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고려대학교 100년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volume. vol.1]----------
    • 목차
    • 간행사 = ⅸ
    • 기념사 = xii
    • 기념사 = xv
    • 축사 = xviii
    • 고려대학교 100년사 편찬 연혁 = xxi
    • 일러두기 = xxv
    • 1부 普成專門學校의 창립과 李容翊
    • 1장 보성전문학교 창립의 시대적 배경
    • 1 대한제국 시기의 국제 정세 = 3
    • 2 한말 근대적 교육의 시행과 실상 = 6
    • 2.1 근대적 교육제도의 시행 = 6
    • 2.2 근대적 교육기관의 설립 = 8
    • 2.3 보성전문학교 창립의 역사적 의의 = 11
    • 2장 설립자 李容翊
    • 1 이용익의 인물 = 16
    • 2 自主權 수호 투쟁과 局外中立宣言 = 19
    • 3 이용익 被拉과 일본의 음모 = 25
    • 3장 건학이념과 설립 초기 보전
    • 1 보전의 설립이념과 高宗 皇帝의 校名 下賜 = 33
    • 2 학생모집과 개교 = 40
    • 3 교장 申海永과 교강사의 면모 = 45
    • 4 학교의 발전과 3년제로의 개편 = 58
    • 4.1 설립 초기의 학교 운영 = 58
    • 4.2 3년제로의 개편과 학사제도의 변화 = 72
    • 4.3 교외생제도의 시행과 임업과ㆍ일어 과목의 설치 = 76
    • 4.3-1 교외생제도의 시행 = 76
    • 4.3-2 임업 속성과의 설치 = 77
    • 4.3-3 일어 과목의 신설 = 80
    • 5 '普成大學' 설립 계획과 무산 = 81
    • 4장 보전 제2대 교주 李鍾浩
    • 1 이용익의 망명과 사망 = 84
    • 1.1 이용익의 망명 = 84
    • 1.2 이용익의 사망 = 94
    • 2 제2대 교주 이종호 = 98
    • 2.1 이종호의 교육구국활동 = 98
    • 2.2 이종호의 애국계몽활동 = 104
    • 2.3 이종호의 망명과 독립운동 = 110
    • 5장 일제의 압박과 학교 경영의 위기
    • 1 일제의 보전 관립화 기도 = 122
    • 2 황실보조금 중단과 維持會 사건 = 125
    • 3 재정난과 교직원의 타개 노력 = 136
    • 4 사립학교령과 일제의 압박 = 139
    • 6장 설립 초기의 교과과정과 학사행정
    • 1 교과과정 = 148
    • 1.1 설립 당시의 교과과정 = 148
    • 1.2 3년제 채택과 교과과정의 변화 = 153
    • 2 학사행정 = 155
    • 2.1 입학ㆍ수업ㆍ휴업 = 155
    • 2.2 납부금ㆍ시험ㆍ상벌 졸업 = 158
    • 7장 학생과 교우의 활동
    • 1 학생들의 생활과 활동 = 165
    • 1.1 학교생활 = 165
    • 1.2 학생활동 - 토론회와 운동회 = 168
    • 1.3 학생 자치활동 = 179
    • 2 교우의 활동 = 185
    • 2부 孫秉熙와 보성전문학교 1910-1921년
    • 1장 孫秉熙와 보성전문학교
    • 1 天道敎의 보전 인수 = 195
    • 2 손병희의 인물과 활동 = 204
    • 2장 天道敎 인수 초기의 보전과 교명의 강제 격하
    • 1 교수의 확보와 신교사 건축 = 214
    • 2 일제의 탄압과 교명 격하 = 219
    • 2.1 일제의 천도교 탄압 = 219
    • 2.2 조선교육령과 '私立普成法律商業學校'로 교명 격하 = 221
    • 3 창립 10주년 행사와 교사의 낙원동 이전 = 228
    • 4 이종호의 학교 반환 요청 = 230
    • 3장 1910년대의 학사와 학생생활
    • 1 입학ㆍ졸업생의 격감과 교과과정 = 233
    • 2 일제 초기의 학교생활 = 239
    • 3 교우의 활동 = 242
    • 4장 3ㆍ1운동과 普專
    • 1 보전과 학생대표들의 3ㆍ1운동 준비 = 245
    • 2 學生團 조직과 시위운동 계획의 추진 = 247
    • 3 3ㆍ1운동과 3ㆍ5학생시위의 전개 = 250
    • 4 3ㆍ1운동과 보전의 시련 = 255
    • 4.1 3ㆍ1운동 이후 졸업생의 독립운동 투신 = 255
    • 4.2 3ㆍ1운동과 일제의 압박 = 258
    • 3부 재단의 설립과 보성전문학교
    • 1장 재단법인의 설립과 교명의 부활
    • 1 3ㆍ1운동 이후 총독부의 교육정책과 보전 = 263
    • 2 재단법인 사립보성전문학교의 설립 = 264
    • 3 교명의 부활과 학교의 정비 = 274
    • 2장 재단의 분규와 하원의 동요
    • 1 교장 사임과 학원의 동요 = 276
    • 2 기부행위 개정의 난산 = 280
    • 3 이사회의 재분규 = 288
    • 4 재단정비 노력 = 291
    • 3장 송현동시대의 학사와 교과과정
    • 1 교사의 이전과 창립 20주년 기념행사 = 295
    • 2 학사행정 = 296
    • 3 교과과정 = 304
    • 4 조선전수학원의 설립 = 310
    • 4장 송현동시대의 학생활동
    • 1 송현동시대의 학교생활 = 312
    • 2 보전친목회의 활동과 《時鐘》의 발간 = 319
    • 2.1 보전친목회의 활동 = 319
    • 2.2 《時鐘》의 발간 = 325
    • 3 송현동시대의 체육활동 = 326
    • 3.1 각종 운동부의 창설과 활동 = 326
    • 3.2 보연전(고연전)의 기원 = 333
    • 3.3 스포츠 보급의 노력 - 전조선 중등학교 축구대회(1928-1940) = 335
    • 4 교우의 활동 - 기관지 《普聲》의 발간 = 337
    • 5장 송현동시대의 학생운동
    • 1 조선학생회ㆍ조선학생총연합회와 보전 = 347
    • 2 학생운동의 이념적 분화 = 350
    • 3 6ㆍ10만세운동과 보전 = 353
    • 4 광주학생운동과 보전의 1월 궐기 = 356
    • 4부 仁村 金性洙의 보성전문 인수와 보성전문의 발전
    • 1장 인촌의 보성전문 인수
    • 1 경영권 인수 = 365
    • 2 인촌의 인물과 교육이념 = 377
