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壬辰倭亂 史料叢書 . 1 - 10 , 歷史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volume. vol.1]----------
    • 목차
    • 刊行辭 / 高敬姬
    • 解題 / 姜大杰
    • 일러두기
    • 總目次(第一冊∼第十冊)
    • 自序 = 3
    • 卷之一·懲毖錄 = 7
    • 萬曆丙戌年(宣祖十九年, 一五八六)에 日本國使 橘康廣이 오다. = 7
    • 日本國使 平義智가 오다. = 10
    • 辛卯年(宣祖二十四年, 日五九一) 봄에 通信使 黃允吉과 金誠一 등이 日本을 다녀오다. = 12
    • 倭書에 軍士를 거느리고 明 나라를 치겠다고 하다. = 16
    • 朝廷에서 倭를 근심하여 邊事를 잘 아는 宰臣을 가려 下三道를 巡察하여 대비하다. = 17
    • 井邑縣監 李舜臣을 발탁하여 全羅左道水軍節度使로 삼다. = 18
    • 壬辰年(宣祖二十五年, 一五九二) 봄에 申砬과 李鎰을 나누어 보내 邊備를 巡視하게 하다. = 23
    • 慶尙右兵使 曺大坤을 遞差하고 特旨로 承旨 金誠一을 후임으로 삼다. = 24
    • 十七日, 이른 아침에 邊報가 처음으로 왔는데, 左水使 朴泓의 狀啓이다. = 28
    • 慶尙右兵使 金誠一을 체포하여 下獄시키려다가 도로 招諭使로 삼다. = 31
    • 僉知 金륵을 慶尙左道安集使로 삼다. = 32
    • 賊이 尙州를 함락하고, 巡邊使 李鎰은 싸움에 패하여 忠州로 돌아오다. = 33
    • 右相 李陽元을 守城大將으로 삼다. = 36
    • 大臣이 세자를 세워 인심을 수습하자고 청하다. = 38
    • 同知事 李德馨을 倭軍에 사신으로 보내다. = 38
    • 熒惑이 南斗를 범하다. = 39
    • 賊兵이 忠州에 들어오고 申砬이 맞아 싸우다 패하여 죽다. = 39
    • 四月 三十日, 새벽에 車駕가 西巡하다. = 42
    • 三道巡察使의 군사가 龍仁에서 무너지다. = 51
    • 副元帥 申恪이 賊과 楊州에서 싸워 패퇴시키다. = 52
    • 韓應寅과 金命元의 군사가 臨津江에서 무너지고 賊이 渡江하다. = 54
    • 賊兵이 咸鏡道에 들어오고 두 王子가 賊에게 붙잡히다. = 56
    • 李鎰이 平壤에 이르다. = 59
    • 遼東都司가 鎭撫 林世祿으로 하여금 와서 倭情을 탐지하게 하다. = 61
    • 六月 十一日, 車駕가 平壤을 출발하여 寧邊으로 향하다. = 68
    • 平壤이 함락되고 車駕가 嘉山에 머물다. = 74
    • 車駕가 定州에 머물다. = 77
    • 車駕가 義州에 이르다. = 81
    • 七月, 遼東副總兵 祖承訓이 군사 五千名을 거느리고 도우러 온다는 소식이 오다. = 83
    • 十九日, 祖總兵의 군사가 平壤을 공격하다 下利하여 물러나고 史遊擊이 戰死하다. = 87
    • 全羅水軍節度使 李舜臣 등이 巨濟에서 賊兵을 크게 격파하다. = 88
    • 前 義禁府都事 曺好益이 江東에서 군사를 모집하여 賊을 토벌하다. = 92
    • 賊兵이 全羅道를 침범하자 金堤郡守 鄭湛과 海南縣監 邊應井이 싸우다 전사하다. = 93
    • 八月初一日, 巡察使 李元翼과 巡邊使 李빈 등이 平壤을 공격하다가 불리하여 물러나다. = 94
    • 九月, 天朝의 遊擊將 沈惟敬이 오다. = 95
    • 京畿監司 沈岱가 적의 습격을 받아 朔寧에서 죽다. = 97
    • 江原道 助防將 元豪가 龜尾浦에서 적을 공격하여 섬멸하다. = 99
    • 訓練副奉事 權應銖와 鄭大任 등이 鄕兵으로 永川에서 적을 물리치다. = 100
    • 左兵使 朴晉이 慶州를 收復하다. = 101
    • 各道에서 義兵을 일으켜 적을 토벌하는 사람이 많았다. = 103
    • 李鎰로 巡邊使를 삼고 李빈을 불러 行在所로 돌아가게 하다. = 106
    • 간첩 金順良을 붙잡다. = 107
    • 卷之二·懲毖錄 = 111
    • 十二月, 天朝에서 크게 군사를 일으키다. = 111
    • 李鎰을 巡邊使에서 체차하고 다시 李빈으로 대신하였다. = 116
    • 李提督이 坡州로 진격하여 碧蹄의 남쪽에서 싸웠으나 불리하여 다시 開城으로 돌아오다. = 117
    • 全羅道巡察使 權慄이 幸州에서 적을 격퇴하고 군사를 坡州로 옮기다. = 125
    • 軍糧을 내고 남은 곡식으로 飢民을 구휼하다. = 129
    • 遊擊 沈惟敬이 다시 서울에 들어가서 적을 물러나게 하다. = 131
    • 四月 二十日, 서울을 수복하다. = 136
    • 五月, 李提督이 적을 추격하여 聞慶까지 갔다가 돌아오다. = 138
    • 十月, 車駕가 還都하다. = 143
    • 沈惟敬이 關白의 降表를 가지고 돌아오다. = 144
    • 天使 楊方亨과 沈惟敬이 日本에서 돌아오다. = 150
    • 水軍統制使 李舜臣을 체포하고 下獄하다. = 151
    • 天朝가 兵部尙書 邢개로 總督軍門으로 삼다. = 154
    • 八月 初七日, 閑山의 舟師가 궤멸되고 統制使 元均과 全羅右水使 李億祺가 죽다. = 154
    • 倭兵이 黃石山城을 함락하고 安陰縣監 郭준과 前 咸陽郡守 趙宗道가 죽다. = 158
    • 李舜臣을 다시 三道水軍統制使로 삼다. = 160
    • 倭兵이 南原府를 함락하다. = 160
    • 統制使 李舜臣이 倭兵을 珍島 碧波亭에서 물리치고 賊將 馬多時를 죽이다. = 164
    • 賊兵이 물러가다. = 167
    • 十二月, 楊經理와 麻提督이 騎兵과 步兵 數萬을 이끌고 慶尙道 蔚山의 賊營을 공격하다. = 169
    • 戊戌(宣祖三十一年, 一五九八) 七月, 經理 楊鎬 파직되고 신임 經理 萬世德이 대신하다. = 170
    • 十月, 劉提督이 다시 順天의 賊營을 공격하다. = 171
    • 李舜臣 = 173
    • 統制使가 軍門에 있으면서 갑옷을 벗지 않다. = 175
    • 卷之三·芹曝集 = 177
    • 箚 = 177
    • 論遼東恣兼陳事宜箚 : 壬辰六月在義州(見本集) = 177
    • 陳時務箚 : 壬辰九月 = 177
    • 陳時務箚 : 壬辰十一月在定州(見本集) = 184
    • 陳時務箚 : 癸巳十二月(見本集) = 184
    • 陳時務箚 : 甲午(見本集) = 184
    • 措置沿江屯堡箚 : 乙未(見本集) = 184
    • 陳措置防守事宜兼辭職箚 : 丁酉(見本集) = 185
    • 啓辭 = 185
    • 請遺申할守京城及曉諭四方合力剿賊啓 : 壬辰五月(見本集) = 185
    • 條陳時事啓 : 壬辰六月(見本集) = 185
    • 條陳時事啓 = 185
    • 得病請姑使他大臣料理接待天將事啓 : 壬辰六月十八日在義州 = 185
    • 請不爲還任守令徙邊啓 : 同日 = 187
    • 嚮導天將啓 : 見本集 = 187
    • 定州粮穀添備啓 = 188
    • 龜城粮穀形止及請褒奬自願從軍人啓 : 壬辰七月三日 = 189
    • 糧餉漕運船隻措置啓 = 191
    • 請遣從事官整齊一路추粮啓 = 192
    • 請自行措置粮餉啓 : 壬辰七月六日 = 195
    • 進紀효新書啓 : 癸巳四月二十九日在海州 = 196
    • 請厚待唐人啓 : 癸巳十月 = 198
    • 與戚摠兵問答書啓 : 癸巳十冬(見本集) = 200
    • 條陳時事啓 : 見本集 = 200
    • 請裁省民役以서民力啓 : 癸巳十一月一日 = 200
    • 陳屯田事宜啓 : 癸巳十一月二十二日 = 202
    • 陳陳奏形止便否啓 = 204
    • 請訓鍊軍兵啓 : 甲午春(見本集) = 206
    • 請諸將號令出一啓 = 206
    • 請開鹽鐵之路以足國用啓 = 209
    • 措置忠州上流且於鳥嶺設關屯田啓 : 甲午二月(見本集) = 212
    • 因傳敎陳其事體非便啓 : 甲午二月 = 212
    • 請遣徐성審察賊情乘機行計啓 = 213
    • 請修擧鎭管之制啓 : 同月(見本集) = 215
    • 因備忘記論鍊兵節目啓 : 同月 = 215
    • 請令都元帥집和諸將啓 : 見本集 = 222
    • 陳慶尙道賊勢請以金應瑞爲別將留駐大丘又請促忠淸兵使李時言往慶尙道與諸將同力捕賊啓 = 222
    • 召募邊郡慣戰之士省內地民兵使兵農兼擧且處置降倭啓 : 甲午三月二十九日 = 228
    • 陳遼東回咨措辭啓 = 230
    • 邊方事宜分付都元帥從事官黃汝一啓 = 233
    • 請褒將忠義啓 : 甲午四月(見本集) = 237
    • 勸課種耕査핵守令勤慢啓 : 甲午五月四日 = 238
    • 鳥嶺把守事宜啓 : 同月 = 241
    • 請接待胡參將聽其所言啓 : 甲午五月(見本集) = 243
    • 請因謝恩之行幷爲陳奏啓 : 甲午五月十日 = 244
    • 卷之四·芹曝集 = 247
    • 請破格廣取人才以爲守令邊將啓 = 247
    • 責勵金應瑞高彦伯使協心成事啓 = 249
    • 請諭忠請全羅道兵使申래守禦啓 = 251
    • 條列措置糧餉啓 = 252
    • 申明外方鎭管之制啓 = 257
    • 處置全羅道沿海郡邑啓 = 258
    • 陳爲東征將士陳奏救解啓 = 261
    • 條列戰守機宜啓 : 見本集 = 262
    • 陳鍊軍解弛請令兵曹統領責成因辭訓鍊諸監諸提調啓 = 262
    • 令兵曺專委鍊兵啓 : 見本集 = 265
