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醫方類聚』 연구의 회고와 전망 = Research and Prospects of Euibangyoochui in East Asi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Euibangyoochui is one of the three major medical books representing the Joseon(朝鮮) Dynasty. It was completed in 365 volumes over three years from 1443 to 1445 under the name of King Sejong. Then it was published in 266 volumes in 1477 after undergoing proofreading for several times. Euibangyoochui is called the treasure-house of the knowledge of medical science, due to the 50,000 prescriptions listed and the enormous amount of medical information it contains. But the original woodblock-printed books remain in Japan, not in Korea. The study of the Euibangyoochui began after the photo print was published in East Asia in the late 20th century. In the case of Korea, researches focusing on the Euibangyoochui itself emerged in the 1990s.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background of the Euibangyoochui compilation, the compilation process, the compilers, domestic and foreign editions, impact on Korean medicine, etc.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Euibangyoochui in various fields such as diseases, remedies, and images, the various citations contained in Euibangyoochui are examined. There are also a number of comparative studies. Several research results also have been published in China and Japan,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store the contents of the lost Chinese medical books through the Euibangyoochui.
    However, more research is necessa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Euibangyoochui itself. Also, since the Euibangyoochui contains a wide variety of contents, we should also try to find new research topics. Finally, it is important for the scholars of East Asian countries to exchange their research results and for the general public to be interested in Euibangyoochui. After all, we should try to globalize the Euibangyoochui.

    더보기

    『의방유취』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3대 의서 중 하나이자, 현존하는 최대의 한의방서이다. 세종의 명으로 1443년부터 1445년까지 3년에 걸쳐 365권으로 완성되었다가 세조 대 여러 차례의 교정을 거쳐 1477년[성종 8년]에 266권 264책으로 간행되었다. 당부터 명초의 중국 의서 및 고려~조선 초까지 한국 고유의 의학 성과를 담고 있어 당대 최고 수준의 의학을 집대성한 의서로 평가받는다. 원본은 우리나라에 없고 일본에 남아있다. 『의방유취』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20세기 후반 동아시아 각국에서 영인본이 출판되면서부터이다. 한국의 경우에는 1990년대부터 의방유취에 자체에 주목한 연구들이 나오기 시작하였는데, 그 내용은 『의방유취』 편찬의 시대적 배경, 편찬과정, 편찬인물, 국내외 판본, 내용 구성, 한의학에 미친 영향 등 매우 다양하다. 