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빈곤층 남성들의 연애와 결혼 포기에 대한 연구 : 빈곤 경험과 생계부양 책임감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2017
학위논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한국어
KDC
331 판사항(6)
DDC
301 판사항(23)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ii, 99 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임인숙
참고문헌: p. 92-99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by which Korean men of poor class today give up their dating relationship and marriage. It strive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overty experiences and their breadwinner identity on their masculinity. This problem named as ‘Sampo generation (abandonment of love, marriage, and childbirth)’ was a major discourse to analyze the recent declining birthrate of Korean society. However, the phrase ‘Sampo generation’ did not incorporate the phenomenon entirely. It did not take into account of the influences of economic power and gender on people’s dating relationship and marriage. Those men who were born as members of poor families and are still victims of poverty, are the most vulnerable subjects to the problem of 'love and marriage'. Hereby, this paper tried to access the core substances of the problem of 'Sampo generation' by analyzing what these men have to say about ‘love and marriage’. At the same time, it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ension and change of traditional gender hierarchy by analyzing their 'masculinity' and 'male's sense of cri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rticipants were implementing 'expenditure minimization strategy' and 'escape from family strategy' to survive from their chronic poverty. In this process, 'abandonment' is considered as a way of their life. The attitude to abandon something for survival also applies to love and marriage. Especially because of the male-led consuming practices in terms of dating and marriage, these men who lack the spending power appear to abandon love and marriage. The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ir family of origin is also an important cause factor for their abandonment of love and marriage. While analyzing the matter of marriage, there appeared to be two most important cause elements for their abandonment of marriage. First of all, it’s the strong feeling that men who lack economic power are excluded from the marriage market. Such presentiments are confirmed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refusal in their real life. Secondly, it’s the fear that poverty will be passed down to their wives and children if they get married without having a sufficient living budget. Some participants even declared that it is moral to live alone, rather than having such fear become real.
Social pressures exist for the fact of not dating or getting married. Several research participants fabricate false dating experiences to avoid such social pressure on 'people who have never been on a date' Some others define such pressure as 'violence' and respond with ignorance and resistance. With male-focused low-wage employment, such pressure displays a unique aspect. The rather virile male fellow employees tend to doubt the sexual orientation and ability of a men who has never dated before, and even exclude him from his male solidarity. Due to a series of social pressure, men who are not in a relationship or in marriage are stimulated with the sense of crisis—'I may not be an ordinary man'
Thes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reated by other men as immature and pitiful. In the same context, an unstable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stimulates the feeling of crises that they are being culled. Especially the lack of economic resources stimulates the sense of crisis in their intimacy domains by shrinking the possibility of love and marriage. The emergence of women who compete with themselves in the labor market further stimulates such sense of crisis and deprivation. Research participants believe that young women are monopolizing on safe, low-wage and easy-to-find office jobs. Research participants who engage in low wage jobs that are more dangerous and require higher labor intensity are experiencing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Some participants believe that these young men of poor class in Korean society in general are subject to indifference. This situation, coupled with the expansion of the social support system of women in particular, are showing aspects of increasing aggravation.
이 논문은 오늘날 한국의 빈곤층 남성들이 연애와 결혼을 포기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빈곤 경험과 남성 생계부양자 정체성이 그들의 남성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려 했다. ‘삼포세대(연애와 결혼, 출산을 포기한 세대)’라는 문제는 최근 한국 사회의 저출산 현상을 분석하는 주요한 담론이었다. 하지만 ‘삼포세대’라는 단어는 현상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다. 경제력과 성별이 연애와 결혼에 미치는 영향을 담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빈곤층 가족에서 태어났고 현재도 빈곤한 상태인 남성들은 ‘연애와 결혼’의 문제에 가장 취약한 이들이다. 이에 그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해 진술하는 바를 분석함으로써 ‘삼포세대’ 문제의 실체에 접근하려고 시도했다. 동시에 그들의 ‘남성성’과 ‘남성위기감’을 분석함으로써 전통적 젠더 질서의 긴장과 변화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은 만성적인 빈곤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지출 최소화 전략’과 ‘가족으로부터의 탈출 전략’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포기’는 그들에게 일종의 삶의 양식으로 간주된다. 생존을 위해 무언가를 포기하는 태도는 연애와 결혼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특히 연애와 결혼이 남성이 주도하는 소비 관행이 됨에 따라 소비력이 부족한 그들이 연애와 결혼을 포기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원가족을 부양해야한다는 책임감 역시 그들이 연애와 결혼을 포기하게 된 중요한 원인이다. 결혼에 대한 서사를 분석했을 때, 그들이 결혼을 포기하게 만든 가장 중요한 요소는 두 가지다. 먼저 경제력이 부족한 남성이 결혼 시장에서 배제될 것이라는 강한 예감이다. 이러한 예감은 그들이 실제 생활에서 체험한 거부의 경험을 통해 확신이 된다. 두 번째는 자신이 생계부양력을 갖추지 못한 채 결혼을 하게 될 경우, 빈곤이 아내와 자녀에게 전이될 것이라는 두려움이다. 일부 참여자들은 그러한 두려움을 현실화하기 보다는, 그저 혼자서 잘 사는 것이 도덕적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연애와 결혼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는 사회적 압력이 존재한다.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연애를 해본 적 없는 사람’에 대한 사회적 압력을 회피하기 위해 가짜 연애 경험을 꾸며낸다. 또는 그러한 압력을 ‘폭력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무시하거나 저항하기도 한다. 남성 중심의 저임금 일자리에서 그러한 압력은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마초적인 남성 동료들은 연애를 해본 적 없는 남자의 성적 지향과 능력에 의문을 품고, 그를 남성 연대에서 배제하기도 한다. 일련의 사회적 압력으로 인해 연애나 결혼을 하지 않는 남성은 ‘내가 정상적인 남성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을 자극받는다.
연구 참여자들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미성숙한 남성, 불쌍한 남성으로 취급받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노동 시장에서의 불안정한 입지는 자신이 도태되고 있다는 위기감을 자극한다. 특히 경제적 자원의 결핍은 거의 연애와 결혼 가능성을 위축시킴으로써 자신이 친밀성의 영역에서도 도태되고 있다는 위기감을 자극한다.
노동 시장에서 자신들과 경쟁하는 여성들의 등장은 그러한 위기감과 박탈감을 더욱 자극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비교적 취업하기가 용이하고 안전한 저임금 사무직이 젊은 여성들에게 독점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위험하고 노동 강도가 높으며 임금이 낮은 직군에 종사하는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상황에 박탈감을 느끼고 있었다. 일부 참여자들은 한국 사회 일반에서 빈곤층 청년 남성들이 무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특히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 제도의 확충과 맞물려 더욱 고조되는 양상을 보인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