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일제말기 친일문학의 내적논리와 회고의 전략 :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논문에서는 일제말기(1937년~1945년) 친일문학과 해방기 회고의 전략적 성격을 문인들의 ‘자기규정’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친일문인들은 대중적 지도자나 사상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국일본과 조선 사이의 ‘번역자’로 살아왔다. 그러나 일제의 외부적 압력과 문인의 내부적 혼란이 극대화된 시점에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해방은 이들을 순식간에 민족의 죄인이자 평범한 인민의 한 사람으로 끌어내렸다. 해방공간에서 친일문인들은 일제말기 제국일본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조선(인)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 이상으로, ‘정치적’이고 ‘전략적’인 자기변호의 텍스트를 생산해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친일문인들의 해방기 ‘회고’는 문인의 내적 욕망과 외부적 압력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는 점, 시대와 이데올로기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문학적, 사회적 생존을 모색하기 위한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일제말기의 ‘친일문학’과 매우 닮아있다.

    본 논문의 기본적인 시각은 제국주의와 주체의 관계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담론의 자장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선행연구와 차별을 두기 위해 일제말기 친일문학에 영향을 미친 외부적 요인보다는 문인 개개인의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그들의 식민지적 주체형성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친일문학이 그저 외압에 의한 몰개성한 선전문학이 아님을 규명하려 했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식민지적 주체성을 형성하면서 일제하에서나 해방공간에서 활발히 작품 활동을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 세 명의 문인을 통해 친일문학이 일제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문인 각자의 맥락에서 내면화한 결과물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취하는 서술전략과 서술방식의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친일의 범위와 의미를 일제강점기에 국한시키지 않고, 이를 해방 후 회고와 연결시킴으로써 친일의 시작과 완결을 철저히 작가 본인의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서론에서는 친일문학에 대한 기존 연구사가 갖고 있던 견고한 민족주의적 시각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돌파하려는 최근 연구 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사 검토를 통해 최근 친일문학 연구에서 주목하는 ‘식민지적 주체’의 문제를 본 논문의 문제의식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또한 친일문학(연구)의 정치적 성격으로 인해 연구자들이 경직된 태도와 시각을 갖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친일문학 연구의 난점과 방법론의 문제를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일제말기 조선문단의 상황과 문인협회의 존재의의를 바탕으로, 세 문인의 ‘친일논리’가 구축되는 과정을 그들의 비평(적)텍스트를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조선의 문인들은 일본을 중심으로 한 ‘대아시아’ 개념 속에서 근대와 동양을 초극하고 서구에 대항할 가능성을 찾았다. 문인협회는 문인들의 친일행위를 집단화・조직화하고, 일본으로부터 ‘국민문학론’을 수용하는 등 새로운 문학의 방향을 모색했지만 문학론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식민지적 주체의 사상적 균열과 분열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독립을 위한 근간인 ‘민족주의’가 친일로 흐르게 되는 양상은 일견 아이러니로 보이지만, 이광수를 통해 보면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는 결코 상반된 개념이 아님을 알게 된다. 그의 민족주의는 ‘자강론’, ‘실력양성론’ 등과 결합하면서 자연스럽게 동화주의(assimilation)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김동인의 친일논리는 그의 민족의식의 부재를 잘 보여준다. 그는 일본이 내세우는 식민지배이데올로기에 현혹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내면화하거나 자기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김동인은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조선문단의 대표적 친일문인으로 보이기를 원했다. 생존을 위해서는 일제하에서 문인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자, 일찍이 문학의 자율성에 대한 철저한 옹호자였던 김동인은 문학이 가장 중요한 ‘도구’일 수 있다는 자가당착적 결론에 다다른다. 그래서 일제말기 김동인에게는 주체성이 결여된 식민지 지식인의 수동적인 모습과 식민지배 체제 내에서 가치 있는 존재가 되고자하는 피식민자의 욕망이 동시에 발견된다. 반면 무력한 니힐리스트이자 체제순응자인 채만식의 사회주의는 ‘전체주의’라는 공통점으로 인해 일제하 신체제로 빨려 들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채만식의 친일논리는 이광수에 대한 모방으로, 친일소설의 구상은 히노 아시헤이의 영향 하에서 그 기반을 마련하지만, 이광수와 달리 채만식은 조선(인)을 초극하여 사고할 수 없다는 점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인다. 조선과 조선문학, 그리고 조선인으로서 자신을 모두 미달된 존재로 규정했던 채만식은 현실적 제조건으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시대에 순응하는 것으로써 자신의 길을 정한다.

    Ⅲ장에서는 일제말기 문인에게 내면화된 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결과물인 소설텍스트를 분석해보았다. 특히 이 장에서는 해방 후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지금까지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던 친일소설텍스트들을 새롭게 의미화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세 문인의 ‘개성’은 문학작품의 제재(題材)와 장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광수의 친일소설은 기본적으로 일상에서 제재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조선인에게는 충(忠)을, 일본인에게는 성(誠)의 정신을 주입시키려 함으로써 계몽의 이중적 의도를 보인다. 완전한 내선일체의 완성은 한쪽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광수 특유의 도식적인 인물구도는 ‘내지인-조선인’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되어 ‘정신적 내선일체’를 완성하고, 원술을 동원한 군인정신의 강조는 징병제 실시를 통한 ‘실질적 내선일체’의 기획을 뒷받침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미완으로 남은 일군의 소설들에서 이광수는 내선일체론과 국민문학론의 허상을 스스로 폭로하고, 불완전한 내면을 드러내기도 한다. 김동인의 친일소설은 모두 백제, 일본,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역사소설’이다. 김동인의 친일역사소설은 텍스트 자체만으로 볼 때에는 친일적 요소를 발견하기 어렵지만, 컨텍스트와 함께 읽으면 그 안에 숨겨진 식민사관과 텍스트의 진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도의 전략적 글쓰기라 할 수 있다. 그는 서구를 통해 동양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일본중심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아편전쟁을 제재로 삼은 두 편의 역사소설에서 김동인은 중국의 치욕적인 역사를 통해 反서구의 정서를 정당화하고, 친중적인 서술태도로 제국일본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일본정신을 반영한 예술가소설에서는 국책문학 창작에 대한 일본인 문사의 고민을 담았지만, 그 함의는 조선 문인의 일본어 글쓰기에 대한 고민으로 읽는 것이 옳다. 일제의 고대사복원 계획과 발맞춘 친일역사소설에서는 일본역사관을 바탕으로 백제와 일본의 역사적 친연성을 강조하고, 과거 백제가 일본의 도움으로 당군을 물리친 것처럼 조선이 일본을 도와 중국에 대항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채만식의 친일소설은 르포문학의 형태를 띤 전쟁소설과 후방의 역할을 강조하는 총후문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접 전쟁에 참여하는 용맹한 일본군, 후방에서 이를 적극 지원하는 이상적 ‘총후부인’과 ‘군국의 어머니’를 통해 채만식의 소설은 군국주의적 전체주의를 선전한다. 일제말기 채만식의 소설 가운데 장편 『아름다운 새벽』은 해방 후 단행본으로 엮이는 과정에서 친일적 요소가 의도적으로 삭제되면서 해석상의 혼란을 야기했다. 본고에서는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채만식 친일논리와 해방기의 정치성을 보여주는 텍스트로 의미화 하였다.

