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조선과 燕나라의 전쟁과 요동 = War between Gojoseon and Yan Dynasty and Liaodong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고는 고조선과 전국 燕나라의 전쟁 양상을 살펴보며 진번의 실체와 요동의 범위 문제에 주목하였다. 고조선은 기원전 323년경 전국 燕나라와 대립하였다. 당시 고조선은 요동지역에 위치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고조선은 안정된 왕권을 바탕으로 칭왕을 하며 요서지역과 광범위한 연맹을 형성하여 燕나라와 대립한 것으로 보인다. 고조선과 燕나라는 팽팽한 대립속에서도 큰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조선은 수십년 후 소왕대 전성기를 맞이한 燕나라에 패하여 滿潘汗을 경계로 삼게 되었다. 『史記』 에는 전쟁의 주체에 대해 조선과 함께 진번의 존재가 부각되어 있다. 당시 요동북부에 위치한 진번은 조선 연맹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이해된다. 燕나라의 세력이 최종적으로 미친 동단에 대해 『史記』는 眞番朝鮮지역으로 『魏略』 은 滿潘汗으로 기록하였다. 燕나라가 설치한 5군 중 고조선과 관련된 것은 『山海經』 의 貊國이 있었던 요서군, 『史記』의 진번 조선이 있었던 요동군에 해당된다. 燕나라의 침공 이후 고조선은 천산산맥을 경계로 삼았으며, 요동지역에서 대동강유역으로 중심지를 옮긴 것으로 보인다. 열수 패수 같은 조선과 관련된 지명이 요동지역과 서북한지역에 동시에 보이는 것은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의 흔적으로 이해된다. 燕나라의 북벌 직후 요동군의 범위는 의무려산에서 천산산맥 사이로 볼 수 있다. 그러나 燕나라 시기에는 속현이나 광범위한 행정구역을 설치하지는 못했다고 이해된다. 연북장성은 의무려산까지 이르렀으며, 의무려산~패수(혼하)에는 장새가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소왕 이후 국력이 약해진 燕나라는 원거리 군현을 유지하기 어려웠으며 말기에는 패수 서쪽에 설치한 장새까지만 세력이 미쳤다. 나중에 燕나라가 秦나라의 공격으로 쫓겨간 요동도 이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이해된다. 이후 요동군은 秦나라에 의해 비로소 체계적으로 설치되었다.

    더보기

    This study focused on the truth of Jinbeon and the range of Liaodong by examining the war patterns between Old Joseon and Yan(燕). Old Joseon came up against Yan around 323 B.C. during the Age of Civil Wars. It is understood that Old Joseon was located in the Liaodong area at that time. It is believed that Old Joseon used the title of king, formed a broad federation(또는 alliance) in the Liaodong region based on a stable kingship, and came up against Yan in response to the invasion of Yan. Despite the tense confrontation between Old Joseon and Yan, there was no big war. However, decades later, Old Joseon was defeated by Yan, at its prime time under the reign of King Zhao, and Manfanhan(滿潘汗) became the border between the two countries. “Shiji(史記)” highlights the existence of Jinbeon along with Old Joseon, while describing as the main agents of the war. Jinbeon, located in the west of Liaodong at the time, is understoo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Joseon Federation. At that time, Yan extended to the west region of Liaodong. It is believed that “Shiji” recorded the east border of Yan as Jinbeon and “Weilue(魏略)” described it as Manfanhan. Among five commanderies installed by Yan, Old Joseon was related with Liaoxi commandery where Moguo(貊國) in “Shanhaijing” existed and Liaodong commandery where Jinbeon in “Shiji” was located. After Yan s invasion, Old Joseon bordered the Tian Shan Mountains and it is believed that it moved its center from the Liaodong region to Pyongyang region. It is understood that names of places related to Old Joseon such as Yeolsu and Paesu existed in the Liaodong region and the nor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because they are the traces of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Old Joseon. In terms of the range of Liaodong commandery, it is confirmed that 18 prefectures were installed between Yiwulu Mountain and Yalu River centered by Liao-yang after the collapse of Wiman Joseon. However, it is believed that Yan could not install a local prefecture or extensive administrative district. Extensibility reached Yiwulu Mountain. It is also believed that Jangsae was installed between Yiwulu Mountain and Hun River. Yan became weaker after King Zhao and it was difficult for Yan to protect Liao-yang, on the plain. Therefore, the influence of Yan, in fact, reached only to the Jangsae installed in the west of Hun River. It is believed that the Liaodong where Yan was driven off by Qin’s attack was within this range. It was not until the Qin time that local prefectures were installed in the Liaodong region by Chinese power and the force of Chinese power was expanded to the east of Hun River.

