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string
저자
발행사항
연기군 :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200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디자인전공 의상디자인세부전공 2004. 8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592.02 판사항(4)
DDC
746.92 판사항(21)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형태사항
xⅲ, 93p. : 삽도(일부 채색삽도) ; 26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86-89
소장기관
복식에 나타난 끈은 인류가 자신의 신체에 무엇인가를 걸치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다. 원시인들이 동굴 생활을 영위하면서 자연계의 산물을 식량으로 하여 생활해 왔는데, 뉴의라는 간단한 끈을 허리에 두른, 거의 나체로서 먹을 것을 찾아 거처를 옮기는 형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때 원시인들이 뉴의를 몸에 걸치기 시작한 것이 의복의 시초라 할 수 있다.
의복을 착용할 때 여밈으로써 또는 디자인요소로써 기능적, 장식적으로 활용되는 끈은 인류역사와 함께 꾸준히 연구되어온 예술의 소재로 또 다른 현대적 미감의 새로운 조형 형식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끈을 연구과제로 설정하여 종류 및 기능성 등을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고, 끈의 용어를 정의하였으며, 동양복식의 사적고찰을 한국, 중국, 일본의 고대복식에 나타난 끈의 활용사례를 문헌자료를 통하여 정리하고, 서양복식에 나타난 끈의 활용사례를 살펴보고, 현대복식에 활용된 조형성과 조형미를 살펴보기위해 시각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체적 연구대상으로는 세계 4대 컬렉션인 파리, 런던, 밀란, 뉴욕에 1999년 가을, 겨울 이래 시행된 '오뜨꾸띠르' '프레타포르테' 컬렉션에 보이는 디자이너들의 작품사진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시대마다 사회, 문화 등의 요소와 어떻게 융합 되는 가와 복식의 조형성의 영역에 얼마만큼 기여할수 있는가를 제시하고, 현대복식에 적용하여 새로운 조형미를 찾는데 의의를 두었으며, 현대복식에 활용된 새로운 조형가치를 발견해 복식디자인의 감성영역을 확대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복식에 나타난 끈은 고대복식 초기에는 띠의 형태로 상의나 바지를 허리에 묶어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위한 것으로 한국적인 특수한 요의로 과대라고 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 상의인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앞을 여밀 수 있도록 옷고름이 등장하는데, 이때부터 저고리의 형태 변화가 생기면서 고름의 길이와 폭도 다양하게 변화된다. 끈은 바지, 치마에도 대님과 허리띠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주로 바지부리를 고정하거나 치마 등을 허리에 고정시키는 기능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포에는 세조대와 같이 사대부 양반 계급만이 할 수 있는 상징적인 의미로 쓰인 것 등 색과 종류를 구분하였다.
중국 복식에 나타나는 끈은 한국 복식과 차이를 둘 수 있는데, 여밈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끈의 형태가 보여 지나 옷고름처럼 길게 겉으로 나타나는 것보다 가슴아래, 무릎에 간단하게 정리하는 개념이며 표등을 길게 늘어뜨려 장식적인 의미로 보여 진다.
일본 복식의 끈은 여밈의 깃 언저리와 허리부분의 두 곳을 끈으로 묶어 몸에 꼭 맞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점점 대의 모양이 화려해지고 크기도 커지면서 지금의 기모노의 원형이 생성되어 오비도메가 발달한다.
서양복식에 나타난 끈은 고대복식 초기엔 키톤처럼 의복을 고정시키는 형태에서 중세복식엔 왕족들의 장식적인 띠로 변한 로룸으로, 블리오에선 몸통에 꼭 맞게 하기위해 뒤나 옆을 트고 끈으로 X자로 묶은 형으로 나타났다. 근세복식으로 와선 앞가슴을 끈으로 지그재그가 되게 묶은 스토마커가 유행하고, 근대복식에는 새쉬 벨트와 리본장식 이 두드러졌다.
끈의 기능엔 여러 가지가 있었는데, 분류해보면 기능성, 장식성, 상징성, 강조성으로 나눌 수 있다. 기능성엔 여밈의 기능으로 단추나 지퍼를 대신 한 것과 장식성은 끈을 여러 가닥으로 늘어뜨린다거나, 색깔을 달리한다거나 하여 포인트로 작용하게 한 점을 들 수 있다. 상징성의 예는 한복에서 많이 찾아 볼 수 있었는데, 부인들은 옷고름의 색을 달리한다거나, 왕이나 사대부들의 대의 색을 일반인들과 달리 차등을 두었다거나 어린아이의 돌띠에 새겨진 무늬가 여러 가지를 상징하는 것 등이 있었다.