또한 질병이나 치료법, 圖像 등 분야별로 『의방유취』의 내용을 고찰하거나 『의방유취』에 수록된 여러 인용서에 대해 검토한 연구, 현존하는 의서의 편제 및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의방유취』와 비교한 연구도 다수 존재한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여러 연구 성과가 발표되었으며, 『의방유취』를 통해 소실된 중의학서의 내용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이제까지의 연구는 『의방유취』를 사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성격이 강하였기 때문에 앞으로는 『의방유취』 자체에 주목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의방유취』가 매우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만큼, 새로운 연구 주제를 발굴하는 데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의방유취』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동아시아 각국의 학자들이 연구 성과를 교류하고, 나아가 일반인들이 『의방유취』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
    • 1 對韓政策關係雜纂, "「朝鮮理事日記」2" 4 : 1875
    • 2 김진희, "「備預百要方」에 나타난 天人觀과 醫學觀 연구" 한국서지학회 (43) : 235-261, 2009
    • 3 정면, "金元四大家醫學이 朝鮮思朝醫學 形成에 미친 影響" 1995
    • 4 박희수, "현대 의학 관점에서 본 한의학 문헌 속 간질에 대한 연구 : 의방유취, 동의보감, 제중신편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2
    • 5 안상우, "한의학에서 바라 본 자연과 인간 : "의방유취"를 중심으로" 2014
    • 6 김신근, "한의약서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 7 오준호,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10
    • 8 김종석, "편찬과정을 통해 본 校正本『醫方類聚』(世祖本)의 의의" 한국의사학회 23 (23): 71-79, 2010
    • 9 전상운, "조선초기 과학기술 서적에 관한 기초 연구" 72 : 1996
    • 10 이창욱, "조선전기의 산부인과학 발달사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2
    • 11 이경록, "조선전기 『의방유취』의 성취와 한계 - ‘상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34 (34): 461-493, 2012
    • 12 신동원, "조선시대의 의학론" 대한의사학회 13 (13): 9-9, 2004
    • 13 임진강, "조선시대 추나의학사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 14 김성수, "조선시대 의료체계와 『동의보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 15 김종오, "조선시대 약차 연구 : 의학서적과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 16 홍란영, "조선시대 『新編婦人大全良方』의 서지학적 고찰" 한국서지학회 (62) : 393-422, 2015
    • 17 김성수, "조선 전기 태교론(胎敎論)의 수용과 전개" 인문학연구원 71 (71): 51-82, 2014
    • 18 조선영, "조선 전ㆍ중기의 소갈 인식에 관한 연구 : 『의방유취』 및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 19 김성수, "인도 안과의학의 동아시아 전래와 『용수보살안론(龍樹菩薩眼論)』" 대한의사학회 22 (22): 217-274, 2013
    • 20 안상우, "의방유취의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연구" 1998
    • 21 김남일, "의방유취의 가치와 연구콘텐츠개발전략연구" 2016
    • 22 오준호, "오장변증을 활용한 조선 침법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 23 지명순, "문헌 속 제호탕(醍醐湯)의 조리학적 분석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446-454, 2008
    • 24 이경록, "고려후기 의학지식의 계보 - 『비예백요방』과 『삼화자향약방』의 선후관계 재론 -" 국학연구원 (166) : 93-124, 2014
    • 25 이경록, "고려와 조선전기 중풍의 사회사" 태동고전연구소 30 : 197-228, 2013
    • 26 김진희, "고려 의서 『비예백요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 27 陳天朝, "黄連膏的歷史及臨床應用考證" 5 : 2010
    • 28 孫弘烈, "麗末․鮮初 醫書의 編纂과 刊行" 11 (11): 1989
    • 29 안상우, "高麗醫書 『備豫百要方』의 考證" 22 : 2001
