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꿈을 찾아 떠난 사람들 - 한국고대 유학생의 연구현황과 과제 -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논문은 한국 고대 유학생의 연구현황과 과제를 검토하기 위해 쓰였다. 유학은 외국의 학술·기술·문화 등을 공부하기 위하여 외국의 교육기관이나 연구기관 등에서 교육을 받거나 연구 활동에 종사하는 일이다. 이러한 유학 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교육방법의 하나이다. 그런데 오늘날 유학이 개인의 선택과 자력에 의해 대부분 행해지는 것과 달리, 고대의 유학은 특히 귀국하 여 고위관료가 되기 위한 한 과정으로서 국가의 통제를 받았다. 이러한 고대 유학생의 역사적 의미는 정치적으로는 외교관으로서 양국 간 의 실무를 논의하였다는 것, 경제적으로는 당시의 동아시아 각국 경제생활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문화적으로는 문화교류의 전도사였다 는 점을 들 수가 있다. 나아가 나말여초 변혁기의 새로운 시대를 이끌 인재 의 보고였다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 네 가지를 제시해 보았다. 우선은 새로운 자료의 발굴이 다. 한국 고대사 연구의 어려움 가운데 하나가 사료부족이고, 이는 유학생 분 야도 마찬가지이다. 중국 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유익하게 활용되고 있 다. 그럼에도 그것은 국내 금석문에 비해 관련 자료의 양이 적을뿐더러 포괄 하는 내용 또한 다양하지 못하다. 그러나 몇몇 사례에서도 보이듯이, 적극적 인 자료 발굴을 통해 유학생 나아가 고대사 연구가 풍성해지길 기대해 본다. 두 번째로는 해당국가에 끼친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 동안의 도당유학생과 구법승연구는 많은 학문적 축적을 이루어냈다. 빈공과의 급제자수와 구법승의 규모도 실상이 확인되고 있다. 또 산발적이던 이들의 활동무대가 중국이나 인도 등에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개별적 연구를 종합하려는 노력이 아쉬웠고, 시대별 특징과 중국불교에 끼친 사상적 영향력의 연구가 미흡하였다. 세 번째로는 연구시각의 전환을 들 수 있다. 구법승 연구에서 한국 불교는 중국 불교의 移植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식을 극복하고 한국불교사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는 측면에서 한국의 高僧들을 발굴해내고 적극적으로 긍정 적 평가를 내렸던 초기 연구의 시대적 의의에 대해서는 부정할 수 없다. 하 지만 동아시아 불교 더 나아가 교류사 연구 방법으로서 단순한 양적 연구방 법을 넘어 사료를 바탕으로 하여 상대편의 시각에서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보 다 진전된 논의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균형감이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는 동아시아 불교사의 구상도, 중국에서 활동했던 한국 승려들의 정체성과 활동의 의미에 대한 논의가 자칫 공론에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당유학생 의 연구에도 이러한 균형 감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론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의 한국 고 대 유학생에 대한 연구 분량은 상당히 축적되어 있다. 현재 우리가 직면한 과제는 이들 선행연구의 성찰적 평가에 기초하면서 새로운 연구를 위한 다양 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이다. 우리는 국제화와 세계화의 시대에 통섭의 요 청 즉 융복합적 정보의 제공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인접학문과도 긴밀하 게 소통해야만 한다. 고고학·민속학 등의 인접 학문과의 학제간 연구가 필 요하다. 아울러 이주나 이민, 디아스포라 같은 사회과학 개념도 고대 유학생 연구에 적극 활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This paper was written to review the research status and tasks of Korean ancient students who studied abroa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se ancient students was that they discussed the affairs of the two countries as diplomats politically, so that they could get a glimpse of the economics of East Asian countries at that time, while also acting as culturally evangelists of cultural exchange.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studying abroad was a treasure trove of those who are talented, and who will lead a new era of transformation in the late Silla Dynasty. I presented four future research subjects. The first is the discovery of new data. Nex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studying abroad on the country. The third is the transition of research viewpoint. As a method of studying East Asi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exchange, it is necessary to bring forward more advanced discussions by approaching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ther side based on feed rather than jus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inally, the problem of research methodology can be mentioned.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neighboring studies such as archaeology and folklore is needed. In addition, social science concepts such as migration, immigration, and diaspora need to be considered actively for the study of ancient students.

