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과학 영재고등학생 어머니의 모성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분리 개별화와 이중적 동일시를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role of the mother is very important and very much demanding in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Mothers are entirely responsible for education, and the achievement of good education is perceived as the superior ability of accomplishing her mother’s role. In particular, mothers of children with gifted children went through unique difficulties than those of ordinary children along with the puberty and their needs for differentiated attention and care in terms of higher expectation for their accomplishment. Entering the gifted science school by the long hours of hard work and sacrifice by both mothers and children makes themselves enjoy and become an object of envy. Unlike the general idea, being a mother of gifted children is to experience more anxiety and difficulty than the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mother. These mothers are placed in situation of three- fold hardships.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s college examinee that was combined with the difficulties of being a mother of gifted children, as well as they could not easily open their story because people have prejudice that these mothers would not have any worries and anxieties and they are simply envious of what these family have had.
    The study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the unique mothering experiences of mothers i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s.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were asked to analyze the mothers' storie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othering experience?
    Second, How do Separation-Individualization and Double Identification affect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othering experience?
    Third, what are the difficulties that these mothers experience as a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how do they overcome those challenges?
    Fourth, how does the pastoral counseling provide appropriate car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mothering of science high school m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pastoral counseling strategy that can guid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others to be able to live a balanced life for both mother and children through the functional coping and healthy mothering development.
    For this study, the final 9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other's experiences were analyzed as Narrative Inquiry through preliminary studie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s more than two year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process is addressed by describing research procedures, researching questions, and focusing processes with the necessities of study and features of it. I try to understand what they are experiencing differently in terms of personal, social level and temporal situation, how they interpreted this experience for themselves, and how it affects their mothering. I focused on subjective and uniqu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nts and tried to examine the researcher's thoughts objectively and contextually. For better discussion, I trie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mothers over three times, and th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common experiences.
    The first analysis and discussion were focused on identifying themselves and achieving Separation-Individualization in term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that are divided into seven sequential themes by the researcher according to their process of Separation-Individualization with their children. Science high school mothers ar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ir science high school children than ordinary children and their mothers because they have invested their mothering effort from the early childhood. This is because th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provide them sense of accomplishment also become the objects of surrogate satisfaction to middle-age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others.

    However, the abrupt separation caused by the entrance into the school dormitory for this dyad provided the basis for an analysis of the focu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mothers, whose separation process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The next analysis and discussion is for how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others are affected internally through the process of Separation-Individualization. For this the maternal experience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mot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with their original family. Features and causes of each type are presented following Chodorow's theory of Double Identification. Factors influencing the generation transfer break were explored because the transfer of generation break is very important for healthy mothering.
    The third analysis and discussion reconstructe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topics regarding the ' three-dimensional space ' of Narrative and the ' living human Web ' of Miller-MaLemore's experience i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others. The insightful texts are reconstructed again for objective and Holistic Insight understanding. As such, an analysis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eparation-Individualization process, Double Identification and an Holistic Insight into the experience of the mother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I proposed a pastoral counseling care model for the mother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children at science high schools were the objects of identification and vicarious satisfaction to their mothers. Regardless of getting a high score or not in school, there exists a basic trust for their children, an active interest and support from their spouses. The difficulties they have gone through came from the abrupt separation- individualization and college entrance systems that force them into the excessive competition.
    Combining both pastoral counseling and coaching models, counseling models will be working for the individual care, and coaching care models for the group ca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not limited only on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 of the mother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auses of difficulties of mothering.
    I have not only looked at the role of maternity under the social pressure, but also I expand my stud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maternal experiences of the original famil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at are now influencing their experience and experience i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lives. Through my study, the empirical cases assessed by the generation transfer break from the double identification theory.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generation transfer were figured out to prevent this transferring circle.

    더보기

    한국적 상황에서 어머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고도 어려운 일이다. 어머니에게 전적으로 교육의 책임을 지우고, 교육의 성공이 어머니 역할의 성공으로 인식된다. 특히 영재인 자녀를 가진 어머니는 일반자녀와는 다른 어려움을 갖고 사춘기와 중년기는 삶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춘기이면서 영재인 과학고등학생의 어머니의 경험은 일반고등학생 어머니의 경험과는 차이가 있고 의미를 가진다. 어머니와 자녀 모두 오랜시간의 노력과 희생으로 이루어낸 과학고 입학은 큰 기쁨인 동시에 부러움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실제의 경험은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일반고등학생 어머니 경험보다 더 불안하고 어려웠다. 그것은 일반고의 수험생 어머니 역할과 더불어 영재 어머니로서의 어려움이 합쳐진데다가, 아무 걱정 없을 거라며 부러워하는 다른 사람의 편견 때문에 쉽사리 자신의 이야기를 하지 못하는 3중고에 놓여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과학고등학생 어머니들이 고유한 모성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질문을 가지고 어머니들의 이야기를 듣고 분석하였다.