    더보기
    •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고조선과 燕의 전쟁과 眞番 Ⅲ. 전쟁 전후 고조선의 변동과 요동의 범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1 이종수, "遼東地域 燕秦漢 長城 調査現況 및 問題點 檢討" 고려사학회 (43) : 247-276, 2011
    • 2 이후석, "遼東~西北韓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古朝鮮 -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 동북아역사재단 (44) : 149-205, 2014
    • 3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考古文集(2)" 遼寧民族出版社 2010
    • 4 오강원, "歷史와 考古學的 측면에서 본 『山海經』 「海內西經」 貊國의 實體"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9) : 223-255, 2011
    • 5 임병태, "한국 청동기문화의 연구" 학연문화사 1996
    • 6 윤용구, "한국 고대의 ‘중국식 토성’에 대하여" 8 : 1996
    • 7 조법종, "한국 고대사회의 고조선단군인식 연구- 고조선고구려시기 단군인식의 계승성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3) : 147-172, 2005
    • 8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 9 오강원,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고조선" 동양학연구원 (53) : 173-222, 2013
    • 10 홍승현, "중국역대장성의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4
    • 11 오강원, "중국 동북 지역 瓢形 長頸壺의 부장 양상과 확산의 배경과 맥락" 영남고고학회 (78) : 73-115, 2017
    • 12 구본희, "전국~진한대 요동군과 고조선 서계의 변화" 단국대학교 2017
    • 13 이광명, "전국 시기 연의 요동 진출 연구" 부경대학교 2019
    • 14 조원진, "위만조선의 대외관계에 대한 검토 -朝·漢 전쟁 이전을 중심으로-" 백산학회 (109) : 59-87, 2017
    • 15 이종수, "요하 평원지역 ‘燕 유적’의 특징과사용집단에 대한 재검토- 연 유이민 집단 물질문화와 관련하여 -" 동북아역사재단 (44) : 65-94, 2014
    • 16 김병준, "요서지역과 燕秦 세력의 확대" 2016
    • 17 이후석, "요령식 세형동검문화와 고조선의 변천" 숭실대학교 2016
    • 18 오대양, "요동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양상과 전개 – 소위 쌍방·미송리문화를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61) : 123-151, 2015
    • 19 서영수,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 20 방향숙,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 21 오대양, "요동과 길림, 서북한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전개양상 검토" 백산학회 (115) : 173-217, 2019
    • 22 니콜라 디코스모, "오랑캐의 탄생" 황금가지 2005
    • 23 조원진, "예맥・조선과 서주・춘추 제와의 교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3) : 13-68, 2019
    • 24 김상민, "연하도 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주조철부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84 (84): 5-35, 2014
    • 25 윤용구, "새로 발견된 樂浪木簡-樂浪郡 初元四年 縣別戶口簿-" 한국고대사학회 (46) : 241-264, 2007
    • 26 오강원, "비파형동검문화와 요령 지역의 청동기문화" 청계 2006
    • 27 오대양, "북한지역의 청동기시대 묘제와 고조선 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2020
    • 28 오대양, "북한지역 고인돌유적의 특징과 성격" 한국고대학회 (40) : 69-106, 2014
    • 29 김호동,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돌베개 [파주] 2010
