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國古詩歌文學會의 硏究活動과 그 成果 - 학회 창립 20주년을 즈음하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한국고시가문학회에서는 그 동안 매년에 걸쳐 학술연구 발표대회를 가졌고, 학회지로서 『古詩歌硏究』를 발간하는 등 고시가 연구의 활발한 연구를 꾸준히 계속하여 왔다. 학술 발표대회는 금년까지 23회를 개최하였는데, 그 동안 수행되었던 연구발표의 안건은 총 102건이요, 대회에 임한 학술연구 발표자 수는 56명에 이른다. 또한 회원들의 꾸준한 학문연구로서 추진한 학회지 『고시가연구』는 제27집의 발간을 예정하고 있다. 제25집까지 게재된 논문의 수는 총 316편이요, 그 집필자 수를 헤아리면 112명에 이른다. 이는 학계 절대 다수의 연구진이 참여한 방대한 논문집의 출간이라 하겠다. 한편 학술발표에는 주요 과제를 공동연구의 특별 주제로 내세워 전국대회를 8차에 걸쳐 개최하기도 했다. 특히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사대부가사의 전통과 미학, 고시가의 정체성과 미학, 고시가 연구 방법론의 검토와 모색 등 흥미 있는 주제 논의는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회지에 발표된 316편의 논문은 고전시가 전반에 걸쳐 심층적으로 연구된 결과이다. 이를 시가 유형별 비중으로 보면 가사와 시조 그리고 한시 등에 대한 논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중에서도 가사문학 연구의 업적이 대단하였음을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송강문학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작가론 또는 문학론의 탐색이 다양하게 모색되었다고 하겠는데, 본 학회지에 발표된 정철관계의 다양한 연구들은 ‘송강문학 재인식’의 한국고시가문학회에서는 그 동안 매년에 걸쳐 학술연구 발표대회를 가졌고, 학회지로서 『古詩歌硏究』를 발간하는 등 고시가 연구의 활발한 연구를 꾸준히 계속하여 왔다. 학술 발표대회는 금년까지 23회를 개최하였는데, 그 동안 수행되었던 연구발표의 안건은 총 102건이요, 대회에 임한 학술연구 발표자 수는 56명에 이른다. 또한 회원들의 꾸준한 학문연구로서 추진한 학회지 『고시가연구』는 제27집의 발간을 예정하고 있다. 제25집까지 게재된 논문의 수는 총 316편이요, 그 집필자 수를 헤아리면 112명에 이른다. 이는 학계 절대 다수의 연구진이 참여한 방대한 논문집의 출간이라 하겠다. 한편 학술발표에는 주요 과제를 공동연구의 특별 주제로 내세워 전국대회를 8차에 걸쳐 개최하기도 했다. 특히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사대부가사의 전통과 미학, 고시가의 정체성과 미학, 고시가 연구 방법론의 검토와 모색 등 흥미 있는 주제 논의는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회지에 발표된 316편의 논문은 고전시가 전반에 걸쳐 심층적으로 연구된 결과이다. 이를 시가 유형별 비중으로 보면 가사와 시조 그리고 한시 등에 대한 논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중에서도 가사문학 연구의 업적이 대단하였음을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송강문학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작가론 또는 문학론의 탐색이 다양하게 모색되었다고 하겠는데, 본 학회지에 발표된 정철관계의 다양한 연구들은 ‘송강문학 재인식’의 괄목할 성과로 평가된다.
    괄목할 성과로 평가된다.

    더보기
    • 1 안동주, "「井邑歌」의 硏究, 제16회"
    • 2 장선희, "?開城家稿?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157-187, 2003
    • 3 崔珍源, "?仰亭歌의 畵中詩 -散点透視를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9) : 71-78, 2002
    • 4 朴堯順, "?仰亭歌의 審美意識" 한국고시가문학회 (9) : 79-105, 2002
    • 5 박욱규, "林梯詩의 表現 樣相 (박욱규), 제1회"
    • 6 김정환, "林悌의 생애, 제1회"
    • 7 朴昱奎, "林悌의 漢詩에 끼친 中國文學의 影響 -李白․李商隱詩 등을 중심으로" 서강대 5 : 1998
    • 8 이태형,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215-239, 2010
    • 9 김성기, "李緖의 樂志歌 硏究" 조선대 7 : 2000
    • 10 秦東赫, "李景巖의 「斜川歸田歌」 硏究" 단국대 5 : 1998
    • 11 김형철, "李奎報의 作詩觀과 그 해석상의 문제, 제10회"
    • 12 정인숙, "李世輔의 <相思別曲> 再論, 제17회"
    • 13 鄭麟淑, "李世輔의 <相思別曲> 再論"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257-278, 2004
    • 14 金石泰, "蓮潭 有一의 漢詩 고찰 -詩的 형상화의 개방성을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21-48, 2003
    • 15 김석태, "蓮潭 有一의 敎學的 佛敎詩"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99-120, 2005
    • 16 박명희, "旅菴 申景濬의 詠物詩 연구, 제18회"
    • 17 박명희, "旅菴 申景濬의 古體詩에 나타난 眞情性"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111-137, 2005
    • 18 유연석, "梁應鼎의 書札과 言行錄에 대한 硏究" 순천대 6 : 1999
    • 19 정상균, "梁應鼎의 <朝遊北海暮蒼梧>시 연구" 서울시립대 6 : 1999
    • 20 심재완, "蘆溪歌辭의 特色, 제14회"
    • 21 沈載完, "蘆溪歌辭의 特色" 한국고시가문학회 (9) : 139-152, 2002
    • 22 박명희, "洛西 尹德熙 題畵詩의 山水美, 제17회"
    • 23 류연석, "金笠詩에 나타난 動植物 考察"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131-161, 2006
    • 24 류연석, "金炳淵 詩集 飜譯 檢討"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145-165, 2005
    • 25 김석태, "대동영선의 내용과 선집 의의, 제20회"
    • 26 최재남, "흥과 시름의 구현 양상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261-294, 2009
    • 27 정상균, "허난설헌의 <夢遊廣桑山詩>연구" 서울시립대 8 : 2001
    • 28 박영주, "허균 시에 투영된 사유와 정서의 특질"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167-194, 2005
    • 29 김진욱, "향가 <처용가>와 고려가요 <처용가>의 비교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49-67, 2006
    • 30 김세종, "해양음악으로 본 <동동요>의 음악적 특성과 의미, 제21회"
    • 31 김세종, "해양음악으로 본 <동동>의 고려악부 유입과 음악사적 의미"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61-77, 2008
