R. Alexy, "법체계와 실천이성" 3 : 1993
    • 80 오세혁, "법철학사" 세창 377-400, 2004
    • 81 최봉철, "법철학방법론" 연세대 12 (12): 2002
    • 82 "법철학과 형법의 제문제" 방문사 1989
    • 83 김진기, "법철학과 법해석의 문제" 부 산여대 3 : 1998
    • 84 Arthur Kaufmann, "법철학, 법이론 그리고 법도그마틱" (9) : 1989
    • 85 김병규, "법적 언어" 2 : 1999
    • 86 K. Engisch, "법적 사고의 입문" 법률정보센타 2001
    • 87 김영환, "법적 논증이론의 전개과정과 그 실천적 의의" 한양대 (12) : 1995
    • 88 윤재왕, "법적 논증이론과 절차적 정의" (5) : 1992
    • 89 R. Alexy, "법적 논증이론 : 법적 근거제시이론으로서의 합리적 논증대화이론" 고대출판부 2007
    • 90 "법적 논증의 기초" 경북대 출판부 2006
    • 91 "법인식의 사회적 지평과 근대성" (8) : 1994
    • 92 배종대, "법이론(Rechtstheorie)이란 무엇인가?" 고려대 25 : 1-71, 1987
    • 93 이상돈, "법이론" 박영사 1997
    • 94 김영환, "법의 흠결과 목적론적 축소해석" (334) : 1998
    • 95 "법의 흠결 ― H. Kelsen 교수의 서거에 부쳐 ―" 18 (18): 1973
    • 96 신요섭, "법의 해석에 관한 소고" 부산외대 (2) : 1984
    • 97 "법의 해석" 11 (11): 1962
    • 98 한창영, "법의 일반원칙론" 제주대 (1) : 1965
    • 99 김학태, "법의 상징기능에 관한 연구 ― 상징입법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3 (3): 2000
    • 100 이호정, "법의 사회과학적 연구를 위한 하나의 제언" (1) : 1976
    • 101 "법의 부정과 법긍정 의 이치논리" (3) : 1996
    • 102 장인석, "법의 목적" 21 (21): 1972
    • 103 이준구, "법의 논리" (4) : 1964
    • 104 김성남, "법의 과학성" 4 (4): 1974
    • 105 김영환, "법의 계수의 결과현상들: 개념법학적인 사유형태와 일반조항에로의 도피" 4 (4): 2001
    • 106 강진철, "법은 중립적인가" (9) : 1988
    • 107 "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 서울대 19 (19): 1979
    • 108 U. Penski, "법원칙들과 법규율" 3 : 1993
    • 109 "법에 대한 체계논리적 파악" 29 (29): 1994
    • 110 최종고, "법언어와 그 문제점(상)" (1416) : 1981
    • 111 "법비교의 방법과 유형론의 관계"
    • 112 장영민, "법발견의 방법 ― 문제사안에서의 법발견모델을 중심으로 ―"
    • 113 M.Kriele, "법발견론" 한림대 출판부 1995
    • 114 김학태, "법률해석의 한계 -판례에서 나타난 법해석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22 (22): 177-206, 2006
    • 115 신동운, "법률해석의 한계" 법문사 2000
    • 116 이봉희, "법률해석의 목적 ―한국에서 현행되는 법과 현행되지 않는 법의 분간을 촉 구하며―" 3 (3): 1956
    • 117 H. Bartholomeyczik, "법률해석의 기술" 11 (11): 1969
    • 118 임건묵, "법률해석에 있어서의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타당성" 청주대 대학원 1963
    • 119 임종원, "법률해석가의 입장 ― 단편록 ―" 청주대 4 (4): 1960
    • 120 "법률해석 ― 말놀이에의 구성적 참여 ―" 27 (27): 1994
    • 121 "법률학상 재판의 논리에 있어서의 언어분석방법" 5 : 1969
    • 122 "법률적 삼단논법의 인식론적 오류" (3) : 1995
    • 123 "법률적 삼단논법 ― 논리적․철학적 소고 ―" 서울대 14 (14): 1973
    • 124 최봉경, "법률의 흠" 10 (10): 2003
    • 125 김형배, "법률의 해석과 흠결의 보충 ― 민사법을 중심으로" 고려대 15 : 1977
    • 126 안만금, "법률의 해석과 법학의 진리" 단국대 (3) : 1960
    • 127 박영우, "법률의 해석과 그 평가" 충남대 1 (1): 1990
    • 128 홍신희, "법률의 해석" (19) : 1974
    • 129 박철, "법률의 문언을 넘은 해석과 법률의 문언에 반하는 해석의 정당성" 11 : 2002