    • 30 구본희, "망각과 재창출― 『史記』 「匈奴列傳」에 기술된 戰國 燕의 영토확장과 東胡 ―" 동양사학회 (140) : 271-304, 2017
    • 31 손영종, "락랑군 남부지역(후의 대방군지역)의 위치 -<락랑군 초원4년 현별 호구다소□□>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2 : 2006
    • 32 김정배, "동북아의 비파형동검문화에 대한 종합적 연구" 88 : 2000
    • 33 조진선, "동북아시아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편년의 열쇠 『朝陽 袁臺子–戰國西漢遺址和西周至十六國時期墓葬』(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朝陽市博物館 편, 文物出版社)" 한국고고학회 (80) : 129-145, 2011
    • 34 배현준, "동북아시아 철기문화연구의 새로운 움직임" 역사공간 2018
    • 35 김정열, "동북문화와 유연문명." 동북아역사재단 2008
    • 36 이후석, "동대장자유형의 계층 분화와 그 의미" 한국상고사학회 94 (94): 5-36, 2016
    • 37 서영대, "단군신화의 역사적 이해" 2 : 2001
    • 38 조원진, "단군신화의 구조 연구 - 시대별 변천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28) : 88-130, 2015
    • 39 서영대, "단군 관련 구전자료의 검토" 고조선단군학회 21 : 133-168, 2009
    • 40 송호정, "다시 쓰는 고조선사" 서경문화사 2020
    • 41 이청규, "다뉴경과 고조선" 단국대학교출판부 2015
    • 42 조원진, "기자조선 연구의 성과와 과제" 고조선단군학회 20 : 395-441, 2009
    • 43 강인욱, "기원전 9~3세기 요서지역의 고고학문화와 山戎·東胡" 백산학회 (106) : 31-60, 2016
    • 44 복기대, "기원전 7~4세기 遼西지역의 정치적 변화에 관하여- 秦開 동정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학회 (21) : 1077-1100, 2004
    • 45 이후석, "기원전 4세기대 요서지역의 문화변동과 그 의미 - 동대장자유형과 세형동검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28) : 43-88, 2015
    • 46 오강원, "기원전 3세기 遼寧地域의 燕나라 遺物共伴 遺蹟의 諸괮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한국상고사학회 71 (71): 5-32, 2011
    • 47 박선미, "기원전 3~2세기 요동지역의 고조선문화와 명도전유적" 14 : 2000
    • 48 박준형,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한국사학회 (108) : 1-37, 2012
    • 49 서영수,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3
    • 50 송호정, "고조선의 위치와 중심지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58) : 19-60, 2010
    • 51 서영수, "고조선의 위치와 강역" 2 : 1988
    • 52 하문식, "고조선의 무덤 연구*북한지역 고인돌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회 12 : 137-176, 2005
    • 53 하문식, "고조선의 무덤 연구" 6 : 2005
    • 54 윤상열, "고조선의 天下觀에 관한 試論" 한국사학회 (88) : 363-410, 2007
    • 55 박대재, "고조선의 ‘왕’과 국가형성" 7 : 2005
    • 56 김정배, "고조선에 대한 새로운 해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 57 김철준, "고조선사회의 정치세력의 성장" 국사편찬위원회 2 : 1977
    • 58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 서경문화사 2014
    • 59 이종욱, "고조선사연구" 일조각 1993
    • 60 천관우, "고조선사,삼한사 연구" 일조각 1989
    • 61 윤명철, "고조선문명권과 해륙(海陸)활동" 지식산업사 2018
    • 62 박선미, "고조선과 동북아의 고대 화폐" 학연문화사 2009
    • 63 조원진, "고조선과 秦나라의 대외관계 연구" 한국사학회 (129) : 197-236, 2018
    • 64 이성재, "고조선과 燕의 전쟁 연구 -전쟁 개시 배경 및 원인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2016