    • 2.1 양부 김기중과 친부 김경중 = 377
    • 2.2 일본 유학과 교육사업에 대한 立志 = 378
    • 2.3 귀국과 교육사업의 시작 = 380
    • 2.4 경성방직주식회사 설립 = 381
    • 2.5 《동아일보》 창간 = 382
    • 2.6 인촌의 교육이념 = 387
    • 2장 안암동 교사 건립과 학문의 진흥
    • 1 신교지의 확정과 본관 건립 = 393
    • 2 교수진용의 강화와 학문의 진흥 = 401
    • 2.1 좌우를 막론한 인재의 초빙과 교수진의 강화 = 401
    • 2.2 《普專學會論集》의 발간과 활발한 학문활동 = 409
    • 3 창립 30주년 기념사업과 기부금 모금 = 414
    • 4 도서관 건립과 도서 기증운동의 전개 = 428
    • 3장 1930년대 학사행정의 변화
    • 1 학칙의 변화와 입학생의 증가 = 434
    • 2 교과과정의 변화 = 437
    • 3 일제의 압박과 정원 초과모집 사건 = 444
    • 4 농과ㆍ임과의 신설 계획과 좌절 = 447
    • 4장 안암동시대의 학생활동
    • 1 학교생활 = 450
    • 2 '보전학생회'의 조직과 활동 = 454
    • 2.1 경리부 = 457
    • 2.2 연구부 = 458
    • 2.3 연극부 - 활발한 연극공연과 모의재판 = 462
    • 2.4 변론부 = 468
    • 2.5 도서부ㆍ출판부 = 472
    • 2.6 음악부 = 474
    • 2.7 덕육부 = 478
    • 2.8 체육부 = 478
    • 3 《普專學生》 발간 = 482
    • 4 체육활동 = 486
    • 4.1 운동부, 학생회의 분리와 스포츠 보전 = 486
    • 4.1-1 육상부 = 487
    • 4.1-2 정구부 = 489
    • 4.1-3 럭비부 = 490
    • 4.1-4 축구부 = 491
    • 4.1-5 농구부 = 492
    • 4.1-6 배구부 = 493
    • 4.1-7 아이스하키부 = 494
    • 4.1-8 역도부 = 494
    • 4.1-9 송구부 = 495
    • 4.1-10 유도부 = 496
    • 4.1-11 검도부 = 496
    • 4.1-12 빙상부 = 496
    • 4.1-13 탁구부 = 497
    • 4.1-14 수영부 및 수구부 = 497
    • 4.1-15 산악부 = 498
    • 4.2 대운동장의 건설과 전국 중등학교 축구대회의 개최 = 499
    • 5 교우의 활동 = 502
    • 5장 보전 학생들의 농촌계몽운동과 비밀결사운동
    • 1 농촌계몽운동의 전개 = 504
    • 2 반제반전운동과 비밀결사 활동 = 507
    • 2.1 反帝同盟과 보전독서회 = 507
    • 2.2 '新建設社사건'과 金龍七 = 509
    • 2.3 '이재유그룹'과 보전독서회 = 510
    • 2.4 '경성콤그룹'과 보전독서회 = 511
    • 5부 전시체제하 보성전문의 수난과 분노
    • 1장 전시체제하 보성전문의 수난과 교명 박탈
    • 1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학원탄압 = 515
    • 1.1 일제의 전쟁 도발과 조선의 '병참기지화' = 515
    • 1.2 국가총동원체제의 구축과 민족말살정책의 전개 = 517
    • 1.3 제3차 조선교육령과 황민화 정책의 강화 = 519
    • 2 제4차 조선교육령과 보전 교명의 박탈 = 520
    • 2.1 제4차 조선교육령과 학원의 병영화 = 520
    • 2.2 교명의 강제 박탈과 京城拓植經濟專門學校 = 523
    • 2장 전시체제하의 학사행정
    • 1 학칙과 학사일정의 변화 = 528
    • 1.1 학칙의 변경 = 528
    • 1.2 학사일정의 변화 = 529
    • 2 외국인 교수의 추방과 교수진용의 변화 = 531
    • 3 생도과의 신설과 학교에 대한 통제의 강화 = 533
    • 3장 전시체제하의 교과과정
    • 1 교련교육의 강요 = 537
    • 2 일어 사용의 강요와 교육에 관한 통제 강화 = 538
    • 3 교과과정 = 540
    • 4 척식대학 시기의 학사 = 543
    • 4장 전시제제하의 학교생활
    • 1 규율의 강화와 학생 대상 행사의 축소 = 545
    • 1.1 〈生徒心得〉의 강화 = 545
    • 1.2 수학여행의 폐지 = 548
    • 1.3 체육활동의 위축 = 549
    • 2 학생생활의 곤란 = 550
    • 3 강제동원과 징병의 실시 = 552
    • 3.1 강제동원과 학생생활의 파탄 = 552
    • 3.2 징병제의 실시와 학원의 붕괴 = 555
    • 5장 전시체제하의 학생활동 및 학생운동
    • 1 학생회의 폐지 = 558
    • 1.1 학생활동에 대한 통제 강화 = 558
    • 1.2 共濟部 신설 = 560
    • 1.3 국민총력 보성전문학교연맹의 결성 = 566
    • 2 학병거부운동과 무장봉기 계획 = 567
    • 찾아보기 = 573
    • [volume. vol.2]----------
    • 목차
    • 6부 해방과 고려대학교 출범 1945-1950년
    • 1장 8ㆍ15 해방과 보성전문학교의 부활
    • 1 8ㆍ15 해방과 보성전문학교의 부활 = 3
    • 2 학사와 교무행정 - 학과 개편 및 현상윤 교장의 취임 = 5
    • 2장 고려대학교의 설립
    • 1 해방 후 새로운 교육제도 = 7
    • 2 고려대학교의 설립 경위 = 8
    • 3장 고려대학교 초기의 대학기구와 운영
    • 1 대학 조직 = 11
    • 1.1 단과대학 및 학과의 구성 = 11
    • 1.2 모집정원과 초기 학생생활 = 13
    • 1.3 대학원 설치 = 18
    • 2 대학운영체계 - 이사회 = 19
    • 3 초기의 학사행정 = 23
    • 3.1 학사행정 = 23
    • 3.2 교육과정 = 23
    • 3.3 신교육법의 제정과 학기의 변경 = 43
    • 4 인사행정 = 44
    • 4.1 교수진의 구성 = 44
    • 4.2 교수진의 변화 = 47
    • 4장 학회의 재건과 연구활동
    • 1 고대학회의 재건 = 49
    • 2 교수의 활동 = 53