    • 請廣取人才啓 : 甲午九月(見本集) = 265
    • 請措置糧餉啓 : 見本集 = 265
    • 慶尙道應行事宜啓 : 乙未正月 = 265
    • 柳祖認上疏回啓 : 見本集 = 280
    • 請令諸將曉諭人民勿爲入耕賊陣啓 = 280
    • 措置防守事宜啓 : 乙未(見本集) = 284
    • 請申明訓鍊都監勸課之規啓 : 乙未(見本集) = 284
    • 請遣趙光翼金時若等于忠淸道召募把截啓 : 乙未三月 = 284
    • 陳平安道沿江防守節目便宜啓 : 乙未十一月二十二日 = 288
    • 請具賊情奏聞天朝且請防守濟州南原等邑及凡防春預備啓 = 294
    • 因備忘記論平安道措置事宜啓 : 丙申(見本集) = 299
    • 分付黃海監司李廷암道內防守事宜啓 : 丙申(見本集) = 299
    • 請鎭定人心啓 : 丙申四月 = 300
    • 弘文館箚子回啓 : 丙申四月 = 302
    • 通信使差遣便否啓 = 303
    • 因傳敎論근隨陪臣事啓 : 七月二日 = 305
    • 卷之五·芹曝集 = 309
    • 因忠淸監司書狀論鳥竹兩嶺防守事宜啓 : 此下備邊司啓辭 = 309
    • 因忠淸監司狀啓論抄軍勸農勿使民心騷擾啓 = 311
    • 慶尙道把守事宜指授啓 = 312
    • 因崔彦邦上疏措置忠州屯田啓 = 314
    • 請措置忠淸一路防守啓 = 315
    • 分付全羅道兵農及把截險要啓 = 317
    • 請措置粮餉啓 : 此下軍門啓辭 = 319
    • 請往見南漢山城啓 : 十一月四日 = 320
    • 往見南漢山城後仍請權應元除授實職使之句管山城事啓 : 十一月八日 = 321
    • 送從事官于各道申勅軍兵啓 : 丙申正月四日 = 323
    • 請出京畿右防禦使啓 : 見本集 = 324
    • 請平安道煮鹽屯田以補軍餉啓 : 二月 = 324
    • 請以安集都監農牛分給鎭江壺串入耕人啓 = 326
    • 經理四方事務啓 : 四月 = 327
    • 請以鍾樓破鍾鑄大砲啓 = 331
    • 請修葺石城山城仍添補牛糧屯田啓 = 332
    • 請出糧料判官措置糧餉啓 = 333
    • 因鴻山賊報請邊應星仍任防禦使進駐婆娑等處以察警備啓 : 七月九日 = 334
    • 請徵兵把守各處啓 : 七月十日 = 336
    • 請徵黃海道束伍軍入衛京師啓 = 336
    • 請澄汰不治守令以蘇殘邑啓 = 337
    • 請以文官之有才計者爲南兵使啓 = 338
    • 右防禦使吳應鼎遞差啓 = 340
    • 論平安道出身防守之弊啓 = 341
    • 措置龍津事啓 = 344
    • 請金壽男婆娑守城將差定事啓 = 345
    • 請差送助防將與防禦使協守江灘啓 = 347
    • 卷之六·辰巳錄 = 349
    • 馳啓賊兵形止及請抄發軍卒馳救平壤狀 : 壬辰六月 = 349
    • 馳啓見唐人問答緣由因奔問起居狀 : 壬辰六月十三日 = 351
    • 遣從事官辛慶晉起居行在狀 : 壬辰六月十四日 = 356
    • 馳啓平壤賊勢狀 : 六月十六日久在嘉山控江亭時大駕次博川 = 357
    • 林畔驛唐將分付李빈事及路逢忠淸道書狀陪持人上送發遣從事官洪宗祿看守龜城倉穀狀 : 六月 = 358
    • 所串驛陳運糧便宜及請咸從校生崔忠國等褒賞聳勸狀 : 七月八日 = 361
    • 請遣宰臣一人收拾平壤以東軍兵狀 = 363
    • 一路軍糧措置緣由及留定州調病前進狀 : 七月十三日 = 363
    • 馳啓牙山糧船到泊緣由及發遣曹好益召募江東等處軍兵且請洪世恭勿遞調度使仍舊察任狀 : 同日 = 365
    • 有旨祗受及使洪世恭往安州催運糧餉狀 : 壬辰七月十三日在定州 = 368
    • 天兵過安州事及預備牛酒호餉天兵狀 : 七月十七日 = 369
    • 天兵進攻平壤不利史遊擊戰死狀 : 十八日 = 372
    • 處置靑龍浦軍糧狀 : 七月十九日 = 373
    • 天兵退駐控江亭緣由狀 = 374
    • 安州留住唐把總二人還歸狀 : 七月二十日 = 377
    • 措置軍糧以待天兵再擧及發遣體探人分往黃海咸鏡道與移文雲山郡守成大業等招集武士狀 = 379
    • 馳啓順安軍進攻平壤狀 : 八月二日 = 381
    • 査報軍糧見在數狀 = 383
    • 探報黃海道各處人民起兵討賊緣由狀 : 八月三日 = 385
    • 急請天兵討賊狀 : 八月 = 388
    • 料理軍糧狀 : 八月九日 = 390
    • 請以李賢爲召募官送于黃海道狀 : 八月九日 = 393
    • 馳啓我軍與賊接戰事狀 : 壬辰八月十一日 = 395
    • 馳啓我軍進戰得捷軍物輸送狀 : 八月十四日 = 397
    • 馳啓黃州牧使金進壽捕賊緣由及速請天兵狀 = 398
    • 有旨祗受糧穀分付處置後發還狀 : 壬辰八月 = 399
    • 卷之七·辰巳錄 = 403
    • 馳啓北道聲息且請取來南方箭竹以備戰用狀 = 403
    • 馳啓見沈遊擊論事狀 = 408
    • 沈遊擊過去後有旨祗受狀 = 411
    • 馳啓沈遊擊馮相公所言狀 = 412
    • 乞東宮移駐江華以通南方形勢狀 : 壬辰(見本集) = 414
    • 有旨祗受後馳報賊情及北道賊勢狀 : 壬辰八月 = 414
    • 馳啓沈遊擊行止及糧穀分付狀 : 九月二日在安州 = 419
    • 馳報沈遊擊與倭問答狀 : 見本集 = 421
    • 呈稟沈遊擊指意後分付各陣狀 : 壬辰九月 = 421
    • 馳啓賊形勢狀 = 424
    • 請差出朝臣一人句管江華糧穀狀 : 壬辰九月 = 425
    • 請收學田寺位海澤田稅以補軍餉且多造火車以備戰用狀 : 壬辰九月十四日 = 425
    • 馳啓驛路之弊且請修葺山城以爲保守狀 : 壬辰九月十四日 = 428
    • 請修葺山城淸野入保且移置海邊列邑之穀於宣川木彌島以備不虞狀 : 壬辰九月 = 431
    • 馳啓糧餉措置狀 : 九月 = 434
    • 條陳四方形止處置失宜狀 : 十月 = 435
    • [volume. vol.2]----------
    • 목차
    • 卷之八·辰巳錄 = 3
    • 條陳討賊機務狀 : 壬辰十月 = 3
    • 乞速行軍賞以慰將士之心且平壤判官李應해仍任狀 : 壬辰十月二日 = 10
    • 馳啓分付諸將乘機激截事及往探唐兵消息請輸送軍器狀 : 壬辰十月九日 = 11
    • 京城之賊添到平壤狀 : 壬辰十月十九日 = 14
    • 天兵進取平壤分道便宜狀 : 壬辰十月 = 16
    • 乞措置海島狀 : 見本集 = 18
    • 安州請遣助防將狀 : 見本集 = 18
    • 黃海道一路軍糧措備狀 : 壬辰十月 = 18
    • 馳啓糧餉措置事宜及請唐兵糧料減省且定朝臣一人以管支給之任調度使洪宗祿在喪其代差送狀 = 19
    • 往視順安軍還到永柔馳啓狀 : 見本集 = 22
    • 沈遊擊過去辭緣及分付諸陣將爲進초大兵出來與否速爲探問指揮狀 = 22
    • 論報賊勢狀 : 壬辰十一月 = 25
    • 馳啓北道賊勢請巡察使宋言愼姑爲仍任以鎭人心狀 : 壬辰十一月 = 29
    • 論李鎰代李빈事未便宜狀 : 見本集 = 31
    • 法守正全勝所言天兵出來形止可疑狀 : 見本集 = 31
    • 有旨祗受狀 : 十二月六日 = 31
    • 祗受體察之命兼陳賊勢狀 : 見本集 = 32
    • 獲賊諜金順良囚安州狀 : 十二月 = 32
    • 請留金良瑞措置安州守城狀 = 35
    • 論沈遊擊與賊講解狀 : 見本集 = 37
    • 進取軍機遲速狀 : 壬辰十二月 = 37
    • 大軍到安州見李提督議軍事狀 : 癸巳正月三日 = 40
    • 馳啓天兵過安州分付黃海道糧餉狀 = 42
    • 馳啓天兵過肅川形止狀 = 44
    • 馳啓天兵進攻平壤形止及請罷安州牧使李民覺代以林仲樑狀 : 正月七日 = 46
    • 請分遣鄭希玄朴名賢等軍以防北路狀 = 47
    • 卷之九·辰巳錄 = 51
    • 馳啓天兵已入平壤狀 : 正月八日 = 51
    • 平壤已復馳啓東宮狀 : 見本集 = 51
    • 平壤賊遁形止狀 = 52
    • 隨天兵到開城府及臨津浮橋狀 = 54
    • 處置金敬老稟旨狀 = 55
    • 馳啓京畿以後糧料難辦緣由及提督自欲賑救飢民狀 : 癸巳正月二十五日 = 57
    • 馳報李提督進軍碧蹄不利還駐東坡及請輸運唐糧以濟大事狀 : 正月二十九日 = 62
    • 馳啓天兵自東坡又退開城府狀 = 67
    • 請急速輸運唐糧狀 : 癸巳二月一日 = 69
    • 提督還軍開城府狀 : 二月三日 = 71
    • 請急運唐糧狀 : 二月九日 = 73
    • 陳賑恤飢民狀 : 見本集 = 76
    • 提督分送六千兵還守平壤狀 : 二月十日 = 76
    • 辭免兼察軍務狀 : 二月十一日 = 77
    • 天將已定旋師非緣糧餉乏絶狀 = 78
    • 馳啓賊兵犯全羅監司權慄陣敗退狀 = 80
    • 有旨祗受後馳報糧料措置緣由狀 : 二月二十一日 = 83
    • 馳啓京城賊勢速請提督進초狀 : 癸巳三月二十日在東坡 = 85
    • 馳啓北賊盡聚京城我軍設伏截殺緣由及糧餉乏絶狀 : 癸巳二月十三日 = 89
    • 卷之十·辰巳錄 = 95
    • 有旨祗受後馳啓賊勢及防禦形止狀 : 二月十日後 = 95
    • 料理軍餉狀 : 三月五日 = 96
    • 論京城賊勢且節制諸將各有統屬處處截邀仍乞請宋經略送南方精卒于忠淸等道使先초滅漢江以南屯守之賊以斷賊歸路狀 : 癸巳月五日 = 100
    • 倭書上送狀 : 癸巳三月七日在東坡 = 108
    • 馳啓王參將欲送探漢南賊勢狀 : 同日 = 111
    • 馳啓兩湖事勢危迫參酌處置狀 : 癸巳三月十日在東坡 = 113
    • 論軍糧民食狀 : 見本集 = 117
    • 天兵退駐平壤後條陳軍中事宜狀 : 見本集 = 117
    • 賑救飢民狀 : 見本集 = 117