    • 65 박대재,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북아역사재단 (55) : 15-60, 2017
    • 66 윤내현, "고조선 연구" 일지사 1994
    • 67 하문식, "고조선 사람들이 잠든 무덤" 주류성출판사 2016
    • 68 이성규, "고대 중국인이 본 한민족의 원류" 32 : 2003
    • 69 배진영, "고대 北京과 燕文化" 한국학술정보 2009
    • 70 이후석, "고고학을 통해 본 초기고조선의 성장 과정 - 십이대영자문화의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 숭실사학회 (38) : 5-46, 2017
    • 71 이후석, "고고학을 통해 본 초기 고조선과 주변 사회 -고조선과 연․산융․동호의 관계를 중심으로-"
    • 72 임병태, "고고학상으로 본 예맥" 1 : 1991
    • 73 이후석, "고고자료를 통해 본 만번한 - 전국시대 고조선과 연의 경계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57) : 116-169, 2017
    • 74 "鹽鐵論"
    • 75 김성환, "高麗時代의 檀君傳承과 認識" 景仁文化社 2002
    • 76 이병도,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 77 이청규, "靑銅器를 통해 본 古朝鮮과 주변사회" 6 : 2005
    • 78 김남중, "險瀆과 고조선의 관계" 고려사학회 (61) : 77-108, 2015
    • 79 조진선, "遼西地域의琵琶形銅劍文化와 種族" 한국상고사학회 96 (96): 183-213, 2017
    • 80 李慶發, "遼寧西部漢代長城調查報告" 2 : 1987
    • 81 遼寧省文物考古研究所, "遼寧淩源縣五道河子戰國墓發掘簡報" 2 : 1989
    • 82 萬雄飛, "遼寧建昌縣東大杖子墓地2002年發掘簡報" 12 : 2014
    • 83 成璟瑭, "遼寧建昌縣東大杖子墓地2001年發掘簡報" 12 : 2014
    • 84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南洞溝石槨墓" 6 : 1977
    • 85 石川岳彦, "遼寧を中心とする東北アジア古代史の再構成" 東京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考古学研究室 2007
    • 86 趙國棟, "赤峯古代墓葬" 內蒙古文化出版社 2014
    • 87 "資治通鑑"
    • 88 "詩經"
    • 89 "管子"
    • 90 後曉榮, "秦代燕地五郡置縣考" 4 : 2009
    • 91 東方考古學叢刊刊行會, "牧羊城 -南滿洲老․鐵山麓漢及漢以前遺蹟-" 雄山閣出版 1929
    • 92 홍승현, "燕・秦・漢長城 수축을 통해 본 衛滿朝鮮의 西界" 고려사학회 (70) : 7-43, 2018
    • 93 정인성, "燕式土器文化의 확산과 後期 古朝鮮의 토기문화 - 細竹里·蓮花堡類型의 이해를 바탕으로 -" 백산학회 (100) : 193-242, 2014
    • 94 배진영, "燕國의 五郡 설치와 그 의미 -戰國時代 東北아시아의 勢力關係-" 중국사학회 (36) : 1-44, 2005
    • 95 조진선, "燕下都의 造營과 都城 機能의 變遷" 한국고고학회 (96) : 66-103, 2015
    • 96 河北省文物硏究所, "燕下都 1-2" 文物出版社 1997
    • 97 김남중, "燕․秦의 遼東統治의 限界와 古朝鮮의 遼東回復" 62 : 2002
    • 98 김상민, "燕 文化의 擴散과 遼西地域 鐵器文化의 定着過程" 호서고고학회 (44) : 110-143, 2019
    • 99 "漢書"
    • 100 於淩, "淺議燕秦時期遼東郡邊民的構成" 1 : 2018
    • 101 沈陽故宮博物館, "沈陽鄭家窪子的兩座青銅時代墓葬" 1 : 1975
    • 102 王立新, "林西井溝子 -晩期靑銅時代墓地的發掘 綜合硏究-" 科學出版社 2010
    • 103 吉本道雅, "東胡考" 91 (91): 2008
    • 104 "東國通鑑提綱"
    • 105 裵炫俊, "東周時期燕" 北京大 2016
    • 106 孫進己, "東北歷史地理(1)"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 107 李殿福, "東北境內燕,秦長城考" 4 : 1982
    • 108 宮本一夫, "東アヅアと日本" 九州大學21世紀COEプログラム(人文科學) 2007
    • 109 鄭寅普, "朝鮮史硏究(上)" 서울신문사 1946
    • 110 신채호, "朝鮮上古史" 종로서원 1948
    • 111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朝陽市博物館, "朝陽袁台子 -戰國西漢遺址和西周至十六國時期墓葬-" 文物出版社 2010
    • 112 윤내현, "朝ㆍ燕戰爭의 전개와 국경 변화" 고조선단군학회 20 : 247-264, 2009
