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효사상에 기반한 화쟁적 태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 Hwajaeng Attitude Scale Development based on Wonhyo’s Thought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연구는 한국의 전통 사상 가운데 화쟁을 잘 이해하여 현실에 적용함으로써 여러 경영 문제의 한국적 해법을 찾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화쟁을 하나의 구성개념으로 보아 개인의 태도 측면에서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화쟁은 신라의 승려인 원효의 대표적인 사상으로서, 그 내용은 서로 다른 의견을 화해시키고 올바른 의견을 가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화쟁의 구성요소는 ‘① 상대방 주장의 변별적 수용, ② 내 주장의 오류 또는 불완전성 인정, ③ 언어의 한계를 이해하고 정확한 언어를 사용하려는 노력, ④ 언어 이면의 배경과 맥락을 파악하려는 노력, ⑤ 통합적인 공동의 궁극적 이익 추구’의 다섯 가지로 파악되었다. 이를 측정하고자 30문항의 설문을 개발하여 개인 차원의 다양성 인식에 대한 6 문항과 함께 인터넷 조사기관에 등록된 패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실한 응답을 제공한 544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형적합도와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성, 그리고 신뢰도의 확보를 확인하였으며, 다양성 인식과의 관련성을 통해 준거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측정도구는 개인의 화쟁적 태도를 측정하여 기업 경영에 활용하기 위한 실증분석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를 통해 화쟁적 태도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맥락에서 다른 변수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기업경영에 유의미한 통찰을 이끌어낼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어서 구성원들의 화
    쟁적 태도 수준을 높이고 팀 또는 조직 차원의 화쟁적 태도 수준에 대해서도 측정하고 관리할 필요성 및 가능성과 관련하여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Korean ideas to come up with solutions to modern-day managerial issues in Korean companies. To this end, we attempted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Hwajaeng.”
    “Hwajaeng” represents the teachings of Wonhyo, a well-known monk of Silla. His teachings emphasized the logic of harmonization through the reconciliation of different views and opinions. From the concept of ‘Hwajaeng’, five components were identified: ‘① discerning acceptance of the other party’s assertion(s) ② recognition of errors or
    imperfections of my own views and assertion(s) ③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of language and efforts to use the most complete words and expressions ④ efforts to grasp the background and context behind the language, ⑤ pursuits of the common ultimate good’. On a 30-item questionnaire of “Hwajaeng’ attitude, together with 6-item
    individual-level diversity perceptions scale, 544 enrolled internet research panelists gave meaningful responses. Following data analysis, the model fit,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With the relation to individuallevel recognition of diversity, criterion validity was also confirmed. Therefore, we find
    that this tool is suitable for measuring the new construct of individuals’ ‘Hwajaeng’ attitude and applying it to practical management for companies. This study has provided a basis for capturing meaningful insights in corporate management in various contexts in which the Hwajaeng attitude/construct can be applied. We then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with regards to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individuals’ Hwajaeng attitude, and of measuring and managing at the team or the organization level.

    더보기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 2 정천구, "화쟁사상의 분쟁해결 적용 가능성 연구" 21세기정치학회 13 (13): 2003
    • 3 이도흠,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한양대출판부 1999
    • 4 김석근,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 한국정치사상학회 16 (16): 171-194, 2010
    • 5 문계완, "한국형 경영이론의 요소와 구축과정" 한국인사조직학회 23 (23): 9-21, 2015
    • 6 손기원, "한국적 경영의 근원에 대한 종단 연구:그 학문적 정초를 위한 시론(試論)" 한국인사조직학회 18 (18): 71-103, 2010
    • 7 윤인진,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특성과 변화:2007년과 2010년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 결과 분석" 분쟁해결연구센터 9 (9): 135-166, 2011
    • 8 신동엽, "한국의 거시조직 및 전략경영 연구 현황:한국형 거시조직 및 전략경영 이론의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23 (23): 23-65, 2015
    • 9 박길성, "한국사회의 갈등지형과 경향" 9 (9): 5-29, 2008
