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초등수업에서 신체움직임은 어떻게 통합되는가? : 움직임통합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 How is Movement Integrated in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movement integration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의 목적은 움직임통합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실천을 탐색함으로써 움직임통합의 교육적 가능성과 가치를 밝히고 학생의 몸이 중심이 되는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교사들은 수업에서 신체움직임을 어떻게 통합하고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들의 움직임통합 수업을 촉진, 방해, 지원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움직임통합 수업의 교육적 장점과 난점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자는 사회구성주의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움직임통합이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실천적 성격을 띤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2020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총 12개월간 이론적 탐구, 연구 설계, 연구 진행, 결과 정리의 단계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에 참여한 초등교사는 일반교사와 핵심교사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일반교사 집단은 전형적인 사례를 표본으로 추출하는 전략을 사용해 온라인 개방형 설문에 참여한 53명의 초등교사로 구성하였다. 핵심교사 집단은 유목적적 표집 방법에 따라 움직임통합 수업의 경험이 풍부한 교육경력 5년 이상의 초등교사 12명으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온라인 개방형 설문, 현지문서, 온라인 자료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Wolcott, 1994). 연구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법,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활용하였고 연구의 전 과정에서 연구 윤리를 준수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밝힌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통합 수업의 실천모습은 열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내용은 ‘율동형’, ‘전환형’, ‘스포츠형’, ‘놀이형’, ‘숙달형’, ‘체험형’, ‘형태화형’, ‘드라마형’, ‘감각형’, ‘표현형’과 같았다. 각 유형의 교수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무엇을 배우는가?”, “어떻게 가르치는가?”, “왜 가르치는가?”, “누가 가르치는가?”의 질문을 중심으로 교육내용, 학생, 교사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뒤의 다섯 유형에서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움직임통합의 특징을 설명하는 두 가지 체계를 구축하여 실천유형을 분석하였다. 첫째, ‘내용요소-신체움직임 통합관계 스펙트럼’은 학습내용과 신체활동의 낮은 통합관계에서 높은 통합관계까지 ‘우연적 통합’, ‘개별적 통합’, ‘간접적 통합’, ‘직접적 통합’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움직임통합 신체움직임 스펙트럼’은 신체움직임에 대한 학생의 자율성이 낮은 수준부터 높은 수준까지 ‘모방움직임’, ‘동반움직임’, ‘기본움직임’, ‘개방움직임’, ‘자유움직임’으로 제시되었다. 두 스펙트럼은 각각 y축과 x축이 되어 사분면을 이루었고 사분면 위의 열 가지 움직임통합스타일은 신체활동에 초점을 두는가, 학습내용에 초점을 두는가에 따라 분포하는 위치를 달리 했다. 신체활동 증진 중심의 ‘율동형’, ‘전환형’, ‘스포츠형’, ‘놀이형’, ‘숙달형’은 제 3사분면 부근에 자리하며 건강증진 관점의 움직임통합을 형성했다. 반면, 학습 증진 중심의 ‘체험형’, ‘형태화형’, ‘드라마형’, ‘감각형’, ‘표현형’은 제 1사분면에 자리하며 체화학습 관점의 움직임통합을 형성했다.