    • 3 학문 경향 = 55
    • 5장 학생활동
    • 1 해방직후의 학생 동향 = 59
    • 2 《고대신문》의 창간 = 64
    • 3 운동부의 활동 = 67
    • 4 학생들의 문예활동 = 70
    • 5 정부 수립과 학도호국단 결성 = 72
    • 6 광복기의 고대 체육 = 75
    • 7부 한국전쟁과 고려대학교 1950-1953년
    • 1장 전쟁의 발발과 피란
    • 1 시대 개관 = 83
    • 2 9ㆍ28 수복과 학교의 임시관리 = 88
    • 3 전시연합대학의 설립 = 93
    • 4 대구의 '고려대학교 임시교사' = 96
    • 2장 교직원의 수난 = 104
    • 3장 전시하의 대학기구와 학사행정
    • 1 유진오 총장의 취임 = 107
    • 2 농림대학의 신설과 문리과대학의 개편 = 110
    • 3 학생 및 교직원 현황 = 113
    • 4장 피란 중의 학생활동
    • 1 학생활동 = 117
    • 2 《고대신문》 필화사건 = 120
    • 3 학도호국단의 강화 = 126
    • 8부 전후 복구와 정비 - 반독재투쟁의 선봉 1953-1960년
    • 1장 환도와 대학의 정비
    • 1 서울 환도와 본교 복귀 = 131
    • 2 대학기구의 확장과 정비 = 137
    • 2.1 전후 고등교육의 변화 = 137
    • 2.2 본부기구의 설치 = 140
    • 2.3 단과대학 기구의 개편과 증설 = 144
    • 2.4 대학원 위원회의 설치 = 146
    • 2.5 출판부의 설치 = 148
    • 2.6 인촌 김성수의 서거와 동상 건립 = 149
    • 2.6-1 인촌 김성수의 서거 = 149
    • 2.6-2 동상 건립 = 152
    • 3 학사행정의 정비와 개혁 = 153
    • 3.1 학점 감하와 교과과정의 개편 = 153
    • 3.2 학점평가의 개정 = 153
    • 3.3 학점에 의한 학년기준의 설정과 학점지정의 변동 = 154
    • 3.4 교양과목의 강화 = 154
    • 3.5 졸업논문제의 실시 = 155
    • 3.6 학과ㆍ학년 주임제의 채택 = 155
    • 3.7 교직과목의 개정 = 156
    • 3.8 필기시험 면제제도의 실시 = 157
    • 3.9 여학생 입학의 특전 = 158
    • 2장 시설의 확충
    • 1 서관 = 160
    • 2 농과대학과 그 실험실 및 실습장 = 161
    • 3 과학관 이학부의 실험실 = 162
    • 3.1 X선 회절 연구실 = 162
    • 3.2 마이크로파 실험실 = 162
    • 3.3 공작실 = 162
    • 3.4 화학과 = 163
    • 3.5 생물학과 = 163
    • 4 교양학부 및 공학부 교사의 준공 = 163
    • 5 신관 및 교수회관 = 163
    • 6 중앙도서관의 확충 = 164
    • 7 박물관 = 166
    • 8 교수연구실의 완비 = 166
    • 9 후생 시설 = 166
    • 3장 연구활동의 재개
    • 1 논문집 간행과 특별연구비의 지급 = 168
    • 1.1 논문집의 간행 = 168
    • 1.2 특별 연구비의 설정 = 171
    • 2 연구소 및 부속기관의 활동 = 173
    • 2.1 아세아문제연구소의 창설 = 173
    • 2.2 민족문화연구소의 태동 = 175
    • 2.3 박물관의 발굴 활동 = 176
    • 4장 학생활동의 활성화
    • 1 학도호국단과 학회 활동 = 177
    • 1.1 학도호국단 - 학생활동의 중심체 = 177
    • 1.2 학회 - 학보간행과 학술대회 = 178
    • 2 《고대신문》의 발전 = 184
    • 3 대학체육의 전환기 = 185
    • 4 장학제도 = 188
    • 4.1 특대생 제도의 확충 = 188
    • 4.2 안암장학금의 창설 = 189
    • 4.3 일반장학금과 기타 장학금 = 190
    • 5장 개교 50주년 기념사업
    • 1 개교 50주년 기념과 '자유ㆍ정의ㆍ진리'의 교육이념 표방 = 192
    • 9부 반독재투쟁과 고려대학교 1900-1970년
    • 1장 4ㆍ19와 5ㆍ16, 그리고 1960년대 고려대학교 = 205
    • 2장 교무행정
    • 1 기구 및 제도의 개편 = 210
    • 2 활발해지는 국제학술교류 = 212
    • 3 이종우 총장의 취임 = 214
    • 4 인사행정 = 217
    • 5 재단의 개편 = 220
    • 3장 학사행정
    • 1 학사자격고시의 도입 = 222
    • 2 학과의 개천 및 증설 = 224
    • 3 학도군사훈련단의 설치 = 225
    • 4 신입생 모집전형의 변화 = 226
    • 5 교과목ㆍ학점 취득 제도의 변화 = 232
    • 6 교양학부의 설치 = 237
    • 7 대학원 제도의 변화 = 241
    • 4장 시설의 확충
    • 1 서관의 증축 완공 = 247
    • 2 농과대학의 확장 = 248
    • 3 이공학부 시설의 확충 = 250
    • 4 박물관 착공과 완공 = 251
    • 5 제반 편의시설 확충 = 252
    • 5장 개교 60주년 기념사업 = 256
    • 6장 연구활동 및 부속기관의 성장
    • 1 연구활동 = 263
    • 2 연구소의 신설과 발전 = 267
    • 2.1 아세아문제연구소의 발전 = 267
    • 2.2 민족문화연구소의 설립과 발전 = 273
    • 2.3 기업경영연구소의 재편과 한국기술연구원의 발족 = 276
    • 2.4 행정문제연구소의 발족 = 280
    • 2.5 한국곤충연구소의 발족 = 281
    • 2.6 사회경제연구소의 발족 = 283
    • 2.7 국제농업자원연구소의 발족 = 283
    • 2.8 노동문제연구소의 발족 = 284
    • 2.9 사회조사연구소의 발족 = 285
    • 2.10 생산기술연구소의 발족 = 286
    • 2.11 미국문화연구소의 발족 = 286
    • 2.12 행동과학연구소와 방송신문연구소의 발족 = 287
    • 3 연구지원기구의 발전 = 287
    • 3.1 중앙도서관의 확충 = 287
    • 3.2 박물관의 활동 = 292
