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 A Critical Review of Organizational Justice Literature in Korea: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조직공정성은 모든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쏟아 온 주제이다. 구성원이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의 정도가 조직 속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지난 15여 년간 조직공정성에 대한 국내 경영학계의 연구는 인사고과, 보상, 조직변화 등 다양한 상황 속의 조직공정성을 다루어 왔다. 국내 조직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양적 측면에서 비약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돌이켜보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고민하는 노력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지난 15년간 이루어진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행동 및 인사ㆍ조직 분야의 학술지에 실린 총 62편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구성은 전반적 연구현황, 이론ㆍ유형ㆍ연구형태 분석, 그리고 실질적 분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반적 연구 현황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을 연구 편수, 연구 유형, 연구대상 등을 기술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론ㆍ유형ㆍ연구형태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의 이론 및 유형, 연구의 형태 그리고 연구방법 등과 관련한 이슈 및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실질적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 조직공정성의 매개 및 조절 효과, 조직공정성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국내 실증 연구 결과들을 정리 분석하였다.
    한국에서의 조직공정성 연구는 서구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첫째 조직공정성 이론의 활용에 있어 특정 이론에 치우쳐 있다는 점, 둘째 조직공정성의 유형 중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
    고 있으나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정보공정성에 관한 연구가 없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조직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결과는 서구의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서구 연구에 비해 다양한 결과변수가 연구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의 향후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1) 이론의 측면에서는 조직공정성에 관한 다양한 이론의 활용,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 이론의 개발, 조직공정성 유형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 불공정성
    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2) 조직공정성의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조직공정성의 유형뿐만 아니라 조직공정성의 원천(공정성을 인식하는 대상, 즉 무엇에 대한 공정성인지)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 정보공정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조직공정성 유형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3) 연구형태 측면에서는 조직공정성 유형들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 정성적 연구의 필요성, 분석수준의 확장 등을 제안하였다. (4) 마지막으로 실질적 분석에서는 조직 공정성의 다양한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예를 들면 스트레스 혹은 직장 가정 갈등), 조직공정성의 선행 요인에 대해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 조직공정성 인식 및 결과에 있어서 개인차와 감정의 역할을 다루는 연구의 필요성,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맺음말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향후 과제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Organizational justice is a topic that has drawn much attention by all areas of social sciences. The great influence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has on the attitudes and actions of organization members is cited as the main reason for this heightened interest. For the last 25 years, domestic research has studied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context of many areas, such as performance appraisal, compensation and organizational change. Domestic literatur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quantity, but has suffered some qualitative flaws. Specifically, there is an absence of research that critically reviews past studies to provide guidance for the future. Therefore, it is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meaningful to critically examine the past 25 years of domestic research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us present a direction for further development in this field.
    In this study, we critically analyzed 62 studies on organizational justice, drawn from academic journals 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Our system of analysis consists of a general overview of the research; an analysis of the theories, models and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a substantive analysis. In the general overview, we describe a number of trends found in the past 25 years of research, according to quantity, research type, and subject of research. In the analysis of theories, models and dimensions, we consider the relevant issues and limitations regarding the theories, dimensions, study models and research methods for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substantive analysis, we presen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xisting literature, focusing on aspects such as antecedents &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mediating and/or moderating effects of justice, the interactive effects among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y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re are three major points that distinguish domestic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from its Western counterpart. First, the research tends to focus on certain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instead of covering a wider range. Second,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re actively discussed, while there is virtually no mention of informational justice, which is highly relevant today. Third, while the research regard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have yielded similar results domestically and in the West, domestic studies on the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are relatively weak.