    Ⅳ장에서는 해방공간에서 쓰인 세 문인의 회고를 대상으로 친일문인들의 ‘자기규정’과 반성의 ‘전략’적 측면을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특히 복잡한 수사와 정치적 맥락 사이에 숨겨진 텍스트의 ‘진의’를 찾고자 했다. 이광수는 인생의 모든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자서전’이 아님에도 친일협력의 기간을 ‘일제말기’에 한정하고, 그 의미를 희석시키기 위해 자서전 형식의 회고를 썼다. 자의적으로 서술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민족주의자’의 순수성을 강조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반면 김동인은 이광수를 ‘민족주의를 내세워 자발적으로 친일한 민족적 지도자’로, 자신을 ‘일생 조선문 소설쓰기에만 몰두한 순수하고 무력한 소설가’로 규정함으로써 친일의 그림자를 이광수에게 덧씌우고 자신은 그 비판으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특히 그는 자신의 문학적 공로를 과장되게 제시하고, 일제하와 미군정의 ‘지배/점령’을 동일하게 의미화 함으로써 자신을 철저한 피해자에 위치시킨다. 채만식은 스스로를 민족의 ‘죄인’으로 규정하지만, 그의 회고에는 죄의식과 억울함이 동시에 나타난다. 그의 회고에서는 반복적으로 죄에 대한 인정과 동기에 대한 부정이 중첩되어 서술된다. 자신의 친일을 인정하면서도, 본심에서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려 하는 채만식의 회고는 본심과 양심 사이의 팽팽한 힘겨루기를 보여준다. 해방기 채만식의 인식은 ‘조선인 대부분이 민족의 죄인’이라는 것이다. 자기풍자와 자기폭로를 통해 죄의식을 드러내고는 있지만, 그런 면에서 채만식의 회고는 친일에 대한 반성적 텍스트가 아닌 자기변호의 텍스트임이 분명해진다.

    문인들의 친일의 동기와 경로, 해방 후 보여준 자기비판과 반성까지 검토한 후 드러나는 것은 식민지적 주체의 모순과 분열의 복잡한 양상이다. 친일문학은 그 자체로 정치적인 텍스트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문학’이란 한 인간이 세계를 보는 관점이자, 그 자신의 반영이기 때문이다. 친일문학은 국책을 위한 전략적 글쓰기인 동시에 한 작가의 문학적 지향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담고 있는 대상이다. 친일문인은 식민주의 내부의 구조적인 불균등성을 극복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정작 자신들의 존재가 이 체제를 상징한다는 것, 나아가 체제를 더 공고히 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이 논문은 세 문인의 일제말기와 해방기의 텍스트를 통해 식민지적 주체의 형성과 분열, 일제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환상과 모순, 친일문학에 내재된 피식민자의 욕망과 주체의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해방 후에도 여전히 세계의 비주체적 존재에 머물 수밖에 없었던 그들에게서 ‘식민지 근대성’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보기
    • I.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사 검토 8
    • 3. 연구의 시각 및 방법 24
    • II. 일제말기 문학장과 식민지적 주체의 성립 29
    • 1. 일본인보다 더 일본인-되기의 현실성과 비현실성 : 이광수 비평텍스트 36
    • 1) 천황의 적자-되기의 기대효과와 훈계의 수사학 36
    • 2) 내선일체의 민족적 구상과 설득의 수사학 43
    • 3) 문학다운 문학으로 국민문학하기의 이율배반성과 제안의 수사학 50
    • 2. 식민지적 주체의 불안과 전도된 문학주의 : 김동인 비평텍스트 57
    • 1) 실패한 정치적 활동과 변명이라는 정치행위 57
    • 2) 조선청년 희생론이라는 가면과 자기보존의 욕망 63
    • 3) 무기로서의 문학론과 제국적 주체-되기의 열망 69
    • 3. 미달형으로서의 조선(문학)과 위장된 순응주의 : 채만식 비평텍스트 73
    • 1) 새로운 환경의 수용과 논리로 위장한 순응주의 73
    • 2) 전도된 유물론과 신체제의 동일성과 비동일성 79
    • 3) 세계문학에 대한 관심과 시대에 순응하는 문학에 대한 기대 84
    • III. 일제말기 친일서사의 내적논리와 식민지 (무)의식 90
    • 1. 내선일체라는 왜상(歪像)과 피식민자의 아포리아 : 이광수 친일소설 92
    • 1) 정신적 내선일체라는 이상과 이상적 인물들의 이상적 관계라는 상상 92
    • 2) 현실적 내선일체의 길과 조선적 군인정신의 결합 99
    • 3) 식민-피식민의 부동의 위계와 현실폭로의 비애 105
    • 2. 일제의 식민지배정책과 동원된 역사들 : 김동인 친일소설 114
    • 1) 아편전쟁이라는 동양의 외상과 反서구주의 116
    • 2) 일본정신의 수용과 성암이라는 자아-이상의 발견 122
    • 3) 내선일체정책과 동원된 백제사 126
    • 3. 군국주의이데올로기에의 순응과 전쟁소설이라는 매개 : 채만식 친일소설 137
    • 1) 전쟁이라는 전변(轉變)에 대한 기대와 르포르타주 작법의 발견 138
    • 2) 전쟁담론의 확대와 후방(소설)의 탄생 146
    • 3) 중일전쟁의 전망과 삭제된 서사 사이 153
    • IV. 해방 후 회고에 나타난 자기규정과 반성의 전략 163
    • 1. 자기규정의 적극성과 서술주체의 일관성 : 이광수 회고 164
    • 1) 민족주의자 이광수에 대한 자기확신과 합리화의 전략들 164
    • 2) 자서전 형식의 회고와 진정한 자기반성의 거리 171
    • 2. 책임에 대한 두개의 잣대와 서술태도의 이중성 : 김동인 회고 176
    • 1) 반역자 이광수에 대한 비판과 변명을 통한 자기합리화 176
    • 2) 조선문 수호자로서의 자기규정과 친일의 부정 181
    • 3. 속죄의 진의와 서술방식의 모호성 : 채만식 회고 189
    • 1) 죄인으로서의 자기규정과 친일의 변호 189
    • 2) 자기풍자와 자기폭로의 서사적 기능 197
    • V. 결 론 205
    • 참고문헌 211
    더보기
    • 1 김동인, "대수양", 신원출판사, 2006
    • 2 김동인, "백마강", 매일신보, 1941. 7. 24~1942. 1. 30., null
    • 3 김동인, "「國旗」", 매일신보, 1938
    • 4 이광수, "「區長님」", 방송지우, 1945
    • 5 이광수, "「扶餘行」", 신시대, 1941