    • 32 김영붕, "해방이후 한시 성쇠양상의 일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153-180, 2007
    • 33 조연숙, "함허당의 경기체가 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295-323, 2006
    • 34 황수정, "한시에 투영된 섬진강의 풍정"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357-383, 2009
    • 35 조흥욱, "한림별곡의 형식적 특징" 국민대 5 : 1998
    • 36 전일환, "한국고시가의 어울림의 미학"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271-288, 2010
    • 37 박준규, "한국고시가문학회의 연구 활동과 그 성과, 제23회"
    • 38 김세종, "한국 음악 속의 <동동>"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23-46, 2007
    • 39 조태성, "한국 선시의 갈래와 禪趣의 문제"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337-354, 2008
    • 40 金炳國, "한국 문학 특질론-서양 문학과의 비교에서" 서울대 1 : 1993
    • 41 권순열,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문학"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27-49, 2004
    • 42 안 봄, "하서 김인후의 역사의식 연구, 제11회"
    • 43 최한선, "풍암 서술시의 이해론적 전제와 미학"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269-318, 2003
    • 44 조태성, "칠실 이덕일의 <우국가> 28장에 나타난 우국의 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325-344, 2006
    • 45 조연숙, "최행귀의 한역시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279-305, 2005
    • 46 이복규, "최부의 <표해록>에 대한 두 가지 의문"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231-257, 2008
    • 47 이복규, "최부 <표해록>의 해양 무학적 가능성, 제21회"
    • 48 권순열, "최경창과 홍랑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5-25, 2005
    • 49 박병익, "총계당 정지승의 시풍 연구, 제18회"
    • 50 조태성, "초`중등학교 시조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213-233, 2007
    • 51 황수정, "천사 왕석보 시의 미적 특징, 제20회"
    • 52 김세종, "처용가의 처용형용에 대한 고찰, 제22회"
    • 53 전재강, "참선곡류 불교가사의 구조적 성격, 제23회"
    • 54 박중렬, "지방문학의 개념 범주와 연구 방향"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187-203, 2006
    • 55 신영명, "죽지랑, 아름다운 얼굴"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269-288, 2007
    • 56 김석회, "주제적 관심을 통해 본 규방가사의 세계"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83-113, 2009
    • 57 서철원, "종교시로서 新羅 鄕歌와 T.S. 엘리엇 엮어읽기"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149-173, 2009
    • 58 박명희, "존재 위백규의 현실인식과 시적 형상화"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125-152, 2006
    • 59 위홍환, "존재 위백규의 학풍과 교유관계"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227-251, 2005
    • 60 김신중, "조선후기 전남의 누정연작제영에 대하여, 제12회"
    • 61 서영숙, "조선후기 가사의 소설화 양상" 충북대 5 : 1998
    • 62 조태성, "조선 후기 호남의 불교한시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307-323, 2005
    • 63 이권재, "제봉 고경명의 제화시 연구, 제11회"
    • 64 김진욱, "정철 시조의 문학적 특성 연구-언어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61-88, 2003
    • 65 김진욱, "정철 국문시가의 문예미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131-152, 2008
    • 66 정상균, "정지상의 <대동강 송별(大洞江 送別)> 시 연구 정상균" 한국고시가문학회 (9) : 299-336, 2002
    • 67 정상균, "정인지(鄭麟趾)의 시문학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189-219, 2003
    • 68 서영숙, "정암 조광조의 시에 나타난 갈등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9) : 253-276, 2002
    • 69 조태성, "정식의 <축산별곡>과 그 문학사적 의미, 제23회"
    • 70 유육례, "정극인의 시가에 드러난 자연시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175-195, 2009
    • 71 유육례, "정극인 한시의 미학"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211-230, 2008
    • 72 김진욱, "전통과 근대의 경계점 <園植十五咏> 연구, 제22회"
    • 73 김형철, "장형애정시조의 욕망 연구" 전남대 7 : 2000
    • 74 장시광, "임진왜란과 전쟁문학의 실체, 제21회"
    • 75 김미선, "임진왜란 포로의 일본 체험 실기 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25-53, 2010
    • 76 박성자, "임종게(臨終偈) 연구, 제18회"
    • 77 김동하, "이후백의 칠언고시에 드러난 유교사상의 시적 형상화"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1-21, 2006
    • 78 김동하, "이후백의 7언고시에 드러난 유교사상의 시적 형상화, 제19회"
    • 79 정상균, "이황의 <도산십이곡>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231-256, 2004
    • 80 박명희, "이재 황윤석의 천문 관찰과 시적 함유"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181-211, 2007
    • 81 박명희, "이재 황윤석 시에 나타난 유기체적 자연관, 제20회"
    • 82 김성기, "이서의 <낙지가> 연구, 제11회"
    • 83 박인희, "의해'로 풀어본 양지사석과 <풍요>"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243-267, 2007
