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나르시시즘을 반영한 이상적 자아 이미지 연구 : 연구자의 도자조형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deal Self Images Reflecting the Narcissism : Focused on the Author's Ceramic Sculpture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thesis aims to interpret the researcher's work and elucidate the significance of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earcher visualizes her ideals through a series of ceramic sculptures called “FFanG's World”. In particular, the researcher's work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ideal self images’ as a substitute while concealing her true self, identifying the ideal self images with herself. Her act of creating a work can be seen as having meanings of self-affirmation and recording. Therefore, this paper draws on psychoanalytic theories related to narcissism and analyzes the factors behind the phenomenon of the researcher's fascination by images she has created.
    Narcissism was once classified as an illness in psychoanalysis because of the fact that it involves an obsession with the self that prevents a person from seeing beyond the boundary of oneself. But Sigmund Freud sees narcissism as something ‘primordial’ that all human beings have. Further, Jacques Lacan applies Freud's theory to the ‘mirror stage’ and explains that narcissism is an essential stage of human development. In the mirror stage, the process in which a child becomes fascinated with his or her own mirror image is a process in which a human being anticipates an image through a distorted gestalt, and his/her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is formed accordingly. This i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inevitable attraction of humans to images. Therefore, the motivation for this researcher to create the ideal self images can be explained through Freud's theory, and her process of accepting the images of others to pursue self-affirmation can be connected with Lacan's theory.
    Self-portraits are an example of work in which narcissism is well manifested. Rather than revealing themselves as they are, artists often distort or idealize themselves. The contemporary artists Cindy Sherman and Jeff Koons exhibit different forms of this narcissism. Sherman changes her self images by devising artificial images of herself, which serve as a basis in her work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images of other persons. Koons is an artist who shows an ostentatious narcissism in his work, but he also reveals very different tendencies besides this. His works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contradictions within narcissism.
    In the researcher's work, ‘FFanG’, a self image that reflects the omnipotence of the narcissistic dimension, appears. The researcher's self images are continuously changing, which is a result of accepting the images of others. Her duplication of self images using a slip-casting technique can be seen as a process of sharing and expanding her own image while receiving confirmation from others. The researcher frequently uses materials that reflect objects like a mirror. Sequins have the same effect as jewels and induce a desire to possess them, and the glaze shows narcissism through the sense of touch, which induces a positive touch from the viewers. This serves as a more reliable basis for self-affirmation than the gaze of others.
    This paper confirms that narcissism is something irremovable and fundamental, and at the same time, shows that it is manifested in various forms in human life. The researcher visualizes her self images, replicates and shares them to get confirmation from others, and repeats this process. This is clear evidence of narcissism. In this sense, narcissism becomes a driving force for the researcher to create work and live her life, and acts as a means to achieve her ideals.

    더보기

    본 논문은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해석과 그에 따른 이론적 배경의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퐝스 월드〉라는 도자조형 작품으로 자신의 이상을 가시화한다. 특히 연구자는 자신의 본 모습은 은폐하면서도 ‘이상적 자아 이미지’를 대체물로 내세워 자신과 동일시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가 작품을 제작하는 행위는 자기 확인과 기록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신분석학적 이론 중에서도 나르시시즘에 주목하여 연구자가 자신이 창작한 이미지에 매료되는 현상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다.
    나르시시즘은 본래 자신의 모습에 사로잡혀 자기밖에 보지 못한다는 점 때문에 한때 정신분석학에서도 질병으로 분류된 바 있으나,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나르시시즘을 인간 모두가 가지고 있는 ‘원초적인 것’으로 본다. 나아가 자크 라캉은 프로이트의 이론을 ‘거울 단계’에 적용하여 나르시시즘이 인간의 필수적인 발달 단계라는 점을 설명한다. 거울 단계에서 어린아이가 자신의 거울상에 매료되는 과정은 인간이 왜곡된 게슈탈트를 통해 이미지를 선취하는 과정이며, 그에 따라 타자와의 관계성이 발현된다는 점에서 인간이 이미지에 매혹될 수밖에 없다는 데 객관적 근거가 된다. 따라서 연구자가 이상적 형상의 자아 이미지를 창조하는 동기는 프로이트의 이론을 통해 설명할 수 있으며, 타자의 이미지를 수용하여 자기 확인을 추구하는 과정은 라캉의 이론과 연결해 볼 수 있다.