    둘째, 초등학교 움직임통합 수업을 촉진, 방해, 지원하는 요인은 사회생태학적 모델에 따라 교사의 ① 개인 내 요소, ② 개인 간 요소, ③ 제도적 요소, ④ 지역사회 및 정책 요소의 네 층위에서 분석되었다. 움직임통합 수업의 촉진요인은 ① 신체활동의 가치와 관련한 교사 개인의 성향·경험· 교육철학·정서, ② 학생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동료교사 및 학부모와의 협력, ③ 유연하고 혁신적 문화를 가진 학교의 넓은 수업공간과 교육활동 지원, ④ 시 단위의 교육 지원 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방해요인은 ① 움직임통합에 대한 부족한 지식을 메꾸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과 노력, ② 비협조적인 학생·동료교사·학부모, ③ 시공간적 제약과 권위적인 학교풍토, ④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에 따른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움직임통합 수업 실천을 지속하는 핵심적 상태는 움직임통합에 대한 전문적 판단을 내리는 교사의 행위주체성으로 확인되었다. 교사의 행위주체성은 교사를 둘러싼 환경적 구조가 뒷받침 되었을 때 성취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생태적 관점에서 지원요인을 분석하였다. 지원요인은 ① 활동 중심 교사 연수, ② 학생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③ 체계적인 자료 축적과 수업연구 환경 조성, ④ 예비교사교육으로 도출되었다. 움직임통합 수업의 촉진요인, 방해요인, 지원요인을 종합하여 교사, 학생·동료교사·학부모, 학교, 지역사회와 교육정책 수준에서 움직임통합을 증진하는 요소를 도출한 후 움직임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셋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움직임통합 수업의 교육적 장점과 난점은 건강증진 관점과 체화학습 관점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었다. 건강증진 관점의 움직임통합이 가지는 장점은 학습적 효과로 제시되었고 신체활동량 증가에 따른 변화와 관련이 깊었다. 이는 ① 기본움직임기술과 신체인지 향상에 따른 신체적 효과, ② 집중력과 기억력 강화에 따른 인지적 효과, ③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 향상에 따른 정서적 효과로 구체화되었다. 체화학습 관점의 움직임통합이 가지는 장점은 학습내용과 학생의 체화적 관계 형성을 구성하며 실존주의 교육적 의미를 실현하는 교육적 경험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① 몸에 새긴 앎을 형성하는 감각운동적 경험, ② 감정 전이로 느끼는 앎을 형성하는 정서적 경험, ③ 관계 속 참여적 앎을 형성하는 상호주관적 경험으로 구체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움직임통합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각자의 인지를 반영하는 신체움직임을 서로 관찰하여 개별지도와 모델링에 활용하는 교수적 장점을 가졌다. 움직임통합 수업의 교육적 난점은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측면에서 분석되어 ① 재미와 의미를 함께 추구하는 일의 곤란함과 교육목적의 전도 가능성, ② 움직임통합이 어려운 학습내용요소, ③ 학습개념과 신체움직임의 의미 있는 통합과 과열된 분위기로 인한 수업진행의 어려움, ④ 명시적으로 파악하기 힘든 학습결과로 제시되었다. 교사들은 건강증진과 체화학습 중 어떤 관점을 가지는가에 따라 서로 다른 교육적 난점을 경험하였다. 한 가지 움직임통합 관점을 가지는 ‘단일관점통합’ 단계에서 나아가 상황에 따라 두 관점을 선택해 활용하는 ‘단일관점보완통합’ 단계를 통해 이러한 교육적 난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두 관점의 움직임통합을 함께 사용하는 ‘융합관점통합’은 움직임통합의 교육적 장점을 확대하고 심화하는 단계로 두 관점에 대한 교사의 명확한 인식과 지식이 요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논의로는 첫째, 초등수업에 통합되는 신체활동이 양(높이), 종류(너비), 통합 관계(깊이)를 지니는 입체적 개념으로 일반교과 수업에서 신체활동량을 높이고 체화학습을 성취하는 잠재성을 가지며, 체육교육과의 독자적인 위치 속에서 호혜적 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둘째, 교사가 움직임통합의 두 관점을 이해하고 신념화함으로써 재미라는 표면적 차원을 넘어 심층적 수준으로 움직임통합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생을 활동적으로 생활하며 능동적으로 세계를 구성하는 전인적 실존주체로 길러내는 움직임통합이 초등수업에 국한되지 않고 학습자와 학습에 대한 철학을 담은 교육관과 교육원리로 이해되어야 함을 촉구하였다.