    • 84 이현주, "유배가사에 나타난 체험인식과 표현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319-359, 2007
    • 85 조규익, "우리 詩歌 속의 漁父 형상과 그 의미"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283-313, 2008
    • 86 구사회, "우고 이태로의 {면암집초}와 자료적 가치"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1-25, 2007
    • 87 오선주, "용호 조존성의 삶과 의식세계"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289-317, 2007
    • 88 鄭雲采, "왕소군 고사 수용 한시에 나타난 충신연주지사의 심리적 특성" 건국대 5 : 1998
    • 89 권순열, "옥봉 백광훈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1-24, 2009
    • 90 김팔남, "연정가사의 형성 배경에 대하여"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121-143, 2005
    • 91 김신중, "양산보 <애일가>의 전승과 성격"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55-71, 2010
    • 92 김석태, "아암 혜장의 사상적 지향과 시문학의 양상, 제19회"
    • 93 김석태, "아암 혜장의 사상적 지향과 시문학의 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23-47, 2006
    • 94 정병헌, "신재효의 장르 인식과 서민 가사"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197-224, 2004
    • 95 정상균, "신재효의 <광대가>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261-277, 2005
    • 96 백숙아, "신재 최산두의 시세계"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207-235, 2006
    • 97 김상진, "시조 속에 나타난 가족과 가족윤리 -16ㆍ17세기 훈민시조를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25-53, 2009
    • 98 최한선, "송천 장편시의 세계" 도립 담양대 6 : 1999
    • 99 유수양, "송암 나위소와 수운정문학, 제19회"
    • 100 유수양, "송암 나위소와 수운정문학"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237-271, 2006
    • 101 최재남, "송순 연구의 과제와 전망"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235-251, 2007
    • 102 박배식, "송강의 시에 나타난 표현론적 세계"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133-157, 2008
    • 103 박영주, "송강의 교유시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153-205, 2006
    • 104 김세종, "세종대 <용비어천가>의 창제배경과 음악화 과정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1-17, 2009
    • 105 정상균, "성혼 시 세계 연구" 서울시립대 7 : 2000
    • 106 김진욱, "성산별곡과 식영정 20영의 관계 고찰" 조선대 8 : 2001
    • 107 임준성, "선다일여의 시경"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273-293, 2006
    • 108 권순열, "석천 임억령의 고시가 연구, 제11회"
    • 109 박동욱, "서세동점기 한시에 나타난 충무공 이순신의 형상, 제21회"
    • 110 박동욱, "서세동점기 한시에 나타난 충무공 이순신의 형상"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103-131, 2008
    • 111 서영숙, "서사무가와 서사민요의 비교, 제13회"
    • 112 서영숙, "서사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와 혼사장애형 민요 비교" 조선대 8 : 2001
    • 113 류연석, "새로 발굴한 김병연의 과체시 검토, 제19회"
    • 114 류연석, "새로 발굴한 김병연의 과체시 검토"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69-100, 2006
    • 115 김팔남, "새로 발견된 소악루 이유의 가사 몇 편에 대하여"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31-70, 2006
    • 116 권순열, "삼구회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65-89, 2007
    • 117 정병헌, "살아있는 古典文學 敎育, 제7회"
    • 118 김윤희, "사행가사 <임자연행별곡>의 창작 맥락과 문학적 특질"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73-108, 2010
    • 119 이상보, "사대부가사의 형성과 전통, 제14회"
    • 120 이준곤, "비보설화의 고찰" 목포해양대 1990
    • 121 유육례, "불우헌곡의 형식과 역할에 대한 연구, 제15회"
    • 122 안동주, "백제문학의 사상적 요소에 대하여, 제15회"
    • 123 서영숙, "백제권 가요의 존재양상과 전승실태" 조선대 7 : 2000
    • 124 정일남, "박제가의 詩畵 一致 성향"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275-294, 2005
    • 125 김신중, "문답체 문학의 성격과 <성산별곡>, 제13회"
    • 126 김신중, "문답체 문학의 성격과 <성산별곡>" 전남대 8 : 2001
    • 127 김주순, "목은 이색의 한시에 나타난 도연명의 은일관, 제22회"
    • 128 최한선, "면앙정 송순의 한시" 도립 담양대 4 : 1997
    • 129 박준규, "면앙정 송순의 분재기 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139-166, 2007
    • 130 황수정, "매천시의 표현 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253-275, 2007
    • 131 황수정, "매천과 구례시단-지역정서 표출양상을 중심으로, 제22회"
    • 132 이계양, "만전춘 연구" 조선대 5 : 1998
    • 133 김성기, "도천수대비가의 상재이유와 작가연구, 제15회"
    • 134 류해춘,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제23회"
    • 135 권순열, "눌재 박상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1-26, 2008
    • 136 김주순, "노계시에 나타난 도연명의 수용 양상, 제20회"
    • 137 이정옥, "내방가사 향유자의 생애경험"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197-234, 2009
    • 138 정상균, "김종직의 <조의제시(문)>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211-250, 2002