    나르시시즘이 잘 반영된 예로는 미술가들의 자화상을 들 수 있다. 그들은 자신의 모습을 사실 그대로 드러내기보다는 왜곡하거나 이상화하여 표현하였다. 현대 작가 신디 셔먼과 제프 쿤스는 각각 다른 형태의 나르시시즘을 보여준다. 셔먼은 자기 연출을 통해 자아 이미지를 변화시키는데, 이는 작품에 타자의 이미지가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근거가 된다. 쿤스는 작품 속에서 과시적 나르시시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가이지만, 과시적 나르시시즘 이외의 매우 다른 성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의 작품은 나르시시즘 안의 모순을 파악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연구자의 작품에는 나르시시즘 차원의 전능감이 반영된 자아 이미지인 ‘퐝’이 등장한다. 연구자의 자아 이미지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이는 타자의 이미지를 수용한 결과이다. 연구자가 자아 이미지를 슬립 캐스팅 기법을 사용하여 복제하고 있는 것은 자신의 이미지를 공유하고 확장하는 동시에 타자의 확인을 받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연구자의 작품에는 거울처럼 반사되는 재료가 주로 사용된다. 시퀸은 실제 보석과 같은 효과를 내며 소유 욕망을 이끌어내고, 유약은 관객의 긍정적 터치를 유발하는, 촉각을 통한 나르시시즘을 보여준다. 이는 타자의 시선보다 더 확실한 자기 확인의 근거로 작용한다.
    본 논문은 나르시시즘이 소거할 수 없는 근원적인 것임을 확인하는 동시에 인간 삶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드러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자는 자신의 자아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그것을 복제, 공유하면서 타자의 확인을 받고 있었으며, 이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이것은 나르시시즘을 명백히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그런 점에서 나르시시즘은 연구자가 작품을 제작하고 삶을 살아가는 데 원동력이 되며, 자신의 이상을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더보기
    • Ⅰ. 서 론 = 1
    • Ⅱ. 나르시시즘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 6
    • 1. 나르시시즘의 기원과 변화 과정 = 6
    • 2. 리비도의 이동과 나르시시즘 = 11
    • 1) 프로이트의 일차적 나르시시즘과 이차적 나르시시즘 = 11
    • 2) 원초적 나르시시즘 = 16
    • 3. 거울 단계와 나르시시즘 = 20
    • 1) 라캉의 거울 단계 = 22
    • 2) 거울 그림과 이미지의 이동 = 32
    • Ⅲ. 나르시시즘과 미술 = 38
    • 1. 자화상으로 본 나르시시즘 = 40
    • 2. 신디 셔먼 : 유동하는 자아 이미지 = 54
    • 1) 자아 이미지의 연출 = 56
    • 2) 성찰적 자아 이미지 = 64
    • 3. 제프 쿤스 : 과시적 나르시시즘 = 71
    • 1) 대중 소비사회의 나르시시즘 = 74
    • 2) 사물의 이상화 : 소유 욕망의 나르시시즘 = 79
    • 3) 나르시시즘의 공유 = 83
    • Ⅳ. 나르시시즘을 반영한 도자 작품 연구 = 89
    • 1. 이상적 이미지와 나르시시즘 = 89
    • 1) 작품의 배경 : 이상적 자아 '퐝'의 유래 = 89
    • 2) 자기 은폐와 나르시시즘 : 왜곡된 게슈탈트 = 96
    • 3) 자아 이미지의 유동성 = 100
    • 2. 타자의 이미지와 나르시시즘 = 108
    • 1) 대중매체 이미지의 반영 = 108
    • 2) 소비의 나르시시즘 : 자기 확인과 소유 욕망 = 113
    • 3. 환희와 도취의 자아 이미지 = 120
    • 1) 선망받는 이상적 자아 = 120
    • 2) 촉각을 통한 나르시시즘의 확인 : 유약의 표면 = 125
    • 3) 반사-재반사의 나르시시즘 : 캐스팅을 통한 복제 = 129
    • Ⅴ. 결 론 = 139
    • 참고문헌 = 144
    • 부 록 : 박사 학위 청구전 = 153
    • ABSTRACT = 165
    더보기
    • 1 숀 호머, "『라캉읽기』,", 김서영 옮김, 서울: (주)은행나무,, 2014