    In this study, we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1) Theory-utilize a wide arra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develop theories that are tailored to domestic circumstances within Korea,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models, 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 on organizational injustice; 2) Organizational Justice Types-conduct research that encompasses both organizational justice types and the sources of justice (that is, the subject of the justice inquiry), commence studies on informational justice, and improve the tools that are used to evaluate organizational justice models; 3) Research Models-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e interactive effects among different organizational justice types, recognize the need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expand the breadth of analysis; and 4)
    Substantive Analysis-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following topics:the various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such as stress or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justice antecedents, the effect of personal differences and emotions o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implications of societ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justice. In conclusion, we summarize the issues that will need to be addressed in fu

    더보기
    • 초록
    • Ⅰ. 서론
    • Ⅱ.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과 한계
    • Ⅲ. 향후 연구 방향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 1 박세영, "형평이론에서 투입과 성과요인의 가중치와 분배원칙 선호-한국과 미국의 비교 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11 (11): 155-177, 1998
    • 2 백기복, "한국 경영학계의 리더십 연구 30년: 문헌 검증 및 비판" 한국경영학회 27 (27): 113-156, 1998
    • 3 정진철, "직무수행노력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무 동기의 차별적 영향력에 대한 연구 -조직공정성의 조절역할에 대한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16 (16): 10-1092, 2003
    • 4 박동수, "지각된 조직적 지원과 조직공정성,의사소통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 한국산업경영학회 17 (17): 1-33, 2003
    • 5 이철기, "지각된 노조 지원에 대한 절차 공정성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002
    • 6 서재현, "조직정의와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다중몰입을 중심으로" 한국인사ㆍ조직학회 6 (6): 1-34, 1998
    • 7 백유성, "조직정의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9 : 173-196, 1994
    • 8 문형구, "조직시민행동(OCB)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5 (35): 609-643, 2006
    • 9 안관영, "조직변화에 따른 구성원 반응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17 (17): 1195-1213, 2004
    • 10 장용선, "조직문화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인사·조직학회 16 (16): 65-114, 2008
    • 11 차동옥, "조직냉소주의와 리더십, 조직공정성 및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249-277, 2004
    • 12 이경근,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대한 분배공정성, 공식적 절차의 특징, 상호작용적 공정성의 차등적 효과" 대한경영학회 21 : 321-340, 1999
    • 13 안관영, "조직공정성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23 (23): 115-144, 1999
    • 14 박준철, "조직공정성이 종업원참여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행사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16 (16): 13-1482, 2003
    • 15 서재현, "조직공정성이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29 (29): 451-472, 2000
    • 16 서재현,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인식된 조직적 지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12 (12): 43-65, 1997
    • 17 한광현, "조직공정성이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감정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57-84, 2004
    • 18 정범구,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18 : 469-497, 1994
    • 19 이재훈, "조직공정성과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13 (13): 253-272, 1998
    • 20 이경근, "조직공정성과 임금만족간의 인과관계: 절차공정성, 상호작용적 공정성, 분배공정성간의 관계와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인사ㆍ조직학회 7 (7): 191-229, 1999
    • 21 한광현, "조직공정성과 신뢰 및 반생산적 과업행동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19 (19): 679-702, 2006
    • 22 김명언, "조직공정성: 평가 기준과 지각된 공정성, 직무만족, 조직몰입,직무몰입, 봉급만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6 (6): 11-28, 1992
    • 23 권중생, "조직공정성, 혁신저항 및 방어적 행동의 관계" 25 (25): 425-452, 2001
    • 24 이재훈, "조직공정성, 신뢰,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2 (12): 92-132, 2004
    • 25 강대석, "조직공정성, LMX의 질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가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263-287, 2004
    • 26 최승호, "조직공정성, LMX, 종업원노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19 (19): 355-378, 2006
