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s of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and examine the application effects on child’s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creativity. This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composition system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1-1. What ar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1-2. What is the content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1-3. What 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effects of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on early children’s musical ability?
    2-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on early children’s musical cognitive ability?
    2-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on early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Research Question 1]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literature research, needs analysis, program content organiz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During the literature research stage,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s and research papers on the STEAM, Kodály Teaching Method, child’s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During the demand analysis st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s on the STEAM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Next, this study conducted the expert’s consult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n organized the final program.

    [Research Question 2]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the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75 early children of 5-year age in H and B kindergartens located in G city of Gyeonggi-do province (38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37 children in comparison group). From Oct 4th 2016 till Dec 8th 2016,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30 minutes, total 20 times for 10 weeks for the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and the general music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the children in comparison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on child’s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creativity,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o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COV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contents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musical talent through musical activities and improve the musical expression ability.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contents were developed with the ideas of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musical elements,” and “thinking and expressing creatively in the musical activities.” The education contents of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musical elements” consisted of understanding the musical elements and classifying and analyzing musical elements. The education contents of “thinking and expressing creatively in the musical activities” consisted of suggesting various musical ideas according to the theme, and making original music. Teaching method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situation presentation, emotional experience, creative design, application, and evaluatio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were divided into teacher evaluation and child evaluation, and it was conducted by small and large group, and individual observation evaluation.
    Second, the musical cognitive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points in comparison with that of comparison group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STEAM program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musical cognitive ability development. Also, the musical creativ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points in comparison with that of comparison group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As for the sub-factor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was found in musical fluency, musical originality, and musical imaginativeness.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musical creativity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due to its efficient organization connecting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purpose, go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program is applicable in the field as an alternative early childhood program that w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더보기

    본 연구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1-1.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1.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에서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문헌연구, 요구분석, 프로그램 시안구성, 예비연구의 단계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문헌연구단계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과 코다이 교수법,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창의성 관련 문헌과 논문을 분석하였다.