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治病絶招 강설 : 명노중의 내과편 193증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자료제공 : aladin
    • 001 포보주(蒲輔周): 동변(童便)으로 제반 혈증(血證)을 치료하였다 16
    • 002 진원신(陳元新): 혈증(血證) 경험 의안 18
    • 003 유병범(劉炳凡): “유씨삼탄(劉氏三炭)”으로 혈증(血證)을 치료하였다 24
    • 004 강춘화(姜春華): 대황(大黃)으로 각혈(咯血)을 치료하였다 24
    • 005 서중재(徐仲才): 혈증(血證)을 치료할 때 부자(附子)를 꺼리지 않았다 26
    • 006 유학수(柳學洙): 이탄일분(二炭一粉)으로 혈우병을 치료하였다 27
    • 007 관유파(關幼波): 우피교(牛皮膠)로 혈소판 수치를 상승시켰다 28
    • 008 정교(鄭僑): 우절지황탕(藕節地黃湯)으로 혈소판감소성 자반증(기뉵(肌衄), 치뉵(齒衄), 비뉵(鼻衄))을 치료하였다 30
    • 009 요경(耀卿): 양음회양탕(養陰回陽湯)으로 치설(齒舌) 출혈을 치료하였다 33
    • 010 조소금(趙紹琴): 복사(伏邪)이론을 운용하여 백혈병을 치료하였다 35
    • 011 진백미(秦伯未): 백혈병의 발열을 변증시치하였다 41
    • 012 종유신(宗維新): 재생불량성 빈혈을 비신양허(脾腎陽虛) 위주로 치료하였다 45
    • 013 진소생(陳蘇生): “토인교미(土忍翹薇)”로 호르몬제의 부작용을 길항시켰다
    • 014 노지정(路志正): 중하초(中下焦)를 조치(調治)하여 직립성 단백뇨를 치료하였다
    • 015 심봉각(沈鳳閣): 백색감소탕(白塞減消湯)을 만들어 베체트병을 치료하였다
    • 016 곽사괴(郭士魁): 진성 적혈구증가증을 간경(肝經) 위주로 치료하였다
    • 017 진백미(秦伯未): 일산화탄소 중독증을 치료하였다
    • 018 유창휘(喩昌輝): 감담실비법(甘淡實脾法)으로 난치병을 치료하였다
    • 019 장진하(張震夏): 지룡(地龍)을 범용하여 잡병을 치료하였다
    • 020 홍철명(洪哲明): 공연단(控涎丹)을 범용하여 잡병을 치료하였다
    • 021 유지명(劉志明): 기능성 수종(水腫)을 조보기혈법(調補氣血法)으로 치료하였다
    • 022 조석무(趙錫武): 가미금강환(加味金剛丸)으로 중증근무력증을 치료하였다
    • 023 하본서(賀本緖): 오래된 병을 대방(大方)으로 치료하였다
    • 024 동덕무(董德懋): 오래된 병이 낫지 않을 때는 비(脾)를 치료하여 오장(五臟)을 안정시켰다
    • 025 왕준민(王俊民): 마전자(馬錢子)로 위증(痿證)을 치료하였다
    • 026 주양춘(朱良春): 육신환(六神丸)으로 내과 급증(急症)을 치료하였다
    • 027 축심여(祝諶予):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으로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치료하였다
    • 028 유혜민(劉惠民): 탕약과 약주(藥酒)로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치료하였다
    • 029 축심여(祝諶予): 당뇨병을 4가지 유형으로 변증하였다. 고질병을 치료할 때는 반드시 소보(消補)해야 한다
    • 030 관유파(關幼波): 자의방(自擬方)으로 당뇨병을 치료하였다
    • 031 정교(鄭僑): 소갈방(消渴方)을 구성하여 소갈(消渴)을 치료하였다