    첫째, 과학고등학생 어머니의 모성경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과학고등학생 어머니들의 모성경험에 분리개별화와 이중적 동일시가 어떤 영향을 주는가?
    셋째, 과학고등학생 어머니로서 겪는 어려움들은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는가?
    넷째, 과학고등학생 어머니들의 건강한 모성발현을 위해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목회상담적 실천방법은 무엇인가?
    질문과 분석을 통해 상담사이며 코치인 연구자가 과학고등학생의 어머니를 도울 수 있는 목회상담적 돌봄 방안을 제안하여, 적절한 어려움 대처와 건강한 모성의 발달로 어머니와 자녀 모두 균형 있는 삶을 살아가게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최종 9명의 과학고등학생 어머니 경험을 예비연구와 2년이 넘는 기간의 참여관찰과 개인별 심층면담을 통해 내러티브 탐구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정의 및 특징을 다루고 연구 절차와 연구 질문, 초점화 과정을 기술하여 연구과정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들이 개인적, 사회적, 시간적 상황에 따라 어떤 다른 경험을 하고 그것을 스스로 어떻게 해석하고 있으며, 그것은 모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참여자의 주관적이고 고유한 관점에 집중하고 연구자의 생각을 좀 더 객관적이면서도 맥락적으로 살피려고 노력을 했다. 과학고등학생 어머니의 경험을 3차에 걸친 분석과 논의를 시도 하였다. 분석은 참여자 별로 3차에 걸쳐 분석 후 공통적 경험으로 분석별 논의를 하였다.
    1차 분석과 논의는 심리적 발달 측면에서 분리 개별화를 이루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보고 자녀와의 분리 개별화 과정에 따라 연구자가 순차적인 7개의 주제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과학고등학생 어머니는 과학고 자녀가 어릴 때부터 집중하여 돌봄을 실시하여 왔기에 과학고자녀 외의 다른 자녀나 일반고등학생 어머니에 비해 밀착되어 있다. 영재인 과학고 자녀는 중년기인 과학고등학생 어머니에게 대리 만족의 대상으로 더 애착이 가는 대상일 뿐 아니라 성취감을 준다. 그러나 학교 기숙사 입사로 인한 준비 안 된 갑작스런 분리는 과학고등학생 어머니의 분리개별화가 일반고등학생 어머니와 다른 이유로 초점의 분석의 근거가 되었다.
    2차 분석과 논의는 분리 개별화의 과정에서 과학고등학생 어머니의 내면의 영향에 대한 분석이다. 원가족에서 친정어머니와의 경험에 따른 과학고등학생 어머니의 모성경험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징과 원인을 Chodorow의 이중적 동일시 이론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건강한 모성 실현에 중요한 세대전수에 초점을 두고 세대전수단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3차 분석과 논의는 주제들 간의 상호관계를 내러티브의 ‘3차원적 공간’과 Miller-McLemore의‘살아 있는 인간망’을 바탕으로 과학고등학생 어머니 경험의 중심현상을 통찰적으로 재구성하였다. 객관적이고 전체적인 통찰적 이해를 위해 다시 재구성한 통찰적 텍스트를 근거로 하였다. 이렇듯 과학고등학생 어머니 경험을 분리 개별화, 이중적 동일시, 통찰적 관점에 따라 분석을 시도하여 과학고등학생 어머니 경험의 깊은 이해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고등학생 어머니들에게 있어서 과학고 자녀는 동일시와 대리만족의 대상이었다. 자녀의 학교성적 여부와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자녀에 대한 신뢰와 배우자의 적극적 관심과 지지가 있었다. 이들이 겪는 어려움은 분리개별화와 잘못된 입시제도였다.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과학고등학생 어머니를 위한 목회상담적 돌봄 모형을 제안하였다. 상담과 코칭을 둘 다 접목하여, 개인적으로는 상담적 돌봄 모형을, 어머니 공동체 모임을 위한 제안으로는 코칭적 돌봄을 선택하였다. .