    더보기
    • I. 머리말
    • Ⅱ. 도당유학생의 연구현황
    • 1. 유학생 파견의 배경과 목적
    • 2. 유학생의 신분
    • 3. 유학의 경제적 여건
    • Ⅲ. 구법승의 연구현황
    • 1. 중국 구법승
    • 2. 천축 구법승
    • Ⅳ. 맺음말 -고대 유학생 연구의 과제
    • <국문초록>
    • <참고 문헌>
    더보기
    • 1 송기호,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上)" 一潮閣 1994
    • 2 이유진, "羅末麗初 승려들의 入唐求法과 한중교류" 석당학술원 (46) : 213-243, 2010
    • 3 석길암, "羅末麗初 불교사상의 흐름에 대한 일고찰-선의 전래와 화엄종의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26) : 33-64, 2006
    • 4 김병곤, "羅唐 同盟의 成立과 新羅 求法僧의 役割" 진단학회 (99) : 15-41, 2005
    • 5 김복순, "혜초의 천축순례 과정과 목적" (사)한국인물사연구회 (8) : 171-197, 2007
    • 6 정병삼, "혜초가 본 인도와 중앙아시아"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9) : 37-68, 2010
    • 7 조명제, "현행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불교사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151) : 195-222, 2019
    • 8 강희정, "해상 실크로드와 불교물질문화의 교류" 동아연구소 37 (37): 59-91, 2018
    • 9 權悳永, "한국해양사 Ⅱ-남북국시대" 한국해양재단 2013
    • 10 崔根泳, "한국사학논총, 상" 수촌박영석 교수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2
    • 11 조범환, "한국 고대사 연구의 현단계" 주류성 2009
    • 12 정병삼,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노태돈 교수 정년기념논총 2" 사계절 2014
    • 13 남동신,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노태돈 교수 정년기념논총 2" 사계절 2014
    • 14 고영섭, "한국 고대불교 연구의 성과와 과제- 1970년대~2010년대의 불교사학과 불교철학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68 : 395-449, 2013
    • 15 권덕영, "중국 산동성 무염원에 대한 몇가지 문제" 신라문화연구소 (28) : 143-165, 2006
    • 16 권덕영, "중국 금석문을 활용한 신라사의 몇 가지 보완" 부산경남사학회 (105) : 179-209, 2017
    • 17 權悳永, "재당신라인사회 연구" 일조각 2015
    • 18 조영록, "입당구법승의 해양불교설화와 연해교민" 한국민족학회 7 : 2009
    • 19 여성구, "입당구법승 무루의 생애와 사상" 한국고대학회 10 : 1998
    • 20 拜根興, "입당구법(入唐求法): 당과 신라 간에 불교문화 교류의 다리를 놓다 - 입당구법 승려를 중심으로 -" 한국불교연구원 (29) : 99-160, 2008
    • 21 서정목, "입당 구법승 교각[地藏], 무상, 무루의 정체와 출가계기" 인문과학연구소 (47) : 361-392, 2016
    • 22 이주형, "인도로 간 구법승과 신라불교" 2 : 2008
    • 23 심재관, "인도-동남아시아의 해양 실크로드와 7~9세기 밀교(密敎)의 확산: 동아시아 불교 구법승(求法僧) 의 활동과 관련하여" 아시아연구소 8 (8): 215-241, 2019
    • 24 김복순, "의정의 『대당서역구법고승전』과 신라인" 신라문화연구소 45 : 167-196, 2015
    • 25 이영종, "안드라의 불교유적과 구법승"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5) : 90-119, 2006
    • 26 權悳永, "신라천년의 역사와 문화, 14-신라 불교계의 새로운 동향과 선종"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 27 권덕영, "신라의 바다 황해" 일조각 2012
    • 28 전덕재, "신라의 독서삼품과 : 한국 과거제도의 前史" 일조각 46 : 2010
    • 29 문무왕, "신라승려들의 구법경로 연구" 한국불교연구원 22 : 2005
    • 30 허정희, "신라 화엄불교의 윤리적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선학회 (17) : 169-204, 2007
    • 31 이제혁, "신라 하대 唐 국자감의 신라 유학생 증가 배경과 유학의 경제적 여건" 역사교육연구회 (146) : 223-251, 2018
    • 32 김복순, "신라 지식인들의 西域 인식" 경주사학회 38 (38): 1-30, 2013
    • 33 조인성, "신라 국학과 인재 양성" 민속원 2015
    • 34 정병삼, "신라 구법승의 구법과 전도" 한국불교연구원 (27) : 59-88, 2007