    • 032 장몽농(張夢儂): 삼갑산(三甲散)으로 유행성 B형 뇌염을 치료하였다
    • 033 조석무(趙錫武): 음한내결(陰寒內結)을 대황부자탕(大黃附子湯)으로 치료하였다
    • 034 장계평(張階平): 주모보익방(珠母補益方)으로 심·간·신 삼경(三經)의 허손증(虛損證)을 치료하였다
    • 035 악미중(岳美中): 대구(大灸)요법으로 허약증(虛弱證)을 치료하였다
    • 036 양수천(楊樹千): 이기제습법(理氣除濕法)으로 단순성 비만을 치료하였다
    • 037 이수산(李壽山): 통락활혈탕(通絡活血湯)을 구성하여 완고한 두통을 치료하였다
    • 038 육장청(陸藏靑): 치편두통방(治偏頭痛方)을 구성하여 혈관신경성 두통을 치료하였다
    • 039 유도주(劉渡舟): 5가지 유형의 편두통을 치료하였다
    • 040 조금탁(趙金鐸): 해울화담법(解鬱化痰法)으로 혈관신경성 두통을 치료하였다
    • 041 왕내영(王乃英): 해독산화탕(解毒散火湯)과 유편진통탕(愈偏鎭痛湯)을 구성하여 아통(牙痛), 편두통을 효과적으로 치료하였다
    • 042 장자림(張子琳): 평간청훈탕(平肝淸暈湯)으로 현훈을 치료하였다
    • 043 진백미(秦伯未): 위체(胃滯)에 주의하여 두통을 치료하였다
    • 044 포보주(蒲輔周): 양화산(兩和散)으로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 045 조석무(趙錫武): 선비통양법(宣痺通陽法)으로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 046 조석무(趙錫武): 선산해독(宣散解毒)과 양음청열법(養陰淸熱法)으로 심근염을 치료하였다
    • 047 조영강(趙永康): 건중행건탕(建中行健湯)으로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 048 유소무(劉紹武): 조심탕(調心湯)으로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 049 등철도(鄧鐵濤): 보허(補虛)를 위주로 협잡증(夾雜證)을 겸고(兼顧)하여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 050 염설봉(冉雪峰): 소함흉탕으로 심교통(心絞痛)을 치료하였다
    • 051 악미중(岳美中): 심양(心陽)을 통(通)하게 하여 심교통(心絞痛)을 치료하였다
    • 052 오성농(吳聖農): 흉비(胸痺)의 원인은 심신휴허(心腎虧虛)에 있고, 심통(心痛)의 치료는 온양익기(溫陽益氣)가 중요하다
    • 053 형자형(邢子亨): 복신산(茯神散)으로 심장병을 치료하였다
    • 054 초수덕(焦樹德): 심비(心痺)의 변증논치
    • 055 장차공(章次公): 육신丸(六神丸)으로 강심(强心)시켰다
    • 056 부종한(傅宗翰): 서맥(徐脈)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3가지 요점
    • 057 조석무(趙錫武): 진무탕에 “치수삼법(治水三法)”을 배용(配用)하여 울혈성 심부전을 치료하였다
    • 058 강양석(康良石): 폐심병(肺心病)을 치료하였다
    • 059 곽사괴(郭士魁): 병태두방결종합징(病態竇房結綜合徵)(동기능부전증후군)을 치료하였다
    • 060 곽사괴(郭士魁): 폐심병(肺心病) 급성 발작 감염기(感染期)를 치료하였다
    • 061 이총보(李聰甫): 비위(脾胃)에 더욱 중점을 두어 흉비(胸痺)를 치료하였다
    • 062 고조농(顧兆農): 쌍해사심탕(雙解瀉心湯)으로 흉비(胸痺)를 치료하였다