    • 有旨祗受後論碧蹄敗北緣由狀 = 117
    • 馳啓我軍糧盡緣由且請寬恤遺民狀 : 三月十日 = 120
    • 賊中出來書封上送狀 : 癸巳三月十六日在東坡 = 124
    • 附金千鎰書狀 = 132
    • 卷之十一·辰巳錄 = 141
    • 有旨祗受後仍論行間以離賊黨事宜狀 : 同日 = 141
    • 軍人等軍功論賞狀 : 癸巳三月十九日在東坡 = 142
    • 沈遊擊自賊中出來狀 : 同日 = 144
    • 請各道經變郡邑聖廟位版各定士人奉守以待事定狀 : 癸巳三月 = 147
    • 馳啓賊勢狀 : 癸巳三月二十二日 = 148
    • 見賊陣出來王子書仍與査將論賊勢狀 : 癸巳三月二十四日 = 150
    • 王遊擊答書上送且使李山謙進去親論초擊漢南賊屯形勢於提督狀 : 癸巳三月二十六日 = 155
    • 論초擊南路賊屯事宜狀 : 同日 = 157
    • 馳啓宣諭官李貴募粟辭緣及姑留李貴爲從事官狀 : 癸巳三月二十七日 = 158
    • 馳啓我軍勝捷狀 : 癸巳三月二十九日 = 160
    • 有旨祗受後自劾狀 : 四月七日 = 162
    • 馳啓靖陵賊變狀 : 四月九日 = 169
    • 馳啓提督所爲狀 : 四月十一日 = 172
    • 馳啓捷報狀 : 四月十二日 = 173
    • 請李箕賓依律定罪狀 : 同日 = 175
    • 馳啓周參將往入賊陣緣由及慶尙道倭賊添來狀 : 同日 = 178
    • 馳啓募得忠勇人移安靖陵수의狀 : 四月十六日 = 181
    • 馳啓提督所爲狀 : 同日 = 184
    • 請速懇請於經略以圖進兵狀 : 四月十九日 = 189
    • 卷之十二·辰巳錄 = 191
    • 馳啓與天將論講和非計狀 : 癸巳月十九日 = 191
    • 馳啓軍功狀 : 同日 = 196
    • 馳啓提督發向京城隨後前進狀 : 四月二十一日在臨津 = 198
    • 隨天將入城後馳啓城中形止及分付諸將邀截賊兵狀 : 四月二十一日 = 199
    • 分付諸人收拾京城狀 : 四月二十三日在京城 = 202
    • 馳啓天將禁집我軍不得追賊狀 : 同日 = 203
    • 奉審松山靖陵靈幄狀 : 四月二十三日在京城 = 208
    • 病未南下狀 : 五月十五日 = 209
    • 馳啓天將驅迫諸將使不得追擊狀 = 210
    • 料理糧餉且請急時募粟狀 : 六月十二日在京城 = 212
    • 乞抄擇精兵以爲後圖狀 : 見本集 = 215
    • 請倣浙江器械多造火포諸具以備後用狀 : 見本集 = 215
    • 募京城軍卒鍊習浙江火포狀 : 見本集 = 215
    • 請修葺山城以爲戰守之計且愼擇守令以收人心狀 : 六月十三日 = 216
    • 請募兵鍊習因乞遞免狀 = 225
    • 卷之十三·辰巳錄 = 229
    • 病後南下狀 : 六月二十日 = 229
    • 馳啓慶尙道賊勢危急狀 : 六月二十日 = 230
    • 馳啓晉州陷城狀 : 七月五日 = 236
    • 馳啓晉州陷沒後本道事勢危迫狀 : 七月八日 = 238
    • 慶尙道賊勢危急請速具由奏聞天朝狀 : 七月 = 243
    • 請具兩南危急之狀求救於經略提督且戶曹判書李誠中身死其代速爲差送狀 : 七月十一日 = 245
    • 馳啓晉州城陷曲折狀 : 七月十五日 = 249
    • 承召命發向上道狀 = 256
    • 請車駕早還京都以答四方옹望之心狀 : 七月 = 256
    • 馳啓賊勢方急姑留本道待都元帥來到後上去狀 : 七月 = 258
    • 馳啓都元帥已到卽時發行上去狀 = 260
    • 請軍威縣監柳澈仍任狀 = 261
    • 以病請鐫罷職名狀 : 八月十六日 = 262
    • 請煮鹽賑救飢民狀 : 八月(見本集) = 265
    • 封上吳遊擊書兼陳禦賊形勢狀 : 見本集 = 265
    • 請下送譯官照察天兵放糧及發下三道奴婢貢布授衣天兵狀 : 見本集 = 265
    • 請急遣調度重臣句管糧餉事及誅長興府使柳希先以肅軍律狀 : 見本集 = 265
    • 陳運糧之弊狀 = 265
    • 松山所安靖陵玉體奉審後馳啓狀 : 八月 = 273
    • 卷之十四·辰巳錄 = 275
    • 陳慶尙道防守形勢狀 : 癸巳九月 = 275
    • 有旨祗受後仍請解職歸見老母狀 : 甲午冬 = 276
    • 陳修築南漢山城狀 : 丁酉二月二日在龍津 = 279
    • 請修設婆娑城外更爲措置楊根山城狀 = 281
    • 請楊根郡守崔輔臣勿推仍任狀 : 二月 = 283
    • 陳京畿編伍軍及城柵措置形止且請水原判官趙撥論賞仍給印信狀 = 285
    • 請把總哨官計仕遷轉激觀人心狀 = 287
    • 請軍人試才優等及大포能中者論賞狀 = 290
    • 査啓守令能否狀 = 291
    • 請兼防水路副使盧稷幷爲出送狀 : 丁酉八月 = 293
    • 請舍陰竹竹山先爲措置驪州防守且右防禦使速爲差送狀 : 八月十一日 = 296
    • 待京城上流防守器具粗備後巡審江華海道狀 : 丁酉八月 = 300
    • 請以黃海道出身二百名分守上流及京中軍器優數下送狀 = 301
    • 馳啓慶尙道軍兵事及柳永慶改稱分戶曹狀 : 十二月 = 303
    • 馳啓提督經理迎候事及軍糧形止狀 = 306
    • 馳啓吳總兵軍中流言事狀 = 309
    • 以楊經理言請鐫黜職名狀 : 丁酉冬 = 311
    • 以經理分付催督大丘糧軍緣由狀 = 315
    • 馳啓運糧形止及天兵進攻蔚山賊陣勝捷狀 : 十二月二十五日在慶州 = 317
    • 馳啓天兵進攻蔚山與賊相持狀 = 318
    • 馳啓賊窟形止及軍兵死傷狀 = 319
    • 天兵退來緣由馳啓狀 : 戊戌正月四日在慶州 = 322
    • 天兵退後處置諸事狀 = 323
    • 天兵退後慶州蔚山軍人擊斬賊首狀 = 326
    • 承有旨處置道內軍民後上去狀 : 見本集 = 328
    • 調度使成安義非緣厭避職事狀 = 328
    • 卷之十五·軍門謄錄 = 331
    • 序 = 331
    • 通諭四道巡察使文 = 331
    • 移京畿敎鍊軍兵文 : 乙未十月八日 = 334
    • 移京畿黃海道軍務文 : 同月十九日 = 336
    • 移京畿黃海觀察使文 = 339
    • 移平安道巡察節度使文 = 342
    • 移京畿巡察使南漢山城設倉文 : 同月二十三日 = 347
    • 移咸鏡道巡察使及南兵使文 = 348
    • 移平安道節度使文 : 同月二十九日 = 350
    • 移黃海道巡察使所江僉使文 : 十一月二十日 = 355
    • 移京畿巡察使文 = 357
    • 移京畿巡察使文 : 同月二十一日 = 362
    • 移京畿巡察使文 : 十二月十八日 = 363
    • 編伍事目 = 365
    • 附管子內政篇 = 370
    • 移京畿巡察使文 = 372
    • 約束守令將官文 : 丙申正月三日 = 375
    • 移咸鏡道巡察使南北兵使文 = 381
    • 移黃海道巡察使文 = 383
    • 移京畿防禦使各營將文 : 同月九日 = 386
    • 移水原府文 : 二月一日 = 387
    • 移平安道監兵使文 = 390
    • 移京畿巡察使文 : 三月十六日 = 395
    • 移四道巡察使文 : 四月四日 = 396
    • 移平安道巡察使文 = 398
    • 分付從事官應行事宜條 = 399
    • 卷之十六·軍門謄錄 = 409
    • 移京畿巡察使左右防禦使文 : 五月一日 = 409
    • 移京畿黃海道巡察使文 = 412
    • 移黃海道觀察使文 = 414
    • 移咸鏡道巡察使北海兵使文 = 417
    • 移京畿巡察使文 = 419
    • 移京畿巡察使文 : 五月二十八日 = 421
    • 移黃海道巡察使文 : 六月二十九日 = 423
    • 移黃海道巡察使文 = 426
    • 移咸鏡道監兵營文 : 七月四日 = 428
    • 移京畿巡察使文 = 429
    • 移黃海道巡察使文 = 431
    • 移黃海道巡察使文 = 432
    • 移平安道巡察使兵使文 = 434
    • 移京畿黃海道巡察使文 = 442
    • 移四道巡察使兵使文 = 443
    • 移咸鏡道巡察使南北道兵使文 = 445
    • 移黃海道巡察使文 = 448
    • 諭黃海道巡察使文 = 451
    • 諭黃海道巡察使文 = 452
    • 諭京畿左防禦使文 = 455
    • 諭京畿右防禦使文 = 455
    • 約束京畿巡察使左防禦使文 = 457
    • 移京畿水使文 = 461
    • 移京畿巡察使修築南漢山城文 = 462
    • 書軍文謄錄後 = 466
    • 錄後雜記 = 469
    • [volume. vol.3]----------
    • 목차
    • 刊行辭 / 高敬姬
    • 解題 / 姜大杰
    • 李忠武公全書
    • 綸音 = 3
    • 壬子七月二十六日 = 3
    • 壬子八月十九日 = 7
    • 癸丑七月二十一日 = 20
    • 御製神道碑銘幷序 = 35
    • 總目 = 83
    • 卷首 = 83
    • 卷首目錄 = 87
    • 敎諭 = 91
    • 授正憲大夫敎書 = 91
    • 遣宣傅官勞軍敎書 = 95
    • 授三道統制使敎書 = 99
    • 遣兵曹佐郞勞軍호饋敎書 = 101
    • 起復授三道統制使敎書 = 104
    • 策宣武元勳敎書 = 106
    • 命從水路激襲賊船諭書 = 112
    • 命與元均合勢攻賊諭書 = 112
    • 陞資憲大夫諭書 = 113
    • 命率舟師截賊歸路諭書(四) = 114
    • 命聽候經略諭書 = 116
    • 命整船초賊諭書 = 116
    • 命依經略言先焚釜山諭書 = 117
    • 命授副摠節制諭書 = 117
    • 命迭休水兵諭書 = 118