    • 35 계미향, "신라 悟眞이 중국불교에 미친 영향"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11) : 262-297, 2017
    • 36 계미향, "신라 悟眞의 오백나한 입전 현황 고찰 - 제479번 羅漢 新羅國 悟眞常尊者 -" 한국불교학회 (76) : 395-424, 2015
    • 37 권덕영, "신라 '西化' 구법승과 그 사회"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319-347, 2007
    • 38 주경미, "스리랑카의 佛齒精舍와 동아시아의 求法僧" 부산경남사학회 (69) : 133-165, 2008
    • 39 李基白, "성곡논총 2" 성곡학술문화재단 1971
    • 40 루정호, "새로 發見된 新羅 入唐求法僧 惠覺禪師의 碑銘" 역사연구소 (73) : 1-35, 2011
    • 41 박중환, "사택지적비문(砂宅智積碑文)에 반영된 소승불교적(小乘佛敎的) 성격에 대하여" 백제문화연구소 (39) : 125-141, 2008
    • 42 강희정, "사르나트와 동아시아 구법승"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3 : 2004
    • 43 정병조, "비단길과 한국불교" 한국불교연구원 (29) : 11-47, 2008
    • 44 강희정, "보드가야의 불교유적과 구법승"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5 : 2006
    • 45 조경철, "백제 성왕대 유불정치이념 : 육후와 겸익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15 : 2000
    • 46 조경철, "백제 사택지적비에 나타난 불교신앙" 한국역사연구회 (52) : 149-177, 2004
    • 47 조경철, "백제 불교의 중국 영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36) : 51-78, 2010
    • 48 권은주, "발해의 교육기관과 인재양성" 한국교육사학회 36 (36): 1-26, 2014
    • 49 김국헌, "발해의 교육기관과 교육내용"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 50 김혜원, "마투라와 동아시아의 구법승"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3 : 2004
    • 51 조앤너 윌리엄스, "동아시아 구법승과 상카시야 유적"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4) : 188-207, 2005
    • 52 김리나, "동서양의 만남과 미술의 교류" 미술사연구회 (23) : 7-28, 2009
    • 53 주경미, "날란다의 불교유적과 구법승"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4) : 128-165, 2005
    • 54 하정민, "구법승과 중인도 불교 성지 유적(1)"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3 : 2004
    • 55 김상현, "고구려의 사상과 문화" 고구려연구재단 2005
    • 56 김복순, "경주 掛陵의 문헌적 고찰" 신라문화연구소 44 : 217-240, 2014
    • 57 문무왕, "강남지역 한국승려들의 구법지역에 관한 고찰Ⅰ" 한국불교연구원 (25) : 229-255, 2006
    • 58 계미향, "韓國古代의 天竺求法僧 硏究" 동국대학교 2016
    • 59 黃有福, "韓·中佛敎文化交流史" 까치 1995
    • 60 黃心川, "隋唐時代의 中韓佛敎交流-新羅의 中國求法僧 考察"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6 : 1991
    • 61 森公章, "遣唐使と古代日本の對外政策" 吉川弘文館 2008
    • 62 조영록, "羅ㆍ唐 동해 관음도량, 낙산과 보타산 - 동아시아 해양불교 교류의 역사 현장 -" 한국정토학회 (17) : 197-235, 2012
    • 63 박현규, "福建 「那羅岩碑記」와 신라승 元表 행적" 신라문화연구소 (39) : 159-182, 2012
    • 64 채인환, "百濟佛敎戒律思想硏究"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8 : 1991
    • 65 계미향, "無漏와 닝샤(寧夏) 지역 불교 관련성 고찰" 한국불교학회 (78) : 477-507, 2016
    • 66 변인석, "江西禪脈의 이른바 ‘東流之說·西學之求論’에서 본 宜春禪宗안에 머문 해동구법승의 佛敎地理的 分布 - 해동구법승 硏究의 方法論과 課題內容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1) : 439-489, 2015
    • 67 小玉大圓, "求法僧謙益とその周邊(下)"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0 : 1987
    • 68 小玉大圓, "求法僧謙益とその周邊(上)"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8 : 1985
    • 69 정병조, "求法僧 硏究의 意義와 課題" 한국불교연구원 (23) : 9-49, 2005