    • 10 홍길표, "한국기업 경영체제의 연구동향 분석 및 한국적 경영체제 특성의 이론화 가능성 모색" 한국인사조직학회 23 (23): 67-98, 2015
    • 11 유철규, "한국 자본주의의 현안과 갇힌 진로: 자본 집중과 사회, 경제적 양극화 그리고 자본 수출과 유휴자본의 누적"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1) : 68-100, 2004
    • 12 Shin, G. W., "한국 민족주의의 계보와 정치" 창비 2009
    • 13 윤인진,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와 대안적 민족주의의 모색" 8 (8): 5-30, 2007
    • 14 조영호, "한국 대기업기업문화의 10년간 변화" 1-32, 2007
    • 15 안옥선, "평등, 자유, 자비의 실천으로서의 ‘화쟁’" 한국철학회 (82) : 69-97, 2005
    • 16 송재용, "퍼펙트 체인지: 한국기업, 전략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라" 도서출판 자의누리 2017
    • 17 이준호, "팀 다양성 효과와 가치공유의 조절기능" 한국인사관리학회 33 (33): 95-125, 2009
    • 18 이찬규, "팀 내 과업갈등과 팀 성과간의 관계: 팀 내 관점수용의 조절역할" 한국인사관리학회 41 (41): 93-112, 2017
    • 19 최유진, "종교다원주의와 원효의 화쟁" 31 : 245-263, 2003
    • 20 이무원, "조직학습이론(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한국인사조직학회 23 (23): 11-32, 2015
    • 21 김세경, "조직원의 다양성 인식과 창의성 및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161-187, 2015
    • 22 김원명, "원효철학에서 일심(一心)과 화쟁(和諍)의 관계" 16 : 117-138, 2008
    • 23 최연식, "원효의 화쟁사상의 논의방식과 사상사적 의미" 보조사상연구원 (25) : 405-462, 2006
    • 24 박성배, "원효의 화쟁논리로 생각해 본 남북통일문제-원효사상의 현실적전개를 위하여: 한국사상과 불교-원효와 퇴계, 그리고 돈점논쟁" 혜안 2009
    • 25 안효성, "원효의 화쟁과 정조의 탕평 비교 연구" 한국철학사연구회 (45) : 9-35, 2015
    • 26 최유진, "원효의 화쟁과 사회통합"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1 (21): 89-106, 2015
    • 27 이상호, "원효의 화쟁(和諍) 사상(思想) 과 통일 정책" 27 : 61-77, 2015
    • 28 이경열, "원효의 의사소통관 : 화쟁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 29 김원명, "원효의 비불교적 배경 시론(試論)" 새한철학회 4 (4): 41-61, 2009
    • 30 김형효, "원효연구논총" 국토통일원 1987
    • 31 이기영, "원효사상의(元曉思想) 특징과 의의-원효사상(元曉思想) 연구노트" 78 : 25-42, 1994
    • 32 최유진, "원효사상연구: 화쟁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출판부 1998
    • 33 김정탁, "원효(元曉)의 의사소통관(意思疏通觀) : 화쟁론(和諍論)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0 (20): 49-82, 2006
    • 34 김상현, "원효(元曉)의 무애행(無碍行)과 화쟁사상(和諍思想)의 현대적 의미" 11 : 1-26, 2009
    • 35 정상봉, "원효(元曉) 화쟁사상(和諍思想)과 그 현대적 의의" 인문학연구원 53 : 201-222, 2012
    • 36 김영일, "원효 화쟁의 판정과 방법" 15 : 169-197, 2008
    • 37 조기룡, "원효 화쟁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전제 조건 고찰 -노사갈등에 대한 화쟁적 이해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43 : 183-215, 2015
    • 38 이근용, "원효 화쟁사상의 현실적 적용과 의의" 한국소통학회 (28) : 154-182, 2015
    • 39 김상현, "원효 화쟁사상의 연구사적검토" 11, 12 : 333-358, 1995
    • 40 박태원, "원효 화쟁사상의 보편 원리" 새한철학회 4 (4): 2004
    • 41 김명희, "원효 화쟁론의 해석학적 접근 - 종교대화원리를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연구원 (38) : 121-161, 2008
    • 42 고영섭, "원효 : 한국사상가 10인" 예문서원 2002
    • 43 박태원, "원효 : 하나로 만나는 길을열다" 한길사 2012
    • 44 이준호, "연구개발팀의 다양성과 응집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역할모델로서 리더기능의 조절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35 (35): 171-197, 2011
    • 45 이준호, "연구개발 집단에서의 갈등과 혁신성과간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의 조절역할" 한국인사관리학회 35 (35): 75-102, 2011
    • 46 이승계, "성과주의 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187-208, 2013
    • 47 이경묵, "성공적인 한국 기업집단의 경영체제 특성과 미래 방향 모색" 한국인사조직학회 22 (22): 1-38, 2014
    • 48 김승용, "불교적 세계관의 경영학적 적용: 개인의 ‘연기(緣起)’적 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24 (24): 77-113, 2016
    • 49 최도림, "다양성에 대한 이론 및 연구 동향과 한국에의 적용 가능성" 한국인사행정학회 11 (11): 111-129, 2012
    • 50 조수동, "다문화와 한국불교의 화쟁사상" 새한철학회 60 (60): 79-98, 2010
    • 51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 52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론과응용"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07
    • 53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과 AMOS16. 0" 법문사 2009
    • 54 이찬규, "과업 갈등과 건설적 비판: 팀 내 신뢰의 조절역할" 한국인사관리학회 39 (39): 89-110, 2015
    • 55 김형효, "元曉의 화쟁적 사유와 대승적 세상보기에 대한 이해"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107-148, 2002
    • 56 이효걸, "元曉의 和諍思想에 대한 재검토" 불교학연구회 4 : 1-34, 2002
    • 57 이기영, "元曉의 和諍思想과 오늘의統一問題" 11, 12 : 447-468, 1995
    • 58 이도흠, "元曉의 和諍思想과 생태이론의 비교철학적 연구" 14 : 11-33, 2001