    • 130 이희봉, "법률과 자연과학" (7) : 1967
    • 131 장후영, "법률과 실현성" 11 (11): 1996
    • 132 "법률과 문자" (1155) : 1976
    • 133 한상범, "법률 문화와 언어" (254) : 1982
    • 134 김영환, "법도그마틱의 개념과 그 실천적 기능" 한양대 (13) : 1996
    • 135 박인양, "법논리적 추론에 있어서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아주대 (5) : 1994
    • 136 차강진, "법규범의 불확정성과 법해석" 부산대 37 (37): 1996
    • 137 K. Larenz, "법규론" 24 (24): 1998
    • 138 허일태, "법관의 법왜곡에 대한 대책" (21) : 1996
    • 139 김대휘, "법관의 법발견의 3단계 ― 특히 법률수정의 문제 ―" 13 : 1986
    • 140 이상돈, "법관의 말행위와 올바른 법 ― 고도산업사회에서의 법률의 적용과 대화이론 적 재구성 ―" 25 (25): 1992
    • 141 정선주, "법관에 의한 법의 형성발전과 그 한계" (2) : 1999
    • 142 심헌섭, "법과 정의의 철학" 종로서적 1986
    • 143 Arthur Kaufmann, "법과 언어" 서울대 25 (25): 1984
    • 144 K. Günther, "법과 언어" 4 (4): 2001
    • 145 구모영, "법과 언어"
    • 146 이종하, "법과 말"
    • 147 양화식, "법과 도덕에 관한 하버마스의 담론이론"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 148 오세혁, "법과 논리" 5 : 1996
    • 149 조성혜, "법경제학의 기초" 한국법철학회 7 (7): 101-122, 2004
    • 150 "법, 이성, 논의 ― 법학에서의 논의이론의 전개 ―"
    • 151 이영희, "법 해석방법론에 관한 소고"
    • 152 민사판례연구회, "민사판례연구 [I" 박영사 1979
    • 153 "미국의 법사고와 제정법 해석방법론" 2007
    • 154 "막스 베버의 몰가치이론"
    • 155 박용철, "루돌프 폰 예링의 목적법 이론의 고찰" 경북대 (25) : 1983
    • 156 최병조, "로마시대의 법률해석과 법률해석 ― 서론적 고찰 ―" 서울대 27 (27): 1986
    • 157 최병조, "로마 사법케이스 해석방법론 소고 ― 학설유집 개별사례해 석의 형식과 지침 ―"
    • 158 崔潤哲, "독일에 있어서의 “입법자의 법률개선의무”에 관한 논의" 한국공법학회 31 (31): 16-16, 2003
    • 159 "독일 사법학 방법론의 현상과 신 경향들" 2006
    • 160 신동룡, "대화주의와 저작권법" 한국법철학회 8 (8): 243-274, 2005
    • 161 최봉철, "대법원의 법해석론" 연세대 8 : 1998
    • 162 "논리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5
    • 163 정태욱, "김명호 교수 사건의 고법판결(서울고등법원 2007. 1. 12. 선고 2005나84701 판결)과 법치주의"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 164 홍기원, "근대 변증론 연구(1): 프랑스와 오트만의 변증론연구와 변증론체계(1573)" 한국법철학회 10 (10): 163-192, 2007
    • 165 서윤호, "규범근거지움을 둘러싼 문제" 한국법철학회 8 (8): 171-198, 2005
    • 166 오세혁, "관습법의 현대적 의미" 한국법철학회 9 (9): 145-176, 2006
    • 167 이용욱, "공소시효제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관한 연구-법학방법론의 측면에서"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 168 양천수, "개념법학:형성, 철학적 정치적 기초, 영향"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 169 최봉경, "개념과 유형" 한국법철학회 6 (6): 7-16, 2003
    • 170 이영우, "개념 법학과 자유법론" 6 : 1961
    • 171 이순태, "日本의 內閣提出法律案의 作成過程과 節次統制" 한국비교공법학회 7 (7): 543-574, 2006
    • 172 최종고, "‘법’자고 ― 법상징학과 관련하여 ―" 서울대 38 (38): 1994
    • 173 신동룡, "[논문]대화윤리와 저작권법" 한국법철학회 9 (9): 216-241, 2006
    • 174 N.MacCormick, "Universalization and Induction in Law"