    • 3.3 출판부의 활동 = 293
    • 7장 학생운동과 학생활동
    • 1 학생운동 = 295
    • 1.1 4ㆍ19의 기폭제 4ㆍ18 = 295
    • 1.2 4ㆍ19혁명 = 315
    • 1.3 한미행정협정체결 촉구 데모 = 322
    • 1.4 6ㆍ3 사태와 한일회담 반대 = 327
    • 1.5 기타 학생운동 = 332
    • 2 학생회의 출범과 활동 = 334
    • 2.1 새로운 학생회칙과 선거규약 = 334
    • 2.2 석탑축전의 창시 = 340
    • 2.3 농촌봉사대의 활동 = 342
    • 2.4 《고대신문》의 발전 = 344
    • 3 체육 활동 = 346
    • 4 기타 학생활동 = 349
    • 4.1 단과대학 학생회 = 349
    • 4.2 다채로운 서클 활동 = 352
    • 4.3 고대방송국 = 355
    • 4.4 학도군사훈련과 ROTC = 356
    • 5 후생복지와 장학제도 = 357
    • 5.1 후생복지시설의 확충 = 357
    • 5.2 장학제도 = 359
    • 10부 종합대학체제의 확립과 학원의 수난 1971-1979년
    • 1장 우석학원의 병합과 종합대학체제의 확립
    • 1 우석학원의 병합과 의과대학의 출범 = 367
    • 2 우석 대학교의 연혁 = 369
    • 2.1 김종익과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 369
    • 2.2 해방과 전시의 서울여자의과대학 = 376
    • 2.3 남녀공학 수도의과대학 = 377
    • 2.4 국학학원 인수와 우석대학교 개교 = 380
    • 2.5 고려중앙학원의 우석대학교 병합 = 382
    • 3 의과대학 부속병원체제의 구축 = 392
    • 2장 장기종합발전계획의 수립
    • 1 김상협 총장의 취임과 '지성과 야성'의 대학인상 = 394
    • 2 농과대학 장기발전계획안의 수립 = 398
    • 3 장기종합발전계획과 행정기구 개편 = 401
    • 3.1 행정기구 개편 = 401
    • 3.2 각 전문 위원회와 실험 대학 상임운영위원회 신설 = 407
    • 3.3 단과대학의 분리와 명칭 변화 = 408
    • 3장 개교 70주년 기념사업
    • 1 중앙도서관 신관 건립 = 410
    • 2 기타 70주년 기념행사 = 414
    • 4장 시설의 확충
    • 1 교수 및 연구시설 = 417
    • 2 후생복지시원 = 418
    • 5장 유신체제하의 학사행정
    • 1 학사행정의 변화 = 423
    • 2 입학정원 및 신입생 입학전형의 변화 = 426
    • 3 전공교육의 내실화 = 429
    • 3.1 교과과정의 개혁과 강화 = 430
    • 3.1-1 졸업학점 조정과 졸업논문제 = 431
    • 3.1-2 계열별 모집과 복수전공 및 부전공제의 실시 = 433
    • 3.1-3 조기수강신청제도의 실시 = 438
    • 4 활발한 학술교류 = 440
    • 6장 연구활동 및 부속기관
    • 1 연구소의 활동 = 442
    • 1.1 연구소의 신설과 기구개편 = 442
    • 1.2 각종 연구업적 = 443
    • 1.2-1 아세아문제연구소 = 444
    • 1.2-2 민족문화연구소 = 447
    • 1.2-3 기업경영연구소와 무역연구소 = 449
    • 1.2-4 인문ㆍ사회계 연구소 = 451
    • 1.2-5 자연계 연구소 = 454
    • 2 교수들의 연구활동 = 455
    • 3 연구지원 시설의 정비 = 459
    • 3.1 도서관 = 459
    • 3.2 박물관 = 463
    • 3.3 출판부 = 466
    • 3.4 시청각교육연구원 = 466
    • 3.5 전자계산소 = 467
    • 3.6 과학기재개발실 = 470
    • 3.7 체육위원회 = 470
    • 7장 유신체제에의 항거
    • 1 긴급조치 제7호와 휴교령 = 472
    • 2 학원가를 엄습한 조직사건 = 480
    • 3 학도호국단 설치와 교련교육 강화 = 483
    • 8장 캠퍼스 생활
    • 1 납입금과 장학금 = 487
    • 2 학생들의 일상생활 = 492
    • 3 신입생 모집 경쟁률과 졸업 후 진로 = 497
    • 4 대학문화 창조의 새로운 전기 = 499
    • 9장 고대 체육의 부흥 = 505
    • 찾아보기 = 509
    • [volume. vol.3]----------
    • 목차
    • 11부 서창캠퍼스의 출범과 학교의 양적 팽창 1979-1990년
    • 1장 서창캠퍼스의 출범과 대학 장기종합발전계획의 수립
    • 1 서창캠퍼스의 출범 = 3
    • 2 김준엽 총장의 취임과 대학기구의 재편 = 10
    • 2.1 본부기구와 직제의 개편 = 14
    • 2.2 의과대학 의료원 체제의 구축 = 16
    • 3 이준범 총장의 취임과 학교 장기종합발전계획의 수립 = 19
    • 3.1 녹지캠퍼스의 조성 = 19
    • 3.2 학교 장기종합발전계획의 수립 = 23
    • 4 학술교류협정과 국제교육프로그램 = 32
    • 2장 학교 공간의 확대와 교육ㆍ연구 환경의 개선
    • 1 학교 시설의 확대와 연구 여건의 변화 = 36
    • 1.1 학교 시설의 확대 = 36
    • 1.2 연구 여건의 개선 = 46
    • 2 LAN 구축과 도서관 전산화 = 47
    • 2.1 LAN 구축 = 47
    • 2.1 도서관 시설의 확충과 전산화 = 49
    • 3장 학교 운영 제도의 개편과 학사행정의 변화
    • 1 제도의 개편 = 55
    • 1.1 1980년 대학운영위원회와 학사개선위원회의 설치 = 55
    • 1.2 입시제도의 변화 = 56
    • 1.3 학칙의 개정 = 59
    • 2 학사행정의 변화 = 63
    • 2.1 교과과정의 개편 = 63
    • 2.2 행정 업무의 변화 = 65
    • 2.3 장학금 제도의 변화 = 66
    • 2.4 복지제도의 변화 = 70
    • 4장 학과의 신ㆍ증설과 정원의 변화
    • 1 졸업정원제 실시와 입학정원의 변화 = 74
    • 2 졸업정원제 폐지와 정원의 변화 = 78
    • 5장 연구소 활동의 강화와 부속기관의 정비