    • 59 崔裕鎭, "元曉의 和諍思想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 60 김현남, "元曉和諍思想의 現代的 意義" 16 : 327-333, 1991
    • 61 Buswell Jr, R. E., "Wonhyo as Cultural and Religious Archetype : A Study in Korean Buddhist Hagiography" 11 : 79-172, 1995
    • 62 De Dreu, C. K. W., "When too little or too much Hurts: Evidence for a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Innovation in Teams" 32 : 83-107, 2006
    • 63 Zhou, J., "When Jon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44 (44): 682-696, 2001
    • 64 Cho, S., "Understanding of Diversity and Inclusion in a Perceived Homogeneous Culture : A Stud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mong Korean Employees" 32 (32): 100-126, 2008
    • 65 Somech, A., "Translating Team Creativity to Innovation Implementation : The Role of Team Composition and Climate for Innovation" 47 : 662-673, 2011
    • 66 Smith, W. K., "Toward a Theory of Paradox : A Dynamic Equilibrium Model of Organizing" 36 (36): 381-403, 2011
    • 67 Burgoon, J. K., "The unwillingnessto‐communicate scale : Development and validation" 43 (43): 60-69, 1976
    • 68 De Dreu, C. K. W., "The Virtue and Vice of Workplace Conflict : Food for(Pessimistic)Thought" 29 (29): 5-18, 2008
    • 69 Tower, L. E., "The Social Costs of Career Success for Women" 28 : 144-165, 2008
    • 70 Joshi, A., "The Role of Context in Work Team Diversity Research: A Meta-analytic Review" 52 (52): 599-627, 2009
    • 71 Nakui, T., "The Role of Attitudes in Reactions Toward Diversity in Workgroups1" 41 (41): 2327-2351, 2011
    • 72 Shin, G. W., "The Politics of Ethnic Nationalism in Divided Korea" 5 (5): 465-484, 1999
    • 73 사토시게기, "The Logic of Wonhyo’s Harmonization: On the meaning of His Mui-I Bulsuil thought found in the Kumgang Sammaegyoung ron" 11, 12 : 393-399, 1995
    • 74 Richard, O. C., "The Impact of Visible Divers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Disclosing the Contents in Pandora’s Black Box" 8 (8): 265-291, 2002
    • 75 Onkman, W., "The Impact of Task Conflict on Virtual Team Performance and Cohesiveness" 2010
    • 76 Johnson, D. W., "The Handbook of Conflict Resolution: Theory and Practice" Jossey-Bass 2006
    • 77 Nibler, R., "The Effects of Culture and Cohesiveness on Intragroup Conflict and Effectiveness" 143 (143): 613-631, 2003
    • 78 Tjosvold, D., "The Conflict-Positive Organization : It Depends on Us" 29 (29): 19-28, 2008
    • 79 O’Reilly, C. A., "The Ambidextrous Organization" 82 (82): 74-, 2004
    • 80 De Dreu, C. K. W., "Task versus Relationship Conflict, Team performance, and Team Member Satisfaction : A Metaanalysis" 88 (88): 741-749, 2003
    • 81 Simons, T.,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op Management Teams : The Pivotal Role of Intragroup Trust" 83 : 102-111, 2000
    • 82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 1988
    • 83 Tsai, W., "Social Capital and Value Creation : The Role of Intrafirm Networks" 41 (41): 464-476, 1998
    • 84 Schwabenland, C., "Shadows and Light : Diversity Management as Phantasmagoria" 68 (68): 1-24, 2015
    • 85 Feldman, J. M., "Self-generated Validity and other Effects of Measurement o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73 (73): 421-, 1988
    • 86 Milliken F. J., "Searching for Common Threads : Understanding the Multiple Effects of Diversity in Organizational Groups" 21 (21): 402-433, 1996
    • 87 Williams, K. Y.,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0" JAI Press 77-140, 1998
    • 88 Campion, M. A., "Relations between Work Team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 A Replication and Extension" 49 (49): 429-452, 1996
    • 89 Crant, J. M., "Proactive Behaviors in Organizations" 26 (26): 435-462, 2000
    • 90 O’Reilly, C. A.,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Attachment : The Effects of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on Prosocial Behavior" 71 (71): 492-, 1986
    • 91 Robbins, S. P., "Organizational Behavior" Pearson 433-448, 2015