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 음악교육에서 STEAM에 대한 교사의 요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고 전문가 협의와 예비연구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G시에 소재한 H유치원과 Y유치원 만 5세 유아 75명(실험집단 38명, 비교집단 37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2016년 10월 4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10주 동안 주 2회 30분씩 총 20회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일반적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 음악적 창의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음악적 인지능력, 음악적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목적은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적 요소를 탐색하고 이해하여 음악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증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교육목표는 ‘음악적 요소를 탐색하고 이해한다’, '음악활동 과정에서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한다'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교육내용으로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하기'는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기, 음악적 요소를 분류하고 분석하기였다. '창의적 음악 표현하기'는 주제에 따라 다양한 음악적 아이디어 제시하기, 독창적 음악 만들기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상황제시, 감성적 체험, 창의적 설계, 적용 및 평가로 구성하였으며 Kodály의 요소와 STEAM의 요소를 활동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로 구분하였으며, 소집단 및 대집단, 개별적인 관찰 평가로 이루어졌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적 인지능력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적 창의성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음악적 유창성, 음악적 독창성, 음악적 상상력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의 연계성 있는 구성으로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창의성 발달을 촉진하는 유아프로그램으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보기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3. 용어의 정의 8
    • 4. 연구의 제한점 10
    • Ⅱ. 이론적 배경 11
    • 1. STEAM과 유아음악교육 11
    • 1) STEAM의 개념과 구성요소 11
    • 2) A-STEAM의 내용과 방법 18
    • 3) 유아 A-STEAM 교육관련변인 20
    • 2. 코다이 교수법과 유아음악교육 25
    • 1) 코다이 교수법의 개념과 전략 25
    • 2) 국내외 코다이 교수법 관련 교육 프로그램 비교검토 29
    • Ⅲ.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 개발 32
    • 1. 준비단계 34
    • 1) 문헌고찰 34
    • 2) 요구조사 40
    • 2. 설계단계 49
    • 1) STEAM 교육모형설계 49
    • 2) 학습준거와 통합유형 설정 55
    • 3. 개발단계 57
    • 1) 프로그램 시안 구성(목적 목표, 내용, 방법, 평가) 57
    • 2) 프로그램 시안 수정·보완 63
    • 4. 실행단계 73
    • 1) 프로그램 적용 73
    • 5. 평가단계 73
    • 1) 프로그램 평가 및 개선 73
    • 2) 최종 프로그램 완성 77
    • Ⅳ.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 효과검증 84
    • 1. 연구방법 84
    • 1) 연구대상 84
    • 2) 연구도구 85
    • 3) 연구절차 87
    • 4) 자료분석 91
    • 2. 연구 결과 91
    • 1) 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 검증 92
    • 2)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94
    • 3)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99
    • Ⅴ. 논의 및 결론 105
    • 1. 논의 105
    • 1)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105
    • 2)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110
    • 2. 결론 및 제언 111
    • 참고문헌 113
    • 부 록 129
    • <부록 1>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 검사도구 130
    • <부록 2>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검사도구 138
    • <부록 3>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 142
    • ABSTRACT 162
    더보기
    • 1 백병동, "대학음악이론", 현대음악, 서울:현대음악출판사, 2007
    • 2 장은주, "유아음악교육", 양서원, 고양: 공동체, 2013
    • 3 이진우, "유아음악교육", 창지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3
    • 4 전인옥, "유아음악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파 주:양서원, 2009
    • 5 조홍기, "코다이음악교육",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2004
    • 6 이동남, 주대창, 조효임, "(알기쉬운) 음악통론", 학문사, 서울: 학문사, 2002
    • 7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세광음악,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2
    • 8 권덕원, 함희주, 최은식, 석문주, "음악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 과학사, 2006
    • 9 박종윤, 이주연, 최유현, 김영민, 박현주, 한혜숙, 노석구, 정진수,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 중심 교육학회, 11(4), 149-171, 2011
    • 10 김진수, "(융합인재교육) STEAM 교육론", 양서원, 서울: 양서원, 2012
    • 11 김진수,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24-139, 2011
    • 12 정옥분,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4
    • 13 나정, 임미령, 박창현, "OECD가 선정한 5가지 유아교육과정", 공동체, 경기: 공동체, 2011
    • 14 신재한, 이지은,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33, 161-185, 2013
    • 15 김명순, 조경자,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다음세 대, 2001
    • 16 이연승, "누리과정에서 STEAM(융합인재교육)의 방향",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유아교육학 회. 34(1), 327-341, 2014
    • 17 노선희, "STEAM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요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8 김경화, 장기범, "음악영재 개념 명료화를 위한 문헌적 접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음악교육 공학, (20), 55-78, 2014
    • 19 석문주, 최미영, 정지혜, 정다은, "음악 교과 중심의 초등 STEAM 프 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8(2), 365-385, 2014
    • 20 이연승, "누리과정과 창의적 융합인재교육(STEAM) 양성", 한국유아교 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3, 45-57, 2013
    • 21 김민채, 김영연, "다문화 유아음악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신라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22 이선채, "코다이 음악교육철학과 교수법에 관한 연구", 영유아교육학회, 영유아교육연구, 16, 5-20, 2013
    • 23 류청산,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STEAM with United States STEM", 비교교육연구, 25, 65-84, 2015
    • 24 이용일, "초등학생의 미적 인지 발달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 교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25 송윤나,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요소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26 권수미,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 구, 41(2), 67-100, 2012
    • 27 신창식, 이승연, "융합교육(STEAM) 에서의 음악교육 수업자료 개발", 한국감성과학회, 한국감성과학회 춘계학술대회, 2012, 103-104, 2012
    • 28 강문진, "코다이 교수법이 유아의 음악성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29 송제유, "코다이 음악 교수법을 활용한 유아기 음악교육",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30 김미영, "유아 음악적 창의성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31 조대현(DaeHyun Cho), "음악 중심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델 개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음악교육공 학, (31), 21-42, 2017
    • 32 서지현,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한 가창 교육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33 이홍수, "Zoltan Kodaly의 교육이념과 한국음악 교육계의 과제",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 교육연구, 9, 41-55, 1990
    • 34 이홍수, "음악교육의 본질화를 위한 수업 모형의 개발 방향",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 연구, 11, 1-12, 1992
    • 35 송혜리,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유아 음악 교육지도 방안", 원광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36 조현정, "한국과 미국의 유아 STEAM 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37 신인숙, "음악프로젝트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 연구, 21(3), 351-370, 2001