    • 27 김원형, "조직 몰입 3요소의 탐색적 인과 관계 모형" 한국인사관리학회 29 (29): 55-91, 2005
    • 28 이종찬, "조직 공정성 및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29 (29): 35-54, 2005
    • 29 이재훈, "조기퇴직제도에 대한 공정성 요인탐색과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002
    • 30 권 순 식,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공정성 지각, 역할내 활동, 조직시민행위 : 고용형태별 동기부여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인사관리학회 30 (30): 1-25, 2006
    • 31 권인수, "인수합병과정과 이후 통합행위에 대한 구성원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1 (31): 103-130, 2007
    • 32 박호환, "인사고과제도의 특성과 공정성 지각 간의 관계" 한국노사관계학회 8 (8): 299-322, 1998
    • 33 홍종성, "인사고과의 공정성과 직무태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17 (17): 1259-1283, 2004
    • 34 고재원, "의견개진 기대와 실제의 차이가 절차공정성지각에미치는 효과의 문화간 유사성과 차이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313-337, 2008
    • 35 장수덕, "유리천장에 대한 지각이 조직몰입과조직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22 (22): 2007
    • 36 정한규, "연구개발조직의 창의적 연구환경과 효과성:정부출연연구기관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2 (12): 127-165, 2004
    • 37 이재연, "신뢰의 영향요인 및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7 (27): 2003
    • 38 이진규, "성과평가의 절차공정성에 대한 영향요인: 상황적 요인 및 평가시스템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인사ㆍ조직학회 9 (9): 109-136, 2001
    • 39 이광희, "성과평가에 있어서의 공정성 지각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9 : 525-541, 2001
    • 40 이경근, "상호작용적 공정성지각이 고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3개의 연구를 통한 모형과 상황적 효과의 검증"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002
    • 41 정홍술, "상사에 대한 신뢰 및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조직공정성의 효과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한국인사관리학회 29 (29): 107-137, 2005
    • 42 배일현, "산업재영업에 있어서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및 영업성과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32 (32): 1-21, 2003
    • 43 윤종만, "비자발적 퇴직자의 대처전략의 영향요인과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193-221, 2004
    • 44 이지우, "분배공정성에 따른 직무부담과 혁신적 업무행동과의 관계"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002
    • 45 임준철,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적 맥락이 조직성원의 행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27 (27): 93-111, 1998
    • 46 이경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임금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25 (25): 165-195, 2001
    • 47 김희철, "분배 및 절차공정성의 차별적 효과와 상호작용공정성의 조절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29 (29): 71-97, 2005
    • 48 김형식, "면접에 대한 지원자 지각이 면접만족도와 채용제안 수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영학회 31 (31): 1-16, 2002
    • 49 박세홍, "리더십 성향이 임금의 공정성과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15 (15): 299-322, 2002
    • 50 박상언, "다운사이징을 실시한 조직에 잇어서 생존 직원들의 반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경영학회 30 (30): 319-347, 2001
    • 51 한주희, "급여탄력성에 따른 조직공정성, 회사-구성원 교환관계 및 조직몰입에 대한 입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1 (11): 171-197, 2003
    • 52 권순식, "근로자의 공정성 지각과 조직시민행위: 고용형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3 (13): 1-34, 2005
    • 53 한태영, "권한위임과 조직공정성이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적(multilevel) 고찰" 한국인사·조직학회 14 (14): 183-216, 2006
    • 54 박재춘, "공직사회의 인사제도와 종업원태도 관계에서 노동자참여의 매개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32 (32): 111-136, 2008
    • 55 서인덕, "공정성지각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영학회 22 (22): 393-424, 2007
    • 56 김학윤, "공정성이 지각된 관계성과와 거래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1 (21): 1059-1076, 2008
    • 57 민경호, "공정성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002
    • 58 서재현, "공정성 민감도가 임금만족 및 비교대상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15 (15): 1-18, 2000
    • 59 박종혁, "공공부문 목표관리(MBO)의 효과성 개선을 위한 제언-평가공정성, 경력개발 지원, 상사신뢰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영학회 20 (20): 203-230, 2005
    • 60 김태형, "고용형태에 따른 고용특성과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간 관계" 한국인사관리학회 30 (30): 209-232, 2006
    • 61 김정원, "고용형태 및 고용관계특성과 직무몰입간의 관계: 고용형태의 직접효과와 조절효과검증"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23-50, 2004
    • 62 김영조, "고용조정의 공정성 및 고용조정의 강도가 잔류 구성원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ㆍ조직학회 9 (9): 93-130, 2001
    • 63 이도화, "고용조정에 대한 잔류 조직구성원의 반응:조직정의와 직무특성 변화의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18 (18): 211-248, 2003
    • 64 노용진, "고용조정방식이 생존자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27 (27): 2003
    • 65 이광희, "고과결과에 대한 지각, 결과변수, 그리고 공정성 지각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0 (10): 27-54, 2002