    본연구의 의의는 과학고등학생 어머니의 경험과 어려움의 원인만을 제시한 것이 아니다. 사회적 요구에 의한 모성역할을 봤을 뿐 아니라, 연구 참여자의 원가족에서 모성경험이 지금 과학고등학생 어머니의 삶에 경험과 어떤 영향을 주는 지까지 확대하여 살펴봤다. 이론인 이중적 동일시를 경험적 사례를 가지고 검증하고, 그 요인을 파악하여, 세대전수단절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노력했다.

    더보기
    • 1 John Dewey., "경험과 교육", 배영사, 강윤중역 서울: 배영사, 1995
    • 2 이명자, 한정숙, "중등교육연구", 54권3호 ,pp.73-94, 2006
    • 3 Riessmann, C. K., "내러티브 분석", 군자, 김원옥 외 역 서울: 군자출 판사, 2005
    • 4 김소라, "국토정보연구부문", 국토,366호, 133-138, 2012
    • 5 김영천, "별이 빛나는 밤, 1, 2", 서울 : 문음사, 2005
    • 6 Winnicott, D. W., "놀이와 현실, 이재훈 역", 서울: 한국 심리치 료 연구소, 1997
    • 7 김의철, 박영신, "한국사회의 교육적 성취",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6(4), 325-351, 2002
    • 8 박인호, "학부모 과학영재교실운영",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 9 안삼태, 최태진, 이희영, "영재아 부모들의 고민유형", 수산해양 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통권 제28호), 2003.12, 193-205, 2003
    • 10 장원동, "( 현대인의) 부모교육. 교문사", 파주, 2008
    • 11 태진미, "영재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한국영재학회, 영재교육연구, 19(2), 303-332, 2009
    • 12 김의철, 박영신, "인간관계에서 나타난 신뢰의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4(1), 135-136, 2004
    • 13 Erickson, E. H., "아동기와 사회. 윤진. 김인경 역", 중앙적성 출 판사, 1988
    • 14 정석환(Suk-Hwan Chung), "중년을 위한 목회상담의 한 모델",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1권, 130-172, 1997
    • 15 Winnicott, D. W.,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 이재훈 역", 서울: 한 국 심리치료 연구소, 2000
    • 16 조옥라, "신경아. 21세기 가족과 모성의 변화", 여성연구논총 제1 집, 2000.2, 111-132, 2002
    • 17 우영효, "부모교육의 방안.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10권 1호 , pp.97-108, 2001
    • 18 유승엽(Seung Yeob Yu), 최상진(Sang Chin Choi), 김혜숙(Hye Sook Kim), "부자유친 성정과 자녀에 대한 영향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65-82, 1994
    • 19 한기순, 송인섭, "한국영재교육의 새로운 지평. 학지사", 서울, 2008
    • 20 Levinson, D.,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김애순 역",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2004
    • 21 김윤주, 박혜원,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양육특성", 韓國英才學會, 영재교 육연구, 19(3):433-456, 2009
    • 22 Madeleine Davis, "David Wallbridge. 울타리와 공간, 이재훈 역", 한국심리치유연구소, 1997
    • 23 김성혜, "음악영재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 요구조사",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한국예술연 구, (13),57-83, 2016
    • 24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00
    • 25 박아청, "과보호의 발달심리학적 의미에 대한 일고찰",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 연구, 5 (1). 53-72, 1998
    • 26 김성원, 민보경, "과학 영재아 부모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권8호 , pp.823-831, 2008
    • 27 유은희, "청소년 자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 한국가족관 계학회지 1권0호 (1996), pp.1-17, 1996
    • 28 김의철, 박영신, "한국청소년의 안전의식 : 토착심리학적 분석", 한국안전교육학회, 한국사회안전학회지, 4(1), 5-24, 2001
    • 29 하재성, "바니 밀러- 맥리모어. 한국 목회상담학자연구", 서울 도 서출판 돌봄, 2011
    • 30 황희숙 ( Hee Sook Hwang ), 강승희 ( Seung Hee Kang ), 황순영 ( Soon Young Hwang ),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특수아동교육연구. 12권3호 (2010), pp.351-368, 2010
    • 31 임호찬, "유아의 사고능력에 대한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 韓國英才學會, 영재교 육연구, 18(3): 613-634, 2008
    • 32 김정원, 이기숙,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0(3), 183-197, 1999
    • 33 손소영, "시대별 모성역할이미지에 관한 TV광고 내용분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Design Forum, 41, 227-240, 2013
    • 34 송수지, "미성취 영재와 성취 영재 간의 개인적 특성 비교", 한국아동학회, 아동 학회지, 28(5), 175-191, 2007
    • 35 유형근 ( Hyeong Keun Yu ), "미성취 영재의 상담요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 교육연구, 22(1), 113-129, 2009
    • 36 하종덕, "영재아 부모의 성격유형과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영재학회, 영재 교육연구, 18(2):293-311, 2008
    • 37 태진미, 한기순, 양태연, "영재 어머니의 심리상태 관찰을 위한 투사적 접근", 한국영재교육학회,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2010, Vol. 9, No. 1, pp.5-26, 2010
    • 38 신미진, "영재아와 부모의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인 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3