    • 063 조척인(曹惕寅): 통법(通法)으로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 064 주양춘(朱良春): 익모강압탕(益母降壓湯)으로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 065 도규선(屠揆先): 육미지황탕으로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 066 시수도명(矢數道明): 방풍통성산으로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 067 정교(鄭僑): 강압탕(降壓湯)으로 간양편항형(肝陽偏亢型)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 068 이중수(李仲守): 고혈압의 증치삼법(證治三法), 양호삼법(養護三法)
    • 069 하도형(夏度衡): 사미작약탕(四味芍藥湯)으로 삼차신경통을 치료하였다
    • 070 노지정(路志正): 백맥안신음(百脈安神飮)으로 신경증을 치료하였다
    • 071 손광시(孫匡時): 죽피대환(竹皮大丸)으로 억증(癔症)(히스테리)을 치료하였다
    • 072 장중원(張仲元): 조간화위법(調肝和胃法)으로 전광(癲狂)을 치료하였다
    • 073 임하천(林夏泉): 제간산(除癎散)으로 전간(癲癎)을 치료하였다
    • 074 임삼영(林森榮): 인삼과 오령지를 동용(同用)하여 위궤양을 치료하였다
    • 075 축심여(祝諶予): 종유석방(鍾乳石方)으로 위궤양을 치료하였다
    • 076 장차공(章次公): 봉황의(鳳凰衣)와 목호접(木蝴蝶)을 배오하여 위궤양을 치료하였다
    • 077 장차공(章次公): 건중탕(健中湯)으로 위궤양을 치료하였다
    • 078 장차공(章次公): 상아설(象牙屑), 시병상(柿餠霜)으로 위궤양 출혈을 치료하였다
    • 079 장차공(章次公): 독창적인 경험방으로 위장(胃腸)을 치료하였다
    • 080 장갱매(張羹梅): 건비탕(健脾湯)으로 허한성(虛寒性) 위장궤양을 치료하였다
    • 081 장갱매(張羹梅): 양위탕(養胃湯)으로 음허성(陰虛性) 위궤양과 위염을 치료하였다
    • 082 장갱매(張羹梅): 위기병(胃氣病)을 논치하였다
    • 083 장갱매(張羹梅): 경중(輕重)에 따라 3단계로 애기(噯氣), 애역(呃逆)을 치료하였다
    • 084 장갱매(張羹梅): 대반하탕(大半夏湯)으로 불완전성 유문폐색을 치료하였다
    • 085 초수덕(焦樹德): 삼합탕(三合湯)으로 위(胃)를 치료하였다
    • 086 보옥여(步玉如): 백합탕(百合湯)으로 위완통을 치료하였다
    • 087 동건화(董建華): 계열방약(系列方藥)으로 위통(胃痛)을 치료하였다
    • 088 진후생(秦厚生): 삼습축음탕(滲濕逐飮湯)으로 위완약동(胃脘躍動)(담계심동(痰悸心動))을 치료하였다
    • 089 주양춘(朱良春): 황기와 아출을 배오하여 만성 위질환을 치료하였다
    • 090 사해주(謝海州): 목향빈랑환으로 다양한 위장병을 치료하였다
    • 091 사해주(謝海洲): 석류산(錫類散)을 내복(內服)하여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하였다
    • 092 포보주(蒲輔周): 위기(胃氣)를 중심으로 외감내상(外感內傷)을 치료하였다
    • 093 유혜민(劉惠民): 마전자분(粉)으로 위하수를 치료하였다
    • 094 유소훈(劉紹勛): 견우자로 제반 실체(實滯)를 치료하였다
    • 095 시수도명(矢數道明): 오적산으로 완고(頑固)한 구토를 치료하였다