    • 6 이광수, "「歸去來」", 방송지우, 1944
    • 7 김동인, "「반역자」", 백민, 1946
    • 8 김동인, "성암의 길", 조광, ~12, 1944
    • 9 이광수, "「두 사람」", 방송지우, 1944
    • 10 채만식, "여인전기", 매일신보, ~1945. 5. 17, 1944
    • 11 채만식, "「文士心境」", 삼천리, 1936
    • 12 채만식, "「文藝時評」", 매일신보, ~28, 30, 1940
    • 13 김동인, "「新日本圈」", 半島の光, 1942
    • 14 채만식, "「街頭小見」", 매일신보, 1939
    • 15 채만식, "「風俗時評」", 매일신보, , 27, 28, 1941
    • 16 김동인, "「남경조약」", 조선출판사, 방송소설 명작선, 1943
    • 17 김동인, "「망국인기」", 백민, 1947
    • 18 이광수, "「입학시험」", 半島の光, 1943
    • 19 김윤식, "김동인 연구", 민음사, 2000
    • 20 이광수, "「創氏와 나」", 매일신보, 1940
    • 21 채만식, "「續 餘白錄」", 박문, 1939
    • 22 유재영, "7인의 탈출", 삼지원, 1993
    • 23 채만식, "「군신(軍神)」", 半島の光, ~7, 1944
    • 24 채만식, "「혈전(血戰)」", 신시대, 1941
    • 25 임종국,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77
    • 26 채만식, "「上京半折記」", 신사조, 1962
    • 27 이광수, "「人間修行論」", 신시대, 1941
    • 28 이광수, "「太平洋이어」", 매일신보, 1942
    • 29 채만식, "「安養卜居記」", 매일신보, ~8, 10~11, 1940
    • 30 김동인, "김동인 전집", 조선일보사, 1988
    • 31 채만식, "여자의 일생", 조광, ~10, 1943
    • 32 채만식, 채만식, "채만식 전집", 創作社, 1987
    • 33 채만식, 채만식, "채만식 전집", 창작과 비평사, 1989
    • 34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4
    • 35 채만식, "「作品權의 辯」", 매일신보, 1940
    • 36 이광수, "「國家와 文化」", 매일신보, ~8. 2, 1941
    • 37 이광수, "「徵兵과 女性」", 신시대, 1942
    • 38 김동인, "「感激과 緊張」", 매일신보, 1942
    • 39 이광수, "「戰爭과 文化」", 매일신보, ~2. 1, 1945
    • 40 채만식, "「斷章 數三題」", 조선일보, 1935
    • 41 채만식, "「棍杖 一百度」", 신시대, 1943
    • 42 채만식, "「민족의 죄인」", 백민, , 1949. 1, 1948
    • 43 김동인, "「속 망국인기」", 白民, 1948
    • 44 이광수, "「앞으로 二年」", 신시대, 1942
    • 45 오카 마리, ", 기억・서사", 소명출판, 2004
    • 46 이광수, "나/나의 고백", 우신사, 1985
    • 47 임종국, "친일논설선집", 실천문학사, 1987
    • 48 김동인, "「戰時生活隨感」", 매일신보, ~9, 1945
    • 49 채만식, "아름다운 새벽", 매일신보, ~7. 10, 1942
    • 50 채만식, "「三月 創作槪觀」", 동아일보, 1939
    • 51 채만식, "「三月의 作品들」", 인문평론, 1940
    • 52 이광수, "「國民文學 問題」", 신시대, 1943
    • 53 이광수, "「愛國者와 今日」", 삼천리, 1941
    • 54 이광수, "「文學의 新道標」", 매일신보, ~8, 1943
    • 55 이광수, "「新時代의 倫理」", 신시대, 1941
    • 56 김동인, "「春園의 나」", 신천지, 1948
    • 57 이광수, "「母, 妹, 妻에게」", 삼천리, 1940
    • 58 이광수, "「生活도 決戰的」", 매일신보, ~15, 1942
    • 59 채만식, "「몸뻬 是是非非」", 반도지광, 1943
    • 60 백철, ", 신문학사조사", 백양사, 1948
    • 61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2009
    • 62 김종년, "김동인 단편전집2", 가람기획, 2006
    • 63 김동인, "「아부용(阿芙蓉)」", 조광, 1942
    • 64 이광수, "봄의 노래(미완)", 신시대, ~1942. 6, 1941
    • 65 김영민, "한국근대소설사", 솔, 1997
    • 66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 67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68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학교출판부, 1982
    • 69 오오무라 마쓰오, "윤동주와 한국문학", 소명출판, 2001
    • 70 최유찬, "채만식의 항일문학", 서정시학, 2013
    • 71 김동인, "김동인 단편전집", 가람기획, 2006
    • 72 김동인, "김동인 문학전집", 大衆書館, 1983
    • 7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2002
    • 74 이광수, "「學兵의 어머니께」", 방송지우, 1944
    • 75 이광수, "「忍苦의 銃後文化」", 매일신보, 1941
    • 76 김동인, "「文化人의 總蹶起」", 매일신보, ~11, 1944
    • 77 이광수, "「朝鮮文學의 懺悔」", 매일신보, 1940
    • 78 채만식, "「模倣에서 創造로」", 동아일보, ~8, 1939
    • 79 이광수, "「生活改善의 急務」", 삼천리, 1940
    • 80 채만식, "「鴻大하압신 聖恩」", 매일신보, 1943
    • 81 김동인, "「문단 30년의 자취」", 신천지, ~1949, 1948
    • 82 이광수, "「행자(行者)」(일문)", 문학계, 1941
    • 83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한길사, 1986
    • 84 김동인, "「作品과 題材 問題」", 매일신보, , 25~29, 1941
    • 85 채만식, "「소설을 잘 씁시다」", 조광, 1940
    • 86 이혜진, "「최재서 비평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87 이광수, "그들의 사랑(미완)", 신시대, ~3, 1941
    • 88 김병걸, "친일문학작품선집", 실천문학사, 1986
    • 89 조남현, "한국현대소설연구", 민음사, 1987
    • 90 채만식, "「포로의 시사(示唆)」", 경성일보, 1942