    • 139 정상균, "김만중의 ??서포만필??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259-277, 2006
    • 140 류연석, "김립시집 편찬의 문학사적 위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93-110, 2007
    • 141 김기영, "금강산 기행가사의 언어미"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27-49, 2005
    • 142 김종규, "금가보 장가형 및 향가 악구율의 실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47-70, 2007
    • 143 장선희, "근대전환기 新·舊 文化의 衝突과 受容에 관한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233-260, 2005
    • 144 장선희, "근대 후기 호남지역의 한문학 활동에 관하여-구례 지역의 경우" 광주보건대 8 : 2001
    • 145 장선희, "근대 문학의 수용 과정에 관한 일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361-388, 2007
    • 146 이형대,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 통속민요의 변주 -<난봉가>류의 텍스트 변이를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241-269, 2010
    • 147 고순희, "규방가사 <추월감> 연구, 제15회"
    • 148 高淳姬, "규방가사 <추월감> 연구 : 한 여인의 피난생활과 좌우 갈등"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21-48, 2002
    • 149 박명희, "규남 하백원 기행시의 회고적 경향"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111-138, 2007
    • 150 정상균, "권필의 ?취시가(醉時歌)?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253-273, 2005
    • 151 박병익, "국헌 임옥산의 삶과 시세계"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213-242, 2007
    • 152 황수정, "구례 시단의 지역정서 표출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313-333, 2010
    • 153 조규익, "교훈의 장르론적 의미와 교훈가사"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323-356, 2009
    • 154 김진욱, "광덕`엄장 인물 유형 분석을 통한 <원왕생가> 화자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71-91, 2007
    • 155 김성기, "공後引의 作家에 對한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75-94, 2004
    • 156 박춘우, "고전시가에 나타난 꽃의 심상(心象) 유형"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97-119, 2009
    • 157 이상보, "고전문학의 위기와 타개방안, 제12회"
    • 158 정병헌, "고시가 연구의 시각과 전망"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1-21, 2007
    • 159 정병헌, "고시가 연구의 관습과 문화론적 접근, 제18회"
    • 160 전일환, "고산 윤선도 국문시가의 수사미학"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179-202, 2003
    • 161 김명준, "고려속요 형성에 관여한 외래성"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25-59, 2008
    • 162 양희찬, "고려가요 <동동>의 미적 짜임, 제21회"
    • 163 양희찬, "고려가요 <動動>의 美的 짜임과 性格"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159-184, 2008
    • 164 최정선, "고대 한·일 가요의 傳承과 變異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325-355, 2005
    • 165 조태성, "감성의 변천과 고시가 장르의 변천사"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235-260, 2009
    • 166 김신중, "가사의 형태적 변화와 현대적 수용"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109-129, 2008
    • 167 이정옥, "가사의 향유방식과 현대적 변용문제 -경북의 현대 내방가사를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259-282, 2008
    • 168 김학성, "가사의 장르적 특성과 현대사회의 존재의의"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153-189, 2008
    • 169 김대행, "가사와 태도의 시학"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27-56, 2008
    • 170 최한선, "가사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방안, 제22회"
    • 171 김학성, "가사 양식의 전통 유형과 계승방향"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147-179, 2009
    • 172 정병헌, "가사 교육의 현황과 창작의 필요성"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295-318, 2008
    • 173 김성기, "黃鳥歌의 戀慕 對象과 創作時點" 조선대 8 : 2001
    • 174 서철원, "高麗俗謠의 어조를 통해 본 장르 관습의 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223-244, 2008
    • 175 조정림, "高峰 奇大升의 詩文學, 제17회"
    • 176 류연석, "順天儒林의 詩社活動에 關한 硏究" 순천대 8 : 2001
    • 177 류연석, "順天 儒林의 詩社活動에 관한 연구, 제13회"
    • 178 류연석, "韓國歌辭文學史 硏究 槪要, 제4회"
    • 179 김동하, "靑蓮 李後白 詩의 風格"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51-74, 2005
    • 180 박명희, "靑溪 梁大樸의 산수 遊覽과 시적 표현"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71-96, 2009
    • 181 尹榮玉, "靑春寡婦歌考" 영남대 5 : 1998
    • 182 이권재, "霽峯 高敬命의 題畵詩 硏究" 조선대 7 : 2000
    • 183 이권재, "霽峯 高敬命의 遊瑞石錄 硏究" 조선대 8 : 2001
    • 184 李權宰, "霽峯 使行詩에 드러난 意識世界" 한국고시가문학회 (9) : 277-298, 2002
    • 185 박병익, "霞川 高雲의 문학에 나타난 思惟"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181-202, 2009
    • 186 조태성, "阮堂 金正喜의 佛敎漢詩, 제16회"