    • 39 조설애, "가족의 양면성과행복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 학위 논문, 2016
    • 40 유일영 ( Il Young Yoo ), "청소년기 자녀의 발달기적 갈등과 부모의 스트레스", 부모자녀건강학회, 부 모자녀건강학회지. 8권1호 (2005), pp.17-22, 2005
    • 41 염지숙,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통한 유아 세계 이해",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 57-82, 1999
    • 42 박승민, "청소년 게임중독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에의 함의",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3(3), 91-116, 2012
    • 43 성태제, 전은정, 임현정, "고교 유형별 진학에 대한 가정배경 및 개인특 성의 영향",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제53권 제1호, 2015, pp.1-27, 2015
    • 44 배소연, 이원영,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1(2), 17-31, 2000
    • 45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염지숙, 강현 석, 박세원 역", 서울: 교육과학사, 2015
    • 46 송미라, 한기백, "과학고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주관적 안 녕감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2(4), 93-111, 2015
    • 47 이선영, "과학, 수학영재들의 가정환경과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인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6(1), 15-37, 2012
    • 48 조경란, "부모교육 프로그램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49 이원형,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 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1983
    • 50 Clark, B., "영재교육과 재능개발 김명숙, 서혜애, 이미순 역. 시그마프레스", 서울, 1997
    • 51 이용남, 허경철, "어머니와 자녀의 일체감에 대한 조사연구. 한 국행동과학연구소", 연구노트 8권 10 호 통권 102호, 1979
    • 52 김지영, "영재아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전북대학교 일 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 53 윤여홍, "영재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임상연구. 영재교육연 구, Volume 6", Issue 1, 1996
    • 54 김빛내, "유아 영재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 55 길주영, 한순구, "인접 중학교의 특목고 진학률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제학보(구 연세경제연구) 12권 2호, pp.495-505, 2005
    • 56 권윤아, 김효남, "과학 영재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 에 관한 문헌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과교과교육연구. 23호, 2015
    • 57 Chodorow, N., "모성의 재생산 (김민예숙, 강문순 역). 서울: 한 국심리치료연구소", (원 저 1999 출판), 2008
    • 58 조차미, "부모의 양육태도가 다른 형제 영재의 수학적 성향 비교 : 사례연구", 한국영재학회, 영재교육연구, 19(1), 46-66, 2009
    • 59 한기순, 김상희,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등 영재자녀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韓國英才學會, 영재교육연구, 27(3), 277-297, 2017
    • 60 김경근, "한국 사회의 교육열과 청년실업 2003 교육열 국제 학술 회의 자료집", 강원대 교육 연구소, 2003
    • 61 남현아, "양수. 초등학생 부모의 자녀양육 및 부모역할스트레스 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4권3호 , pp.323-334, 2005
    • 62 한기순,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 육, 2006, Volume 5", Issue 1, 2006
    • 63 김홍원, "시리즈 E : 영재 교수-학습 방법의 성격과 영재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 E-수학교육 논문집, 2003, Volume 17, 2003
    • 64 김소미, 최승언, 심은영, "영재아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 한 국과학영재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30(4):495-512, 2009
    • 65 민경해, "영재자녀 학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인천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66 염지숙,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6: 119-140, 2003
    • 67 최윤선, "영재의 특성 및 영재아를 가진 부모님들의 인식. 연세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2006
    • 68 문윤희, "창조적 성취자를 키운 동서양양육자의 특성비교. 인천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69 김춘경, "아동의 병리적 성격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응석의 생활 양식과 병리적 성격", 한독교육학회, 교육의 이론과 실천, 4(1): 85-103, 1999
    • 70 이영미, 한기순,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 분 석 : 개념도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영재학회, 한국영재학회 22권 4호(통권54 호)|pp.893-916, 2012
    • 71 이순복, "영재유아 및 일반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성격 및 양 육효능감과의 관계",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 1(1):41-67, 2005