    움직임통합 수업의 현장실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통합을 초등학교 국가교육과정에 신설하여 교육주체의 인식을 고양하고 교육여건을 지원해야 한다. 둘째, 학교기반 교사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여 움직임통합 수업 준비에 소요되는 교사 개인의 노력과 시간을 줄이고 협력을 통해 효율적으로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셋째,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움직임통합 연수의 방향을 설정하고 내실 있는 교육을 위해 움직임통합 교수·학습자료를 체계적으로 축적해야 한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에 통합되는 신체움직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움직임통합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체화적 경험을 직접 관찰하고 학습과정을 현상적으로 밝힐 수 있는 실행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국의 맥락에서 움직임통합의 교육철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고찰하는 학술적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educational potential and value of movement integration(MI) and set up a foundation to center students’ bodies in education by exploring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MI.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integrate body movement into classrooms?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promote, hinder, and support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in implementing MI? Third, what are the educational advantages and difficulties of MI recognized by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Based on the social constructivism paradigm,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ith a practical purpose in that it provides the basis for the widespread use of MI in South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2 months from July 2020 to June 2021 through planning,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interpretation, and conclusion.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composed of 2 groups. First, group1 consists of 53 randomly sampled element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questionnaire. Second, group2 consists of 12 purposively sampled element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selection criteria were five years or more of teaching experience and having experiences of implementing MI in clas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line open questionnaires, local documents, and online materials. Data analysi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Wolcott, 1994). To increase the trustworthiness of the research, triangulation, member check, and peer debriefing were used. Also, the researcher complied with the research ethics and followed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regulations.
    The findings from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 form of MI appeared in ten types: 'rhythmic-type', 'transition-type', 'sport-type', 'play-type', 'repetition-type', 'simulation-type', 'shape-type', 'drama-type', 'sensory-type', 'expression-type'. The didactic triangle(Gundem, 2000) that consists of the irreducible three-way relationship linking teacher, student, and subject was used for educational analysis. By asking questions like “what is learned?”, “how is it taught?”, “why is it taught?”, and “by whom is it taught?”,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relationship with content knowledge were found in the latter five types of MI. This study built up two systems to explore various types of MI. One is ‘content knowledge-movement integrational relationship spectrum’ that includes ‘incidental integration’, ‘individual integration’, ‘indirect integration’, and ‘direct integration’ from low to high intensity of integration between content knowledge and physical activity. Another is ‘MI body movement spectrum’ that includes ‘imitation movement’, ‘accompany movement’, ‘fundamental movement’, ‘open movement’, and ‘free movement’ from low to high level of student autonomy in body movement. Each spectrum became the y-axis and the x-axis to form a quadrant. Distribution positions of ten MI styles(types) on the quadrant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y focus on physical activity or subject matter. The 'rhythmic-type', 'transition-type', 'sport-type', 'play-type', 'repetition-type' that centered o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were located near third(lower-left) quadrant and provided a health promotion perspective of MI. On the contrary, the 'simulation-type', 'shape-type', 'drama-type', 'sensory-type', 'expression-type' that focused on improving subject matter learning were located near first(upper-right) quadrant and brought an embodied learning perspective of MI.
    Second, factors that promote, hinder, and support MI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by employing a socio-ecological model(McLeroy et al.,1988) from the four levels: ① intrapersonal factors, ② interpersonal factors, ③ institutional factors, and ④ community and public policy factors. The facilitators of MI were characterized by ① teacher’s characteristics, experiences, beliefs, and emotions regarding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y, ② positive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parents, ③ schools that are with a flexible and innovative culture and provide sizeable indoor space and support for educational activity, and ④ city-based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the school curriculum. As for the barriers of MI, ① required time and effort to make up for the lack of knowledge about MI, ② uncooperative students, fellow teachers, and parents, ③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and authoritative school climate, and ④ difficulties of reorganizing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derived. Above all, the core state of continuing the practice of MI was confirmed as teacher agency tha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aking professional decisions on MI. In the sense that teacher agency can be achieved when the working conditions surrounding the teacher are supported, support factors were also analyzed from the socio-ecological perspective. Support factors were proposed to provide ① activity-oriented teacher education, ②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and participation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③ systematic MI data construction and research environment at school, ④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y synthesizing facilitators, barriers, and support factors, components that promote MI at the level of teachers, students·fellow teachers·parents, school, community and educational policy were drawn to organize MI framework.