    • 187 趙泰晟, "阮堂 金正喜의 佛敎漢詩"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221-239, 2003
    • 188 이현수, "閨房歌辭와 婦謠의 비교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147-173, 2004
    • 189 宋炳嘗, "金玉叢部 作品 後記의 性格 考察" 4 : 1997
    • 190 최두식, "金剛遊覽歌의 美的 世界"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327-369, 2005
    • 191 황수정, "酉堂 尹鍾均의 삶과 詩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345-368, 2008
    • 192 김진욱, "鄭澈 漢詩 世界觀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47-82, 2004
    • 193 김진욱, "鄭澈 文學에 드러난 自然觀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125-146, 2004
    • 194 오선주, "鄭勳의 ‘迂濶 意識’에 대한 再考"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185-209, 2008
    • 195 조연숙, "鄕歌의 時間意識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249-269, 2004
    • 196 史在東, "鄕歌와 音樂․演劇" 충남대 5 : 1998
    • 197 김종규, "遇賊歌的 人間愛의 서정성" 한국고시가문학회 (9) : 199-221, 2002
    • 198 장선희, "近代 이후 長城 地域의 漢文學 活動에 관한 고찰 -詩社를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293-322, 2009
    • 199 박명희, "農巖의 作文論에 대하여, 제7회"
    • 200 朴明姬, "農巖․三淵의 文道合一觀에 대하여" 전남대 4 : 1997
    • 201 박명희, "農巖 金昌協의 作詩論에 대하여" 전남대 5 : 1998
    • 202 朴明姬, "趙顯範의 江南樂府考" 전남대 1 : 1993
    • 203 金大幸, "賞春曲 : 抽象의 意味" 서울대 5 : 1998
    • 204 안동주, "詞傳 百濟歌謠의 綜合的 考察, 제13회"
    • 205 안동주, "詞傳 百濟歌謠의 綜合的 考察" 호남대 8 : 2001
    • 206 韓聖錦, "許蘭雪軒의 漢詩에 드러난 作家意識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241-262, 2003
    • 207 한성금, "許蘭雪軒 漢詩의 美學的 考察-表現美를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301-319, 2004
    • 208 김은수, "訥齋 賦文學의 硏究, 제3회"
    • 209 朴焌圭, "訥齋 朴祥論-生涯 및 그 爲人을 중심으로" 전남대 1 : 1993
    • 210 김성기, "薯童謠 背景譚 新解析, 제13회"
    • 211 한성금, "蓀谷 李達의 표현 기교"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295-318, 2009
    • 212 趙泰晟, "草衣禪師의 茶詩에 대하여"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227-245, 2003
    • 213 김세종, "茶山의 農歌詩에 담긴 音樂的 담론"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81-108, 2008
    • 214 김은수, "紫霞 邊慶胤의 羈旅詩" 광주대 8 : 2001
    • 215 崔康賢, "竹泉의 曝曬日記를 살핌" 홍익대 5 : 1998
    • 216 金成基, "禱千手大悲歌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69-91, 2002
    • 217 김정환, "石田 黃瑗의 抗日 抵抗詩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73-102, 2006
    • 218 金銀洙, "石洲詩 硏究" 광주대 1 : 1993
    • 219 김은수, "石洲 漢詩의 思想, 제2회"
    • 220 권순열, "石川 林億齡의 ‘古器歌’ 연구" 조선대 7 : 2000
    • 221 이월영, "石亭 李定稷의 문필생활과 시 특성 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227-257, 2006
    • 222 박세인, "睡隱 姜沆의 連作形 題詠詩 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137-167, 2010
    • 223 趙鍾業, "益齋 李齊賢의 中國紀行詩 연구" 충남대 5 : 1998
    • 224 安東柱, "百濟文學의 外的 條件에 對한 考察"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165-182, 2002
    • 225 安東柱, "百濟 詞不傳 歌謠 硏究" 호남대 5 : 1998
    • 226 안동주, "百濟 漢文學 資料의 分類的 考察" 호남대 7 : 2000
    • 227 林俊成, "白雲 景閑의 詩世界-無心의 美學을 中心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175-195, 2004
    • 228 김성기, "白光弘의 關西別曲과 紀行歌辭"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5-25, 2004
    • 229 金成基, "瑞隱 全新民의 <獨守亭>과 湖南의 忠義" 한국고시가문학회 (9) : 177-198, 2002
    • 230 박병익, "玉峰 白光勳의唐詩風 展開樣相考, 제17회"
    • 231 朴秉益, "玉峯 白光勳의 唐詩風 展開樣相 考"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149-178, 2004
    • 232 박영관, "玉峯 白光勳 詩에 나타난 交遊關係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139-168, 2005
    • 233 유육례, "獻花歌의 硏究, 제16회"
    • 234 劉六禮, "獻花歌의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133-155, 2003
    • 235 김주순, "牧隱 李穡의 漢詩에 나타난 陶淵明의 隱逸觀"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109-135, 2010
    • 236 박명희, "無用 秀演大師의 시문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119-148, 2004
    • 237 金信中, "瀟湘八景歌의 관습시적 성격" 전남대 5 : 1998
    • 238 강전섭, "滄浪曲의 作者 摸索" 대전 실업전문대 7 : 2000
    • 239 최한선, "湖南詩歌의 風流考 -石川과 松江을 中心으로" 동신대 1 : 1993
    • 240 全壹煥, "湖南歌壇의 詩歌文學" 전주대 5 : 1998
    • 241 박세인, "海錦 吳達運시의 현실적 경향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163-186, 2006
    • 242 柳年錫, "海南尹氏宗家所藏 閨房歌辭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89-120, 2003
    • 243 김석태, "浮休善修의 시에 나타난 선사상과 현실인식, 제16회"