    • 命進鳥銃諭書(三) = 118
    • 命從權諭書 = 119
    • 賜祭文 = 120
    • 英廟御製賜祭文(二) = 120
    • 當저御製古今島遺祠賜祭文 = 121
    • 當저御製贈領議政後賜祭文 = 122
    • 卒逝後賜祭文 宣廟朝 = 123
    • 錄勳後賜祭文 宣廟朝 = 125
    • 忠愍祠賜祭文 宣廟朝 = 126
    • 露梁忠烈祠賜額祭文 顯廟朝 = 126
    • 溫泉行幸時賜墓祭文 顯廟朝 = 128
    • 顯忠祠賜額祭文 肅廟朝 = 129
    • 溫泉行幸時賜墓祭文 肅廟朝 = 131
    • 忠愍祠賜祭文英廟朝 = 132
    • 溫泉行幸時賜墓祭文英廟朝 = 134
    • 圖說 = 137
    • 世譜 = 159
    • 年表 = 167
    • 卷之一 = 191
    • 目錄 = 191
    • 詩 = 193
    • 贈別宣水使居怡 = 193
    • 無題六韻 = 193
    • 閑山島夜吟 = 194
    • (附)追和諸作 / 洪處亮 = 194
    • 又 / 南龍翼 = 194
    • 又 / 柳赫然 = 194
    • 又 幷序 / 李유 = 195
    • 又 / 申翼相 = 196
    • 又 / 李寅煥 = 196
    • 又 / 任奎 = 197
    • 又 / 趙持謙 = 197
    • 又 / 李喜龍 = 197
    • 又 / 李寅賓 = 198
    • 又 幷序 / 尹拯 = 198
    • 又 / 李여 = 199
    • 又 / 李濡 = 199
    • 又 / 趙相愚 = 200
    • 又 幷序 / 李墩 = 200
    • 又 / 任弘望 = 201
    • 又 / 兪集一 = 201
    • 又 / 閔鎭遠 = 202
    • 又幷序 / 宋徵殷 = 202
    • 又 / 趙湜 = 204
    • 又 / 李三碩 = 205
    • 又 / 呂必容 = 205
    • 又 / 吳命峻 = 205
    • 又 四首 / 任弘亮 = 205
    • 又 / 李畯 = 207
    • 又 / 金유 = 208
    • 又 / 李聖肇 = 208
    • 又 / 李之綱 = 208
    • 無題一聯 = 208
    • (附)題跋 / 李瑞夏 = 209
    • (附)題跋 / 宋時烈 = 210
    • 閑山島歌 = 211
    • 雜著 = 212
    • 劒銘 二首 = 212
    • (附)次劒銘 二首 / 趙相愚 = 212
    • 上體察使完平李公元翼書 = 213
    • (附)答書 = 216
    • 答陳都督璘書 = 216
    • (附)原書 = 216
    • 上某叔書 = 217
    • 上某人書(二) = 217
    • 與某姪書 = 220
    • 答譚都司宗仁禁討牌文 = 221
    • 祭贈參判鄭運文 = 224
    • 讀宋史 = 225
    • 約束各營將士文 = 226
    • 卷之二 = 231
    • 目錄 = 231
    • 狀啓一 = 231
    • 因倭警待變狀(三) = 231
    • 赴援慶尙道狀(三) = 236
    • 玉浦破倭兵狀 = 248
    • 唐浦破倭兵狀 = 265
    • 見乃梁破倭兵狀 = 296
    • 移劃軍糧狀 = 318
    • 釜山破倭兵狀 = 319
    • 被圍倭兵逃還狀 = 332
    • 請鄭運追配李大源祠狀 = 333
    • 封進紙地狀 = 335
    • 裝送戰穀狀 = 335
    • 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 337
    • 裝送戰穀及方物狀 = 342
    • 卷之三 = 345
    • 目錄 = 345
    • 狀啓二 = 349
    • 請賜硫黃狀 = 349
    • 分送義僧把守要害狀 = 350
    • 請令流民入接突山島耕種狀 = 352
    • 令水陸諸將直도熊川狀 = 353
    • 討賊狀 = 355
    • 統船一소傾覆後待罪狀 = 363
    • 請舟師屬邑守令專屬水戰狀 = 364
    • 請光陽縣監魚泳潭仍任狀 = 366
    • 申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 370
    • 請湖西舟師繼援狀(二) = 372
    • 逐倭船狀 = 376
    • 陳倭情狀 = 378
    • 封進火砲狀 = 389
    • 條陳水陸戰事狀 = 391
    • 登聞被擄人所告倭情狀 = 395
    • 封進倭銃狀 = 407
    • 還營狀 = 407
    • 登聞擒倭所告倭情狀 = 411
    • 請以魚泳潭爲助防將狀 = 417
    • 請下納鐵公文兼賜硫黃狀 = 418
    • 請以文臣差從事官狀 = 419
    • 請沿海軍兵糧器全屬舟師狀 = 420
    • 請設屯田狀 = 426
    • 請舟師所屬邑勿定陸軍狀 = 428
    • 請於陣中試才狀 = 430
    • 請沿海軍兵糧器勿令遞移狀 = 432
    • 卷之四 = 435
    • 目錄 = 435
    • 狀啓三 = 439
    • 封進僧將僞帖狀 = 439
    • 請以裵慶男屬舟師狀 = 440
    • 請量處水陸換防事狀 = 442
    • 闕防守令依軍法決罪狀 = 446
    • 陳倭情狀 = 448
    • 便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 451
    • 還陣狀(二) = 454
    • 請改差興陽牧官狀 = 457
    • 請禁沿邑水陸交侵之弊事狀 = 459
    • 請忠淸水軍節度使催促到陣狀 = 462
    • 請罪遲留諸將狀 = 464
    • 請賞義兵諸將狀 = 468
    • 請賞呂島萬戶金仁英狀 = 469
    • 請措劃軍粮狀 = 469
    • 陳倭情狀 = 470
    • 唐項浦破倭兵狀 = 478
    • 請罪過期諸將狀 = 489
    • 設武科別試狀 = 493
    • 哨探倭兵狀 = 495
    • 陳倭情狀 = 497
    • 舟師所屬諸將休番狀 = 505
    • 請罪關防諸將狀 = 506
    • 封進鳥銃狀 = 509
    • 請防踏僉使擇差狀 = 509
    • 請忠淸戰船刻期回泊狀 = 509
    • 請送醫救려狀 = 510
    • [volume. vol.4]----------
    • 목차
    • 卷之九 = 3
    • 目錄 = 3
    • 附錄一 = 5
    • 行錄 / 李芬 = 5
    • 行錄 / 洪翼賢 = 70
    • 卷之十 = 73
    • 目錄 = 73
    • 附錄二 = 75
    • 行狀 / 崔有海 = 75
    • 諡狀 / 李植 = 104
    • 全羅左水營大捷碑 / 李恒福 = 127
    • 鳴梁大捷碑 / 李敏서 = 132
    • 露梁廟碑 / 宋時烈 = 137
    • 神道碑 / 金堉 = 144
    • 高和島遺墟碑 / 南九萬 = 163
    • 制勝堂遺墟碑 / 鄭基安 = 167
    • 戰勝臺碑 / 趙明鼎 = 168
    • 卷之十一 = 173
    • 目錄 = 173
    • 附錄三 = 175
    • 忠愍祠記 / 李恒福 = 175
    • 忠愍祠記 / 朴承宗 = 193
    • 統制營忠烈祠記 / 宋時烈 = 197
    • 統制營忠烈祠碑陰記 / 宋時烈 = 199
    • 東嶺小碣記 / 沈仁祚 = 200
    • 東嶺小碣陰記 / 南九萬 = 202
    • 墓表陰記 / 李이命 = 204
    • 古今島遺祠記 / 李이命 = 206
    • 制勝堂記 / 趙顯命 = 211
    • 忠烈祠重修記 / 李鳳祥 = 214
    • 忠愍祠齋室記 / 李命祥 = 217
    • 制勝堂重修記 / 李泰祥 = 219
    • 家乘序 / 李여 = 221
    • 家乘跋 / 李이命 = 224
    • 家乘跋 / 李汝玉 = 226
    • 狀啓草本跋 / 李泰祥 = 228
    • 祠院錄 / 尹行恁 = 229
    • 忠愍祠 = 230
    • 忠武祠 = 232
    • 忠烈祠(二) = 234
    • 顯忠祠 = 235
    • 遺祠 = 236
    • 遺廟 = 238
    • 月山祠 = 238
    • 遺愛祠 = 240
    • 忠孝堂 = 240
    • 草廟 = 240
    • 卷之十二 = 243
    • 目錄 = 243
    • 附錄四 = 247
    • 伸救箚 / 鄭琢 = 247
    • (附)後誌 / 李여 = 255
    • 與李統制書 / 鄭士信 = 256
    • 祭李統制文 / 陳璘 = 258
    • 祭李統制文 / 吳允謙 = 259
    • 祭李忠武墓文 / 閔維重 = 263
    • 顯忠祠奉安祭文 / 閔鎭厚 = 264
    • 顯忠祠上樑文 / 任弘亮 = 265
    • 龜船頌 / 李秉模 = 276
    • 牙笏銘 / 李秉模 = 280
    • 金帶銘 / 李秉模 = 280
    • 金盃銘 / 李秉模 = 281
    • 宣諭閑山島呈李統制 / 趙彭年 = 281
    • 唐浦呈李統制 / 丁景達 = 282
    • 挽李統制 / 李수光 = 287
    • 左水營 / 李수光 = 287
    • 忠愍祠 / 李수光 = 287
    • 忠愍祠 / 丁運熙 = 288
    • 哀李統制 / 柳成龍 = 288
    • 伏波館 / 尹棨 = 289
    • 寧波堂 / 尹棨 = 289