    • 30 안상우, "高麗 醫書 『御醫撮要』의 복원" 한국의사학회 14 (14): 83-107, 2001
    • 31 김두종, "韓國醫學史" 探究堂 1979
    • 32 張海凌, "韓國的傳統醫學" 1 : 1994
    • 33 真柳誠, "韓國傳統醫學文献と日中韓の相互傳播" 6 : 2004
    • 34 姜世求, "醫方類聚의 養性門에 대한 연구" 大田大學校 大學院 1996
    • 35 강세구, "醫方類聚 養性文에 나타난 養性 및 養生에 대한 연구" 6 (6): 1996
    • 36 김두종, "醫方類聚 解題" 2 (2): 1977
    • 37 肖國鋼, "試論『醫方類聚』對『儒門事亲』文献硏究的貢献" 4 : 2007
    • 38 盛增秀, "試論 『醫方類聚』的編纂特点" 20 (20): 2007
    • 39 施仁潮, "精誠習業乃爲大醫: 從 『醫方類聚』看一脈相承的中醫醫德觀" 20 (20): 2007
    • 40 楊鴻, "眼科文献中“龍樹”與“龍木”關系考" 1 : 2009
    • 41 한봉재, "眼科 圖像을 통해 살펴본 五輪八廓 이론에 대한 연구 - 『醫方類聚』의 眼科 圖像을 중심으로"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7 (27): 51-63, 2014
    • 42 鄭遇悅, "瘀血의 槪念에 關한 東醫學的 考察" 1989
    • 43 真柳誠, "現存唯一無二の 『醫方類聚』初版: 宮内廳書陵部に蔵せられる朝鮮古活字本" 39 (39): 1992
    • 44 韓鈺濱, "玉屏風散臨床治驗三則" 8 : 2015
    • 45 楊鴻, "浅議龍樹與中醫眼科早期文献托名關系" 1 : 2009
    • 46 三木榮, "朝鮮醫書誌" 學術圖書刊行會 1983
    • 47 崔秀漢, "朝鮮醫書『醫方類聚』考" 3 : 1985
    • 48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醫齒藥出版株式會社 1972
    • 49 김성수, "朝鮮前期 痘瘡 流行과 『瘡疹集』" 한국한의학연구원 16 (16): 29-41, 2010
    • 50 金洪均, "朝鮮中期 醫學의 系統에 關한 硏究" 1991
    • 51 張弦, "朝鮮『醫方類聚』硏究" 北京中醫藥大學 2013
    • 52 梁永宣, "朝鮮『醫方類聚』的版本流傳" 5 : 2007
    • 53 張弦, "朝鮮『醫方類聚』成書背景硏究" 2 : 2013
    • 54 張弦, "朝鮮『醫方類聚』参編人員硏究" 7 : 2012
    • 55 南征, "朝醫學: 中國朝鮮民族的傳統醫學" 6 : 2014
    • 56 趙壽東, "朝醫史上部分珍貴醫籍簡介" 4 : 1991
    • 57 多紀元堅, "時還読我書"
    • 58 真柳誠, "日本が受容した韓醫學と古醫籍の交流史" 61 : 2010
    • 59 張如安, "新見明抄本『分門瑣碎錄』“醫藥類”述略" 3 : 20-,
    • 60 陳勇毅, "文献硏究結碩果 成就不忘奠基人: 緬懷著名中醫學家潘澄濂硏究員的業績" 10 : 2010
    • 61 姚美玲, "敦煌道家醫方残卷伯希和4038校補" 1 : 2014
    • 62 靳麗珍, "探討古醫籍對消渴病的認識" 5 : 1997
    • 63 안상우, "拭疣 金守溫의 醫方類聚 편찬 事蹟" 한국의사학회 24 (24): 1-15, 2011
    • 64 盛增秀, "從校點『醫方類聚』說起" 6 : 1984
    • 65 逯銘昕, "從『活人書』版本看醫書刊刻的幾個特點" 1 : 2014
    • 66 盛增秀, "對整理祖國醫學文献的幾點看法和體会" 10 : 1980
    • 67 岡田研吉, "宋以前傷寒論考" 東洋學術出版社 2007
    • 68 牧角和宏, "宋以前の 『傷寒論』について: 朝鮮古醫書 『醫方類聚』からの考察" 45 (45): 1999
    • 69 안상우, "失傳醫書 「簡奇方」의 復原 연구" 한국서지학회 (40) : 269-293, 2008
    • 70 森潤三郎, "多紀氏の事績" 思文閣出版 1931
    • 71 陳麒方, "多紀元簡針灸學術思想研究" 16 (16): 2013
    • 72 對韓政策關係雜纂, "外務卿及丞ヨリ諸省ト往復3" 7 : 1875
    • 73 真柳誠, "喜多村直寛による 『醫方類聚』の復刊" 39 (39): 1992
    • 74 鄭金生, "古代朝鮮醫學對保存中國古醫籍的貢献" 3 : 2008
    • 75 趙光樹, "參附湯源流發展與臨床應用" 6 : 2000
    • 76 趙英日, "儒學思想對朝鮮半島醫學的影響硏究" 廣州中醫藥大學 2009
    • 77 盛增秀, "中韓日朝傳統醫學交流中的豊碩成果: “寫在 『醫方類聚』及中韓傳統醫學文獻硏究討會”卽將召開之際" 20 (20): 2007
    • 78 宋大仁, "中國醫學在朝鮮發展簡介" 2 : 1981
    • 79 吉元昭治, "中國醫學と道敎: XII.韓國醫書について(日本歯科醫史學會第20回(平成4年度)學術大會講演抄錄)" 18 (18): 1992
    • 80 金弘德, "中國朝醫學全書" 延邊大學出版社 2001
    • 81 山野千恵子, "ナーガールジュナと醫術: 『龍樹眼論』の成立と展開" 4 : 2011
    • 82 정지훈, "『의방유취』의 導引圖에 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 27 (27): 41-50, 2014