    • 91 이시다 이치로, "일본사상사의 이해", , J&C, 2004
    • 92 임종국, "일제하의 사상탄압", 평화출판사, 1985
    • 93 서영채, "죄의식과 부끄러움", 나무플러스나무, 2017
    • 94 김동인, "「北支戰線을 向하야」", 삼천리, 1939
    • 95 이광수, "「皇民化와 朝鮮文學」", 매일신보, 1940
    • 96 이혜진, "최재서 일본어 소설집", 소명출판, 2012
    • 97 윤대석, "식민지 문학을 읽다", 소명출판, 2012
    • 98 이광수, "「兵制의 感激과 用意」", 매일신보, ~31, 1943
    • 99 채만식, "「張德祚 女史의 進境」", 조광, 1939
    • 100 채만식, "「나의 ‘꽃과 兵丁’」", 인문평론, 1940
    • 101 김윤식, "한국근대소설사연구", 을유문화사, 1986
    • 102 김영민, "한국현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2000
    • 103 이중연, "‘황국신민’의 시대", 혜안, 2003
    • 104 이경훈, "이광수의 친일문학 연구", 태학사, 1998
    • 105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 106 이광수, "「半島 民衆의 愛國運動」", 매일신보, ~7, 1941
    • 107 채만식, "「時代를 背景하는 文學」", 매일신보, , 10, 13~15, 1941
    • 108 이광수, "「緊迫한 時局과 朝鮮人」", 신시대, 1941
    • 109 이광수, "「義務敎育과 우리 覺悟」", 매일신보, 1940
    • 11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100년의 문학용어사전", 아시아, 2008
    • 111 쓰루미 슌스케, ", 일본제국주의 정신사", 도서출판 한벗, 1982
    • 112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 일지사, 1995
    • 113 채만식, "「낙조」, 잘난 사람들", 민중서관, 1948
    • 114 문학사와 비평학회, ", 김동인 문학의 재조명", 새미, 2001
    • 115 최주한, 하타노 세츠코, ", 이광수 후기 문장집Ⅰ", 소나무, 2017
    • 116 최주한, 하타노 세츠코, ", 이광수 후기 문장집Ⅱ", 소나무, 2018
    • 117 문학과사상연구회, ", 채만식 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1999
    • 118 채만식, "「國民文學의 工作鼎談會」", 매일신보, ~8, 10~11, 1941
    • 119 송민호, "일제말 암흑기 문학연구", 새문사, 1991
    • 120 이광수, "「근로(勤勞)와 문화(文化)」", 매일신보, ~7. 3, 1941
    • 121 필립 르죈, ", 윤진 역,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지성사, 1998
    • 122 김동인, "「學兵 보내는 世紀의 感激」", 매일신보, 1944
    • 123 한상일, "일본군국주의의 형성과정", 한길사, 1982
    • 124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 연구", 일지사, 1973
    • 125 채만식, "「이상적 신부(理想的 新婦)」", 방송지우, 1944
    • 126 군산대학교 채만식연구센터, ", 채만식 중 장편소설 연구", 소명출판, 2009
    • 127 이경훈, "춘원 이광수 친일문학전집Ⅱ", 평민사, 1995
    • 128 채만식, "「소설가는 이렇게 생각한다」", 조선일보, 1940
    • 129 호쇼 마사오, "고재석 역, 일본현대문학사", 문학과지성사, 1998
    • 130 최주한, "이광수와 식민지 문학의 윤리", 소명출판, 2014
    • 131 윤대석, "「1940년대 ‘국민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132 박세진, "「해방 공간의 고백소설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133 호테이 토시히로, ", 일제말기 일본어 소설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 134 김동인, "「太平洋頌 - 太平洋에의 浪漫」", 매일신보, 1942
    • 135 이광수, "「朝鮮文藝の今日と明日」(일문)", 경성일보, 1940
    • 136 이동하, "이광수: 무정의 빛, 친일의 어둠", 동아일보사, 1992
    • 137 정병호, 천팡밍, "동아시아 문학의 실상과 허상", 보고사, 2013
    • 138 정창석, "식민지적 전향-식민지와 문학", 소명출판, 2015
    • 139 이광수, "「學兵에게 보내는 世紀의 感激」", 매일신보, 1944
    • 140 김동인, "「小說家 志願者에게 주는 당부」", 조광, 1939
    • 141 이광수, "「思想과 함께 英米를 擊滅하자」", 삼천리, 1942
    • 142 이나미, ", 「일제의 조선지배 이데올로기」", 한국정치사상학회, 정치사상연구9, 2003
    • 143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개정증보판)", 솔, 1999
    • 144 이광수, "「天皇께 바쳐서 쓸데 있는 사람」", 삼천리, 1940
    • 145 석 진, ", 「일제말 친일문학의 논리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146 신정은, ", 「해방기 잡지의 문예평론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147 정진석, "조선총독부의 언론검열과 탄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148 김동인, "「지난 시절의 출판물 검열(時感)」", 해동공론, 1946
    • 149 방민호,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소명출판, 2001
    • 150 권영민, "해방 직후의 민족문학운동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 151 이광수, "「心的 新體制와 朝鮮文化의 進路」", 매일신보, ~12, 1940
    • 152 한나 아렌트, "김선욱 역,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17
    • 153 김동인, "「小說에 對한 朝鮮 사람의 思想을」", 학지광, 1919
    • 154 노상래, "「김사량 소설 연구」, 한국어문학회", 어문학73, 2000
    • 155 김동석, "「해방기 소설의 비판적 언술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156 류보선, "한국 근대문학의 정치적 (무)의식", 소명출판, 2005