    • 175 Rober Alexy, "Theorie der juristischen Argumentation" 서울대 24 (24): 1983
    • 176 M. Kriele, "Theorie der Rechtsgewinnung" Berlin: D.&H 1976
    • 177 K. Adomeit, "Rechtstheorie für Studenten, 2. Aufl." Heidelberg: R. V. Decker 1981
    • 178 D. Schm, "Methodenlehre für das juristische Studium" Baden-Baden: Nomos 1998
    • 179 H.-M. Pawlowski, "Methodenlehre für Juristen" Heidelberg: C. F. Müller 1999
    • 180 K. Larenz, "Methodenlehre der Rechtswissenschaft" Berlin: Springer 1991
    • 181 W. Fikentscher, "Methoden des Rechts in vergleichender Darstellung, 5. Bde" Tübingen: J. C. B. Mohr 1977
    • 182 Rupert Schreiber, "Logik des Rechts" 서울대 8 (8): 186-196, 1966
    • 183 "Legal Realism에 대한 법학도의 반응" 서울대 12 (12): 1972
    • 184 C. Stychin, "Legal Method, 2nd ed." London: Sweet&Maxwell 2003
    • 185 F. Müller, "Juristische Methodik" Berlin: D.&H 1995
    • 186 F. Bydlinski, "Juristische Methodenlehre und Rechtsbegriff" Wien: Springer 1991
    • 187 E. Kramer, "Juristische Methodenlehre" Bern: Stampfli 28-, 1998
    • 188 R. Zippelius, "Juristische Methodenlehre" München a. M.: C. H. Beck 2005
    • 189 H.-P. Schwintowski, "Juristische Methodenlehre" Frankfurt a. M.: Recht und Wirtschaft 2005
    • 190 E. Kramer, "Juristische Methodenlehre" Bern: Stämpfli 2005
    • 191 Ulich Klug, "Juristische Logik" 서울대 10 (10): 141-144, 1968
    • 192 H.-J. Koch/H. Rußmann, "Juristische Begrundungslehre" Munchen a.M.: C.H. Beck 1982
    • 193 조규갑, "Interpretation of Statutes in Common Law Country and Civil Law Country - in United States and Korea" 동아대 2 : 1959
    • 194 R. Alexy et al., "Elementeeiner juristischen Begrundungslehre" Baden-Baden: Nomos 2003
    • 195 H.-M. Pawlowski, "Einführung in die Juristische Methodenlehre, 2. Aufl" Heidelberg: C. F. Müller 2000
    • 196 K. Engisch, "Einführung in das juristische Denken" Stuttgart: W. Kohlhammer 1977
    • 197 김지수, "Dworkin 의 정해론과 이치논리의 전환" (217) : 1994
    • 198 한봉희, "Case Method와 Problem Method" (10) : 1985
    • 199 K. Larenz-C.-W, "Canaris, Methodenlehre der Rechtswissenschaft" Berlin: Springer 1995
    • 200 H.Rottleuthner, "Biologische Metaphern im Rechtsdenken"
    • 201 ., "." 서울대 20 (20): 1979
    • 202 ., "." 서울대 23 (23): 35-45, 1982
    • 203 심헌섭, "." 서울대 39 (39): 1989
    • 204 ., "." 서울대 37 (37): 1996
    • 205 박우동, ""대법원전원합의체 재판에 있어서의 의견의 표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4 1.024 0.18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