    • 096 장학능(張學能): 간(肝)을 위주로 완고한 애역(呃逆)을 논치(論治)하였다
    • 097 육석여(陸石如): 인진백지탕(茵陳白芷湯)으로 만성 대장염을 치료하였다
    • 098 백연송(柏連松): 익기청해법(益氣淸解法)으로 급만성 궤양성 장염을 치료하였다
    • 099 임하천(林夏泉): 이사탕(理瀉湯)으로 과민성 만성 대장염을 치료하였다
    • 100 염선덕(冉先德): 도화탕(桃花湯)으로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하였다
    • 101 하임(何任): 완복견통탕(脘腹蠲痛湯)으로 다양한 복통(腹痛)을 치료하였다
    • 102 위장춘(魏長春): 오매안위환(烏梅安胃丸)과 백밀(白蜜)로 흉복극통(胸腹劇痛)을 치료하였다
    • 103 이극소(李克紹): 위통(胃痛)의 변증시치(辨證施治) 정요(精要)
    • 104 왕정공(王正公): 청간탕(淸肝湯)으로 만성 지속성 간염을 치료하였다
    • 105 진계명(陳繼明): 만성 간염에 소간법(疏肝法)이 효과가 없을 경우에는 비위(脾胃)의 승강(升降) 기능을 조절해야 한다
    • 106 진백미(秦伯未): 만성 간염을 변증시치(辨證施治)하는 양대(兩大) 원칙
    • 107 장요경(張耀卿): 간염 후 종합증에 대한 변증시치
    • 108 여영오(余瀛鰲): 자수청간음(滋水淸肝飮)으로 간염협통(肝炎脇痛)을 치료하였다
    • 109 왕승백(汪承柏): 양혈활혈법(凉血活血法)으로 중증 간염을 치료하였다
    • 110 춘화(春華): 활혈보비법(活血補脾法)으로 간경화를 치료하였다
    • 111 안덕형(顔德馨): 서각분(犀角粉)으로 장기간 전이효소의 수치가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하였다
    • 112 관유파(關幼波): 황달의 변증논치에 있어서 다섯 가지 핵심
    • 113 유학수(柳學洙): 인패울람탕(茵佩鬱藍湯)으로 황달을 치료하였다
    • 114 섭귤천(葉橘泉): 신선한 포공영으로 흑달(黑疸)을 치료하였다
    • 115 시팽년(柴彭年): 양비호근탕(養脾護根湯)으로 오래된 설사를 치료하였다
    • 116 진요당(陳耀堂): 유향과 몰약으로 완고한 복사(腹瀉)를 치료하였다
    • 117 서경번(徐景藩): 오래된 설사를 치료할 때는 제형(劑型)을 중시해야 한다
    • 118 임계학(任繼學): 간폐(肝肺)를 중심으로 오랫동안 설사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하였다
    • 119 이수산(李壽山): 오래된 설사를 치료할 때는 운법(運法)이 중요하다
    • 120 진계명(陳繼明): 온윤승양법(溫潤升陽法)으로 오래된 설사를 치료하였다
    • 121 정광적(丁光迪): 승양법(升陽法)으로 새벽 설사를 치료하였다
    • 122 고비영(顧丕榮): 환장환(換腸丸)으로 대장염(간설(肝泄))을 치료하였다
    • 123 강심경(江心鏡): 육계로 하리(下痢)를 치료하였다
    • 124 엄창산(嚴蒼山): 이질산(痢疾散)으로 세균성 이질을 치료하였다
    • 125 위용양(魏龍驤): 백출로 변비를 치료하였다
    • 126 동건화(董建華): 육종용, 당귀로 노인성 변비를 치료하였다
    • 127 웅요생(熊寥笙): 단미(單味) 노회(蘆薈)로 변비를 통하게 하였다
    • 128 왕소화(王少華): 변비에 거듭 통하(通下)시켜도 효과가 없으면 색법(塞法)을 쓸 수 있다
    • 129 포보주(蒲輔周): 결명자로 허비(虛秘)를 치료하였다