    Third, the educational advantages and difficulties of MI recognized by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were suggested from the perspectives they are based on either health promotion or embodied learning. First of all, the advantages of MI from health promotion perspective were presented as learning effects and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changes followed by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They were specified as ① physical effects of improving fundamental movement skill and body awareness, ② cognitive effects of enhancing concentration and memory, and ③ emotional effects of building self-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Next, the advantages of MI from embodied learning perspective were presented as educational experiences that constitute an enactiv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matter and students and realize existentialism in education. They were specified as ① sensory-motor experiences that form embodied knowledge engraved on the body, ② affective experiences that create emotional understanding through emotional transference, and ③ intersubjective experiences that include participatory learning developed in a relationship. In addition, MI had several instructional advantages, such as the availability of individual education for teachers and opportunities of modeling for students by observing each other's body movements that reflect their cognition. Lastly, the educational difficulties of MI were analyzed in terms of educational purpose,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There were ① difficulties in pursuing fun and meaning together to achieve learning goals, ② learning content that is difficult to integrate movement, ③ difficulties in meaningful integration with learning concepts and smooth class progress due to an overheated atmosphere, and ④ learning outcome that is hard to assess explicitly. Teachers experienced different educational difficulties depending on their point of view between health promotion and embodied learning. These educational difficulties were found in the ‘single perspective integration’ stage, which takes one perspective of MI. Difficulties can be overcome by ‘single perspective complementary integration’ stage, which chooses either one of two perspectives of MI depending on the situation. ‘Convergence perspective integration’, which takes both perspectives of MI, is a stage to expand and deepen the educational advantages of MI, requiring teachers’ clear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two viewpoints of MI.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 integrated into the classroom that consists of intensity(height), type(width), and integration relationship(depth) is a three-dimensional concept so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in academic subjects and accomplish embodied learning. This concept provides physical activity of MI its independent position that can form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one of physical educatio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can continue to practice MI at an in-depth level beyond the superficial dimension of fun by understanding and internalizing the two perspectives of MI. Third, it was urged that MI, which nurtures students as holistic existential subjects who live actively and compose the world, should not be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classes, but should be understood as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s that contain the philosophy of learners and learning.
