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ies development(SRSD) instruction for reflective writing on the writing ability,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y who exhibit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학교교육의 기본 목표는 학생의 학업과 행동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즉, 학생이 학교생활을 성공적으로 하는 데 있어서 학업과 행동은 가장 핵심적인 두 축을 이룬다. 최근 통합교육의 양적 확산과 질적 제고가 강조되면서 일반학급 상황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학생의 학업적, 행동적 어려움들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은 자기 자신의 수업참여뿐만 아니라 학급 전체의 수업을 방해하고 교사를 소진시킨다. 이러한 문제행동이 지속될수록 학업적 수행은 더욱 저조해지고, 그에 따라 학업적 저성취의 문제도 심각해진다.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 대부분이 심각한 학업 문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학업적 요구보다는 행동적 요구를 더 우선시함에 따라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 대상의 연구들은 행동 지원에 편중되어 왔고, 이들을 위한 학업 지원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자기조절 전략개발(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모델은 여러 장애 유형의 학생을 대상으로 쓰기와 관련하여 높은 중재 효과를 입증하여 왔으며, 최근 증거 기반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s; EBP)로서의 가치도 인정받고 있다. 특히 SRSD 모델은 쓰기에 대한 전략 개발과 함께 자기조절 절차에 대한 교수가 명시적으로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정서․행동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에게 더욱 적합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들에게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실행하여 이것이 대상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인천 시내 17개 공립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22명으로, K-CBCL 점수, KISE_BATT 점수, 장애유형, 학년, 성별 등을 기준으로 짝짓기 기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1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SRSD 모델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게는 SRSD 적용에 대한 안내나 정보 제공을 하지 않았다. 실험은 약 6개월 간 중재 준비, 사전 검사, 중재,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SRSD 쓰기 중재를 위한 준비 단계에서는 교사 연수와 관련 양식 협의가 이루어졌고, 실행 단계에서는 배경지식 개발하기, 토의하기, 시범 보이기, 기억하기, 협력적 쓰기, 독립적 쓰기의 6단계 SRSD 교수적 절차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였다.
    SRSD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이 쓴 글을 사전과 사후에 각각 3편씩 수합하였다. 수합된 글들은 글에 포함된 내용요소의 수와 어절 수를 세고 글의 질을 채점하여 각각의 평균을 산출하였다. 평균 점수의 사전․사후 차이에 대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각 1회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에 대하여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의 변화에 대해서는 캠코더로 녹화된 수업 장면을 직접관찰한 결과와 교사가 작성한 행동평가일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직접관찰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발생률과 행동평가일지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평정 점수는 사전․사후 각 2회의 결과에 대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실험집단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이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글쓰기 능력은 글에 포함된 내용요소의 수, 어절 수, 글의 질 점수의 사전․사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세 가지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의 글쓰기 능력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은 자기효능감의 변화 정도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다.
    셋째,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의 수업참여행동이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접관찰의 결과와 행동평가일지의 결과 모두 중재 후의 수업참여행동이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위영역에 있어서는 직접관찰의 결과는 지시 따르기, 주의집중 하기, 과제수행 하기 영역 모두 향상되었으나, 행동평가일지의 결과에서는 지시 따르기와 과제수행 하기 영역은 향상되었으나 주의집중 하기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외국 선행연구에서의 SRSD 모델을 국내 초등 특수학급 학생에게 적합한 형태로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말의 음운 특성과 특수학급 학생의 인지적 특성에 맞추어 SRSD 모델의 교수 전략과 자료를 변형하여 적용하였고, 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적 어려움과 행동적 문제를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중재 방안으로서 SRSD 모델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The fundamental goal of education in school is to develop students' learning and behavior. These two are the most essential core components for students to lead a successful school life. As the quantitative spreading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clusive education have been emphasized, students’ academic and behavioral difficulties to be taken care of in general classroom situation are getting highly diversified. In particular, students with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not only have difficulties in their classroom engagement but also disrupt the whole classroom atmosphere, and exhaust their teachers. As problematic behavior continues, the students show poorer academic performance and subsequent low academic achievement issue is getting serious.