현대 복식에 활용된 끈의 조형성은 형태, 위치, 색상, 소재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먼저 형태분류 상 표현기법을 분석한 결과는 테이프형(28%), 실 형(28%), 엮어 짜기(19%), 전체형(15%), 기타(6%), 장식 형(4%)으로 나타났다. 끈의 위치 분류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가슴(30%), 허리(28%), 어깨, 다리 각(12%)로 나타났으며, 팔(9%), 등, 뒤(7%), 기타(2%)로 주로 상체에서 나타나는 비율이 79%로 나타났는데, 이는 의상디자인에 있어서 얼굴에 초점을 맞추는 디자인의 원리를 따르는 것과 같다. 색상에 있어선 색상대비(34%), 톤 온톤 대비(33%), 흑백 대비(14%), 멀티 칼라(14%), 기타(5%)로 나타났는데 이는 계절별로 볼 때도 봄, 여름에 끈을 활용한 의상디자인의 출현 비율이 높은 것과도 관계 있다. 이상에서 끈을 활용한 현대복식의 조형미는 크게 여성미, 자연미, 율동미, 민속미로 유추되었다.
몸에 피트 되는 바디컨셔스룩에 섹시미를 강조하는 여성미, 인공적이지 않은 자연스럽게 흐르는 여유 있고 편안한 실루엣의 자연미, 착장 시 유동적인 움직임에 의해 생성되는 율동미, 원시적인 강한 색채대비 등 독특한 미를 창출하는 민속미로 정리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끈이 어떤 의미로 활용되고 어떤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현대복식에 어떠한 의미로 활용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앞으로 새롭게 응용될 끈을 모티브로서 복식디자인의 활용범위를 넓히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string is stemmed from the period that the human beings started to put something on their body. Living in a cave, primitive men lived on products of the nature as their food. The origin of 'clothing' is thought to come from the primitives who walk around seeking for their foodstuffs, with a simple string, so called new clothing neweu.
The string which human beings put on for function and decoration, appears to be a new type of modeling as an artistic material studied steadily along the history of human beings.
By this, the studies types and functions of string as a topic of this research paper, defined the meanings and adjusted the examples of the uses in the history of ancients' clothing. To study function and art of modeling in a present clothing, I used visual materials and data.
As a specific subject for this research, I used the works from 'Haute couture', 'pret-a-porte' staged in the World four collections, Paris, London, Milan and New York since Autumn and Winter in 1999.
In this research, I look at how well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re combined and present how they contribute to the area of function of modeling, find a new art of modeling. I purpose to find a new art of modeling and find out a new value of modeling, which was applied in the present clothing and expand the area of sensitivity.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The string in Korean clothing history appeared in a farm of belt and used to tie up an upper garment or trousers at the beginning and can be classified as a special Korean yoeu. In our ancient Korean, a coat string appeared to adjust one's dress as the length of jeogori, a Korean upper garment, got shorten. From that period, length and width of coating string are diversified along the changes in the form of jeogori. Strings are classified as ankle bands and belts, respectively in trousers and skirts and play a role in adjusting trousers or skirts. The pho means differently by colors and types, such as meaning a symbol of class of korean nobility.
The string in Chinese clothing history, differs from one in Korea and seems to be a form of string used to adjust clothing, however it actually functioned simply adjusting right under breast, not like a coat string hung down long.
The string in Japan, used to fix the clothing to one's body by fixing both edges of collar and waist and became more brilliant in shape and larger in size, so obidome was developed as an origin of current kimono is created.
String in western costume appeared in three types which is classified as below. The chiton style which fixes costumes in the early ancient, decorative belt styled lorum in the middle ages, and bliaud style which is tied as X-type with strings and wide open to fix-to-body. Zigzagged stomacher that tied breast with strings was in vogue in modern times and sash belt & ribbon were popular in recent times.
Strings have different functions, such as practicality, decoration, symbolism, and emphasis. In Practicality, adjust instead of like a button or a zipper, or to change the silhouette or details. In Decoration, strings works as a point by hanging them down or differentiate their colors. An example of symbolism can be found in Hanbok, one that noble ladies differentiated the color of their coat strings, King or Noble class had different on their daeui color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citizen, and small children had different pattern on their del tti.