    • 157 박수빈,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158 프란츠 파농, ", 이석호 역, 검은 피부, 하얀 가면", 인간사랑, 1998
    • 159 하타노 세츠코, "최주한 역, 이광수, 일본을 만나다", 푸른역사, 2016
    • 160 손지연,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일본문학", 인문과 교양, 2013
    • 161 조정연, "「阿片戰爭에 대한 林則徐의 대응책」",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162 이재용, "「이광수와 김동인의 역사소설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163 국무총리실 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조사2과,, "전시기 조선 의 사회상과 여성동원",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2007
    • 164 이광수, "「대동아」,(일문/원제 : ‘大東亞’)」", 녹기, 1943
    • 165 호사카 유지, "日本帝國主義의 民族同化政策 分析", , J&C, 2002
    • 166 김양선, "근대문학의 탈식민성과 젠더정치학", 역락, 2009
    • 167 채만식, "「大陸經綸의 壯圖, 그 世界史的 意義」", 매일신보, ~23, 1940
    • 168 이광수, "「思想 함께 英米를 擊滅하라」(강연록)", 신시대, 1942
    • 169 이광수, "「日本文化와 朝鮮-實生活을 中心으로」", 매일신보, ~5. 1, 1941
    • 170 후지타 쇼조, ", 김석근 역, 천황제 국가의 지배원리", 논형, 2009
    • 171 프란츠 파농, ", 남경태 역,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그린비, 2010
    • 172 존 맥클라우드, ", 박종성 외 편역, 탈식민주의 길잡이", 한울, 2003
    • 173 방민호, "일제 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예옥, 2011
    • 174 최주한, "제국 권력에의 야망과 반감 사이에서", 소명출판, 2005
    • 175 이광수, "「內鮮一體隨想錄」(일문), 協和事業", 중앙협화회, 1941
    • 176 김동인, "「半島民衆의 皇民化 - 徵兵制實施隨感」", 매일신보, , 1 8~19, 21~23, 25~28, 1944
    • 177 채만식, "「文學과 全體主義-우선 新體制 工夫를」", 삼천리, 1941
    • 178 이상옥, "「일제 말기 국민문학론과 국민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179 유홍주, "「1910~30년대 한국 고백소설의 담론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180 최현식, "「이광수와 ‘국민시’」, 「상허학보」22", 상허학회, 2008
    • 181 김윤식, "일제말기 한국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182 김동인, "「國民文學과 題材 - 戰時의 國家와 作家」", 매일신보, 1941
    • 183 이광수, "「文人의 應召-「陸軍記念日」에 際하여」", 매일신보, ~14, 1941
    • 184 오구마 에이지, ", 조현설 역, 일본 단일민족신화의 기원", 소명출판, 2003
    • 185 김동인, "「總動員 態勢로 – 決戰下文壇人의 決意」", 매일신보, , 4, 1944
    • 186 이광수, "「카가와 교장」(일문/원제 : ‘加川校長’)", 국민문학, 1943
    • 187 박용재, "「해방기 자기서사와 주체성 복원의 기획」",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188 한도 가즈토시, ", 박현미 역, 쇼와사1 : 전전편 (1926~1945)", 루비박스,, 2010
    • 189 이광수, "「國民文學의 意義-國家 最高 理想의 表現」", 매일신보, 1940
    • 190 식민지 일본어문학 문화연구회, "제국일본의 이동과 동아시아 식민지 문학", , 문, 2011
    • 191 정백수, "한국근대의 植民地 體驗과 二重言語 文學", 아세아문화사, 2000
    • 192 이광수, "「事變과 朝鮮-國民意識의 昂揚과 地位向上」", 신시대, 1941
    • 193 이광수, "「靑年問答 : 人生觀・國家觀・戀愛觀 等等」", 신시대, 1942
    • 194 이광수, "「소녀의 고백」(일문/원제 : ‘少女の告白’)", 신태양, 1944
    • 195 이광수, "「얼굴이 변한다」(일문/원제 : ‘顔が變る’)", 문예춘추, 1940
    • 196 이광수, "「원술의 출정」(일문/원제 : ‘元述の出征’)", 신시대, 1944
    • 197 최유리, "「일제강점기 부여의 내선일체 성지화 과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198 이광수, "「잘못된 사고」(일문/원제 : ‘間違つた考’)", 국민신보, 1940
    • 199 이광수, "「전쟁과 문학」(일문/원제 : ‘戰爭と文學’)", 신시대, 1944
    • 200 이광수, "「청년과 오늘」(일문/원제 : ‘靑年と今日’)", 신시대, 1944
    • 201 데이비드 허다트, ", 조만성 역, 호미 바바의 탈식민적 정체성", 앨피, 2011
    • 202 채만식, "「作家의 限界 – 一般 文化水準과 文學水準」", 조선일보, ~7, 9, 1938
    • 203 이경훈, "「이광수의 친일소설 연구1」, 연세어문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4
    • 204 허선애, "「해방기 자전적 소설의 서술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205 김흥식, "「「해방전후」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012
    • 206 이광수, "「개인의 신체제」(일문/원제 : ‘個人の新體制)", 국민신보, 1940
    • 207 강헌국, "「이광수 소설의 인류애」, 현대소설연구 57",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 208 노상래, "「조선국민문학집 소재 이중어 소설 연구」", 한국어문학회, 2005
    • 209 사에구사 도시카쓰, "심원섭 역, (사에구사 교수의) 한국문학 연구", 베틀북, 2000
    • 210 유태영, "「채만식의 풍자와 친일」, 한민족문화연구10", 한민족문화학회, 2002