    • 2 이주영, "현대미학 특강", 고양: 미술문화, 2018
    • 3 정승화, "「나르시시즘」", 『여/성이론』, 7호, , pp. 313-320, 2002
    • 4 조선미, "『화가와 자화상』", 서울: 예경, 1995
    • 5 이상돈, "「나르시시즘의 법」", 『법철학연구』, 22권, 3호, , pp. 157-190, 2019
    • 6 한병철, "『아름다움의 구원』", 이재영 옮김,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6
    • 7 오흥명, "「자기경멸에 관하여」", 『철학사상』, 72호, , pp. 69- 109, 2019
    • 8 자크 라캉, "『프로이트의 기술론』,", 맹정현 옮김, 서울: 새물결, 2016
    • 9 앤터니 이스트호프, "『무의식』, 이미선 옮김", 서울: 도서출판 한나래, 2000
    • 10 문장수, "「쟈크 라캉의 주체 개념」", 『철학논총』, 56권, pp. 393- 415, null
    • 11 장순강, "「포스트모던 사진 자화상」", 『미술이론과 현장』, 15권, , pp. 51-79, 2013
    • 12 강응섭, "거울도식과 나르시스적 사랑",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2 권, 2호, , pp. 7-26, 2010
    • 13 김재석, 탁영준, "「5개의 테마, 쿤스의 -2014」", 『Art in Culture』, 2014년 8월, http://www.artinculture.kr/magazine/189, 1979
    • 14 김재석, "「“안녕하세요, 쿤스씨!”」", 『Art in Culture』, 년 10 월, http://www.artinculture.kr/magazine/166, 2011
    • 15 조선령, "「특별기고-2. 회화의 타자」", 『미술세계』 , 년 11월, pp. 122-128, 1996
    • 16 카를 G. 융, "『인간과 상징』, 이윤기 옮김", 파주: 주식회사 열린책 들, 2012
    • 17 배르벨 바르데츠키, "『여자의 심리학』, 강희진 옮김", 서울: 대한교과 서: 북폴리오, 2006
    • 18 양은희, 진휘연, "『22개 키워드로 보는 현대미술』", 서울: 키메이커, , https://ridibooks.com/books/1745001045, 2017
    • 19 장-다비드 나지오, "『정신분석의 근본 개념 7가지』,", 표원경 옮김, 시 흥: 한동네, ., 2017
    • 20 지그문트 프로이트, "『무의식에 관하여』, 윤희기 옮김", 서울: 열린책 들, 1997
    • 21 아브라함 몰르, "『키치란 무엇인가』, 엄광현 옮김", 서울: 시각과 언어, 1995
    • 22 우상민, "『Shakespeare' s Sonnets와 나르시시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 23 앤디 워홀, "『앤디 워홀의 철학』, 김정신 옮김", 파주: 미메시스, 2015
    • 24 강응섭, "『한국에 온 라캉과 4차 산업혁명』", 서울: 세창출판사, 2018
    • 25 정필주, "「[USA] 스타 작가의 귀환, 신디 셔먼」", 『미술세계』, 년 6월, pp. 124-129, 2016
    • 26 조시 코언, "『(How to read) 프로이트』, 최창호 옮김", 서울: 웅진씽크 빅: 웅진지식하우스, 2007
    • 27 스테파노 마기, "『그리스 : 고대 문명의 역사와 보물』,", 김원옥 옮김, 서울: 생각의 나무,, 2007
    • 28 딜런 에반스, "『라깡 정신분석 사전』, 김종주 외 옮김", 고양: 인간사 랑, 1998
    • 29 이만우, "「소비의 정신분석-상품매매의 정신역동」", 『우리 시대의 욕 망 읽기 : 정신분석과 문화』,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엮 음, 서울: 문예출판사, , pp. 33-55, 1999
    • 30 김인숙, "「성찰적 시선을 통한 자화상(自畵像) 연구」", 『기초조형학연 148 구』, 11권, 6호, , pp. 147-156, 2010
    • 31 자크 라캉, "『에크리 :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김석 옮김, 파주: 살림, 2007
    • 32 오비디우스,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천병희 옮김", 고양: 숲, 2005
    • 33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 그 신화와 구조』, 이상률 옮김", 서울: 문예, 2015
