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과정의 다문화배경 학습자를 위한 사고도구어 분석 연구 : 교과서와 교사 발화에서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n Academic Vocabulary for Multicultural Learners in Middle School: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extbook and teacher speech
저자
발행사항
인천 :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2020. 8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인천
형태사항
109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하신영
UCI식별코드
I804:23006-200000341277
소장기관
본 연구는 중학교 과정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교과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사고도구어의 선정 및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과서와 교사 발화에서 사용되는 사고도구어를 빈도수와 과목 간의 중복도에 따라 선정하여 해당 어휘의 사용 양상이 어떠한지를 밝히고자 한다. 교과서와 교사 발화에서의 사고도구어 사용 양상을 바탕으로 사고도구어의 교육 내용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학교 과정의 다문화 배경 학습자는 일상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 능력에는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학교 교육에 필요한 학문적 의사소통에 대한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여 교과 학습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곧 학습 부진의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상황은 지능적 문제에서 기인된 것이 아니라 대부분 교과 학습의 이해를 촉진시키는 사고도구어의 어휘 학습 능력 부족에서 기인된 것이다. 즉, 학습자의 사고 능력과 논리적 추리 능력을 위한 한국어 어휘 능력의 부족이 원인이다. 따라서 중학교 과정의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사고 능력과 논리적 추리 능력 향상을 위한 사고도구어를 선정하고, 선정된 사고도구어가 교과서와 교사 발화 각각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에 대한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 대상 교과서와 이를 매개로 수업하는 교사 발화를 EBS 방송본으로 대신하여 텍스트를 자료로 삼았다. 각각의 자료에 나타나는 빈도와 교과 간의 중복도를 기준으로 사고도구어를 선정한 결과 교과서는 326개, 교사 발화는 205개이다. 사고도구어 대부분이 한자어이며, 추상어이고 다의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곧 다문화 배경 학습자가 교과 학습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갖는 이유로 볼 수 있다.
둘째, 사고도구어의 사용 양상에서 교과서나 교사 발화에 누적적으로 100회 이상의 나타나는 단어를 고빈도어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는 교과서의 고빈도 사고도구어는 145개이며, 교사 발화에서의 고빈도 사고도구어는 63개이다. 교과서 전체 사고도구어 중 고빈도 사고도구어는 45%이고, 교사 발화에서는 31%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학교 과정의 다문화 배경 학습자가 고빈도 사고도구어를 우선적으로 학습해야 함을 보여준다.
셋째, 고빈도 사고도구어를 단어의 속성을 바탕으로 거칠게 ‘수행어, 대상어, 조직어’로 분류하였다. 교과서는 145개의 고빈도 사고도구어 중에서 대상어가 84개, 수행어가 61개이며, 교사 발화에서는 63개의 고빈도 사고도구어 중에서 대상어 42개, 수행어 20개, 조직어 1개이다. 교과서와 교사 발화 각각 과목별로 고빈도 사고도구어 5개를 선정하여 이들의 사용 양상을 문맥의 맥락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러나 단어의 속성에 의해 분류된 사고도구어가 그 쓰임에 따라 대상어로, 또는 수행어로 문맥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정의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교과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사고도구어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고도구어는 단어의 독립적인 역할보다는 문맥 속에서 학습자의 논리나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수단의 단어로서 단어의 속성과 더불어 문맥에 따른 사용 양상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제어 : 다문화 배경 학습자, 사고도구어, 사용 양상, 중학교 과정 교과서, 교사 발화, 교수·학습 방안
ABSTRACT
An Analytical study on Academic Vocabulary for Multicultural Learners in Middle School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extbook and teacher speech-
Kim, Hyunsuk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lection and usage patterns of academic vocabulary on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in middle school curriculum to improve their learning skills. For this study, academic vocabulary used in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eacher’s utterances was selected based on their frequency and duplication between subjects in those categories to analyze its usage patterns. In addi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exploring the strategies to construct educational programs of academic vocabulary based on its usage patterns from the data.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in middle school curriculum did not have any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their Korean skills on a daily basis. However, they were facing academic challenges while understanding curriculum, due to the lack of Korean skills required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which let them became underachievers. In most cases, this circumstances were caused by lacking of academic vocabulary learning skills that promoted understanding curriculum, not due to intelligence issue. In other words, it was attributable to lack of Korean skills to support leanrers’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bilities. Therefore, academic vocabulary was selected to improve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bilitie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examined how selected academic vocabulary was used in the textbook and teacher’s uttera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listed below.
First, collected data for study were from the textbooks for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xt of teacher’s utterances from EBS video courses where teachers used those textbooks. Referring to frequency and duplication rate between subjects from each data, 326 and 205 academic vocabulary from textbooks and teacher’s utterances was selected. Most of academic vocabulary was Chinese characters, conjectures, and used as polysemy. That means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could experience difficulty understanding educational materials due to this reason.
Second, academic vocabulary was sorted as high frequency words based on its usage pattern in the textbooks or teacher’s utterances which were accumulatively presented over 100 times. As a result, 145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was sorted from textbooks, and 63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was from teacher’s utterances. The percentages of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in overall academic vocabulary from textbooks was 45%, and 31% was in teacher’s utterances. This result indicated the priority of learning process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in middle school curriculum was learning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Third,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was categorized by ‘performatives, target words, and linking words’ based on their properties. There was 84 target words and 61 performatives found out of 145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in the textbooks, and 42 target words, 20 performatives, and one linking word were observed in 63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in teacher’s utterances. Five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per each subjects of textbooks and teacher’s utteranc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ir usage patterns in the context of paragraph.
However, this study confirmed that academic vocabulary categorized in its properties could be used as target words or performatives depended on the context of paragraph.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academic vocabulary according to the results to improve learning skill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in middle school curriculum. Academic vocabulary should be learned as a tool rather than its independent role, which facilitate leaners’ logic or knowledge in the context so that they could study not only its property, but also its usage pattern in the context.
Keywords : Multicultuer background learner , Academic Vocabulary , Patterns of use , Middle school textbook and teacher speech , Teaching and learning patter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