    • 130 장택생(張澤生): 온병(溫病)의 치료는 보진법(保津法)을 위주로 하여야 한다
    • 131 장차공(章次公): 감로소독단(甘露消毒丹)으로 습온(濕溫)을 치료하였다
    • 132 허공암(許公岩): 습증(濕證)을 치료할 때 항상 마황, 창출을 썼다
    • 133 시일인(時逸人): 열병(熱病)의 발진(發疹)을 치료하였다
    • 134 노지정(路志正): 내습(內濕)으로 변증하여 기면증(嗜眠症)을 치료하였다
    • 135 장몽농(張夢儂): 먼저 탕약(湯藥)을 쓴 후 고제(膏劑)로 폐결핵을 치료하였다
    • 136 장차공(章次公): 생(生)석고를 별도로 탄복(呑服)하여 대엽성 폐렴을 치료하였다
    • 137 장자림(張子琳): 이중이진탕(理中二陳湯)으로 폐위(肺痿)를 치료하였다
    • 138 언경부(言庚孚): 해혈(咳血)의 5가지 핵심 치료 원칙
    • 139 악미중(岳美中): 지해탕(止咳湯)으로 기관지염을 치료하였다
    • 140 주양춘(朱良春): 해천합제(咳喘合劑)로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발작을 치료하였다
    • 141 이제인(李濟仁): 복약 시간을 선택하여 만성 기관지염을 치료하였다
    • 142 장차공(章次公): 기관지염을 치료하는 양대치법(兩大治法)
    • 143 부재희(傅再希): 개규배담(開竅排痰)을 위주로 효증(哮證)을 치료하였다
    • 144 최옥형(崔玉衡): 평효탕(平哮湯)으로 효천(哮喘)을 치료하였다
    • 145 예평불(倪平佛): 택칠(澤漆)을 위주로 喘咳(喘咳)를 치료하였다
    • 146 황문동(黃文東): 폐비(肺脾)를 동치(同治)하여 해천(咳喘)을 없앴다
    • 147 동건화(董建華): 숙폐강기법(肅肺降氣法)으로 천증(喘證)을 치료하였다
    • 148 잠학령(岑鶴齡): 보양법(補陽法)으로 노인성 기관지 효천(哮喘)을 치료하였다
    • 149 강춘화(姜春華): 효천(哮喘)의 한출(汗出)에 마황을 기피하지 않았다
    • 150 동수육(董漱六): 삼합마행고(參蛤麻杏膏)로 기관지 효천을 치료하였다
    • 151 안덕형(顔德馨): 생(生)반하, 수질분(粉)으로 효천(哮喘)을 치료하였다
    • 152 조석무(趙錫武): 한담음사(寒痰飮邪)에 기초력황탕(己椒藶黃湯)을 썼다
    • 153 악미중(岳美中): 옥미수(玉米鬚)로 만성 신염을 치료하였다
    • 154 문순덕(門純德): 온양이수(溫陽利水)하는 세 처방으로 만성 신염을 치료하였다
    • 155 유학수(柳學洙): 익모초, 백모근으로 급성 신염을 치료하였다
    • 156 서숭년(徐嵩年): 온신해독탕(溫腎解毒湯)으로 요독증(尿毒症)을 치료하였다
    • 157 호건화(胡建華): 진정안신(鎭靜安神)에 생지백합지모탕(生地百合知母湯)을 범용하였다
    • 158 호건화(胡建華): 신해(新咳)와 노수(老嗽)를 지수신탕(止嗽神湯)으로 치료하였다
    • 159 호건화(胡建華): 온양활혈법(溫陽活血法)으로 병독성(病毒性) 심근염을 치료하였다
    • 160 송효지(宋孝志): 위비(胃痞)의 치료 경험
    • 161 송효지(宋孝志): 계명산(鷄鳴散)으로 완고한 심부전을 치료하였다
    • 162 동건화(董建華): 온병(溫病) 초기에 투(透), 청(淸), 하법(下法)으로 치료하였다
    • 163 동건화(董建華): 선창(宣暢)을 우선으로 가볍게 제승(制勝)하여 습열병(濕熱病)을 치료하였다.
    • 164 왕정공(王正公): 마황, 지룡, 감초로 효천(哮喘)을 다스렸다
    • 165 반징렴(潘澄濂): 익신지혈법(益腎止血法)으로 기관지확장증을 치료하였다.