    • 244 김석태, "浮休善修의 시에 나타난 선사상과 현실인식"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17-39, 2003
    • 245 金善祺, "洪萬宗의 時調史的 照明"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49-68, 2002
    • 246 박종훈, "泠齋 柳得恭의 초기 詩 考察 -『韓客巾衍集』을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203-238, 2009
    • 247 조태성, "法宗 虛靜의 雜體詩 小考"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279-302, 2006
    • 248 안 봄, "河西 金麟厚의 經世濟民觀과 文學的 形象化, 제10회"
    • 249 김동하, "河西 金麟厚 先生의 生涯와 交遊 樣相"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57-80, 2008
    • 250 李炫周, "河西 辭․賦 文學의 道學的 性格" 동아전문대 5 : 1998
    • 251 朴明姬, "河西 詠物詩에 나타난 物의 表象性"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137-164, 2002
    • 252 손종흠, "江湖歌辭의 傳統과 繼承方向"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239-266, 2009
    • 253 김은수, "水路夫人說話와 <獻花歌>"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43-72, 2006
    • 254 金大幸, "歌辭의 終焉과 文學의 本質" 1 : 1993
    • 255 김준옥, "橘隱 金瀏의 文學觀, 제18회"
    • 256 김준옥, "橘隱 金瀏의 文學的 基盤과 詩의 樣相"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27-54, 2005
    • 257 柳年錫, "梅溪 曺偉의 <萬憤歌>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93-135, 2002
    • 258 황수정, "梅泉詩의 이해를 위한 傳記 연구, 제15회"
    • 259 黃秀貞, "梅泉詩의 이해를 위한 傳記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251-303, 2002
    • 260 黃秀貞, "梅泉詩에 나타난 歷史意識"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263-308, 2003
    • 261 張善喜, "梅泉 黃玹의 憂國詩 硏究" 광주보건대 1 : 1993
    • 262 李炳基, "梅泉 黃玹의 上樑詩에 대하여" 전북대 1 : 1993
    • 263 장선희, "梅泉 黃玹에 대하여, 제3회"
    • 264 黃秀貞, "梅泉 黃玹 詩에 나타난 實行性"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317-342, 2004
    • 265 황수정, "梅泉 黃玹 交遊詩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347-382, 2004
    • 266 김영붕, "梅泉 詩의 排律에 대하여"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95-123, 2004
    • 267 황수정, "梅泉 交遊詩의 樣相, 제17회"
    • 268 林俊成, "梅月堂의 詩世界― 中正의 美學을 중심으로 ―"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109-131, 2003
    • 269 정혜란, "枕肱 한시에 나타난 ?수행의 반려자?로서의 달"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295-326, 2005
    • 270 朴焌圭, "松齋 羅世纘의 交遊人物과 交遊詩" 전남대 5 : 1998
    • 271 권순열, "松皐 權寧玉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5-25, 2005
    • 272 김열규, "松江의 歷史性과 텍스트, 제5회"
    • 273 金烈圭, "松江의 歷史性과 텍스트" 인제대 2 : 1995
    • 274 김성기, "松江의 自然觀, 제5회"
    • 275 金成基, "松江의 自然觀" 조선대 2 : 1995
    • 276 김주한, "松江의 生涯, 제5회"
    • 277 金周漢, "松江의 生涯" 영남대 2 : 1995
    • 278 조종업, "松江詩의 道學忠節에 대하여, 제5회"
    • 279 趙鍾業, "松江詩의 道學忠節에 對하여" 충남대 2 : 1995
    • 280 崔珍源, "松江短歌의 風格" 성균관대 2 : 1995
    • 281 김신중, "松江歌辭의 당대적 가치와 현대적 수용"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25-41, 2006
    • 282 정재호, "松江歌辭의 言語美, 제14회"
    • 283 鄭在皓, "松江歌辭의 言語美" 한국고시가문학회 (9) : 107-138, 2002
    • 284 金信中, "松江歌辭의 時空上 대비적 양상" 전남대 2 : 1995
    • 285 李炫周, "松江歌辭의 形成과 變貌 樣相" 동아전문대 2 : 1995
    • 286 金大幸, "松江歌辭와 文學敎育" 서울대 2 : 1995
    • 287 朴焌圭, "松江 鄭澈의 樓亭題詠攷" 전남대 2 : 1995
    • 288 조규익, "松江 鄭澈의 短歌, 제5회"
    • 289 조규익, "松江 鄭澈의 短歌" 숭실대 2 : 1995
    • 290 박준규, "松江 鄭澈과 全南, 제5회"
    • 291 김신중, "松江 歌辭의 두 측면, 제5회"
    • 292 김신중, "松川의 詩歌活動과 樓亭題詠" 전남대 6 : 1999
    • 293 김성기, "松川 梁應鼎의 贈詩 硏究" 조선대 6 : 1999
    • 294 김주한, "松川 梁應鼎의 賦의 대하여" 영남대 6 : 1999
    • 295 김은수, "松川 梁應鼎의 策 硏究" 광주대 6 : 1999
    • 296 김준옥, "松川 梁應鼎의 文學的 意識 世界" 여수대 6 : 1999
    • 297 이병기, "松川 梁應鼎의 弔輓詩" 전북대 6 : 1999
    • 298 權純烈, "松川 梁應鼎 硏究" 조선대 5 : 1998
    • 299 권순열, "松川 家門의 義理 情神과 義兵 活動" 조선대 6 : 1999
    • 300 김은수, "朴祥 詩의 선비적 情趣, 제16회"
    • 301 김은수, "朴祥 詩의 선비적 情趣"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27-45, 2004
    • 302 김귀석, "月波 鄭時林의 生涯와 詩文學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5-23, 2010
    • 303 최상민, "月明師 <兜率歌> 一考"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247-267, 2003
    • 304 류연석, "曺偉의 <萬憤歌>와 鄭澈의 <思美人曲>比較,제12회"
    • 305 박길남, "晦窩 尹陽來의 삶과 문학"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89-108, 2003
    • 306 이현수, "星山歌壇의 硏究" 조선대 8 : 2001
    • 307 김진욱, "星山別曲의 표현 특성 연구" 조선대 7 : 2000
    • 308 최한선, "星山別曲과 松江 鄭澈" 도립 담양대 5 : 1998
    • 309 조규익, "文昭殿 樂章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289-311, 2010