    • 1 연구소의 연구활동 강화 = 82
    • 1.1 연구소의 신설과 기구 개편 = 82
    • 1.2 연구소의 연구활동 = 86
    • 2 부속기관의 정비 = 96
    • 2.1 도서관 = 96
    • 2.2 박물관 = 101
    • 2.3 출판부 = 104
    • 2.4 시청각교육연구원 = 104
    • 2.5 전자계산소 = 105
    • 2.6 과학기재개발실 = 106
    • 2.7 농장 = 106
    • 2.8 학생생활연구소 = 107
    • 2.9 체육위원회 = 108
    • 6장 학생운동과 학생활동
    • 1 5ㆍ18민주화운동과 학생운동 = 110
    • 1.1 서울의 봄 = 110
    • 1.2 전두환정권의 등장과 학생운동의 위축 = 114
    • 1.3 총학생회의 부활과 학생운동의 활성화 = 117
    • 1.4 김준엽 총장의 사표 제출과 학내의 동요 = 121
    • 2 6월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 = 123
    • 2.1 6월민주화운동 = 123
    • 2.2 반외세반독재투쟁과 통일운동 = 127
    • 2.3 대학생 군사교육 거부와 진혼비의 복구 = 132
    • 3 학내문제의 진통 = 133
    • 3.1 현민 빈소 사건 = 133
    • 3.2 서창캠퍼스의 제 문제 = 136
    • 3.3 학내민주화 운동 = 145
    • 3.3-1 교수협의회의 결성 = 146
    • 3.3-2 대학원총학생회의 결성 = 147
    • 3.3-3 조교협의회의 결성 = 151
    • 3.3-4 교직원 노동조합의 출범 = 152
    • 3.3-5 고려대학교 민주동우회와 강사노조의 출범 = 153
    • 3.4 총장선출제도의 개편과 부정입학 문제 = 154
    • 3.5 등록금 인상 반대 = 163
    • 4 학생활동 = 165
    • 4.1 석탑대동제 = 165
    • 4.2 학술문화행사 = 170
    • 5 정기 고연전 = 175
    • 12부 과학화ㆍ세계화를 향한 도약 1990-2000년
    • 1장 연구중심대학으로의 전환
    • 1 연구교류처 신설 = 183
    • 1.1 효율적 연구지원 활동 강화를 위한 재정비 = 183
    • 1.2 특별연구비의 지급 = 184
    • 1.3 교원 연구년 제도의 실시 = 185
    • 1.4 교수평가제 도입과 실시 = 186
    • 1.5 연구비 중앙관리제도의 시행과 연구비 관리기관 = 187
    • 2 부설 연구소와 특수대학원 현황 = 188
    • 2.1 부설 연구소 현황 = 188
    • 2.2 1990년대에 신설된 연구소의 현황과 활동 = 190
    • 2.3 부설 연구소 교육현황 및 병역특례 지정 연구소 = 195
    • 3 국제학술교류의 강화 = 195
    • 3.1 국제협력 담당기구의 운영 실태 = 195
    • 3.2 국제화업무추진계획 = 197
    • 4 외국 대학과의 국제협력 확대 = 197
    • 4.1 외국 대학 및 연구소와의 학술교류와 협정 체결 현황 = 197
    • 4.2 문화교류 현황 = 203
    • 4.3 초청강연을 통한 국제화 노력 = 204
    • 5 고려대학교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 = 207
    • 5.1 고려대 발전을 기원하는 기증과 기금 = 207
    • 5.2 교우회 활동과 국제재단 = 213
    • 5.3 교육개혁기획단과 고려대학교발전위원회의 활동 = 214
    • 2장 한국 산ㆍ학ㆍ연 종합연구단지의 설립과 과학화의 기반 조성
    • 1 산ㆍ학ㆍ연 종합연구단지의 설립 = 217
    • 1.1 산ㆍ학ㆍ연 종합연구단지의 설립과 그 배경 = 217
    • 1.2 산 학ㆍ연 종합연구단지의 설립 효과 = 218
    • 1.3 기구 및 업무추진 = 219
    • 1.4 1992-1994년 산ㆍ학ㆍ연 위탁 및 공동연구 실적 = 219
    • 1.5 산ㆍ학ㆍ연 종합연구단지 테크노콤플렉스의 완공과 재단의 창립 = 220
    • 1.6 산ㆍ학ㆍ연 종합연구원의 운영과 활동 = 221
    • 2 이공대의 확충과 발전 = 221
    • 2.1 아산이학관과 기초과학지원센터 서울분소 준공 = 221
    • 2.2 최동식 교수 '초전도체이론' 세계 최초로 이론 정립 성공 = 222
    • 2.3 전자ㆍ광 감응분자 연구센터 = 222
    • 3장 재단운영 및 교무행정의 변화
    • 1 재단운영의 재편 = 223
    • 2 총장직선제와 고려대 출신 총장의 취임 = 224
    • 2.1 김희집 총장의 취임과 연구교류 활동 강화 = 224
    • 2.2 '바른 교육 큰사람 만들기' 교육선언과 제2의 건학운동 = 225
    • 2.3 '바른 교육 큰사람 만들기' 운동의 활동 사례 = 227
    • 2.4 '바른 교육 큰사람' 상과 '효와 가족사랑 큰 마당' = 228
    • 2.5 김정배 총장의 취임 = 230
    • 3 교무행정 = 230
    • 3.1 외국인 교수 증원과 신임교수 연령제한 폐지 = 230
    • 3.2 기구 및 직제 개편 = 230
    • 4장 기구 및 시설의 확충과 개편
    • 1 안암병원 개원과 의료시설의 발전 = 233
    • 1.1 안암병원의 개원 = 233
    • 1.2 의무부총장제 실시와 직제개편 = 233
    • 1.3 의료원의 활동 및 홈페이지 개설 = 234
    • 1.4 감은탑 건립 = 235
    • 1.5 의료원의 대외봉사활동 = 236
    • 1.6 생명과학연구소 설치 및 학과 변동 = 238
    • 2 서창캠퍼스의 시설 확충 = 238
    • 2.1 자연과학관 준공 및 호상 제막과 제 건물의 신축 = 238
    • 2.2 서창 국제어학원과 교육매체실의 신설 = 240
    • 2.3 서창캠퍼스 내 부속기관의 신설 및 활동 = 240
    • 2.4 서창캠퍼스 발전방안 = 241
    • 2.5 서창도서관 개관과 시설의 확충 = 242
    • 3 제반 시설의 확충 및 부속건물의 활발한 신축 = 243
    • 3.1 인촌기념관 개관과 기념사업 = 243
    • 3.2 제반 시설의 확충 및 증축 = 244