    Suggestions for field practice of MI are as follows: First, MI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to raise awareness and suppor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hrough activating a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MI classes should be designed efficiently by reducing required time and efforts for preparation. Third, it is essential to set the direc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systematically accumulate MI teaching materials for successful teacher education. Finall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body movements are integrated into the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econd, a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observe students' embodied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MI classes and reveal the learning process phenomenologically. Third, academic research is required to explore and support the education philosophical basis of MI in the Korean context.

    더보기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8
    • 3. 연구문제 9
    • 4. 용어의 정의 9
    • 5. 연구의 제한점 10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신체활동과 학습 11
    • 가. 신체활동의 학습효과 11
    • 1) 신체활동과 인지적 측면의 학습 11
    • 2) 신체활동과 정서적 측면의 학습 15
    • 나. 초등학생의 학습과 신체활동 20
    • 1) 초등학생의 발달과 신체활동 21
    • 2) 유아교육의 신체활동이 초등학습에 주는 함의 27
    • 2. 움직임통합 30
    • 가. 국외 연구 30
    • 1) 신체 건강과 인지적 학습: 소극적 접근 30
    • 2) 체화적 학습: 적극적 접근 37
    • 나. 국내 연구 41
    • 1) 체육교과의 타교과 활동 통합 42
    • 2) 타교과의 신체활동 통합 46
    • 3. 체화된 인지와 움직임통합 수업 50
    • 가. 인지과학의 흐름 50
    • 나. 체화된 인지 52
    • 1) 체화된 인지 53
    • 2) 확장된 인지 55
    • 3) 착근된 인지 57
    • 4) 행화적 인지 58
    • 다. 체화된 인지와 학습 60
    • Ⅲ. 연구방법 66
    • 1. 연구 설계 66
    • 가. 연구 패러다임 및 논리 66
    • 나. 연구 절차 68
    • 2. 연구 참여자 70
    • 가. 연구자로서의 나 70
    • 나. 연구 참여 교사 72
    • 3. 자료 수집 75
    • 가. 심층면담 75
    • 나. 온라인 개방형 설문 78
    • 다. 현지문서 80
    • 라. 온라인 자료 80
    • 4. 자료 분석 및 해석 81
    • 5.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 83
    • 가. 연구의 진실성 83
    • 나. 연구의 윤리 84
    • Ⅳ. 결과 및 논의 85
    • 1. 초등학교 움직임통합 수업의 실천모습 85
    • 가. 움직임통합의 유형 88
    • 1) 율동형 88
    • 2) 전환형 91
    • 3) 스포츠형 95
    • 4) 놀이형 99
    • 5) 숙달형 106
    • 6) 체험형 110
    • 7) 형태화형 117
    • 8) 드라마형 121
    • 9) 감각형 125
    • 10) 표현형 130
    • 나. 움직임통합스타일사분면 135
    • 1) 내용요소-신체움직임 통합관계 스펙트럼 135
    • 2) 움직임통합 신체움직임 스펙트럼 138
    • 3) 움직임통합스타일사분면 141
    • 다. 움직임통합스타일의 활용 145
    • 1) 움직임통합스타일의 특징 146
    • 2) 움직임통합의 실천경향 151
    • 2. 초등학교 움직임통합 수업의 실천요인 158
    • 가. 촉진요인 160
    • 1) 개인 내 요인: 교사의 성향, 경험, 철학, 정서 161
    • 2) 개인 간 요인: 학생,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상호작용 170
    • 3) 제도적 요인: 학교의 환경 조성과 교육활동 지원 179
    • 4) 지역사회 및 정책 요인: 시(市) 단위 교육 프로그램 184
    • 나. 방해요인 185
    • 1) 개인 내 요인: 부족한 지식을 메꾸는 시간과 노력 187
    • 2) 개인 간 요인: 비협조적 학생, 동료교사, 학부모 192
    • 3) 제도적 요인: 시공간적 제약과 학교풍토 198
    • 4) 지역사회 및 정책 요인: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 203
    • 다. 지원요인 206
    • 1) 개인 내 요인: 교사의 행위주체성 성취 207
    • 2) 개인 간 요인: 학생의 피드백과 교사학습공동체 211
    • 3) 제도적 요인: 자료와 수업연구 환경 조성 213
    • 4) 지역사회 및 정책 요인: 예비교사교육 216
    • 3. 움직임통합 수업의 교육적 장점과 난점 220
    • 가. 교육적 장점 220
    • 1) 학습적 효과: 건강증진 관점 224
    • 가) 신체적 효과: 기본움직임기술과 신체인지 224
    • 나) 인지적 효과: 집중과 기억 226
    • 다) 정서적 효과: 나, 우리,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 228
    • 2) 교육적 경험: 체화학습 관점 230
    • 가) 감각운동적 경험: 몸에 새긴 앎 234
    • 나) 정서적 경험: 감정 전이로 느끼는 앎 236
    • 다) 상호주관적 경험: 관계 속 참여적 앎 238
    • 3) 교수적 장점: 상호 이해를 통한 학습증진 241
    • 나. 교육적 난점 245
    • 1) 교육목표: 동상이몽 '재미와 의미' 246
    • 2) 교육내용: 움직임통합이 어려운 학습내용요소 249
    • 3) 교육방법: 유의미한 학습경험으로의 고된 안내 251
    • 4) 교육평가: 명시적으로 파악하기 힘든 학습결과 255
    • 4. 종합논의 262
    • 가. 움직임통합의 신체활동량 및 체육교육과의 관계 262
    • 나. 움직임통합의 두 관점에 대한 교사인식의 중요성 267
    • 다. 움직임통합 수업에서 움직임통합 교육으로 269
    • Ⅴ. 결론 및 제언 272
    • 1. 결론 272
    • 2. 제언 279
    • 가. 현장실천을 위한 제언 279
    • 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81
    • 참고문헌 282
    • 부 록 306
    • Abstract 3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