    • 38 전진희,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유아 음악 교육 지도 방안", 한양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39 윤혜자, "국악장단중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40 안혜란, 유미현,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한국영재학회, 영재교육연구, 25(3), 401-420, 2015
    • 41 정지원, "유아음악개념 학습을 위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중앙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42 김권일, 김영옥, 김성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453-485, 2015
    • 43 김은주, "통합적인 음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44 권오선,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덕성여 자대학교 대학원, 2017
    • 45 정다운, "통합적 음악활동을 통한 아동 창의성 신장 실행연구", 미래음악교육학회, 미래음 악교육연구, 1(2), 57-83, 2016
    • 46 김진수(Jinsoo Kim),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 한 국기술교육 학회지, 7(3), 1-29, 2007
    • 47 조향숙, "“현장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연구 보고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2
    • 48 방은영, "유아 음악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49 문대영(Daeyoung Moon), 이은상(Eun-Sang Lee), 임윤진(Yun-Jin Lim), 손다미(Da-Mi Son), 박기문(Gi-Moon Park ), 장용철(Yong-Chul Chang), 이명훈(Myoung-Hoon Lee), 이봉우(Bong-U Lee), 노진아(Jin-Ah Noh), 최유현(Yu-Hyun Choi),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한국기술교육학회 지, 12(3), 63-87, 2012
    • 50 이수민, "수학개념에 기초한 유아 음악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성신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51 이미진 ( Yi Mi-jin ), "유아 STEAM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1(5), 539-570, 2016
    • 52 오지향, 정재은, 하명진, 강선영, "융합인재교육(STEAM)의 중등 음악수업 적용 및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 69-97, 2014
    • 53 김권일, 김영옥, "조옮김을 활용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전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54 지성애,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수학습 모형 개발 효과 분석", 한 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6), 337-369, 2015
    • 55 김남연,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효과", 중 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56 이연승, 조경미, "유아과학교육에서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의 의미고찰",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217-241, 2016
    • 57 이재경 ( Lee Jae-kyung ), 김미애 ( Kim Miai ),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의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351-383, 2016
    • 58 김윤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숭 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59 김보라, 지성애, "STEAM 교육과 누리과정 연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회, 20(3), 5-33, 2016
    • 60 강희정,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 아동들의 음악적 관심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한 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61 김현,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62 황옥경, "창작동요를 활용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 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63 백윤수, 이주연, 최유현, 김영민, 박현주, 한혜숙, 노석구, 정진수,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 과교육학회지, 12(4), 533-557, 2012
    • 64 엄정애, 박미경, 송정,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과 실 행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9(1), 133-158, 2009
    • 65 정현영, "표현활동중심의 유아음악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66 조형숙, 김남연,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6(6), 73-101, 2012
    • 67 엄정애, 송정, "유치원 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인식 및 활동 수행 정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2, 471-491, 2008
    • 68 이순오, "난타활동이 유아의 리듬감 및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69 민경훈,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본 미래형 교육과정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음악응용학회, 음악응용연구, 2, 137-149, 2009
    • 70 이유정,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71 임은혜, "유아가창지도의 전통적 교수법과 코다이 교수법의 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72 함희주 ( Hee Ju Ham ), "독일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융합학습 탐색과 수업사례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12(4), 63-80, 2014
    • 73 문경화, "유아 국악교육 지도를 위한 코다이 음악 교수법의 적용 방 안",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74 강보라,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육아지원학회,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75 김법순,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을 위한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 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76 심성희,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 활동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 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77 안경희, "유아 미술과 과학 통합활동이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78 고영미,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누리과정의 현황과 개선 과제에 관한 토론", 한국유아교육학회, 1, 99-102, 2015
    • 79 권미란, "음악감상활동에서 신체표현이 유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10(1), 45-54, 2001
    • 80 김남연 ( Nam Yun Kim ), 김명정 ( Myoung Jung Kim ), "예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7(3), 107-130, null
    • 81 정희영, "타악기를 활용한 음률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82 정윤희,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83 윤옥한,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 탐색 - 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구, 11(1), 443-474, 2017
    • 84 문준희, 박종률, "국내 분과 발표: 로그를 이용한 수학과 음악 통합학 습 자료의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3(2), 345-349, 2013
    • 85 이상미, "미술감상을 통한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86 이해준, 임수진, "예술중심 STEAM 교육 현황 분석 및 무용중심 STEAM 교육의 방향성 고찰",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5(4), 485-493, 2016