    • 211 곽은희, "「표상되는 조선, 동요하는 제국」, 인문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 212 이광수, "「동포에게 보냄」, (일문/ 원제 : ‘同胞に寄す’)", 경성일보, ~6, 8~9, 1940
    • 213 이광수, "「문학의 국민성」(일문/원제 : ‘文學の國民性’)", 경성일보, , 16, 17, 1939
    • 214 이광수, "「사상의 간소화」(일문/원제 : ‘思想の簡素化’)", 신시대, 1942
    • 215 이광수, "「人生과 修道-半島 六百萬 靑年男女에 告하노라」", 신시대, 1941
    • 216 김재영, "「회고를 통해 보는 총력전시기 일제의 사상관리」", 한국문학연구33, 2007
    • 217 박수현, "「한국 민주화와 친일청산 문제」, 기억과 전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1
    • 218 조정환,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상허학보19", 상허학회, 2007
    • 219 인문사 편집부, ", 신승모・오태영 역,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 제이앤씨, 2011
    • 220 최유찬, "문학의 모험 : 채만식의 항일투쟁과 문학적 실험", 역락, 2006
    • 221 김지현, "탈식민주의의 얼굴들 :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역락, 2012
    • 222 오태영, "「‘朝鮮’ 로컬리티와 (탈)식민 상상력」, 사이",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 223 기유정, "「일본제국과 제국적 주체의 정체성」, 일본학3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 구소, 2012
    • 224 허 정, ", 「식민지 사회주의 문학인의 현해탄 체험과 회상」,", 동 남어문학회 동남어문논집22, 2006
    • 225 이광수, "「딸에게 주는 글」(일문/원제 : ‘娘に與ふるの書’)", 日本婦人(朝鮮版), 1944
    • 226 이광수, "「올바르게 사는 법」(일문/원제 : ‘正しき生き方’)", 신시대, 1943
    • 227 김동석, "「위선자의 문학-이광수론」, 뿌르조아의 인간상", 서음출판사, 1989, 1949
    • 228 이광수, "「파리」(일문/원제 : ‘蠅’)」, 半島作家短篇集", 朝鮮圖書出版株式會社, 1944
    • 229 노상래, "「국민문학 소재 한국작가의 일본어 소설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2004
    • 230 권혁웅, "「李光洙 小說에 내재한 親日의 論理」, 어문논집", 민족어문학회, 1999
    • 231 이광수, "「군인이 될 수 있다」(일문/원제 : ‘兵になれる’)」", 신태양, 1943
    • 232 이민영, "「1945년~1953년 한국소설과 민족담론의 탈식민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233 박유미, "「‘군국의 어머니’ 담론 연구」, 일본문화연구45", 동아시아일본학회, 2013
    • 234 손기웅, "「군국주의론 : 분석의 Typology」, 한국정치학회보28", 한국정치학회, 1994
    • 235 한만수, "「근대적 문학 검열제도에 대하여」, 동악어문학39", 동악어문학회, 2002
    • 236 조창환, "「해방 후 채만식 소설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3", 현대문학이론학회, 1993
    • 237 정종현, "「1940년대 전반기 이기영 소설의 제국적 주체성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한국근대문학 연구, 2006
    • 238 류보선, "「근대의 멜랑콜리와 남근주의적 근대」, 문예운동", 문예운동사, 2016
    • 239 안자코 유카, "「조선총독부의 ‘총동원체제’ (1937∼1945) 형성 정책」",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240 차승기, "비상시의 문/법 : 식민지/제국 체제의 삶, 문화, 정치", 그린비, 2016
    • 241 이광수, "「戰爭期의 作家的 態度 - 嚴肅, 勇壯한 題材를 取하라」", 조선일보, 1936
    • 242 사에구사 도시카쓰, "「상황과 문학자의 자세 – 일제말기 한국문학의 경우」",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6
    • 243 하정일, "「채만식 문학과 사회주의」, 채만식 문학의 재인식", 문학과사상연구회, 1999
    • 244 오야마 세이이치, ", 연민수・서각수 역, 일본서기와 ‘천황제’의 창출", 동북아역사 재단, 2012
    • 245 채만식, "「自由主義를 淸掃 - 新體制下의 余의 文學活動의 方針」", 삼천리, 1941
    • 246 조진기, "「내선일체의 실현과 내선결혼소설」, 한민족어문학", 한민족어문학회, 2007
    • 247 류보선, "「친일문학의 역사철학적 맥락」, 한국근대문학연구", 태학사, 2003
    • 248 이광수, "「내선 청년에게 보냄」(일문/원제 : ‘內鮮靑年に寄す’)", 총동원, 1940
    • 249 김순전, 박제홍, "「일제말 문학작품에 서사된 김옥균상」, 일본어교육", 제이앤씨, 2010
    • 250 김형수, "「채만식, 친일협력과 자기비판의 논리」, 人文論叢12", 창원대학교 인문 과학연구소, 2005
    • 251 정종현, "「한국 근대소설과 ‘평양’이라는 로컬리티」, 사이",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 252 김재용, "「멸사봉공으로서의 친일파시즘 문학」, 실천문학69호", 실천문학사, 2003
    • 253 최유리, "「일제 말기 (1938~45年) ‘內鮮一體’論과 戰時動員體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254 허병식, "「폐허의 고도와 창조된 신도(神都)」, 한국문학연구36", 동국대학교 한 국문학연구소, 2009
    • 255 이광수, "「大東亞戰爭의 敎訓」(일문/원제 : ‘大東亞戰爭の敎訓’)", 녹기, 1943
    • 256 이광수, "「조선문학의 신경향」(일문/원제 : ‘朝鮮文學の新傾向’)", 국민신보, 1939
    • 257 채만식, "「追慕되는 池麟泰 大尉의 自爆 - 유가족의 위문을 마치고」", 춘추, 1943
    • 258 정종현, "「식민지 후반기 (1937-1945) 한국문학에 나타난 동양론 연구」", 동국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259 허재영, "「조선어과 교과서의 변천사」, 조선어독본과 국어문화", 제이앤씨, 2011