    • 3.3 부속건물의 기공 = 246
    • 3.4 모습을 드러낸 신축 건물과 고려대의 발전상 = 247
    • 4 KTN 개국식 = 249
    • 5 도서관의 기능 강화 = 250
    • 5.1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공사 = 250
    • 5.2 과학도서관의 공간 재배치 = 250
    • 5.3 특수도서실 = 250
    • 5.4 학생자치 생활도서관 = 251
    • 5장 연구 중심의 교과개편
    • 1 입시제도의 변화와 학과의 신ㆍ증설 = 252
    • 1.1 학생선발방법과 특차모집인원 확대 = 252
    • 1.2 학과의 신설과 증설 = 255
    • 2 교과과정의 변화와 전공교육의 강화 = 256
    • 2.1 교과과정의 신설 및 개편 = 256
    • 2.2 전공교육의 강화와 새로 개설된 강좌 = 256
    • 2.3 교양과정의 강화 = 257
    • 2.4 학부전공과정 = 259
    • 2.5 대학 및 연구소와의 학점교류 체결 및 학술교류 = 260
    • 3 대학원 교육의 강화 = 262
    • 3.1 대학원 현황 = 262
    • 3.2 대학원 학칙 개정 = 264
    • 3.3 국제대학원의 국제교류활동 및 국책대학원 선정 = 265
    • 3.4 대학원의 신설 및 활동과 새로 개설된 과정 = 266
    • 3.5 국책대학원으로 선정된 생명공학대학원 = 268
    • 3.6 대학원 과학학 협동과정 = 270
    • 4 수상 및 연구업적 = 270
    • 6장 연구활동의 활성화와 부속기관의 기능 강화
    • 1 연구소의 활성화 = 275
    • 2 연구소별 연구활동의 증진 = 277
    • 2.1 민족문화연구소 = 277
    • 2.2 민족문화연구원과 한국어문화연수부 활동 = 280
    • 2.3 아세아문제연구소 = 281
    • 2.4 노동대학원과 노동문제연구소 = 285
    • 2.5 EU연구센터 = 287
    • 2.6 한국학연구소 = 287
    • 2.7 행정문제연구소 = 290
    • 2.8 정보통신기술공동연구소 = 291
    • 2.9 평화연구소 = 291
    • 2.10 경제연구소 = 292
    • 2.11 언어정보연구소 = 294
    • 2.12 매장문화연구소 = 294
    • 2.13 민족문학사연구소 = 295
    • 2.14 식량자원연구소 = 295
    • 2.15 법학연구소 = 295
    • 2.16 기업경영연구소 = 296
    • 2.17 반도체기술연구소 = 297
    • 2.18 환경연구원 = 297
    • 2.19 철학연구소 = 297
    • 2.20 한국사회연구소 = 298
    • 2.21 자연자원연구소 = 298
    • 2.22 바이러스병연구소 = 299
    • 2.23 일민국제관계연구소 = 299
    • 2.24 법의학연구소 = 300
    • 2.25 한국영양문제연구소 = 300
    • 2.26 신문방송연구소 = 301
    • 2.27 생명과학원 = 301
    • 2.28 생물공학연구소 = 301
    • 2.29 성형재건특수외과연구소 = 302
    • 2.30 스포츠과학연구소 = 302
    • 2.31 기타 = 302
    • 3 연구소의 다각적인 활동 사례 = 304
    • 3.1 행동과학연구소 = 304
    • 3.2 학생생활연구소 = 305
    • 4 연구회의 활동 = 306
    • 4.1 국제경제법연구회 = 306
    • 4.2 한국근현대사연구회 = 307
    • 4.3 안암건축포럼 = 307
    • 4.4 전통식품 산업화연구회 = 307
    • 4.5 기타 = 308
    • 5 연구지원기구의 기능 강화 및 활동 = 308
    • 5.1 도서관의 기능 강화 = 308
    • 5.2 박물관의 활동 = 312
    • 5.3 출판부 = 313
    • 5.4 국제어학원 = 313
    • 5.5 교육매체실 = 315
    • 5.6 정보화ㆍ전산화의 바탕을 이룬 전자계산소 = 317
    • 5.7 정보전산원의 전산화ㆍ정보화 사업 = 318
    • 5.8 과학기재 개발실 = 320
    • 5.9 서창 전자계산소 = 321
    • 5.10 서창 시청각교육연구원 = 321
    • 7장 학생운동의 다원화와 변화 모색
    • 1 민주주의 진전을 위한 투쟁과 통일운동 = 323
    • 1.1 반민자당 투쟁과 민주주의의 진전 = 323
    • 1.1-1 반민자당 투쟁 = 323
    • 1.1-2 수서비리와 강경대 사건 - '91년 5월투쟁' = 325
    • 1.1-3 1992년 대선과 학생운동 진영의 분화 = 328
    • 1.1-4 1995년, 5ㆍ18 학살자 처벌투쟁 = 331
    • 1.1-5 '열사' 투쟁 = 333
    • 1.2 한총련 출범과 학생운동의 위기 = 334
    • 1.2-1 한총련 출범과 고려대 학생운동의 개혁 노력 = 334
    • 1.2-2 정권의 학생운동 탄압 = 338
    • 1.2-3 1996년 연세대 범청학련 통일대축전과 '한총련 사태' = 340
    • 1.2-4 1997년 한총련 출범식과 학생운동의 위기 = 342
    • 1.3 통일운동 = 345
    • 1.3-1 전대협의 통일운동 및 반전투쟁 = 345
    • 1.3-2 한총련의 조국통일투쟁 = 350
    • 1.4 민중연대투쟁의 확대 = 353
    • 1.4-1 전노협 결성과 노동자ㆍ학생연대투쟁 = 353
    • 1.4-2 농민ㆍ학생연대투쟁 = 358
    • 1.4-3 빈민ㆍ학생연대투쟁 = 361
    • 2 학원민주화를 위한 갈등과 진통 = 363
    • 2.1 1990년대 전반기 학원민주화투쟁(1991-1994년) = 363
    • 2.2 1990년대 후반기 학원민주화투쟁(1995-1997년) = 365
    • 2.3 1998년 이후 학부제 반대운동 = 368
    • 3 학생활동과 문화의 다원화 = 369
    • 3.1 총학생회 선거와 선거문화의 다양화 = 369
    • 3.2 1990년대 대학문화의 다원화 = 371
    • 3.3 학생운동의 발전 모색과 새로운 운동의 등장 = 375
    • 3.4 학생활동 = 376