    • 34 김원방, "『잔혹극 속의 현대미술 : 몸과 권력 사이에서』", 서울: 예경, 1998
    • 35 김상봉, "나르시스의 꿈 – 서양 정신의 극복을 위한 연습", 서울: 한길 사, 2002
    • 36 신상기, "욕망의 시각화, 셀프카메라 (셀카) 의 나르시시즘", 『디지털 디자인학연구』, 14권, 1호, , pp. 533-541, 2014
    • 37 김승곤, "「자아를 개념화한 나르시즘의 세계, 신디 셔먼」", 『미술세 계』, 년 5월, pp. 102-105, 1986
    • 38 곽아람, "「“내 재료는 싸구려지만 사람들에게 힘을 줘”」", 『조선일 보』, 년 4월,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4/30/2011 043000026.html, 2011
    • 39 손정훈, "「《제프 쿤스 베르사유》전을 통해 본 베르사유」", 『불어문화 권연구』, 19권, , pp. 288-315, 2009
    • 40 이문정, "「기호계(the semiotic)의 시각적 재현과 무법의 공간」", 『미 술이론과 현장』, 17호, , pp. 6-42, 2014
    • 41 강우성, "『불안은 우리를 삶으로 이끈다 : 프로이트 세미나』", 파주: 문 학동네, 2019
    • 42 이임수, "「신디 셔먼의 사진: 현존과 부재의 기표로서의 얼룩」", 『서양 미술사학회논문집』, 47권, , pp. 173-202, 2017
    • 43 대니 노부스, "「제 5장 거울 속의 삶과 죽음 - 거울 단계 새로 보기」", 『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문심정연 옮김, 서울: (주)문학과지성사, , pp. 138-170, 2013
    • 44 강응섭, "『첫사랑은 다시 돌아온다 : 프로이트와 라캉의 사랑론』", 서 울: 세창출판사, 2016
    • 45 이은주, "「제프 쿤스, “예술을 통해 우리는 삶을 축하하는 것”」", 『중앙일보』, 년 9월, https://news.joins.com/article/22982830, 2018
    • 46 미란다 브루스 미트포트, 필립 윌킨스, "『기호와 상징 : 그 기원과 의미 를 찾아서』, 주민아 옮김", 파주: (주)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10
    • 47 이수진, "「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 고찰의 정신분석 실천적 의미」", 『현대정신분석』, 21권, 2호, , pp. 77-112, 2019
    • 48 신구 가즈시게, "『라캉의 정신분석 : 대상-a는 황금수이다』, 김병준 옮김", 서울: 은행나무, 2007
    • 49 이은기, "『권력이 묻고 이미지가 답하다 : 미술에서 찾은 정치 코드』", 파주: 아트북스, 2016
    • 50 윤지원, "「[USA] 제프 쿤스, 휘트니 미술관의 마지막을 화려하게 수놓 다」", 『미술세계』, 년 9월, pp. 102-105, 2014
    • 51 최미숙, "「쟈크 라깡의 거울 단계와 가상현실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 구」", 『시각디자인학연구』, 9호, , pp. 18-27, 2002
    • 52 로렌초 키에자, "『주체성과 타자성 : 철학적으로 읽는 자크 라캉』, 이 성민 옮김", 서울: 도서출판 난장, 2012
    • 53 조광석, "「제프 쿤스(Jeff Koons)의 작품에서 예술성과 대중주의 상징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13권, 2호, , pp. 455- 463, 2012
    • 54 안상혁, "「자크 라캉의 거울 단계와 영상미디어의 매개과정과의 연관 성」", 『디자인학연구』, 18권, 4호, , pp. 147-154, 2005
    • 55 안진국, "『불타는 유토피아 : ‘테크네의 귀환’ 이후 사회와 현대 미 술』", 서울: 갈무리, 2020
    • 56 김주현, "「여성의 몸과 외모 꾸미기 - 금욕주의와 나르시시즘을 넘어 서」", 『미학』, 47권, , pp. 25-76, 2006
    • 57 맹정현, "『프로이트 패러다임 : 프로이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Freud paradigm』", 파주: SPF-위고, 2015
    • 58 김종갑, "「사진의 수사학과 물질성: 신디 셔먼의 〈무제 영화 스틸〉을 중심으로」", 『영미문학 페미니즘』, 13권, 1호, pp. 43-66, 2005
    • 59 김인숙, "「자화상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뒤러와 프리다의 자화상을 중 심으로-」", 『인문과학연구』, 36권, , pp. 115-129, 2011