    • 92 Bagozzi, R. P.,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16 (16): 74-94, 1988
    • 93 Reagans, R., "Networks, Diversity, and Productivity : The Social Capital of Corporate R&D Teams" 12 (12): 502-517, 2001
    • 94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Vol. 5)"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1998
    • 95 Mor Barak, M. E., "Managing Diversity:Toward a Globally Inclusive Workplace" Sage Publications 2016
    • 96 Tjosvold, D., "Managing Conflict between Departments to Serve Customers" 45 : 1035-1054, 1992
    • 97 Van der Vegt, G., "Joint Impact of Interdependence and Group Diversity on Innovation" 29 : 729-751, 2003
    • 98 Sabharwal, M., "Is Diversity Management Sufficient? Organizational Inclusion to Further Performance" 43 (43): 1-21, 2014
    • 99 Shore, L. M., "Inclusion and Diversity in Work Groups : A Review and Model for Future Research" 37 (37): 1262-1289, 2011
    • 100 Kossek, E. E., "Human Resource Strategies to Manage Workforce Diversity, Handbook of Workplace Diversity" Sage 2006
    • 101 Park, H. J., "Handbook of Asian Management" Kluwer Academic Publishers 459-474, 2004
    • 102 Tjosvold, D., "Group Risk Taking : The Constructive Role of Controversy in China" 32 (32): 653-674, 2007
    • 103 Avery, D. R., "Engaging the Aging Workforce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ge Similarity, Satisfaction with Coworkers, and Employee Engagement" 92 (92): 1542-1556, 2007
    • 104 Trittin, H., "Diversity as Polyphony : Reconceptualizing Diversity Management from a Communication-Centered Perspective" 144 : 305-322, 2017
    • 105 Sabattini, L., "Diversity Resistance in Organizations" Lawrence Erlbaum 273-301, 2008
    • 106 Ashikali, T., "Diversity Management in Public Organizations and its Effect on Employees’ Affective Commitment :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Inclusivenes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35 (35): 146-168, 2015
    • 107 Isaacs, W., "Dialogue: The Art of Thinking Together" Crown Business 2008
    • 108 Banathy, B. H., "Dialogue as a Means of Collective Communication" Springer 2005
    • 109 Abell, N., "Developing and Validating Rapid Assessment Instru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 110 Scott, S. G.,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37 (37): 580-607, 1994
    • 111 Ashforth, B. E., "Defensive Behaviors in Organizations : A Preliminary Model" 43 (43): 621-648, 1990
    • 112 Cox, T., "Cultural Diversity in Organizations:Theory, Research and Practice" Berrett-Koehler Publishers 1994
    • 113 Ely, R. J., "Cultural Diversity at Work : The Effects of Diversity Perspectives on Work Group Processes and Outcomes" 46 (46): 229-273, 2001
    • 114 Tan, D. L., "Changes in Attitude after Diversity Training" 50 (50): 54-55, 1996
    • 115 Linell, P., "Approaching Dialogue:Talk, Interaction and Contexts in Dialogical Perspectives (Vol. 3)" John Benjamins Publishing 1998
    • 116 Mor Barak, M. E., "A Tool to Exp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of Workforce Diversity : Exploring a Measure of Inclusion-exclusion" 22 (22): 47-64, 1998
    • 117 Jehn, K., "A Multimethod Examination of the Benefits and Detriments of Intragroup Conflict" 40 (40): 256-282, 1995
    • 118 장동희, "21세기 한반도의 통일전략과 원효의 화쟁사상" 16 (16): 57-76, 2006
    • 119 Knights D., "(Mis)managing Diversity : Exploring the Dangers of Diversity Management Orthodoxy, Equality" 35 (35): 5-16, 2016
    • 120 최재목, "'신라정신'의 특징 거론에 대한 성찰" 한국국학진흥원 (20) : 179-202,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rsonnel Administration ->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KCI등재
                2010-0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사관리연구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Personnel Administration Journal ->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6 2.41 4.335 0.59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