    • 113 배현준, "春秋戰國시기 燕文化의 중국동북지역 확산 및 토착집단과의 관계-고고학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87) : 119-161, 2017
    • 114 石川岳彦, "春秋戰國期の燕國におる初期鐵器と東方への擴散" 2012
    • 115 文物編輯委員會, "文物考古工作三十年" 文物出版社 1979
    • 116 王立新, "探尋東胡遺存的一個新線索" 科學出版社 7 : 2004
    • 117 苗威, "戰國遼東郡考述" 4 : 2012
    • 118 "戰國策"
    • 119 오강원, "戰國時代 燕나라 燕北長城 동쪽 구간의 構造的 實體와 東端" 한국고대학회 (33) : 163-205, 2010
    • 120 송진, "戰國·秦·漢時期 遼東郡과 그 경계" 한국고대사학회 (76) : 55-94, 2014
    • 121 박선미, "戰國~秦․漢初 화폐사용집단과 고조선의 관련성" 7 : 2011
    • 122 김일규, "戰國 燕 철기문화의 중국 동북지방 유입시점" 부산고고학회 (17) : 31-53, 2015
    • 123 "我邦疆域考"
    • 124 "帝王韻紀"
    • 125 "山海經"
    • 126 이후석, "尹家村類型의 변천과 성격" 중앙문화재연구원 (19) : 1-32, 2016
    • 127 "史記"
    • 128 박대재, "古朝鮮의 언어구역과 燕의 동북지역" 한국고대학회 (43) : 5-38, 2015
    • 129 서영수, "古朝鮮의 對外關係와 疆域의 變動" 29 : 1999
    • 130 박대재, "古朝鮮과 燕 齊의 상호관계-기원전 4세기말-3세기초 전쟁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83) : 1-38, 2006
    • 131 苗威, "古朝鮮硏究" 香港亞洲出版社 2006
    • 132 노태돈, "古朝鮮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23 : 1990
    • 133 박경철, "古朝鮮 對外關係 進展과 衛滿朝鮮" 동북아역사재단 (44) : 13-63, 2014
    • 134 "前漢紀"
    • 135 권오중, "前漢時代의 遼東郡" 17 : 1995
    • 136 内蒙古自治區文化廳(文物局), "内蒙古自治區長城資源調查报告(東南部戰國秦漢長城卷)" 文物出版社 2014
    • 137 項春松, "中國長城遺蹟調査報告集" 文物出版社 1981
    • 138 布尼阿林, "中國長城遺蹟調査報告集" 文物出版社 1981
    • 139 鄭紹宗, "中國長城遺蹟調査報告集" 文物出版社 1981
    • 140 李慶發, "中國考古學年鑒" 文物出版社 1984
    • 141 張碧波, "中國東北疆域硏究" 黑龍江人民出版社 2006
    • 142 朱永剛, "中國東北境內的燕秦漢長城與早期鐵器時代文化" 46 : 2013
    • 143 김주호, "中國東北地域 鐵器의 流入과 發展" 호남고고학회 57 : 128-162, 2017
    • 144 李德山, "中國東北古民族發展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 145 宮本一夫, "中國古代北疆史の考古學的硏究" 中國書店 2000
    • 146 조진선, "中國 東北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古朝鮮의 位置 變動" 동양학연구원 (56) : 103-131, 2014
    • 147 이춘식, "中國 古代史의 展開" 신서원 1986
    • 148 "三國遺事"
    • 149 "三國志"
    • 150 오현수, "『魏略』 기재 朝鮮侯와 ‘取地二千餘里’의 검토" 고려사학회 (61) : 47-76, 2015
    • 151 오현수, "『管子』에 등장하는 ‘穢貉’과 ‘發朝鮮’의 역사적 실체 ― ‘穢貉’․‘發朝鮮’ 조문의 사료 맥락적 분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43) : 119-150, 2012
    • 152 劉子敏, "『山海經』貊國考" 4 : 1995
    • 153 오현수, "『山海經』 ‘朝鮮’ 조문의 성서 시기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7) : 287-306, 2013
    • 154 윤용구, "『史記』·『漢書』 注文의 ‘古朝鮮’ 관련 기사" 한국고대사학회 (85) : 153-191, 2017
    • 155 공석구, "『中國歷史地圖集』의 戰國時期 燕 長城 고찰" 백산학회 (99) : 145-185, 2014
    • 156 김육불, "(김육불의)東北通史(上)" 동북아역사재단 2007
    • 157 김한규, "(吉玄益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438 0.17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