    • 3.4-1 석탑대동제 = 376
    • 3.4-2 정기 고연제 = 379
    • 3.4-3 학술문화 활동 = 381
    • 8장 후생복지와 장학제도
    • 1 학생복지제도 = 387
    • 1.1 후생복지부 = 387
    • 1.2 서창 후생복지부 = 389
    • 1.3 안암학사 = 390
    • 1.4 호연학사 = 391
    • 1.5 기타 후생복지시설 = 392
    • 2 장학제도 = 392
    • 9장 체육 활동
    • 1 운동부 및 체육위원회 = 396
    • 2 체육활동 = 397
    • 13부 설립 100주년과 21세기를 향한 웅지 2000-2005년
    • 1장 정보화 고대의 가속화
    • 1 기구의 재편과 박차를 가한 정보화 사업 = 403
    • 1.1 IC21 구현을 위한 정보화 추진 사업 = 403
    • 1.2 정보전산처의 출범 = 405
    • 1.3 학술정보원 설치 = 405
    • 2 네트워크와 홈페이지 환경 개선 = 406
    • 2.1 홈페이지 새 단장과 네트워크 환경 개선 = 406
    • 2.2 서버 보안체계 확대 방안 추진과 도서관 인터넷 검색실 설치 = 406
    • 2.3 무선랜 장비 구축 = 407
    • 3 KUPID 출범과 다양한 서비스의 개선 = 409
    • 3.1 KUPID 서비스 실시와 전산망 구축작업 = 409
    • 3.3 중앙도서관 전자도서관 서비스 가동과 홈페이지 개선 = 410
    • 3.4 서창캠퍼스 인터넷 환경 개선과 학생 중심의 서비스 = 411
    • 2장 캠퍼스의 정비와 확대
    • 1 중앙광장 완공과 열린 캠퍼스 = 414
    • 1.1 21세기와 함께 시작된 광장의 시대 = 414
    • 1.2 이화여대 총장 중앙광장 방문 = 415
    • 1.3 숙명여대 벤치마킹팀 고려대 투어 = 415
    • 1.4 담장개방녹화사업과 열린 캠퍼스 시대 개막 = 416
    • 2 건물의 신ㆍ증축과 교육ㆍ연구 공간의 확대 = 417
    • 2.1 LG-POSCO 경영관 준공과 수당학술정보관 개관 = 417
    • 2.2 우당교양관 및 인촌로 제2빌딩 준공 = 418
    • 2.3 지하철 6호선 개통과 종합생활관의 준공 = 419
    • 2.4 생명환경과학대학 신관 준공 = 419
    • 3 연구지원 기관의 확충 = 420
    • 3.1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 420
    • 3.2 도서관 제도 개편 = 421
    • 3.3 도서 지정제 확대 실시 = 423
    • 3.4 과학도서관 공간 확장 = 424
    • 3.5 박물관 업그레이드 = 424
    • 3.6 구로병원 연구동 재단장 = 424
    • 4 후생복지시설의 신축과 정비 = 425
    • 4.1 안암학사 개강맞이 공사 = 425
    • 4.2 제천학사 완공 = 426
    • 4.3 화정체육관 기공식 = 426
    • 4.4 학생회관 증축과 리모델링 = 427
    • 4.5 농구장 리모델링 = 428
    • 4.6 보건소 전담의사제 도입 = 428
    • 4.7 기타 시설 및 환경의 개선 = 429
    • 4.7-1 단과대 리모델링 공사와 재단장 = 429
    • 4.7-2 시설의 개선 = 430
    • 4.7-3 인문계ㆍ자연계캠퍼스 셔틀버스 운행 = 430
    • 4.7-4 고려대 교육ㆍ생활환경 실태 조사 = 431
    • 4.7-5 인문계캠퍼스 무인경비시스템 도입 = 432
    • 4.7-6 자연계캠퍼스 발전 공청회 = 433
    • 5 서창캠퍼스에 이는 변화의 물결 = 433
    • 5.1 서창 호연학사 증축과 종합교육관 신축 = 433
    • 5.2 새로 마련된 서창캠퍼스 마스터플랜 = 434
    • 5.3 서창 중앙광장 시대 도래 = 435
    • 5.4 서창캠퍼스 영어카페 신설 = 436
    • 3장 교무행정의 정비
    • 1 총장 선임제도 정비 = 437
    • 1.1 김정배 총장의 연임과 사퇴 = 437
    • 1.2 한승주 총장 서리 체제 출범 = 438
    • 1.3 새로운 총장 선임제도 확정 = 439
    • 1.4 어윤대 총장의 취임 = 439
    • 2 역량 강화를 위한 제반의 행정 정비 = 441
    • 2.1 인사조직21 프로젝트 = 441
    • 2.2 연구업적 평가기준 강화 = 442
    • 2.3 교수업적 평가기준 강화 = 442
    • 2.4 인터넷 강의평가 도입 = 443
    • 3 학내 제반 문제의 대두와 변화 = 443
    • 3.1 생명공학원 사태와 해결 = 443
    • 3.2 안암캠퍼스 명칭 단일화를 위한 공청회 = 444
    • 3.3 정보통신대학 창립 = 445
    • 3.4 서창캠퍼스 기획홍보처 신설 = 445
    • 4장 학사행정의 변화
    • 1 입시전형의 변화 = 446
    • 2 장학금 지급 현황 = 446
    • 3 단과대학의 변동과 개선 = 448
    • 3.1 한국어교육센터의 이전 = 448
    • 3.2 생명환경과학대학의 등장 = 449
    • 3.3 생명과학부의 확대 = 449
    • 3.4 보건과학대학 신설 = 449
    • 4 기타 학사행정의 변화 = 450
    • 4.1 F학점 비율 무제한, 재수강 최고 A학점 = 450
    • 4.2 휴학생 도서대출 = 450
    • 4.3 교양영어 전담교수제 시행과 변화 = 451
    • 4.4 자유교양 교과목 상대평가 실시 = 451
    • 4.5 대학원 우수논문 시상제도 신설 = 452
    • 4.6 교양교육실 신설 = 453
    • 5장 활발한 연구활동과 연구역량의 강화
    • 1 한국학 BK21 인문사회 분야 선정 = 455
    • 2 기초학문육성사업 선정 = 456
    • 3 이공계의 활약과 과학고대의 미래 = 457
    • 3.1 유변공정연구센터 개소 = 457
    • 3.2 CERN 크리스탈상과 금상 수상 = 457
    • 3.3 한ㆍ스위스 우수 연구자상 수상 = 458
    • 3.4 미국 식물병리학회 펠로우 자격 수여 = 458
    • 3.5 대학 IT연구센터 2단계 사업 선정 = 459