    • 66 성지영, "개인-환경(조직, 상사, 동료) 적합성이 조직시민행동 및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공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인사·조직학회 16 (16): 1-62, 2008
    • 67 이인석, "갈등 및 갈등 관련 연구에 관한 분석: 서술적, 주제별, 방법론적, 이론적 분석을 통합 접근" 한국인사ㆍ조직학회 10 (10): 35-63, 2002
    • 68 이재훈, "‘대학강사’의 조직몰입과 전문직몰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12 (12): 201-234, 2004
    • 69 Folger, R, "Workplace justice and employee worth" 7 (7): 225-241, 1994
    • 70 Tyler, T. R, "Why people cooperate in organizations: An identity-based perspective i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JAI Press 201-246, 1999
    • 71 Brockner, J, "When trust matters: The moderating effect of outcome favorability" 42 (42): 558-583, 1997
    • 72 Leventhal, G. S, "What should be done with equity theory? in Social exchange: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Plenum Press 27-55, 1980
    • 73 Lind, E. A, "Voice, control, and procedural justice: Instrumental and noninstrumental concerns in fairness judgments" 59 (59): 952-959, 1990
    • 74 Bies, R. J, "Voice and justification: The influence on procedural fairness judgments" 31 (31): 676-685, 1988
    • 75 Morris, M. W, "Views from inside and outside: Integrating emic and etic insights about culture and justice judgment" 24 (24): 781-796, 1999
    • 76 Brockner, J,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between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The role of trust in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Sage 1996
    • 77 Tyler, T. R, "Trust in organizational authorities: The influence of motive attributions on willingness to accept decisions in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Sage 331-350, 1996
    • 78 Lind, E. A,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Plenum Press 1988
    • 79 Alexander, S, "The role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in organizational behaviors" 1 (1): 177-198, 1987
    • 80 Cohen-Charash, Y, "The role of justice in organizations: A meta-analysis" 86 (86): 278-321, 2001
    • 81 Daly, J. P, "The role of fairness in implementing largescale change: Employee evaluations of process and outcome in seven facility relocations" 15 (15): 623-638, 1994
    • 82 Bies, R. J, "The predicament of injustice: The management of moral outrage i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JAI Press 289-319, 1987
    • 83 Rupp, D. 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in predicting workplace outcomes from multifoci organizational justice" 89 (89): 925-946, 2002
    • 84 Kray, L, "The injustices of others: Social reports and the integration of others’ experiences in organizational justice judgments" 89 : 906-924, 2002
    • 85 Tyler, T. R, "The influence of outcomes and procedures on satisfaction with formal leaders" 41 (41): 642-655, 1981
    • 86 Schminke, M, "The effect of ethical frameworks o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40 (40): 1190-1207, 1997
    • 87 Greenberg, J, "The Social side of fairness: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classe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Justice in the workplace: Approaching fairnes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Erlbaum 79-103, 1993a
    • 88 Kernan, M. C, "Survivor reactions to reorganization: Ante인사․ cedents and consequences of procedural,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justice" 87 (87): 916-928, 2002
    • 89 Greenberg, J, "Stealing in the name of justice: Informational and interpersonal moderators of theft reactions to underpayment inequity" 54 (54): 81-103, 1993b
    • 90 van den Bos, K, "Sometimes unfair procedures have nice aspects: On the psychology of the fair process effect" 77 (77): 324-336, 1999
    • 91 Conlon, D. E, "Some tests of the self-interest and group-value models of procedural justice: Evidence from an organizational appeal procedure" 36 (36): 1109-1124, 1993
    • 92 Roberson, Q. M, "Shared and configurational justice: A social network model of justice in teams" 30 (30): 595-607, 2005
    • 93 Ambrose, M. L, "Sabotage in the workplace: The role of organizational injustice" 89 : 947-965, 2002
    • 94 Skarlicki, D. P, "Retaliation in the workplace: The roles of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82 (82): 434-443, 1997
    • 95 Olkkonen, M. 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identification with organization and work unit, and group-related outcomes" 100 (100): 202-215, 2006
