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본 플랫폼노동 종사자에 관한 법제 및 정책에 관한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7-173(4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일본의 플랫폼노동 종사자에 대한 법제와 정책의 논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의 학계 및 정부도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법적 보호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와의 논의 동향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일본 정부는 플랫폼노동 종사자 가운데, 크라우드 워크 등을 포함한 “고용유사한 일하는 방식을 하는 자” 또는 “자영형 텔레워크 종사자”에 대한 노동법상의 법적 보호에 대한 논의는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어떠한 방식 및 법률로 보호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계속 논의를 거듭하고 있는 단계로서 구체적인 입법안 발의 등의 동향은 보이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크라우드 워크 종사자를 포함한 플랫폼노동 종사자는 그 대부분 이 고용계약이 아니라 개인도급을 중심으로 하는 계약형태에 의한 취업형태를 취하게 된다고 보아, 이러한 플랫폼노동은 특정 사용자의 지휘명령을 받고 “근로자”로 일하는 “고용관계”와는 다르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근로자가 아니라 “고용”과 “자영”의 중간적인 일하는 방식, 또는 자영업자, 개인사업주, 프리랜서, 개인업무도급 종사자 등으로 보고 있다.
일본은 개별노동관계법에서의 근로자에 대한 확장개념을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동기준법상의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하면, 기본적으로는 노동관계법령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에 해당되면 단체교섭권 등은 인정된다). 그렇다 보니, 고용관계를 전제로 한 노동으로 근로자성이 인정되고 있지 못한 관계로, 노동기준법 및 노동조합법상의 보호가 미치지 않고 있으며, 산재보험 및 고용보험 등의 사회보장법 관계의 보호도 미치고 있지 못한 상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고용유사한 일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새로운 입법을 마련하기 보다는 기존의 법 구조 안에서 대응하고자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플랫폼노동 종사자에 대한 논의로는 근로자성을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자영업자 중 일정한 보호가 필요한 사람에게 보호의 내용을 고려하여 별도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는 방법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후생노동성의 자영형 텔레워크 가이드라인, 프리랜서 가이드라인의 활용과 독점금지법, 하청법 등의 종래의 경제법 및 가내노동법의 적용을 확대하여 플랫폼노동 종사자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논의의 향방이 주목된다. 물론 플랫폼노동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입법의 동향은 없지만, 법의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는 플랫폼노동 종사자에 대하여 향후 최종적인 입법화를 위한 중간적인 단계에서 일정한 보호 장치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 기능과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s regarding the legislation and policies for platform workers in Japan. In Japan, the government and academia discuss the legal protection of platform-mediated workers. For example, Japan’s government discusses the legal protection that labor laws afford to those engaged in an “employee-like working style” or “self-employed telework”, which includes crowd workers. However, although discussion of how to protect platform workers is ongoing, no specific trends regarding legislative proposals have yet been identified.
In Japan, platform workers, including crowd workers, consider themselves to be employed through individual subcontracting contracts, not employment contracts. The Labor Standards Act treats such platform workers as different from employees in employment relationships, which are defined by the presence of two criteria: “usage dependency” and “economic dependency.” Rather than employees, platform workers are regarded as self-employed, individual contractors, independent contractors, or freelancers.
Japan’s labor law does not extend its scope to include platform workers. This means that individuals not recognized as employee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are not protected by labor laws. Nor are platform workers protected by social security laws. (Of course, when an individual is recognized as a worker under the Labor Union Act, that individual’s right to organize is recognized.)
At present, there is discussion in Japan of expanding the scope of existing law to include such workers. In general, Japan tends to respond to the need for new legislation by modifying the framework of existing legislation. In the case of platform workers, Japan’s government is trying to address their protec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two existing acts: the Subcontract Act and the Home Work Act. In addition,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has the guideline for properly implementing self-employed telework. Although the guideline have no legal force for the protection of platform workers, they provide some protection for platform workers, who are currently situated in a blind spot regarding the law’s protection, and they provide time to evaluate the functionality and significance of legislation and policy before more specific legislation is created in the futur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5-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angwon Law Review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3 | 0.86 | 1.122 | 0.4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