    • 260 이용덕, "「國語讀本의 특징 및 天皇・天皇制」, 일본학보 27", 한국일본학회, 1991
    • 261 채만식, "「농촌에 이바지한 조합의 지대한 공헌-전라남도의 부락들」", 半島の光, 1941
    • 262 김경미, "「이광수 후반기 문학의 민족 담론의 양가성」, 語文學97", 한국어문학회, 2007
    • 263 이혜진, "「총동원체제하의 최재서의 일본어소설」, 비평문학41호", 한국비평문학회, 2011
    • 264 오태영, "「지방문학, 국민문학, 세계문학」,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한국문학이론 과 비평학회, 2013
    • 265 이강수, "「해방 직후 대한민국 國軍의 창군과 그 역사성」, 군사88", 국방부 군사 편찬연구소, 2013
    • 266 최유찬, "「아름다운 새벽의 알레고리 연구」, 한국학연구39집", 고려대학교 한 국학연구소, 2011
    • 267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 : 1937∼1945년간의 한국소설과 식민주의", 소명출판,, 2005
    • 268 이광수, "「반도의 제매에게 보냄」(일문/원제 : ‘半島の弟妹に寄す’)", 신시대, ~11, 1941
    • 269 정진석, "「언론통제 검열기구 총독부 경무국 도서과」, 관훈저널93", 관훈클럽, 2004
    • 270 쓰루미 슌스케, ", 전향 : 쓰루미 슌스케의 전시기 일본정신사 강의 : 1931-1945", 논형,, 2005
    • 271 이광수, "「내선일체와 조선문학」(일문/원제 : ‘內鮮一體と朝鮮文學’)", 조선, 1940
    • 272 최현식, "「문학가의 이상과 생활인의 비애」, 채만식 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1999
    • 273 이광수, "마음이 서로 닿아서야말로(일문/원제 : ‘心相觸れてこそ’)", 녹기, ~7, 1940
    • 274 이광수, "「병역과 국어와 조선인」(일문/원제 : ‘兵役と國語と朝鮮人’)", 신시대, 1942
    • 275 문재원, "「한국문학연구에서 로컬리티 연구 성과와 과제」, 우리말글", 우리말글학회, 2018
    • 276 구광모, "「‘친일반민족문학’에 대한 연구 : 친일시의 전략을 중심으로」", 고려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3
    • 277 김동인, "「文壇使節歸還報告 - 皇軍慰問次 北支에 단여와서」(좌담기록물)", 삼천리, 1939
    • 278 이광수, "「朝鮮文學의 發展策 : 新興藝術의 發展策-各門大家와 一問一答」", 조광, 1936
    • 279 최경도, "「전기, 자서전, 소설: 자기표현 양식의 변화」, 외국문학연구", 한국외국 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 280 김명인, "「친일문학 재론-두 개의 강박을 넘어서」,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 문학회, 2008
    • 281 공종구, "「채만식의 소설에 나타난 친일과 반성」, 現代文學理論硏究26", 현대문 학이론학회, 2005
    • 282 조범환, "「일제강점기 일본인 연구자들의 신라화랑 연구」, 신라사학보", 신라사학회, 2009
    • 283 박 강, ", 「日本의 中國占領地 阿片政策의 諸樣相; 中日戰爭期를 중심으로」", 釜山外國語大學校, 外大 論叢, 1998
    • 284 강헌국, "「기억의 연금술-이광수 문학의 자전적 성격 연구」, 한국학연구", 고려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 285 이민영,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국가-집’ 표상 연구」. 현대소설연구", 한국현대 소설학회, 2012
    • 286 고모리 요이치, "송태욱 역, 포스트콜로니얼 :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 도서출판 삼인, 2002
    • 287 한수영, "「고대사 복원의 이데올로기와 친일문학 인식의 지평」, 실천문학", 실천 문학사, 2002
    • 288 정홍섭, "「친일 논리에 되비춰 본 채만식 문학의 문제성」, 한국언어문학53", 한 국언어문학회, 2004
    • 289 서은주, "「해방 후 이광수의 ‘자기서술’과 고백의 윤리」, 민족문화연구", 고려대 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 290 이광수, "「속・반도의 제매에게 보냄」(일문/원제 : ‘屬・半島の弟妹に寄す’)", 신시 대, 1941
    • 291 국성하, "「일제강점기 고적조사보존사업의 식민성 연구」, 미래교육학연구", 연세 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 292 강정구, "「해방기의 김동인 문학에 나타난 민족 표상」, 한국문예비평연구59", 한 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 293 유지아, ", 「전후 미국의 한국과 일본에 대한 국방경비대(경찰예비대) 창설과정」", 수선사학회, 史林28, 2007
    • 294 박상준, "「<민족의 죄인>과 고백의 전략 – 해방기 채만식 소설세계와 관련하여」", 한국현대문학연구제27집, 2009
    • 295 김연숙, "「‘양공주’가 재현하는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 페미니즘 연구", 한국 여성연구소, 2003
    • 296 정진석, "「식민지검열과 ‘검열표준’」, 검열의 제국-문화의 통제와 재생산", 푸른 역사, 2016
    • 297 김주삼, "「아편전쟁과 동아시아 근대화과정에서 나타난 중 일의 대응방식 분석」", 아시아연구 제11권 제3호, 2009
    • 298 北島佳代子, ", 「한・일 양어의 호칭에 관한 연구 : 「호칭의 확대사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299 정근식, "「식민지 전시체제 하에서의 검열과 선전, 그리고 동원」, 상허학보38", 상허학회, 2013
    • 300 이혜진, "「전쟁과 문학 : 총력전하의 ‘전쟁문학’ 작법」, 한국문예비평연구", 한국 현대문예비평학회, 2008
    • 301 정선태, "「총력전 시기 전쟁문학론과 종군문학」, 동양정치사상사제5권 제2호", 한국동양정치사상학회, 2006
    • 302 방민호, "「일제말기 문학인들의 대일 협력 유형과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22", 한국현대문학회, 2007
    • 303 이상경, "「일제말기의 여성 동원과 ‘군국(軍國)의 어머니’」, 페미니즘 연구", 한 국여성연구소, 2002