    • 96 Moorman, R. 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76 (76): 845-855, 1991
    • 97 Lam, S. S. K,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 work outcomes: A cross-national study" 23 (23): 1-18, 2002
    • 98 김성수,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PAY SATISFACTION, AND EQUITY SENSITIVITY" 한국경영학회 31 (31): 5-1607, 2002
    • 99 Tyler, T. R, "Psychological model of the justice motive: Antecedent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67 (67): 850-863, 1994
    • 100 Thibaut, J, "Procedural justice: A psychological analysis" Erlbaum Associates 1975
    • 101 Schaubroeck, J, "Procedural justice explanations and employee reactions to economic hardship: A field experiment" 79 (79): 455-460, 1994
    • 102 van Prooijen, J. W, "Procedural justice and the hedonic principle: How approach versus avoidance motivation influences the psychology of voice" 91 (91): 686-697, 2006
    • 103 van den Bos, K,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What is fair depends more on what comes first than on what comes next" 72 (72): 95-104, 1997
    • 104 Lind, E. A, "Primacy effects in justice judgments: Testing predictions from fairness heuristic theory" 85 (85): 189-210, 2001
    • 105 Rhoades, L,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review of the literature" 87 (87): 698-714, 2002
    • 106 Konovsky, M. A, "Perceived fairness of employee drug testing as a predictor of employee attitudes and job performance" 76 (76): 698-707, 1991
    • 107 Greenberg, J,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16 (16): 399-432, 1990
    • 108 Roch, S. G, "Organizational justice in an exchange framework: Clarifying organizational justice distinctions" 32 (32): 299-322, 2006
    • 109 Rhee, J, "Organizational justice in an employee participation program" Cornell University 1996
    • 110 Elovainio, M, "Organizational justice evaluations, job control, and occupational strain" 86 (86): 418-424, 2001
    • 111 Judge, T. A, "Organizational justice and stress: The mediating role of work-family conflict" 89 (89): 395-404, 2004
    • 112 Karriker, J. H,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mediated multifoci model" 35 (35): 112-135, 2009
    • 113 Ambrose, M. L, "Organization structure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pervisory trust" 88 (88): 295-303, 2003
    • 114 van den Bos, K,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social justice: The role of affect as information in the psychology of justice judgments" 85 (85): 482-498, 2003
    • 115 Colquitt, J. A, "On the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justice: A construct validation of a measure" 86 (86): 386-400, 2001
    • 116 Cropanzano, R, "Moral virtues, fairness heuristics, social entities, and other denizens of organizational justice" 58 (58): 164-209, 2001
    • 117 Sinclair, R. C, "Mood and the endorsement of egalitarian macrojustice versus equity-based microjustice principles" 17 (17): 369-375, 1991
    • 118 Fassina, N. E, "Meta-analytic tests of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citizenship behavior: Testing agent-system and shared-variance models" 29 (29): 805-828, 2008
    • 119 Moon, H, "Me or we? The role of personality and justice as other-centered antecedents to innovative citizenship behaviors within organizations" 93 (93): 84-94, 2008
    • 120 Brockner, J, "Managing the effects of layoffs on survivors" 34 : 9-28, 1992
    • 121 Brockner, J, "Layoffs, lquity theory, and work performance: Further evidence of the impact of survivor guilt" 29 (29): 373-384, 1986
    • 122 Brockner, J, "Layoffs, job insecurity, and survivors’ work effort: Evidence of and inverted-U relationship" 35 (35): 413-425, 1992
    • 123 Roberson, Q. M, "Justice in teams: The activation and role of sensemaking in the emergence of justice climates" 100 (100): 177-192, 2006
    • 124 Aquino, K, "Justice constructs, negative affectivity, and employee deviance: A proposed model and empirical test" 20 (20): 1073-1091, 1999
    • 125 Colquitt, J. A, "Justice at the millennium: A meta-analytic review of 25 years of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86 (86): 425-445, 2001
    • 126 Niehoff, B. P,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36 (36): 527-556, 1993
    • 127 Erdogan, B, "Justice and leader-member exchange: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49 (49): 395-406, 2006
    • 128 Berry, C. M, "Interpersonal deviance, organizational deviance, and their common correlates: A review and meta-analysis" 92 (92): 410-424, 2007