    • 310 김은수, "揖翠軒 朴誾詩 硏究" 광주대 7 : 2000
    • 311 이정원, "成俔의 文學思想"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151-177, 2003
    • 312 장선희, "憂國變革期의 漢文學 硏究-漢詩壇과 文學觀의 고찰을 중심으로, 제8회"
    • 313 金成基, "怨歌의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41-60, 2003
    • 314 金信中, "思庵의 生涯와 思庵詩의 典故에 대하여" 전남대 1 : 1993
    • 315 권순열, "徐居正의 文學觀 硏究" 조선대 1990
    • 316 洪瑀欽, "徐四佳의 詩에 나타난 「村」에 대한 香心" 영남대 5 : 1998
    • 317 백순철, "崔松雪堂 歌辭의 문체와 현실인식"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195-226, 2005
    • 318 김진욱, "屈原이 鄭澈 文學에 끼친 影響 硏究 -<思美人>과 <思美人曲>의 關係를 中心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71-87, 2003
    • 319 鄭雲采, "尹善道의 한시와 시조에 나타난 ‘興’의 성격" 서울대 1 : 1993
    • 320 朴焌圭, "尹善道의 <五友歌> 연구" 전남대 4 : 1997
    • 321 박준규, "尹善道의 <五友歌> 硏究, 제9회"
    • 322 김대현, "小波와 雪舟의 생애와 시문학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1-24, 2006
    • 323 姜銓燮, "小岳樓 李柔(물수변)의 <子規三疊>과 <四郡別曲>에 對하여"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1-16, 2003
    • 324 김성기, "宋純의 생애와 삶의 철학, 제6회"
    • 325 김진영, "宋純의 文學觀, 제6회"
    • 326 金鎭英, "宋純의 文學世界" 경희대 4 : 1997
    • 327 김성기, "宋純의 字號 硏究, 제3회"
    • 328 金成基, "宋純의 俛仰亭短歌 연구" 조선대 1 : 1993
    • 329 정상균, "宋純詩歌硏究" 서울시립대 5 : 1998
    • 330 김학성, "宋純 詩歌의 詩學的 特性, 제6회"
    • 331 金學成, "宋純 詩歌의 詩學的 特性" 성균관대 4 : 1997
    • 332 김신중, "宋純 時調의 전승 양태와 성격, 제6회"
    • 333 金信中, "宋純 時調의 전승 양상과 문학사적 의미" 전남대 4 : 1997
    • 334 김성기, "宋純 國文詩歌의 形態와 特性, 제12회"
    • 335 권순열, "學圃 梁彭孫의 題畵詩 연구, 제13회"
    • 336 권순열, "學圃 梁彭孫의 義理精神과 文學世界" 조선대 8 : 2001
    • 337 權純烈, "孤竹 崔慶昌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9) : 153-176, 2002
    • 338 이창환, "孤山의 <漁父四時詞> 硏究 -그 장르적 성격 규명을 중심으로, 제2회"
    • 339 장선희, "孤山文學의 思想背景考, 제2회"
    • 340 김준옥, "存齋 魏伯珪의 文學的 基盤" 한국고시가문학회 (9) : 223-251, 2002
    • 341 최상민, "妓流時調에 나타난 ‘純愛’와 ‘孤高’의 여성상 再考"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271-292, 2004
    • 342 이경민, "天主歌辭 <ㅅ향가>攷, 제8회"
    • 343 신경숙, "夜宴의 ‘樂歌三章’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169-195, 2005
    • 344 이상보, "士大夫歌辭의 형성과 전통" 한국고시가문학회 (9) : 55-70, 2002
    • 345 박준규, "士大夫歌辭의 硏究現況과 課題-1990년 이후의 연구를 주로 하여- 제14회"
    • 346 朴焌圭, "士大夫歌辭의 硏究現況과 課題-1990년 이후의 연구를 주로 하여" 한국고시가문학회 (9) : 1-53, 2002
    • 347 李炳基, "哀辭에 대하여" 전북대 5 : 1998
    • 348 鄭炳憲, "古典 詩歌의 常識에 대한 몇 가지 解明" 숙명여대 5 : 1998
    • 349 朴堯順, "具康의 金剛曲 및 叢石歌 硏究" 한남대 5 : 1998
    • 350 양동식, "全南地域과 金炳淵文學의 關係"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197-231, 2005
    • 351 金成基, "兜率歌에 드러난 新羅人의 淨土思想" 조선대 5 : 1998
    • 352 박준규, "光州의 博山과 松川 梁應鼎" 전남대 6 : 1999
    • 353 조태성, "儒士들의 시에 나타난 禪趣 연구-완당 김정희의 <雲外夢中> 詩帖을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279-299, 2004
    • 354 姜銓燮, "傳羅以端作 「春眠曲」에 대하여" 대전실업전문대 5 : 1998
    • 355 김진욱, "傳統과 近代, 意識과 無意識의 境界點 <園植十五咏>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41-70, 2009
    • 356 김성기, "信忠掛冠條와 怨歌의 相關性에 대한 檢討, 제16회"
    • 357 최진원, "俛仰亭歌의 畵中詩, -散点透視를중심으로-,14회"
    • 358 金成基, "俛仰亭歌의 歌脈에 대한 연구" 조선대 4 : 1997
    • 359 박요순, "俛仰亭歌의 審美意識, 제14회"
    • 360 최한선, "俛仰亭 宋純의 漢詩, 제6회"
    • 361 최정선, "作 唱 詞를 중심으로 본 향가의 특성"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303-332, 2006
    • 362 김석태, "佛家 寺刹題詠詩의 문학적 지향"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55-82, 2009
    • 363 金晋郁, "亡命 後 金澤榮의 世界觀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55-76, 2005
    • 364 안동주, "上代湖南地域의 失傳歌謠硏究, 제12회"
    • 365 韓睿嫄, "三國遺事 所載 讚詩를 통해 본 一然의 文學에 관한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293-316, 2004
    • 366 유육례, "丁克仁의 贈詩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179-202, 2004
    • 367 劉六禮, "丁克仁의 不憂軒曲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183-209, 2002
    • 368 李權宰, "『霽峯集』 未登載 詩文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203-229, 2004
    • 369 김귀석, "『雲英傳』의 媒介詩 연구-宮女들의 漢詩를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51-74, 2004
    • 370 박병익, "『俛仰亭三十詠』과 自然景物에 대한 美感 - 金麟厚 · 高敬命 · 林億齡 · 朴淳을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191-221, 2008
    • 371 姜銓?, "「자탄가」(自嘆歌)의 判讀과 鑑賞" 한국고시가문학회 (10) : 1-20, 2002