    • 87 장정애, "자연의 소리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88 최지원, "만 5세 유아를 위한 창의적 예술 과학 융합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89 백지혜, 김선영, "과학활동을 통합한 음악 소리활동이 유아의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6), 455-477, 2011
    • 90 장혜법, "STEAM 교육을 활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융합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91 신영희, "신체표현과 연계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92 윤영배, 강보라, "유아교사의 유아음악 관련 직전교육과 교사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음악교육공학, (26), 75-95, 2016
    • 93 권혜진, 유영의, 송선화, "유아음악교육 운영 실태 분석 및 음악환경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73, 309-332, 2012
    • 94 유은숙, "누리과정과 연계한 리듬중심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적용가 능성 탐색", 동덕여자대학교 춘강학술정보관,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95 유윤정,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한 조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 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96 권종애, "동양의 마음이론에 기초한 유아음악 감상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97 이여일, "리듬을 이용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98 김은영, "수학적 과정 중심 교육학습법을 통한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 탐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99 박옥희,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및 정서능력 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100 김은정, 이미진, "유아 STEAM 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할과 교사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1-28, 2016
    • 101 김선정, "코다이 교수법 기반 집단음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복지상담교육연구, 5, 91-117, 2016
    • 102 이윤신, "음악적 요소에 기초한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103 고영자, 김민정, "노래부르기 중심의 통합적 음악 교육 접근이 유아의 음악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72, 63-86, 2012
    • 104 안경숙, 이옥주, "소리에 대한 음악과 과학교육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24, 49-65, 2003
    • 105 김정효, "「미술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STEAM)이 미술과 교육과정 에 주는 시사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C, 8, 2012
    • 106 김은정(Kim, Eun-Jung), 황인주(Hwang In-Ju),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반성적 사고가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27-253, 2010
    • 107 백윤수, 최종현, 이주연, 김영민, 박현주, 노석구, 정진수, "융합인재교 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12",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 108 임부연(Boo Yeun Lim), 김성숙 ( Sung Soug Kim ), 손은경 ( Eun Kyung Son ), "예술적 접근을 통한 유아과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 18(1), 183-212, 2011
    • 109 김광자,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 램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110 전일우 ( Il Woo Jun ), "자연친화적 과학-미술통합 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577-592, 2015
    • 111 박지현,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한 가창 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의 음악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 112 송화진 ( Hwa Jin Song ), 설장미 ( Jang Mi Seol ), "현장 유아음악수업 참여관찰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1), 253-276, 2016
    • 113 고영자,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 인식 및 음악교 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창의력교육연구, 14(4), 27-41, 2014
    • 114 서영민, "패턴중심 음악만들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패턴인지 및 음 악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115 김치곤, 채영란,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2), 289-309, 2014
    • 116 양소영 ( Soh Yeong Yang ), ""각 교과 간 핵심 내용 연계에 따른 초등학교 3,4 학년군 음악과 중심 융합 교육 방안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44(3), 91-110, 2015
    • 117 김애옥, 홍지명, "그림악보를 활용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 능력 및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3(1), 119-135, 2014
    • 118 문경숙, 정진원, 승윤희, "음악교육 관점에서 본 융합인재교육 (STEAM) 정책과 최근의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현황 고찰", 미래음악교육학회, 미래음 악교육연구, 1(1), 41-61, 2016
    • 119 구하라, 함승환, 이선경, 박영석, 문종은, 김시정, 김선아, "융복합교육 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 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107-136, 2013
    • 120 백은주, "융합인재교육 개념에 근거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의 과학과 미술통합 활동 유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34(4), 93-112, 2014
    • 121 김민정, 조형숙, 남기원, "음률활동 중심의 STEAM교육이 유아의 과 학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인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 육학회지, 18(2), 421-445, 2014
    • 122 최예린 ( Ye Lin Choi ), 이하영 ( Ha Young Lee ), 이은형 ( Eun Hyong Lee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 논집, 19(5), 117-142, 2015
    • 123 권희진, "코다이교수법을 적용한 가창수업이 초등학교 2-3학년 학생들 의 리듬감과 선율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7
    • 124 김현 ( Hyun Kim ), 서현 ( Hyun Seo ), "음악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 구, 17(1), 439-475, 2016
    • 125 김낙흥 ( Nak Heung Kim ), 지성애 ( Sung Ae Chi ), 심재연 ( Jae Yeun Shim ), 심현정 ( Hyun Jung Shim ), 이상미 ( Sang Mi Lee ), "미술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공간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5), 3017-330, 2009
    • 126 김미수,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예술교과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중학교 음악교과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음악교육공학, 22, 103-127, 2015
    • 127 이두현 ( Du Hyun Lee ), 박희두 ( Heui Doo Park ), "지리 교과를 기반으로 한 융합인재교육(G-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 적용-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2), 47-64, 2014
    • 128 채영란, "자연탐색활동을 통한 과학-미술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그리기 표상능력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 아교육연구, 33(6), 315-338,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