    • 72 이명희, 조결자, "중학생의 부모 양육태도와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및 자아효능감의 관계", 한국아동간호학회,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6(2), 120-127, 2010
    • 73 유은영, 이지연, 박수현, 김세연, 이재신, 정민예, "학령기 아동 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도구(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의 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1(2), 13-23, 2013
    • 74 유미현, 김호상,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의 비교",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과학영재교육, 제7권 2호 (2015. 8), pp. 67-82, 2015
    • 75 배남주, 여성희, "과학 영재성 판별 및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사설 영재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생물교육학회지. 32권3호 (2004), pp.247-255, 2004
    • 76 구미숙, "영재유아 어머니와 일반 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 비교.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77 박성선, "미국 퍼듀대학교 영재교육센터의 영재교육. 국제과학영 재학회지, 10/2010, Volume 4", Issue 2, 2010
    • 78 한기순, 박유진, "영재들은 왜 사교육을 받을까?: 초등 영재의 사교육 실태 및 참여 결정요인 분석", 영재교육연구, 23(4), 505-521, 2013
    • 79 Clandinin, D. J., Connelly, F. M.,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 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소경희, 강현석, 조덕주 역", : 서울: 교육과학사, 2007
    • 80 강은주, "초등학교 영재아동 및 이란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 스.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81 곽미용, 이성실, 성현숙, "고등학교 과학영재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유형과 학업수행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지: 학교, 3(2), 55-67, 2006
    • 82 도정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선택에 관한 부모의 정보탐색연구. 한성대학교 국제통상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83 김선아, 윤초희,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가정환경 요인이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아동과 권리, 9(2):319-338, 2005
    • 84 나윤경, 태희원, 장인자, "자녀 사교육을 통한 모성 구성과정-평생학습자로서의 성인 여성에 대한 이해의 한 방식",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 육학연구. 제13권 제4호 55~87, 2007
    • 85 안도희, 한석실, 조석희, "초등학교 고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에 대한 경로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 구, 19(3), 745-760, 2005
    • 86 주희진, 황희숙, "초등영재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지 지.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1권 4호 pp.525-545, 2011
    • 87 안도희, 한석실, 조석희, "영재의 학업성취도와 사회적 성숙도에 따른 지적, 정의적 및 가정의 심리적 환경 특성 분석", 안암교육학회, 한국교 육학연구. 10권1호 (2004), pp.97-124, 2004
    • 88 김세연,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 참여 평가 도구의 개발 및 신 뢰도 타당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89 이초록, "부모양육태도가 영재교육대상자와 이란학생의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 학회지", 제4권 제3호, 2011
    • 90 황소영, "초등영재교육대상자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수학적 능력 의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 교 교육대학원, 2012
    • 91 홍영숙, "“영어 관념의 유동성과 교사정체성의 다중성: 한초등영어교과 전담교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언어연구학회, 언어학연구, 19(2), 183-206, 2014
    • 92 민보경, "중학교 과학 영재아 부모들의 요구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93 김선옥, 유미현,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인식, 정 서지능 비교및 영재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정서지능관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과 학영재교육, 4(3) : 175-189, 2012
    • 94 김세원, 최민경, "소정. 청소년 영재 학부모의 학업강조 경향과 영재의 상담에 대한 태도가 영재의 상담 의향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3(6),1035-1054, 2013
    • 95 황지영, "그룹코칭프로그램이 중년기 주부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 96 박승민, "Mahler의 분리-개별화 개념과 Chodorow의 이중적 동일시 개념을 통해 본 모성의 심리적 발달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 상담학적 함의",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2), 87-117, 2017
    • 97 조현숙,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abject)d에 대한 목회상 담적 연구; 기괴한 모성과 주체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98 송은의, "학업영재 자녀 어머니의 생애사 연구 ; 임신에서 대학 진학까지 이화여대 석사논문 이영순, (2006). 영재학부모와 일반학부모의 인적, 사회적, 문화적자본의 비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