    • 83 안상우, "『의방유취』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 84 김은민, "『의방유취』 식치편에 수록된 죽의 약선식료학적 연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 85 정순덕, "『구급방』의 의사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 86 오준호, "『鍼灸擇日編集』과 『醫方類聚』의 관계 연구" 경락경혈학회 28 (28): 101-112, 2011
    • 87 신순식, "『醫方類聚』의 편찬인물" 8 (8): 1999
    • 88 안상우, "『醫方類聚』의 서지학적 고찰 -『의방유취』의 편찬과 조선전기 醫書 출판-" 한국의사학회 12 (12): 3-45, 1999
    • 89 안상우, "『醫方類聚』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 4 (4): 1998
    • 90 이향영, "『醫方類聚』의 釀法에 관한 문헌고찰" 경희대학교 2015
    • 91 안상우, "『醫方類聚』의 編纂과 朝鮮前期 醫書" 한국의사학회 14 (14): 59-82, 2001
    • 92 申舜植, "『醫方類聚』의 引用書에 관한 연구(1)" 3 (3): 1997
    • 93 申舜植, "『醫方類聚』에 대한 板本연구" 3 : 1997
    • 94 안상우, "『醫方類聚』가 『東醫寶鑑』편찬에 미친 영향" 한국의사학회 13 (13): 93-107, 2000
    • 95 盛增秀, "『醫方類聚』的考證, 校勘與硏究" 13 (13): 2007
    • 96 王英, "『醫方類聚』對中醫方劑學的貢獻" 2007
    • 97 陳麒方, "『醫方類聚』在海峽兩岸流傳之考察硏究" 2016
    • 98 안상우, "『醫方類聚』 치법편의 구성과 특징: 食治· 禁忌· 鍼灸· 導引篇을 중심으로" 14 (14): 2001
    • 99 안상우, "『醫方類聚』 치법편의 구성과 특징" 2000
    • 100 김은민, "『醫方類聚』 食治篇에 수록된 粥의 藥膳食療學적 연구" 2011
    • 101 安相佑, "『醫方類聚』 總論의 體制와 引用方式分析" 1999
    • 102 강연석, "『醫方類聚․癲癇門』을 통해 본 한의학에서 癎疾의 역사" 한국의사학회 24 (24): 111-117, 2011
    • 103 김대현, "『醫方類聚』에 인용된《五臟六腑圖》의 著者와 編制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 16 (16): 39-62, 2003
    • 104 김영곤, "『醫方類聚』에 인용된 『理傷續斷方』의 서지연구" 한국의사학회 20 (20): 22-29, 2007
    • 105 이가은, "『醫方類聚』에 인용된 『保童秘要』와 朝鮮前期 小兒醫學" 한국의사학회 19 (19): 3-18, 2006
    • 106 류정아, "『醫方類聚』에 수록된 『傷寒論注解』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 27 (27): 1-7, 2014
    • 107 김영곤, "『醫方類聚』를 통해 본 朝鮮前期 折傷醫學: 『理傷續斷方』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08
    • 108 안상우, "『醫方類聚』를 통해 바라본 全循義의 醫學觀" 부경역사연구소 (28) : 39-68, 2011
    • 109 平澤歩, "『醫方類聚』諸抄本小考" 17 : 2014
    • 110 余慶陽, "『醫方類聚』腰痛内治10法: 269首腰痛方淺析" 3 : 1993
    • 111 黄振安, "『醫方類聚』消渴症方藥分析" 7 : 1991
    • 112 李倩, "『醫方類聚』所引中國古代醫籍硏究" 北京中醫藥大學 2006
    • 113 上田善信, "『醫方類聚』所収の 『急救仙方』について" 60 (60): 2014
    • 114 王麗, "『醫方類聚』引『疮科通玄論』概况" 24 : 2012
    • 115 孫齊, "『醫方類聚』引『修真秘诀』硏究" 2 : 2014
    • 116 王米渠, "『醫方類聚』對雙生子的記載及其現代分析" 1 : 2005
    • 117 木場由衣登, "『醫方類聚』の鍼灸条文について" 2008
    • 118 逯銘昕, "『通真子傷寒括要』考略" 5 : 2010
    • 119 劉時覺, "『續易簡方脉論』和『王氏易簡方』續考" 4 : 2000
    • 120 안상욱, "『東醫寶鑑』의 ‘類聚’ 인용문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 13 (13): 59-72, 2000
    • 121 안상우, "『御醫撮要』: 실전의서의 복원Ⅰ" 4 (4): 1998
    • 122 寺川華奈, "『大成論』關係文献に對する一考察: 『醫方類聚』所引の文献について" 2000
    • 123 焦振廉, "『儒門事亲』版本源流述略" 1 : 2008
    • 124 신혜규, "15세기 한국의학의 小兒에 대한 인식과 의학사적 의의" 한국의사학회 28 (28): 11-24, 2015
    • 125 胡森, "(기획논문) 醫方類聚 의 文獻價値에 관한 管見" 한국한의학연구원 14 (14): 151-15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871 0.06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