    • 166 이사치(李斯熾): 위하수(胃下垂)를 치료할 때 보중익기(補中益氣)만 고집해서는 안 된다
    • 167 장해봉(張海峰):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5가지 치료법
    • 168 장경인(張鏡人): 만성 위축성 위염의 변증시치(辨證施治)
    • 169 추운상(鄒雲翔): 간염을 치료할 때 청리제(淸利劑)를 신용(愼用)하였다
    • 170 팽배초(彭培初): 중풍(中風) 중증(重證)을 변치(辨治)하였다
    • 171 채감(蔡淦): 비허(脾虛)로 청양(淸陽)이 불승(不升)한 것이 만성 설사의 근본 원인이다
    • 172 섭경화(葉景華): 영신합제(寧神合劑)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 173 채감(蔡淦): 간비실조(肝脾失調)로 과민성 장증후군을 변치(辨治)하였다
    • 174 황진교(黃振翹): 삼재봉수단(三才封髓丹)으로 골수이형성증후군을 치료하였다
    • 175 임계유(任繼愈): 비제대황법(秘制大黃法)으로 만성 신부전을 치료하였다
    • 176 두순복(杜順福): 4가지 원칙으로 편두통을 변치(辨治)하였다
    • 177 진소생(陳蘇生): 침과 약을 병용(幷用)하여 배담(排痰)하는 방법으로 효천을 치료하였다
    • 178 서지영(徐志瑛): 해천(咳喘)의 치료에 의이인을 우선시하였다
    • 179 황길갱(黃吉賡): 치담(治痰)에는 하기(下氣)가 우선이며, 표본(標本)을 알아야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다
    • 180 요배발(姚培發): 노년성 고혈압은 소간(疏肝), 양간(凉肝), 이혈(理血)해야 한다
    • 181 소수영(蘇樹榮): 익기화어법(益氣化瘀法)으로 심방세동을 치료하였다
    • 182 호건화(胡建華): 택사(澤瀉)를 중용(重用)하여 화담거음(化痰祛飮)하는 방법으로 현훈을 다스렸다
    • 183 정문설(程門雪): 양화탕(陽和湯)으로 천증(喘證)을 치료하였다
    • 184 정문설(程門雪): 계지탕, 귀비탕 등으로 위병(胃病)을 치료하였다
    • 185 정문설(程門雪): 신(辛), 산(酸), 중진약(重鎭藥)으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 186 유수농(劉樹農): 통법(通法)으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 187 강춘화(姜春華): 반하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 188 악미중(岳美中): 온담탕(溫膽湯)으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 189 조금탁(趙金鐸): 불면증의 편방(便方) 3칙(則)
    • 190 소용우(蕭龍友): 육일산(六一散)으로 서병(暑病)을 치료하였다
    • 191 소용우(蕭龍友): 소엽총백죽(蘇葉葱白粥)을 애용하여 풍한외감(風寒外感)을 치료하였다
    • 192 왕봉춘(汪逢春): 대두황권(大豆黃卷)을 애용하여 습온(濕溫)을 치료하였다
    • 193 시금묵(施今墨): 이중탕을 애용하여 비위병을 치료하였다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구매링크
    정가 판매가
    (할인율)
    포인트
    (포인트몰)

    治病絶招 강설 - 명노중의 내과편 193증례

    판매중 50,000 원 50,000원 (0%) 종이책 구매 0 포인트

    治病絶招(치병절초) 강설

    판매중 50,000 원 50,000원 (0%) 종이책 구매 0 포인트 (0%)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治病絶招(치병절초) 강설 (명노중의 내과편 193증례)

    현대한의학 임상강좌 2권. 20세기에 활동한 100여 명의 명노중의들이 치료한 경험과 절초를 모아 간결하게 묶은 책이다. 국의대사를 비롯하여 근현대 명노중의들의 실전지식들에 대한 체계적인 소개를 통해 현대한의학의 재정립 및 발전에 앞장서고자 기획되었다.

    more

    저자소개

    자료제공 :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