    • 70 조영록, "普照体澄과 明州 大梅法常의 法嗣 迦智"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7) : 214-245, 2014
    • 71 張賢植, "新羅六頭品에 대한 小考 : 六頭品의 思想과 活動을 중심으로"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 72 강현숙, "新羅의 對唐交流에 대한 考古學的 檢討" 신라문화연구소 55 : 127-152, 2020
    • 73 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一潮閣 1984
    • 74 濱田耕策, "新羅國史の硏究" 吉川弘文館 2002
    • 75 今西龍, "新羅史硏究" 近澤書店 1933
    • 76 呂聖九, "新羅中代의 入唐求法僧 硏究" 國民大學校 大學院 1998
    • 77 金世潤, "新羅下代의 渡唐留學生에 대하여" 한국사연구회 37 : 1982
    • 78 이영호, "新羅 國學의 成立과 變遷" 역사교육학회 (57) : 69-109, 2015
    • 79 곽뢰, "新羅 中古期 五臺山文殊信仰 受容說의 재검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9) : 321-358, 2015
    • 80 조범환, "新羅 下代 遣唐國學留學生의 파견과 그 역사적 의미" 인문과학연구소 (25) : 241-264, 2009
    • 81 강나리, "新羅 下代 渡唐留學의 성행과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90) : 161-193, 2018
    • 82 김병곤, "新羅 下代 求法僧들의 行蹟과 實狀" 한국불교연구원 (24) : 95-145, 2006
    • 83 권덕영, "新羅 下代 ‘西學’과 그 歷史的 意味" 신라문화연구소 (26) : 157-177, 2005
    • 84 정병삼, "慧超의 활동과 8세기 신라밀교" 한국고대사학회 (37) : 157-183, 2005
    • 85 염중섭, "慈藏의 入唐行蹟에 대한 기록 분석" 한국사학회 (122) : 5-37, 2016
    • 86 여성구, "常山 慧覺이 중국불교에 끼친 영향"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8) : 4-71, 2015
    • 87 이성시, "崔致遠과 渡唐留學生 - 동아시아文化史上의 意義를 둘러싼 재검토 -" 고려사학회 (63) : 79-96, 2016
    • 88 車美姬, "崔淑卿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 2000
    • 89 계미향, "天竺求法僧의 行蹟과 思想 硏究 - 7~8세기 慧輪⋅元表⋅慧超를 中心으로 -" 한국불교학회 (75) : 185-218, 2015
    • 90 정병준, "唐·新羅 交流史에서 본 新羅求法僧" 중국사학회 (75) : 55-83, 2011
    • 91 권덕영, "唐 長安의 新羅僧과 日本僧, 그 과거와 현재" 한국사학회 (110) : 47-86, 2013
    • 92 여성구, "唐 肅宗대 보승불 신앙과 신라승 無漏" 신라사학회 (44) : 309-340, 2018
    • 93 權悳永, "唐 武宗의 廢佛과 新羅 求法僧의 動向" 한국학중앙연구원 17 (17): 1994
    • 94 申瀅植, "古代韓中關係史의 硏究" 삼지원 1987
    • 95 權悳永, "古代韓中外交史-遣唐使硏究" 일조각 1997
    • 96 이기천, "南朝~宋代 中國 승려가 바라본 ‘韓國系’ 求法僧" 중국고중세사학회 (28) : 161-192, 2012
    • 97 여성구, "入唐求法僧 地藏의 行迹과 思想" 백산학회 52 : 1999
    • 98 金泰俊, "僧傳文學에 보이는 신라인의 해외체험"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9 : 1988
    • 99 嚴耕望, "中韓文化論集(1)" 中華文化出版事業委員會 1955
    • 100 權悳永, "三國時代 新羅 求法僧의 活動과 役割" 한국학중앙연구원 4 : 1987
    • 101 김복순, "『삼국유사』 「歸竺諸師」조 연구"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3 : 2012
    • 102 조경철, "『삼국유사』 흥법 난타벽제조와 백제의 불교수용"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5 : 2014
    • 103 김호동, "『續高僧傳』과 『大唐西域求法高僧傳』에 입전된 韓國高僧의 행적" 嶺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20 : 1999
    • 104 정병삼, "8세기 신라의 불교사상과 문화" 신라문화연구소 (25) : 189-207, 2005
    • 105 이희재, "8세기 서역구법승(西域求法僧) 원표(元表)의 재고찰"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19 (19): 89-108, 2013
    • 106 김상현, "78세기 해동구법승(海東求法僧)들의 중국에서의 活動과 意義" 한국불교연구원 (23) : 51-76, 2005
    • 107 심경순, "6세기전반 겸익의 구법활동과 그 의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1.181 0.14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