    • 感李統制 / 尹棨 = 290
    • 次尹忠簡公韻 / 李景義 = 290
    • 悼李將軍 / 車天輅 = 291
    • 哀李忠武 / 趙慶男 = 292
    • 題露梁忠烈祠 / 李誠胤 = 292
    • 讀忠武公行狀有感 / 趙克善 = 293
    • 過統制使李公墓 / 朴○ = 293
    • 哀李統制 / 崔有淵 = 294
    • 太平亭 / 李慶全 = 297
    • 題忠愍祠 / 洪宇遠 = 297
    • 露梁弔李統制 / 孟胄瑞 = 302
    • 自永登浦乘船向統營 / 金昌協 = 304
    • 弔李將軍 / 李이命 = 305
    • 忠烈祠 / 趙顯命 = 306
    • 忠烈祠 / 鄭益河 = 307
    • 忠烈祠 / 金尙星 = 307
    • 卷之十三 = 309
    • 目錄 = 309
    • 附錄五 = 311
    • 紀實上 = 311
    • 明史陳璘傳 = 311
    • 明史鄧子龍傳 = 311
    • 明史藁陳璘傳 = 312
    • 明史藁鄧子龍傳 = 312
    • 明史記事本末 = 312
    • 徐希震東征記 = 313
    • 國朝寶鑑 = 314
    • 宣廟中興志 = 324
    • 文獻備考 = 364
    • 昭代年考 = 368
    • 懲毖錄 = 386
    • 靑野만輯 = 400
    • 芝峯類說 = 403
    • 制勝方略 = 406
    • 朝野僉載 = 407
    • 卷之十四 = 411
    • 目錄 = 411
    • 附錄六 = 413
    • 紀實下 = 413
    • 西厓集 = 413
    • 象村集 = 415
    • 亂中雜錄 = 422
    • 春坡錄 = 428
    • 和國志 = 431
    • 於于野談 = 432
    • 釜山記事 = 434
    • 尤庵語錄 = 438
    • 三節遺稿 = 438
    • 德水李氏世譜 = 439
    • 牛山集辨白沙諸將士論 = 439
    • 盤谷集 = 445
    • 謙庵集 = 447
    • 竹窓閑話 = 448
    • 寄齋集 = 448
    • 菊圃쇄言 = 449
    • 荷潭子遺稿 = 450
    • 僿說 = 450
    • 方夫人傳 = 453
    • 李氏家狀 = 454
    • 李忠愍公鳳祥神道碑 = 456
    • 柳相成龍諡狀 = 457
    • 鄭相琢墓誌銘 = 457
    • 鄭相彦信神道碑 = 458
    • 李相德馨墓誌 = 458
    • 丁氏家乘 = 458
    • 柳珩行狀 = 459
    • 柳珩神道碑 = 460
    • 李純信墓碣銘 = 460
    • 安弘國諡狀 = 461
    • 裵興立碑銘 = 461
    • 宋大立傳 = 461
    • 申浩諡狀 = 461
    • 宋汝悰碑銘 = 462
    • 丁運熙行狀 = 464
    • 馬氏家狀 = 464
    • 崔氏家狀 = 466
    • 諸萬春傳 = 467
    • 李氏遺錄 = 468
    • 忠烈祠志 = 471
    • 擇里志 = 471
    • 昇平志 = 474
    • 海南縣志 = 476
    • 珍島郡志 = 476
    • 興陽縣志 = 477
    • 靈巖郡志 = 479
    • 康津縣志 = 479
    • 長興府志 = 479
    • 昌平縣志 = 480
    • 羅州牧志 = 481
    • 防踏鎭志 = 481
    • 湖南志 = 482
    • 湖南記聞 = 482
    • 巨濟府志 = 483
    • 安東府志 = 485
    • 永川郡志 = 485
    • 英陽縣志 = 486
    • 牙山縣志 = 486
    • 海美縣志 = 486
    • 稷山縣志 = 486
    • 鎭川縣志 = 487
    • 平澤縣志 = 487
    • 識 / 尹行恁 = 487
    • [volume. vol.5]----------
    • 목차
    • 刊行辭 / 高敬姬
    • 解題 / 徐仁漢
    • 第一 = 3
    • 壬辰南行日錄 = 3
    • 宣祖敎書 壬辰四月二十五日 = 16
    • 永同人通文 壬辰五月十三日 = 19
    • 全州儒生通告左道列邑文 = 20
    • 古阜儒生檄文 = 21
    • 慶尙道儒生郭再祐書 = 22
    • 全羅道前東萊府使高敬命檄 = 22
    • 封世子詔 = 24
    • 逆賊鄭汝立緣坐疏放赦 = 24
    • 都巡察李洸檄文 = 27
    • 安陰居忠義衛鄭惟榮校書正字朴明단等通文 = 30
    • 告同道州府郡縣檄 = 33
    • 壬辰日錄 = 36
    • 宣祖二十五年壬辰七月 = 36
    • 同八月 = 51
    • 義兵從事官宋齊民通文 = 56
    • 曉諭軍民書 = 61
    • 郭再祐上疏 = 66
    • 郭再祐通文 = 69
    • 同九月 = 80
    • 嶺南招諭使金誠一招諭文 = 81
    • 宜寧郭義士再祐足下 = 84
    • 嶺南儒生擧義通文 = 84
    • 敎全羅道士民等書 = 86
    • 諭全羅道士民書 = 88
    • 中朝兵部題准擒斬倭功賞格 = 96
    • 同十月 = 102
    • 同十一月 = 112
    • 同十二月 = 119
    • 雜錄 = 129
    • 都體察使鄭澈副使金鑽等請半減貢物作米以供國用啓本草 = 129
    • 皇朝討倭檄 = 131
    • 義兵將高敬命傳諸道討倭檄 = 132
    • 儒學任전贈李都督如松詩 = 133
    • (附)李如松答辭 = 134
    • 行人薛潘奏文 = 135
    • 都體察使鄭澈諭義軍文 = 138
    • 皇朝使臣諭義師文 = 141
    • (附)十世孫馹善跋文 = 142
    • 第二 = 145
    • 癸巳日錄 = 145
    • 宣祖二十六年癸巳正月 = 145
    • 同四月 = 152
    • 尹斗壽書狀宋應昌과의 問答 = 159
    • 天將下帖書 = 163
    • 同五月 = 165
    • 宋經略應昌通諭三道牌文 = 172
    • 同六月 = 179
    • 同七月 = 189
    • 同八月 = 200
    • 同九月 = 212
    • 同十月 = 220
    • 同十一月 = 233
    • 同閏十一月 = 244
    • 接伴使都元帥同封書狀草 = 245
    • 同十二月 = 251
    • 雜錄 = 259
    • 東宮辭內禪箚子 六度 = 259
    • 宣祖批答 二度 = 260
    • 鄭仁弘等起義檄文 = 262
    • 敎鄭仁弘金沔等書 = 263
    • 詩 = 265
    • 曉諭諸道軍民書 = 265
    • 經略兵部約法牌文 = 266
    • 王世子敎書 = 267
    • 敎書 = 268
    • 李提督申래戒諭我國臣民牌文 = 269
    • 敎建義大將沈相爲義兵都體察使書 = 269
    • 忠淸道儒生李해等上沈相書 二度 = 271
    • 沈守慶答書 = 272
    • 祭纛文 = 273
    • 移諸義兵檄書 = 274
    • 答建義將批 = 275
    • 第三 = 277
    • 甲午日錄 = 277
    • 宣祖二十七年甲午正月 = 277
    • 同二月 = 286
    • 同三月 = 294
    • 同四月 = 304
    • 同五月 = 314
    • 同六月 = 325
    • 同七月 = 339
    • 同八月 = 349
    • 同九月 = 359
    • 同十月 = 367
    • 同十一月 = 376
    • 同十二月 = 384
    • 雜錄 = 394
    • 金德齡檄嶺南文 = 394
    • 同通道內列邑文 = 395
    • 同送僧義兵八道都大將書 = 397
    • 同上都元帥書 = 398
    • 廢妃尹氏廢妃顚末 = 400
    • 廢妃尹氏賜死傳旨 = 401
    • 詩 十八首 = 401
    • 皇勅 = 405
    • 唐將與倭答問 = 406
    • 許儀俊[後]陳奏 = 406
    • 陳日本國之詳 = 407
    • 陳日本入寇之由 = 409
    • 陳禦寇之策 = 410
    • 陳關白之由 = 412
    • 陳日本六十六國之名 = 412
    • 許儀俊[後]等再陳奏 = 412
    • 日本諸國名 = 414
    • 朝鮮記 = 414
    • 祭倡義使金千鎰文 = 417
    • 正言黃愼上東宮疏 = 418
    • 王世子諭公州父老軍民書 = 422
    • (附)十一代孫鳳榮跋文 = 423
    • 第四 = 425
    • 乙未日錄 = 425
    • 宣祖二十八年乙未正月 = 425
    • 同二月 = 433
    • 同三月 = 443
    • 同四月 = 455
    • 同五月 = 465
    • 同六月 = 474
    • 同七月 = 483
    • 同八月 = 490
    • 同九月 = 498
    • 同十月 = 506
    • 同十一月 = 512
    • 同十二月 = 518
    • 圖版 쇄尾錄原本第二癸巳十月條 = 227
    • [volume. vol.6]----------
    • 목차
    • 第四(續) = 3
    • 丙申日錄 = 3
    • 宣祖二十八年丙申正月 = 3
    • 同二月 = 11
    • 同三月 = 19
    • 同四月 = 28
    • 同五月 = 39
    • 同六月 = 48
    • 同七月 = 56
    • 同八月 = 68
    • 同閏八月 = 79
    • 同九月 = 86