    • 304 김동인, "「조선문단과 내가 걸었던 길」(일문/원제 : ‘朝鮮文壇と私の步んだ道’)", 국민문학, 1941
    • 305 공종구, "「채만식의 소설에 나타난 친일의 경로와 동기」, 現代文學理論硏究23", 현대문학이론학회, 2004
    • 306 이장훈, "「타노무라 치쿠덴(田能村竹田, 1777-1835)의 회화와 19세기 關西 문인 화단」",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307 오태영, "팰럼시스트 위의 흔적들-식민지 조선문학과 해방기 민족문학의 지층들", 소명출판, 2018
    • 308 채만식, "「偉大한 아버지 감화 - 아들이 士官學校에 入學하든 날 돌아간 池東善氏」", 매일신보, 1943
    • 309 차순철, "「일제강점기 경주지역의 고적조사와 관광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보", 신라사학회, 2008
    • 310 김옥란, "「<三國志演義>의 “赤壁大戰”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중인문학연구", 中韓人文科學硏究會, 2003
    • 311 김지영, "「저항에서 협력으로 가는 여정, 그 사이의 균열」, 한국현대문학연구26", 한국현대문학회, 2008
    • 312 박용규, "「일제말기(1937~1945)의 언론통제정책과 언론구조변동」, 한국언론학 보46", 한국언론학회,, 2001
    • 313 이경훈, "「근대 주체의 좌절과 초극 - 채만식의 친일문학」, 채만식 문학의 재인 식", 소명출판, 1999
    • 314 최석영, "「일제 강점 상황과 부여(扶餘)의 ‘관광명소’화의 맥락」, 인문과학논문집",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 315 김경미, "「해방기 이광수 문학의 기억 서사와 민족 담론의 양상」, 현대문학이론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 316 이도연, "「채만식 문학 연구의 반성 : 친일 문제와 관련하여」, 순천향 인문과학 논총28", 순천향대학교, 2011
    • 317 강재인, 권호종, "「三國演義 ‘赤壁大戰’ 詩歌에 나타난 人物形象 小考」, 인문과 학연구논총",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 318 유승환, "「김동인 문학의 리얼리티 재고 – 비평과 1930년대 초반까지의 단편 소 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한국현대문학연구22, 2007
    • 319 류보선, "「반성의 윤리성과 탈식민성: 해방직후 채만식 문학의 한 특성」, 민족문 학사연구45",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 320 차순철, "「문학이라는 장치-식민지/제국 체제와 일제말기 문학장의 성격」, 한국 문학의 연구44",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 321 차순철, "「흔들리는 제국, 탈식민의 문화정치학-황민화의 테크놀로지와 그 역설」, 동방학지146", 연세대대학교 국학연구원, 2009
    • 322 한지현, "「채만식 문학의 친일성 - 여인전기』에 나타난 친일성의 정체」, 인문 사회과학논문집36",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5
    • 323 이상우, "「월경(越境)하는 식민지 극장 : 다이글로시아와 리터러시」, 한국문학이 론과 비평제57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2
    • 324 곽은희, "「제국과 경계 : 감각의 조형술 : 아비투스와 로컬리티의 사이-최재서의 국민문학론에 대하여」", 인문연구, 2015
    • 325 권명아, "「총후부인, 신여성, 그리고 스파이 : 파시즘 체제하의 문학, 여성, 국가」, 한국근대문학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05
    • 326 이광수, "「暴風가튼 感激 속에 “氏” 創設의 先驅들 - 指導的 諸氏의 選氏 苦心談」 (창씨개명 관련인터뷰)", 매일신보, 1940
    • 327 이광수, "「반도 청년에게 보냄 ― 조선 청년과 보살행」(일문/원제 : ‘半島靑年に寄 す ― 朝鮮靑年と菩薩行’)", 신시대, 1944
    • 328 이혜령, "「채만식의 <미스터 방>과 김동인의 <망국인기>, 해방 후 일본어가 사 라진 자리」, 내일을 여는 역사",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 2008
    • 329 이상우, "「파시즘과 민족사이야기 : 일제 말기 역사극이 ‘민족’을 구성하는 방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61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 330 장지영, "「한 일 아시아태평양전쟁문학 비교연구 : 이병구와 오오카 쇼헤이(大剛昇 平)의 남방(南方)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331 이광수, "「대동아문학의 길 – 대동아문학자대회 석상에서」(일문/원제 : ‘大東亞文 學の道 -大東亞文學者大會席上にて’)", 국민문학, 1945
    • 332 윤혜지, "「에도 후기 여성작가 한시작품 내용연구 - 에마 사이코, 하라 사이힌, 야나 가와 코란을 중심으로」, 중국연구70",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7
    • 333 박수진, "「식민지시대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신화이데올로기 : 1940년대 초등국사에 나타난 ‘팔굉일우’ 이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334 심원섭, "「이광수 친일 문제를 보는 일본 연구자의 시각 : 사에구사 도시카쓰(三 枝壽勝)의 이광수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1998
    • 335 류보선, "「냉소와 숭고의 이상한 가역반응 : 채만식 문학에 있어서의 친일과 반성 의 문제」, 한국 근대문학의 정치적 (무)의식", 소명출판, 2005
    • 336 김예림, "「치안, 범법, 탈주 그리고 이 모든 사태의 전후(前後)-학병로망으로서 의 청춘극장과 아로운」, 대중서사연구", 대중서사학회, 2010
    • 337 심원섭, "「총동원 체제하의 한국 문예-상황 추수론과 자기 설득의 논리 혹은 협 력적 포오즈의 세계」,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16, 친일반민족행위진 상 규명위원회", 도서출판 선인,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