    • 129 Brockner, J, "Interactive effects of procedural justice and outcome negativity on victims and survivors of job loss" 37 (37): 397-409, 1994
    • 130 Barling, J, "Interactional, formal, and distributive justice in the workplace: An exploratory study" 127 (127): 649-656, 1993
    • 131 Bies, R. J, "Interactional justice: Communication criteria of fairness in Research on negotiation in organizations" JAI Press 43-55, 1986
    • 132 Bies, R. J, "Interactional (in)justice: The sacred and the profane in Advances in organizational justice" Stanford University Press 89-118, 2001
    • 133 Masterson, S. S, "Integrating justice and social exchange: The differing effects of fair procedures and treatment on work relationships" 43 (43): 738-748, 2000
    • 134 Adams, J. S, "Inequality in social exchange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Academic Press 267-299, 1965
    • 135 Lind, E. A, "Individual and corporate dispute resolution: Using procedural fairness as a decision heuristic" 38 (38): 224-251, 1993
    • 136 Barsky, A, "If you feel bad, it’s unfair: A quantitative synthesis of affect and organizational justice perceptions" 92 (92): 286-295, 2007
    • 137 Hollensbe, E. C, "How do I assess if my supervisor and organization are fair? Identifying the rules underlying entitybased justice perceptions" 51 (51): 1099-1116, 2008
    • 138 Mansour-Cole, D. M, "Hearing it through the grapevine: The influence of source, leader-relations, and legitimacy on survivors’ fairness perceptions" 51 (51): 25-54, 1998
    • 139 Pillai, R, "Fairness perceptions and trust as mediators for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 Twosample study" 25 (25): 897-933, 1999
    • 140 Folger, R, "Equity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role of choice" 36 (36): 557-565, 1978
    • 141 Folger, R,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32 (32): 115-130, 1989
    • 142 Gilliland, S. W,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a selection system" 79 (79): 691-701, 1994
    • 143 Weiss, H. M, "Effects of justice conditions on discrete emotions" 84 (84): 786-794, 1999
    • 144 Hegtvedt, K. A, "Doing justice to the group: Examining the roles of the group in justice research" 31 : 25-45, 2005
    • 145 McFarlin, D. B,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 35 (35): 626-637, 1992
    • 146 Greenberg, J, "Determinants of perceived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s" 71 (71): 340-342, 1986
    • 147 Ambrose, M. L, "Contemporary justice research: A new look at familiar questions" 89 (89): 803-812, 2002
    • 148 Tyler, T. R, "Conditions leading to value expressive effects in judgments of procedural justice: A test of four models" 52 (52): 333-344, 1987
    • 149 Konovsky, M. A, "Citizenship behavior and social exchange" 37 (37): 656-669, 1994
    • 150 Tyler, T. R, "Beyond formal procedures: The interpersonal context of procedural justice in Advances in applied social psychology" Erlbaum 77-98, 1990
    • 151 Leventhal, G. S, "Beyond fairness: A theory of allocation preference in Justice and social interaction" Springer-Verlag 167-218, 1980
    • 152 Tyler, T. R, "Autonomous vs. comparative status: Must we be better than others to feel good about ourselves?" 89 (89): 813-838, 2002
    • 153 Lind, E. A, "Apparent impropriety and procedural fairness judgments"
    • 154 Brockner, J,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explaining reactions to decisions: Interactive effects of outcomes and procedures" 120 (120): 189-208, 1996
    • 155 Price, J. L,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JAI Press 1986
    • 156 Greenberg, J, "A taxonom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12 (12): 9-22, 1987
    • 157 Tyler, T. R, "A relational model of authority in groups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Academic Press 115-191, 1992
    • 158 Hauenstein, N. M. A,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Implications for justice research" 13 (13): 39-56, 2002
    • 159 Naumann, S. E, "A case for procedural justice climate: Development and test of a multilevel model" 43 (43): 881-889,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2-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사·조직연구 -> 인사조직연구 KCI등재
                2013-02-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사·조직학회 -> 한국인사조직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사ㆍ조직학회 -> 한국인사·조직학회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69 2.995 0.48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