    • 同十月 = 100
    • 同十一月 = 110
    • 同十二月 = 120
    • 丁酉日錄 = 131
    • 宣祖二十九年丁酉正月 = 131
    • 雜錄 = 140
    • 第五 = 143
    • 丁酉日錄 = 143
    • 宣祖二十九年丁酉二月 = 143
    • 同三月 = 154
    • 同四月 = 162
    • 同五月 = 173
    • 同六月 = 183
    • 同七月 = 191
    • 同八月 = 202
    • 雜錄 = 214
    • 第六 = 225
    • 丁酉日錄 = 225
    • 宣祖二十九年丁酉九月 = 225
    • 同十月 = 237
    • 同十一月 = 246
    • 同十二月 = 255
    • 戊戌日錄 = 264
    • 宣祖三十年戊戌正月 = 264
    • 同二月 = 274
    • 同三月 = 283
    • 同四月 = 291
    • 同五月 = 300
    • 同六月 = 310
    • 同七月 = 319
    • 同八月 = 327
    • 同九月 = 334
    • 同十月 = 340
    • 同十一月 = 347
    • 同十二月 = 353
    • 雜錄 = 361
    • 第七 = 367
    • 己亥日錄 = 367
    • 宣祖三十一年己亥正月 = 367
    • 同二月 = 374
    • 同三月 = 381
    • 同四月 = 390
    • 同閏四月 = 397
    • 同五月 = 404
    • 同六月 = 413
    • 同七月 = 419
    • 同八月 = 424
    • 同九月 = 432
    • 同十月 = 440
    • 同十一月 = 446
    • 同十二月 = 453
    • 庚子日錄 = 460
    • 宣祖三十二年庚子正月 = 460
    • 同二月 = 464
    • 同三月 = 471
    • 同四月 = 480
    • 同五月 = 487
    • 同六月 = 496
    • 同七月 = 501
    • 同八月 = 507
    • 同九月 = 516
    • 同十月 = 522
    • 同十一月 = 530
    • 同十二月 = 535
    • 辛丑日錄 = 543
    • 宣祖三十三年辛丑正月 = 543
    • 同二月 = 548
    • 雜錄 = 556
    • [volume. vol.7]----------
    • 목차
    • 刊行辭 / 高敬姬
    • 解題 / 徐仁漢
    • 亂中雜錄
    • 亂中雜錄序 / 奇正鎭 = 3
    • 亂中雜錄序 / 崔是翁 = 7
    • 亂中雜錄敍 / 趙慶男 = 13
    • 第一 = 15
    • 壬午(萬曆十, 宣祖十五, 一五八二) = 15
    • 冬十二月 = 15
    • 二十日 = 15
    • 癸未(萬曆十一, 宣祖十六, 一五八三) = 15
    • 春二月 = 15
    • 夏五月 = 16
    • 十六日 = 16
    • 秋九月 = 16
    • 甲申(萬曆十二, 宣祖十七, 一五八四) = 16
    • 丙戌(萬曆十四, 宣祖十九, 一五八六) = 17
    • 丁亥(萬曆十五, 宣祖二十, 一五八七) = 17
    • 春二月 = 17
    • 秋九月 = 18
    • 戊子(萬曆十六, 宣祖二十一, 一五八八) = 18
    • 春正月 = 18
    • 己丑(萬曆十七, 宣祖二十二, 一五八九) = 19
    • 秋九月 = 21
    • 冬十二月 = 22
    • 庚寅(萬曆十八, 宣祖二十三, 一五九0) = 22
    • 春二月 = 22
    • 秋八月 = 23
    • 冬十二月 = 36
    • 辛卯(萬曆十九, 宣祖二十四, 一五九一) = 36
    • 春二月 = 36
    • 夏六月 = 47
    • 壬辰(萬曆二十, 宣祖二十五, 一五九二)上 = 47
    • 春 = 47
    • 夏四月 = 48
    • 十四日 = 49
    • 十五日 = 51
    • 十六日 = 51
    • 十七日 = 52
    • 十八日 = 52
    • 十九日 = 52
    • 二十日 = 53
    • 二十一日 = 54
    • 二十二日 = 55
    • 二十三日 = 59
    • 二十四日 = 59
    • 二十五日 = 60
    • 二十六日 = 60
    • 二十七日 = 61
    • 二十八日 = 62
    • 二十九日 = 65
    • 三十日 = 65
    • 五月 = 66
    • 初一日 = 66
    • 初二日 = 66
    • 初三日 = 67
    • 初四日 = 73
    • 初五日 = 73
    • 十四日 = 81
    • 十八日 = 82
    • 十九日 = 82
    • 二十日 = 83
    • 二十四日 = 100
    • 二十六日 = 100
    • 六月 = 102
    • 初一日 = 102
    • 初三日 = 103
    • 初五日 = 105
    • 初六日 = 106
    • 十五日 = 115
    • 十七日 = 119
    • 二十三日 = 148
    • 秋七月 = 161
    • 初二日 = 161
    • 初四日 = 162
    • 初五日 = 165
    • 初六日 = 166
    • 初八日 = 167
    • 初九日 = 170
    • 初十日 = 178
    • 第二 = 207
    • 壬辰(萬曆二十, 宣祖二十五, 一五九二)下 = 207
    • 八月 = 207
    • 初一日 = 207
    • 初三日 = 207
    • 初四日 = 208
    • 初九日 = 226
    • 二十七日 = 228
    • 九月 = 240
    • 初七日 = 243
    • 十六日 = 247
    • 二十二日 = 262
    • 二十四日 = 263
    • 二十八日 = 264
    • 冬十月 = 265
    • 初一日 = 265
    • 初二日 = 265
    • 初三日 = 265
    • 初六日 = 265
    • 初十日 = 268
    • 十八日 = 281
    • 十一月 = 287
    • 十二月 = 311
    • 二十五日 = 320
    • 癸巳(萬曆二十一, 宣祖二十六, 一五九三)上 = 323
    • 春正月 = 323
    • 初八日 = 323
    • 十五日 = 332
    • 二月 = 334
    • 十二日 = 334
    • 十六日 = 335
    • 二十八日 = 335
    • 三月 = 336
    • 夏四月 = 336
    • 十九日 = 336
    • 二十九日 = 336
    • 五月 = 337
    • 二十四日 = 340
    • 六月 = 346
    • 十五日 = 346
    • 十八日 = 347
    • 十九日 = 347
    • 二十一日 = 348
    • 二十七日 = 349
    • 二十九日 = 349
    • [volume. vol.8]----------
    • 목차
    • 第三 = 3
    • 癸巳(萬曆二十一, 宣祖二十六, 一五九三)下 = 3
    • 秋七月 = 3
    • 初三日 = 3
    • 初四日 = 3
    • 初五日 = 3
    • 初六日 = 4
    • 初七日 = 4
    • 初八日 = 5
    • 初九日 = 5
    • 十五日 = 7
    • 二十一日 = 7
    • 八月 = 9
    • 二十二日 = 9
    • 九月 = 12
    • 冬十月 = 21
    • 二十七日 = 27
    • 十一月 = 27
    • 閏十一月 = 29
    • 初四日 = 29
    • 十二月 = 31
    • 初二日 = 31
    • 初四日 = 31
    • 初九日 = 32
    • 十三日 = 32
    • 二十五日 = 32
    • 甲午(萬曆二十二, 宣祖二十七, 一五九四) = 36
    • 春正月 = 36
    • 元日 = 36
    • 初二日 = 36
    • 初六日 = 43
    • 二十二日 = 46
    • 二月 = 50
    • 初一日 = 50
    • 十一日 = 50
    • 二十七日 = 51
    • 三月 = 51
    • 初三日 = 51
    • 初九日 = 51
    • 二十日 = 51
    • 夏四月 = 51
    • 五月 = 56
    • 二十七日 = 56
    • 六月 = 57
    • 初三日 = 57
    • 初七日 = 57
    • 十四日 = 58
    • 秋七月 = 58
    • 十三日 = 58
    • 二十七日 = 59
    • 八月 = 60
    • 初二日 = 60
    • 十二日 = 60
    • 十三日 = 60
    • 十八日 = 60
    • 二十日 = 61
    • 九月 = 61
    • 冬十月 = 62
    • 初九日 = 62
    • 十一日 = 62
    • 十三日 = 62
    • 二十三日 = 62
    • 十一月 = 65
    • 十二月 = 75
    • 初五日 = 75
    • 二十日 = 76
    • 二十七日 = 77
    • 乙未(萬曆二十三, 宣祖二十八, 一五九五) = 78
    • 春正月 = 78
    • 元日 = 78
    • 初二日 = 78
    • 初五日 = 78
    • 初六日 = 78
    • 十一日 = 78