    • 372 김석태, "「대동영선」의 내용과 선집 의의"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119-151, 2007
    • 373 김귀석, "「錦城別曲」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1-20, 2003
    • 374 김준옥, "‘長生浦’와 <동동>, 제7회"
    • 375 국윤주, "[대한매일신보] 소재 흥타령 시조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27-63, 2007
    • 376 최재남, "<훈민가> 보급의 경과와 그 의미"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319-343, 2008
    • 377 박인희, "<황조가>의 배경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169-189, 2010
    • 378 조연숙, "<일민가> 연구 -작가의식과 공간의식을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315-336, 2008
    • 379 김신중, "<완산가>의 전승과 변이 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19-39, 2009
    • 380 김팔남, "<옥경몽유가>의 선험적 세계 표출 방식, 제18회"
    • 381 서영숙, "<속미인곡>과 <성산별곡>의 대화양상 분석" 충남대 2 : 1995
    • 382 양희찬, "<성산별곡>의 작자에 대한 편견, 제22회"
    • 383 조연숙, "<서방가>와 <안양찬> 고찰"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193-212, 2007
    • 384 유육례, "<서동요>의 현대적 변용"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245-263, 2008
    • 385 정상균, "<모죽지랑가>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203-225, 2003
    • 386 최정삼, "<동동>의 지역 축제 연출 가능성과 그 개발 방안" 한국고시가문학회 (18) : 345-369, 2006
    • 387 김진욱, "<농가>의 문예미 연구 - 어휘와 형식을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79-101, 2008
    • 388 고순희, "<경복궁즁건승덕가라>와 <북궐중건가>의 작품세계와 형식적 변모" 한국고시가문학회 (22) : 1-24, 2008
    • 389 이상원, "<개암십이곡>의 성격과 시가사적 위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9) : 167-192, 2007
    • 390 김명준,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의 창작 시기와 세계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5) : 75-98, 2005
    • 391 류병윤, "<薯童謠>의 형성과정"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121-147, 2009
    • 392 서철원, "<薯童謠> 傳承의 형성과 사상적 배경"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205-226, 2006
    • 393 류연석, "<萬憤歌>의 內容的 考察"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83-118, 2004
    • 394 류연석, "<萬憤歌>의 作品構造와 作家意識, 제17회"
    • 395 양희찬, "<續美人曲>의 眞面目"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267-291, 2009
    • 396 류연석, "<續思美人曲>의 紀行文學性 考察" 한국고시가문학회 (16) : 77-110, 2005
    • 397 김종규, "<禱千手大悲歌> 그 樣式的 표현의 巫佛褶合性"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49-70, 2003
    • 398 고순희, "<相思別曲>의 표현미학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5-26, 2004
    • 399 조태성, "<牧牛圖>의 십게송과 선시 -廓庵禪師의 <十牛圖>를 중심으로" 전남대 7 : 2000
    • 400 양희찬, "<星山別曲>의 읽기脈과 性格" 한국고시가문학회 (25) : 191-213, 2010
    • 401 金善祺, "<星山別曲>의 세 가지 爭點에 대하여" 충남대 5 : 1998
    • 402 鄭麟淑, "<斷腸離別曲> 硏究- 시적 화자의 다층적 목소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시가문학회 (13) : 225-247, 2004
    • 403 이건호, "<安民歌>의 創作動機와 彌勒思想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1) : 121-149, 2003
    • 404 장선희, "<南村詩壇> 연구" 광주보건대 5 : 1998
    • 405 김성기, "<兜率歌>에 드러난 신라인의 불교 수용, 제9회"
    • 406 정재호, "<俛仰亭歌>의 國文學史上 位置, 제6회"
    • 407 鄭在晧, "<俛仰亭歌>의 國文學史上 位置" 고려대 4 : 1997
    • 408 김대현, "20세기 전반 전남 서부지역 한시인들의 활동 모습"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91-117, 2007
    • 409 高淳姬, "19세기 장르간 교섭의 한 양상 -현실비판가사를 중심으로" 부경대 5 : 1998
    • 410 황수정, "19세기 말 ~ 20세기 초 구례 지역 한시의 전개 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24) : 319-348, 2009
    • 411 이형대, "1920-30년대 시조의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한국고시가문학회 (21) : 265-293, 2008
    • 412 조태성, "18~9세기 불교가사에 나타난 현실 인식" 한국고시가문학회 (20) : 389-412, 2007
    • 413 김창원, "17~8세기 서울 및 近畿 일대 田家時調 형성의 사회사" 한국고시가문학회 (17) : 103-130, 2006
    • 414 韓睿嫄, "16세기 사화기에 있어서 호남학문의 형성과 전개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14) : 321-346, 2004
    • 415 이현주, "16世紀 湖南歌辭 硏究 序說, 제4회"
    • 416 金銀洙, "16世紀 湖南 漢詩의 特性" 광주대 5 : 1998
    • 417 이형대, "16〜17세기 영․호남 시가의 교류 양상 -어부가와 훈민가를 중심으로- 제23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9-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9-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4-07-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123 0.25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