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야래자설화>와의 관계 속에서 본 <불씨와 동삼>-불 신앙에 관한 비교민속을 겸하여-
저자
이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5-235(41쪽)
제공처
본고는 ‘불 신앙’을 바탕으로 생겨난 설화 <불씨와 동삼>이 전승되는 구체적인 실상을 살피면서, 그것이 <야래자설화>의 영향을 받아 구조와 의미가 변하여 현재의 전승 모습을 갖게 되었음을 밝히기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우선, 구전자료들을 이야기의 핵심 요소의 변화에 따라 <현장 추격형>(A형)과 <명주실 추적형>(B형)으로 대별하고 전자를 다시 세 개의 자료군으로 나눈 뒤, 네 자료군들이 내용상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살폈다. 이를 토대로 이 설화의 기본적인 의미를 다음 네 가지로 추출하였다. 첫째, ‘집안의 불의 간수는 여성이 담당하며, 여성이 어떠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불을 지켜야 한다.’는 우리의 전통적인 민간신앙과 관습이 드러난다. 둘째, 불씨를 간수하면 그 집안이 복을 받는다는 사람들의 믿음을 반영한다. 셋째, 며느리의 입사식담의 성격을 지닌다. 넷째, 사악과 부정을 제거하며 생식을 소생하는 불의 의미 외에도 가계의 계승과 한 집안의 복을 의미를 내포한다. 다음으로, ‘불씨 회복’의 과정이 원래는 이야기 속에 들어 있어야 마땅함을 입증하기 위하여 비교민속적인 관점에서 우리와 주변 민족의 설화 및 불 신앙 등을 살폈다. 그 결과 ‘매년 정기적으로 묵은 불을 끄고 새불[新火]을 일으키는 불 의식’이 널리 퍼져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이야기 결말의 ‘동삼 얻어 부자되기’보다는 ‘불씨의 회복’이 더 원래적인 요소임을 추정하였다. 또한, 결말의 ‘동삼 얻어 부자되기’가 <야래자설화>의 영향에 의한 것임을 입증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야담과 구전민담을 제시하며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두 설화가 접변할 수 있는 근거로서, <불씨와 동삼>에 <야래자설화>의 내용이 공통된 것이 많다는 점, 두 나무를 마찰하여 불을 일으키는 것과 총각이 오줌을 누어 불을 끄는 것 등이 남녀의 성적인 교합을 의미하는데 이는 <야래자설화>의 이물교혼 부분과 연관된다는 점, ‘화롯불을 지키는 여사제가 수목신과 신성혼을 거쳐 영웅을 낳았다.’는 내용의 <로물루스> 탄생담처럼 <불씨와 동삼>도 ‘수목신과 여성의 성적인 결합’의 내용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친연성으로 인하여 <야래자설화>의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었다. 끝으로, 이 설화의 구조와 의미가 변모하는 과정으로 세 단계를 설정하였다. 곧 원래 ‘불씨의 보존과 간수’를 중시하는 민간신앙과 의식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생겨난 첫째 단계, ‘묵은 불을 새로운 불로 바꾸는 불 의식’이 반영되는 둘째 단계, <야래자설화>가 결합되면서 이야기의 구조, 줄거리, 의미 및 성격 등이 변하는 셋째 단계 등이 그것이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ctual tradition process of <Bulssi and Dongsam> which is based on the faith in fire and showed that this process was affected by <the tale of Yaraeja>. This intellectual endeavor was also the efforts of attempting to disclose the underlying meaning of <Bulssi and Dongsam>. To this end, I looked at the folk belief dimension and the thinking of fire that are held by Korean and the neighboring peoples. First, each version of <Bulssi and Dongsam>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its core elements, and the common story structure that exists in different versions is extracted. This exhibits a few key meanings of the story. 1) the story reflects our traditional folk belief and custom that keeping the fire in a house alive is the duty of women and they must not fail in any difficulty, 2) this story shows the belief that the whole family will be blessed when the fire is kept wholeheartedly, 3) this folklore can be seen as the initiation story of a daughter-in-law, and 4) the fire in this story symbolizes 'the succession of family' and 'the blessing of the family.' This last element appears to emerge due to the fire being combined with the belief on Jowang(竈王). Next, I noted that nowhere in the story are shown the women's efforts to restore a extinguished fire while their efforts to keep fire are omnipresent. I attempted to show that the efforts of restoring fire had originally been included in the story. For this, I examined the folklore and the belief of fire of Korea and its neighboring peoples. Based on the findings, I concluded that the missing part must have been existent in the story. Finall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tale of Yaraeja> has changed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the story. It is pointed out that both of the stories have elements that are reflective of sexual relationships. This illustrates that the story has gone through a few stages of transformation. The first stage is that the story began to emerge based on folk belief and thinking of maintaining and cherishing fire, which can be easily found in the story. It is the second stage that the thinking of changing a old fire to a new one became embedded into the story line. This stage is the one that is easily expected due to the belief that an extinguished fire must be restored. Third, the story transformed its structure, its story line, its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as it got blended with <the tale of Yaraeja>. I claim that upon the influence of <the tale of Yaraeja>, 'extinguishing a old fire' transformed to 'searching for the reason why the fire died' to 'tracing the thread' and to 'identifying the person who extinguished the fire.' Accordingly, 'obtaining a new fire' has also changed to 'getting Dongsam,' and as a result the story has come to emphasize the meaning of becoming rich. Therefore, becoming rich with gold and silver in each of the story versions is claimed to be due to the blending of the two stor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