The form of modeling of string in the modern clothing, can be classified by farm, position, color and materia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ression method by forms, it is classified as a type of tape (28%), thread (28%), weave (19%), general (15%), others (6%), and decoration (4%). As a result of analyzing by positions, it is classified as breast(30%), waist(28%), shoulder(12%), leg(12%), arm(9%), back(7%) and others(2%). The fact that the ratio shown in upper part of body is 79 means to follow the principle that focuses on the face in the clothing design. In colors, it is classified as color contrast(34%), ton on ton contrast(33%), black The string is stemmed from the period that the human beings started to put something on their body. Living in a cave, primitive men lived on products of the nature as their food. The origin of 'clothing' is thought to come from the primitives who walk around seeking for their foodstuffs, with a simple string, so called new clothing neweu.
The string which human beings put on for function and decoration, appears to be a new type of modeling as an artistic material studied steadily along the history of human beings.
By this, the studies types and functions of string as a topic of this research paper, defined the meanings and adjusted the examples of the uses in the history of ancients' clothing. To study function and art of modeling in a present clothing, I used visual materials and data.
As a specific subject for this research, I used the works from 'Haute couture', 'pret-a-porte' staged in the World four collections, Paris, London, Milan and New York since Autumn and Winter in 1999.
In this research, I look at how well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re combined and present how they contribute to the area of function of modeling, find a new art of modeling. I purpose to find a new art of modeling and find out a new value of modeling, which was applied in the present clothing and expand the area of sensitivity.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The string in Korean clothing history appeared in a farm of belt and used to tie up an upper garment or trousers at the beginning and can be classified as a special Korean yoeu. In our ancient Korean, a coat string appeared to adjust one's dress as the length of jeogori, a Korean upper garment, got shorten. From that period, length and width of coating string are diversified along the changes in the form of jeogori. Strings are classified as ankle bands and belts, respectively in trousers and skirts and play a role in adjusting trousers or skirts. The pho means differently by colors and types, such as meaning a symbol of class of korean nobility.
The string in Chinese clothing history, differs from one in Korea and seems to be a form of string used to adjust clothing, however it actually functioned simply adjusting right under breast, not like a coat string hung down long.
The string in Japan, used to fix the clothing to one's body by fixing both edges of collar and waist and became more brilliant in shape and larger in size, so obidome was developed as an origin of current kimono is created.
String in western costume appeared in three types which is classified as below. The chiton style which fixes costumes in the early ancient, decorative belt styled lorum in the middle ages, and bliaud style which is tied as X-type with strings and wide open to fix-to-body. Zigzagged stomacher that tied breast with strings was in vogue in modern times and sash belt & ribbon were popular in recent times.
Strings have different functions, such as practicality, decoration, symbolism, and emphasis. In Practicality, adjust instead of like a button or a zipper, or to change the silhouette or details. In Decoration, strings works as a point by hanging them down or differentiate their colors. An example of symbolism can be found in Hanbok, one that noble ladies differentiated the color of their coat strings, King or Noble class had different on their daeui color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citizen, and small children had different pattern on their del tti.
The form of modeling of string in the modern clothing, can be classified by farm, position, color and materia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ression method by forms, it is classified as a type of tape (28%), thread (28%), weave (19%), general (15%), others (6%), and decoration (4%). As a result of analyzing by positions, it is classified as breast(30%), waist(28%), shoulder(12%), leg(12%), arm(9%), back(7%) and others(2%). The fact that the ratio shown in upper part of body is 79 means to follow the principle that focuses on the face in the clothing design. In colors, it is classified as color contrast(34%), ton on ton contrast(33%), black & white contrast(14%), multi color(14%), and etc(5%). Here are the list of it. Feminine beauty which emphasize sexiness on fitted body-conscious-look, naturalness of relaxed silhouette which is non-artificial and natural, rhythmical beauty created by dynamic movement on dressing and lastly, primitive and strong color comparison.
Throughout the research above, I would like to analyze strings by how strings be used, how to be developed, and how to be applied in modern costume and I hope broadening the field of costume design as a newly applicable motive. white contrast(14%), multi color(14%), and etc(5%). Here are the list of it. Feminine beauty which emphasize sexiness on fitted body-conscious-look, naturalness of relaxed silhouette which is non-artificial and natural, rhythmical beauty created by dynamic movement on dressing and lastly, primitive and strong color comparison.
Throughout the research above, I would like to analyze strings by how strings be used, how to be developed, and how to be applied in modern costume and I hope broadening the field of costume design as a newly applicable motiv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