    • 二十四日 = 79
    • 二十八日 = 79
    • 二月 = 79
    • 初一日 = 79
    • 十五日 = 79
    • 三月 = 79
    • 初二日 = 79
    • 夏四月 = 87
    • 十八日 = 87
    • 二十八日 = 87
    • 二十九日 = 88
    • 五月 = 88
    • 十八日 = 88
    • 二十八日 = 89
    • 六月 = 89
    • 秋七月 = 89
    • 初三日 = 89
    • 十一日 = 89
    • 十六日 = 89
    • 二十一日 = 90
    • 二十二日 = 90
    • 二十四日 = 90
    • 二十五日 = 90
    • 八月 = 91
    • 十四日 = 91
    • 十八日 = 91
    • 九月 = 91
    • 初一日 = 91
    • 十五日 = 92
    • 二十一日 = 92
    • 冬十月 = 92
    • 初七日 = 92
    • 初八日 = 92
    • 十六日 = 92
    • 十一月 = 93
    • 十二月 = 94
    • 初三日 = 94
    • 丙申(萬曆二十四, 宣祖二十九, 一五九六) = 94
    • 春正月 = 94
    • 二月 = 94
    • 十六日 = 94
    • 三月 = 96
    • 夏四月 = 97
    • 初三日 = 97
    • 十八日 = 97
    • 二十日 = 103
    • 二十二日 = 104
    • 二十四日 = 104
    • 五月 = 104
    • 初三日 = 104
    • 十一日 = 104
    • 二十日 = 105
    • 二十六日 = 105
    • 六月 = 110
    • 初六日 = 110
    • 初九日 = 110
    • 十三日 = 110
    • 二十一日 = 110
    • 二十八日 = 110
    • 秋七月 = 111
    • 十二日 = 111
    • 八月 = 115
    • 二十四日 = 115
    • 閏八月 = 117
    • 乙丑朔 = 117
    • 十六日 = 117
    • 九月 = 117
    • 初十日 = 117
    • 二十日 = 117
    • 冬十月 = 118
    • 十三日 = 118
    • 十一月 = 119
    • 十二月 = 120
    • 十三日 = 120
    • 二十一日 = 120
    • 二十六日 = 120
    • 丁酉(萬曆二十五, 宣祖三十, 一五九七) = 121
    • 春正月 = 121
    • 初五日 = 121
    • 初六日 = 121
    • 初十日 = 121
    • 二十八日 = 123
    • 二月 = 123
    • 十一日 = 123
    • 十五日 = 124
    • 三月 = 127
    • 二十二日 = 128
    • 二十八日 = 128
    • 夏四月 = 132
    • 初八日 = 132
    • 五月 = 133
    • 六月 = 133
    • 十三日 = 133
    • 十九日 = 134
    • 秋七月 = 134
    • 初七日 = 134
    • 十一日 = 135
    • 十六日 = 135
    • 八月 = 139
    • 初三日 = 139
    • 初四日 = 139
    • 初六日 = 139
    • 初七日 = 139
    • 初八日 = 140
    • 初九日 = 141
    • 初十日 = 141
    • 十一日 = 141
    • 十三日 = 143
    • 十四日 = 144
    • 十五日 = 145
    • 十六日 = 147
    • 十七日 = 148
    • 十九日 = 148
    • 二十日 = 148
    • 二十二日 = 149
    • 三十日 = 149
    • 九月 = 149
    • 一日 = 149
    • 二日 = 149
    • 六日 = 150
    • 九日 = 151
    • 十五日 = 152
    • 十七日 = 152
    • 十八日 = 153
    • 十九日 = 153
    • 二十二日 = 153
    • 二十三日 = 156
    • 冬十月 = 159
    • 初八日 = 159
    • 初九日 = 159
    • 十五日 = 163
    • 二十三日 = 165
    • 二十九日 = 167
    • 十一月 = 167
    • 初四日 = 167
    • 二十四日 = 169
    • 十二月 = 172
    • 初七日 = 172
    • 二十三日 = 180
    • 二十七日 = 180
    • 戊戌(萬曆二十六, 宣祖三十一, 一五九八) = 181
    • 春正月 = 181
    • 初三日 = 181
    • 十一日 = 181
    • 二月 = 182
    • 二十一日 = 182
    • 三月 = 183
    • 初三日 = 183
    • 十二日 = 184
    • 夏四月 = 185
    • 初八日 = 185
    • 初十日 = 186
    • 二十一日 = 186
    • 二十三日 = 186
    • 五月 = 187
    • 初二日 = 187
    • 二十四日 = 187
    • 二十五日 = 187
    • 六月 = 188
    • 初五日 = 191
    • 秋七月 = 193
    • 十五日 = 193
    • 十六日 = 194
    • 八月 = 196
    • 二十七日 = 197
    • 二十九日 = 198
    • 九月 = 199
    • 初一日 = 199
    • 初三日 = 199
    • 初四日 = 199
    • 初七日 = 199
    • 十五日 = 200
    • 十七日 = 200
    • 十八日 = 200
    • 二十日 = 201
    • 二十一日 = 202
    • 二十三日 = 202
    • 二十六日 = 203
    • 二十七日 = 204
    • 冬十月 = 205
    • 初一日 = 205
    • 初三日 = 206
    • 初四日 = 206
    • 初五日 = 207
    • 初六日 = 207
    • 初七日 = 207
    • 十一日 = 207
    • 十一月 = 208
    • 十二日 = 208
    • 十九日 = 209
    • 十二月 = 211
    • 二十一日 = 211
    • 二十二日 = 211
    • 第四 = 213
    • 己亥(萬曆二十七, 宣祖三十二, 一五九九) = 213
    • 春正月 = 213
    • 元日 = 213
    • 初二日 = 213
    • 初四日 = 213
    • 初五日 = 213
    • 初八日 = 214
    • 二月 = 216
    • 初二日 = 216
    • 二十七日 = 216
    • 三月 = 217
    • 夏四月 = 217
    • 閏四月 = 217
    • 五月 = 219
    • 二十七日 = 219
    • 六月 = 219
    • 秋七月 = 219
    • 庚子(萬曆二十八, 宣祖三十三, 一六00) = 226
    • 春正月 = 226
    • 二月 = 226
    • 夏四月 = 233
    • 五月 = 233
    • 八月 = 272
    • 二十七日 = 272
    • 九月 = 276
    • 辛丑(萬曆二十九, 宣祖三十四, 一六0一) = 297
    • 春二月 = 297
    • 三月 = 298
    • 十一日 = 298
    • 夏六月 = 298
    • 冬十二月 = 301
    • 壬寅(萬曆三十 宣祖三十五, 一六0二) = 301
    • 春正月 = 301
    • 元日 = 301
    • 二月 = 301
    • 夏四月 = 302
    • 秋七月 = 302
    • 九月 = 302
    • 冬十一月 = 303
    • 癸卯(萬曆三十一, 宣祖三十六, 一六0三) = 303
    • 春 = 303
    • 夏六月 = 303
    • 冬十一月 = 303
    • 甲辰(萬曆三十二, 宣祖三十七, 一六0四) = 304
    • 春 = 304
    • 夏六月 = 304
    • 冬十二月 = 304
    • 乙巳(萬曆三十三, 宣祖三十八, 一六0五) = 306
    • 春正月 = 306
    • 十八日 = 306
    • 三月 = 307
    • 夏四月 = 307
    • 五月 = 308
    • 秋七月 = 308
    • 丙午(萬曆三十四, 宣祖三十九, 一六0六) = 309
    • 夏四月 = 309
    • 初二日 = 309
    • 冬十月 = 310
    • 丁未(萬曆三十五, 宣祖四十, 一六0七) = 311
    • 春正月 = 311
    • 十二日 = 311
    • 二月 = 311
    • 秋八月 = 312
    • 戊申(萬曆三十六, 宣祖四十一, 一六0八) = 312
    • 春正月 = 312
    • 二月 = 326
    • 初一日 = 326
    • 十四日 = 326
    • 十五日 = 327
    • 二十日 = 328
    • 三月 = 328
    • 夏四月 = 353
    • 初一日 = 353
    • 五月 = 363
    • 六月 = 372
    • 十四日 = 372
    • 十六日 = 375
    • 秋七月 = 384
    • 己酉(萬曆三十七, 光海君元, 一六0九) = 404