    • 60 박일호, "『문화와 미술 : 문명의 탄생부터 포스모더니즘까지 서양 미술 사를 읽다 』", 서울: 미진사, 2012
    • 61 제임스 홀, "『얼굴은 예술이 된다 : 셀피의 시대에 읽는 자화상의 문화 사』, 이정연 옮김", 서울: 시공아트: 시공사, 2018
    • 62 강응섭,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 파리 생탄병원에서 행한 세미 나들-63.7.3)』", 서울: 세창미디어, 2015, 1953
    • 63 페터 비트머, "『욕망의 전복 : 자크 라캉 또는 제2의 정신분석학 혁 명』, 홍준기, 이승미 옮김",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9
    • 64 캘빈 톰킨스, "『아주 사적인 현대미술 : 아티스트 10인과의 친밀한 대 화』, 김세진, 손희경 옮김", 파주: 아트북스, 2017
    • 65 가타오카 이치타케, "『라캉은 정신분석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 나 를 찾아가는 라캉의 정신분석』", 임창석 옮김, 서울: 이학사, 2019
    • 66 홍이화, "「[자기심리학(Self Psychology)이야기 1] 나르시시즘 (Narcissism), 지독한 자기(Self)사랑?」", 『기독교사상』, , pp. 266-278, 2010
    • 67 박수정, 원수현, "「제프쿤스(Jeff Koons) 작품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Narcissism)적 이미지의 상징성 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 지』, 19권, 1호, , pp. 81-100, 2019
    • 68 이병호, "「셀피-자기의식에 관한 연구 - 케이시 나이스테트(Casey Neistat) 채널을 중심으로 -」", 『조형디자인연구』, 19권, 3호, , pp. 111-127, 2016
    • 69 할 포스터, "『1900년 이후의 미술사 : 모더니즘 반모더니즘 포스트모 더니즘』, 배수희, 신정훈 외 옮김", 서울: 세미콜론: 사이언 스북스, 2016
    • 70 로라 커밍, "『화가의 얼굴, 자화상 : 뒤러부터 워홀까지 자화상으로 그 린 화가의 진실』, 김진실 옮김", 파주: 아트북스, 2012
    • 71 세라 손튼, "『예술가의 뒷모습 : ‘벌거벗은’ 현대미술가와 현대미술의 ‘진짜’ 초상』, 배수희 옮김", 서울: 세미콜론, 2016
    • 72 배상준, "「영화 속 인형 - 정념의 이미지기호 - 파스빈더, 〈블랙 스 완〉, 〈하녀〉를 중심으로-」", 『콘텐츠 플러스』, 11권, 1 호, pp. 85-105, null
    • 73 이영하, "『인형치료의 동물상징체계 해석에 관한 연구 -라캉의 상징체 계 해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74 김현화, "『현대미술의 여정 : 사실주의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미술은 인간과 사회를 어떻게 만나는가』", 파주: 한길사, 2019
    • 75 진휘연, "「응시의 여성과 ‘기호’로서의 이미지 - 크라우스의 셔먼 〈무제 영화 스틸〉연구를 해체하며」", 『미술사학보』, 29 권, , pp. 59-84, 2007
    • 76 크레이그 맬킨, "『나르시시즘 다시 생각하기 : 나르시시즘은 어떻게 자 존감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는가』, 이은진 옮김", 파주: 푸른 숲, 2017
    • 77 박윤미, 전수경, "「신디셔먼의 셀프 포트레이트 작품에 나타난 무의식에 관한 심리학적 고찰 -융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으로-」", 『한 국과학예술융합학회』, 8권, , pp. 143-154, 2011
    • 78 크랙 오웬스, "「알레고리적 충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을 향하여」,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조수진 옮김, 윤난지 엮음", 서울: 눈빛, , pp. 163-211, 2004
    • 79 노먼 브라이슨, "「Ⅱ. 기호학적 접근-현대 미술의 사라져 가는 몸」, 『몸과 미술: 새로운 미술사의 시각』, 신지영 옮김, 한림미 술관 이화여자대학교 기호학 연구소 엮음", 서울: 이화여자대 학교 출판부, , pp. 77-109,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