    • 3.5 과기부 유공자상 수상 = 459
    • 3.7 공학교육상 수상 = 460
    • 3.8 미국 최우수 박사학위 논문상 수상 = 460
    • 4 의과대학의 연구활동과 성장 = 461
    • 4.1 DNA 분리 키트 상품화 = 461
    • 4.2 전립선 비대증의 유전자 치료법 개발 = 461
    • 4.3 미국 특허 취득 = 462
    • 4.4 임플란트 모델 개발 = 462
    • 4.5 위암 예방과 치료물질 발견 = 463
    • 4.6 '최소침습적 냉동 시술법' 도입 = 463
    • 5 파평 윤씨 모자 미라 발견 = 464
    • 6장 국내외 학술교류의 확대
    • 1 국내 학술교류와 한국디지털대학 창립 = 465
    • 1.1국내 유수의 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465
    • 1.1-1 이화여대와 학술교류협정 체결 = 465
    • 1.1-2 서울대와 학술교류협정 체결 = 465
    • 1.1-3 한국예술종합학교와 학술교류협정 체결 = 467
    • 1.1-4 경희대, 울산대, 경남대와 학술교류협정 체결 = 467
    • 1.1-5 KIST와 공동강좌 운영 = 468
    • 1.2 한국디지털대학 창립 = 468
    • 2 해외학술교류 = 469
    • 2.1 물꼬를 튼 해외학술교류 = 469
    • 2.2 중국 난카이 대학과 경영대학원의 학술교류 = 470
    • 2.3 호주 그리피스 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470
    • 2.4 중국 우한 대학, 런민 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471
    • 2.5 인도 푸네 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471
    • 2.6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데이비스)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472
    • 2.7 일본 사이타마, 오이타, 도호쿠 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472
    • 2.8 영국 로열할러웨이 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473
    • 2.9 뉴질랜드 빅토리아 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474
    • 3 기타의 교류 = 474
    • 3.1 호주 맥콰리 대학 석사과정 개설 = 474
    • 3.2 중국 런민 대학 고려대 기숙사 건축 = 475
    • 3.3 국제화를 위한 다각적인 학술교류 = 475
    • 3.4 유니버시타스21 = 476
    • 3.5 연구소의 해외교류 = 477
    • 3.5-1 정보통신연구소와 인텔의 산학협동 = 477
    • 3.5-2 아세아문제연구소와 터키 에르지예스 대학의 학술협정 = 477
    • 3.5-3 기업지배구조연구소와 미국 예일 대학의 협정 체결 = 477
    • 7장 100주년 기념사업
    • 1 고려대 100주년 기념사업안 확정과 기념사업 출범 = 479
    • 2 백주년기념관 착공 = 480
    • 3 100주년 기념사업팀 신설 = 480
    • 4 해외 대학 벤치마킹을 위한 교직원 해외연수 = 481
    • 5 100주년 사업의 진행 = 483
    • 5.1 건립분과 = 483
    • 5.2 모금분과 = 484
    • 5.3 학술분과 = 485
    • 5.4 편찬분과 = 485
    • 5.5 행사분과 = 486
    • 5.6 100주년 엠블럼 탄생 = 487
    • 6 다양한 행사와 변화 = 487
    • 6.1 개교 99주년 기념행사 = 487
    • 6.2 뉴욕에서 열린 100주년 축하행사 = 488
    • 6.3 서창 25주년 기념사업 = 489
    • 7 각 분과위원회별 활동 = 489
    • 7.1 건립분과위원회 = 489
    • 7.1-1 사업의 개요 = 490
    • 7.1-2 하나 사이언스 파크('애기능 광장', 하나스퀘어) = 490
    • 7.1-3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 삼성관 = 492
    • 7.1-4 CJ 인터내셔널 하우스 = 494
    • 7.1-5 농심국제관 = 496
    • 7.2 모금분과위원회 = 496
    • 7.2-1 사업의 개요 = 497
    • 7.2-2 모금사업의 진행 = 498
    • 7.2-3 기부 현황 = 502
    • 7.2-4 모금 성과 = 504
    • 7.3 학술분과위원회 = 504
    • 7.3-1 노벨상 수상자 강연시리즈 = 504
    • 7.3-2 교내 국제학술세미나 시리즈 = 507
    • 7.3-3 학과 주관의 학술회의 = 508
    • 7.3-4 부속기관의 학술회의 = 511
    • 7.3-5 개교 10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 516
    • 7.3-6 기타 관련 학술회의 = 519
    • 7.4 행사분과위원회 = 520
    • 7.4-1 문화ㆍ체육행사 = 521
    • 7.4-2 전시행사 = 524
    • 7.4-3 세계대학 총장포럼 = 525
    • 7.4-4 개교 100주년 기념식 = 532
    • 7.4-5 기타 행사 = 534
    • 8장 학생운동과 학생활동
    • 1 학생회에 부는 변화의 바람 = 538
    • 1.1 최초의 여성 총학생회장 탄생 = 538
    • 1.2 최초의 비운동권 총학생회 출범 = 539
    • 2 학생자치활동 = 539
    • 2.1 영자신문사 50주년 = 539
    • 2.2 생활정보 웹진 오픈 = 539
    • 3 한ㆍ일 대학 럭비교류전 = 540
    • 4 아름다운 고대인 이수현ㆍ장세환 = 541
    • 참고문헌 = 544
    • 찾아보기 = 5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