    • 春三月 = 404
    • 秋八月 = 405
    • 二十五日 = 405
    • 庚戊(萬曆三十八, 光海君二, 一六一0) = 408
    • 春 = 409
    • 秋 = 409
    • [volume. vol.9]----------
    • 목차
    • 刊行辭 / 高敬姬
    • 解題 / 姜大杰
    • 引用書目 = 3
    • 卷之一 = 5
    • 丁丑歲(宣祖十, 一五七七)∼壬辰歲(宣祖二十五, 一五九二)六月 凡十六年 = 5
    • 自序 = 5
    • 卷之二 = 163
    • 壬辰歲(宣祖二十五, 一五九二)六月∼癸巳歲(宣祖二十六, 一五九三)九月 凡二年 = 163
    • 卷之三 = 339
    • 癸巳歲(宣祖二十六, 一五九三)十月∼丁酉歲(宣祖三十, 一五九七)八月 凡五年 = 339
    • 卷之四 = 533
    • 丁酉歲(宣祖三十, 一五九七)九月∼丁未歲(宣祖四十, 一六0七)凡十一年 = 533
    • 識 / 申以華 = 725
    • [volume. vol.10]----------
    • 목차
    • 刊行辭 / 高敬姬
    • 解題 / 姜大杰
    • 卷之一 = 3
    • 萬曆壬辰年(宣祖二十五, 一五九二) = 3
    • 四月二十二日 = 3
    • 夏五月 = 5
    • 夏六月 = 11
    • 秋七月 = 21
    • 秋八月 = 30
    • 秋九月 = 40
    • 冬十月 = 46
    • 冬十一月 = 48
    • 冬十二月 = 52
    • 萬曆癸巳年(宣祖二十六, 一五九三) = 57
    • 春王正月 = 57
    • 春二月 = 64
    • 春三月 = 70
    • 夏四月 = 73
    • 夏五月 = 78
    • 夏六月 = 83
    • 秋七月 = 89
    • 秋八月 = 95
    • 秋九月 = 98
    • 冬十月 = 101
    • 冬十一月 = 105
    • 閏十一月 = 108
    • 冬十二月 = 112
    • 卷之二 = 121
    • 萬曆甲午年(宣祖二十七, 一五九四) = 121
    • 春王正月 = 121
    • 春二月 = 125
    • 春三月 = 128
    • 夏四月 = 131
    • 夏五月 = 134
    • 夏六月 = 137
    • 秋七月 = 140
    • 秋八月 = 142
    • 秋九月 = 144
    • 冬十月 = 146
    • 冬十一月 = 148
    • 冬十二月 = 154
    • 萬曆乙未年(宣祖二十八, 一五九五) = 159
    • 春王正月 = 159
    • 春二月 = 161
    • 春三月 = 165
    • 夏四月 = 166
    • 夏五月 = 168
    • 夏六月 = 170
    • 秋七月 = 174
    • 秋八月 = 176
    • 秋九月 = 179
    • 冬十月 = 180
    • 冬十一月 = 183
    • 冬十二月 = 186
    • 萬曆丙申年(宣祖二十九, 一五九六) = 188
    • 春王正月 = 188
    • 春二月 = 190
    • 春三月 = 192
    • 夏四月 = 194
    • 夏五月 = 197
    • 夏六月 = 199
    • 秋七月 = 201
    • 秋八月 = 204
    • 閏八月 = 205
    • 秋九月 = 206
    • 冬十月 = 208
    • 冬十一月 = 210
    • 冬十二月 = 212
    • 萬曆丁酉年(宣祖三十, 一五九七) = 215
    • 春王正月 = 215
    • 春二月 = 218
    • 春三月 = 219
    • 夏四月 = 221
    • 夏五月 = 223
    • 夏六月 = 225
    • 秋七月 = 228
    • 秋八月 = 230
    • 秋九月 = 235
    • 冬十月 = 238
    • 冬十一月 = 240
    • 冬十二月 = 242
    • 卷之三 = 249
    • 萬曆戊戌年(宣祖三十一, 一五九八) = 249
    • 春王正月 = 249
    • 春二月 = 253
    • 春三月 = 256
    • 夏四月 = 259
    • 夏五月 = 261
    • 夏六月 = 264
    • 秋七月 = 268
    • 秋八月 = 270
    • 秋九月 = 272
    • 冬十月 = 275
    • 冬十一月 = 278
    • 冬十二月 = 282
    • 萬曆己亥年(宣祖三十二, 一五九九) = 285
    • 春王正月 = 285
    • 春二月 = 287
    • 春三月 = 290
    • 夏四月 = 293
    • 閏四月 = 296
    • 夏五月 = 300
    • 夏六月 = 303
    • 萬曆庚子年(宣祖三十三, 一六00) = 304
    • 夏五月 = 304
    • 夏六月 = 306
    • 秋七月 = 308
    • 冬十月 = 311
    • 冬十一月 = 312
    • 冬十二月 = 316
    • 萬曆辛丑年(宣祖三十四, 一六0一) = 319
    • 春王正月 = 319
    • 春二月 = 322
    • 春三月 = 324
    • 夏四月 = 327
    • 夏五月 = 329
    • 夏六月 = 331
    • 秋七月 = 332
    • 秋八月 = 334
    • 秋九月 = 336
    • 冬十月 = 337
    • 冬十一月 = 340
    • 冬十二月 = 342
    • 萬曆壬寅年(宣祖三十五, 一六0二) = 345
    • 春王正月 = 345
    • 春二月 = 348
    • 閏二月 = 352
    • 春三月 = 355
    • 夏四月 = 357
    • 夏五月 = 359
    • 夏六月 = 361
    • 秋七月 = 363
    • 秋八月 = 366
    • 秋九月 = 368
    • 冬十月 = 369
    • 冬十一月 = 371
    • 冬十二月 = 374
    • 卷之四 = 377
    • 萬曆癸卯年(宣祖三十六, 一六0三) = 379
    • 春王正月 = 379
    • 春二月 = 381
    • 春三月 = 383
    • 夏四月 = 386
    • 夏五月 = 388
    • 夏六月 = 391
    • 秋七月 = 392
    • 秋八月 = 395
    • 秋九月 = 398
    • 冬十月 = 400
    • 冬十一月 = 402
    • 冬十二月 = 404
    • 萬曆甲辰年(宣祖三十七, 一六0四) = 407
    • 春王正月 = 407
    • 春二月 = 410
    • 春三月 = 412
    • 夏四月 = 413
    • 夏五月 = 416
    • 夏六月 = 418
    • 秋七月 = 420
    • 秋八月 = 422
    • 秋九月 = 424
    • 閏九月 = 425
    • 冬十月 = 427
    • 冬十一月 = 429
    • 冬十二月 = 431
    • 萬曆乙巳年(宣祖三十八, 一六0五) = 436
    • 春王正月 = 436
    • 春二月 = 438
    • 春三月 = 440
    • 夏四月 = 442
    • 夏五月 = 446
    • 夏六月 = 447
    • 秋七月 = 449
    • 秋八月 = 452
    • 秋九月 = 453
    • 冬十月 = 455
    • 冬十一月 = 457
    • 冬十二月 = 458
    • 萬曆丙午年(宣祖三十九, 一六0六) = 461
    • 春王正月 = 461
    • 春二月 = 462
    • 春三月 = 463
    • 夏四月 = 464
    • 夏五月 = 465
    • 夏六月 = 467
    • 秋七月 = 468
    • 秋八月 = 470
    • 秋九月 = 471
    • 冬十月 = 473
    • 冬十一月 = 475
    • 冬十二月 = 476
    • 萬曆丁未年(宣祖四十, 一六0七) = 478
    • 春王正月 = 478
    • 春二月 = 479
    • 春三月 = 480
    • 夏四月 = 482
    • 夏五月 = 483
    • 夏六月 = 484
    • 閏六月 = 485
    • 秋七月 = 486
    • 秋八月 = 487
    • 秋九月 = 488
    • 冬十月 = 489
    • 冬十一月 = 490
    • 冬十二月 = 492
    • 萬曆戊申年(宣祖四十一, 一六0八) = 493
    • 春王正月 = 493
    • 春二月 = 495
    • 春三月 = 498
    • 夏四月 = 499
    • 夏五月 = 502
    • 夏六月 = 503
    • 秋七月 = 505
    • 秋八月 = 506
    • 秋九月 = 509
    • 冬十月 = 510
    • 冬十一月 = 511
    • 冬十二月 = 512
    • 萬曆己酉年(光海君一, 一六0九) = 513
    • 春王正月 = 513
    • 春二月 = 514
    • 春三月 = 515
    • 夏四月 = 517
    • 夏五月 = 518
    • 夏六月 = 520
    • 秋七月 = 521
    • 秋八月 = 522
    • 秋九月 = 522
    • 冬十月 = 524
    • 冬十一月 = 52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