    Although students who exhibit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have low academic achievement issue at the same time, behavioral approach has been prioritized over academic approach and accordingly,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while very limited research has been done on academic interventions.
    In connection with this,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model has been proved as a highly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in terms of writing for students with a variety of disorders and recently, its usefulness as evidence based practice (EBP) was acknowledged. The SRSD model has been proved particularly 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or at risk for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EBD), as it explicitly combines self-regulation procedure and writing strategy developm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influences that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may have on the writing ability,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students having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pecial classrooms.
    The participants were 2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ttended 17 special classroom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11 people in each group, through a pairing process based on their K-CBCL scores, KISE_BATT scores, type of disabilities, grade, and gender. The SRSD model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information or guidance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about 6 months in the order of intervention preparation,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In the preparation phase, teacher training and relevant format discussion were conducted, and in the intervention phase, instruction was given according to the 6-step SRSD instructional process; background knowledge developing, discuss it, model it, memorize it, support it, and independent performance.
    In order to investigate influences that SRSD-based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may have on the writing ability of the participants, 3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collected writing samples were evalu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and the number of words and by scoring the quality of writing to calculate their average scores.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see if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changes of writing ability. Self-efficacy tests were giv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an independent t-test for two independent samples was performed regarding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 and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control group. For changes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data obtained from directly observing a classroom scene through the video clips and from daily behavior report cards completed by teachers were analyzed. Direct observations and teacher ratings 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were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their average scores were calculated. T-test for a dependent sample was carried out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riting ability, evaluated by comparing average sco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contained in their writing, the number of words, and the quality of the writing, in experimental group where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RSD model was giv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in all of three categories. It is verified that the writ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 of self-efficacy between experimental group where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RSD model was given and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enhanc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room engagement behavior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 Both direct observations and teacher ratings verified that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after intervention was improved in a significant level. For sub-testing category evaluation, direct observation results showed that following instruction, paying attention, and performing tasks were all improved, but teacher rating results only showed the improvement of two sub-testing areas, i.e., following instruction and performing tasks, and paying attention area didn’t exhibit any significant improvement.
    SRSD writing instruction in this research was design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modified according to Korean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RSD model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writing ability, self 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students with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pecial classrooms.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s proposing the usefulness of SRSD model as an intervention procedure capable of addressing the academic difficulties as well as behavioral problems of students in elementary special classrooms.

    더보기
    • I.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6
    • C. 용어정의 7
    • II. 이론적 배경 10
    • A. 문제행동과 자기조절 10
    • 1. 문제행동의 유형 10
    • 2. 문제행동과 자기조절 능력의 관계 13
    • B. 자기조절 전략개발(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모델 15
    • 1. SRSD 모델의 개관 15
    • 2. SRSD 관련 선행연구 고찰 36
    • C.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위한 학업적 지원 42
    • 1. 학업 중재의 필요성 42
    • 2.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쓰기 44
    • III. 연구방법 54
    • A. 연구 참여자 54
    • 1. 초등 특수학급 학생 54
    • 2. 특수교사 57
    • 3. 보조연구자 61
    • B. 실험장소 62
    • C. 실험기간 63
    • D. 독립변인: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 63
    • 1.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의 준비 64
    • 2.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의 실행 68
    • E. 종속변인 측정 82
    • 1. 글쓰기 능력 82
    • 2. 글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 86
    • 3. 수업참여행동 86
    • F. 실험설계 및 절차 90
    • 1. 실험설계 90
    • 2. 실험절차 91
    • G. 사회적 타당도 96
    • H. 중재충실도 98
    • I. 채점자 및 관찰자 간 신뢰도 101
    • J. 자료 처리 방법 103
    • IV. 연구 결과 105
    • A.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글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 105
    • 1. 글에 포함된 내용요소의 수 105
    • 2. 글의 길이 106
    • 3. 글의 질 107
    • B.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 108
    • 1. 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 검사 108
    • C.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수업참여행동에 미친 영향 109
    • 1. 직접관찰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109
    • 2. 행동평가일지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110
    • V. 논의 및 제언 116
    • A. 논의 117
    • 1.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글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 117
    • 2.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 125
    • 3.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수업참여행동에 미친 영향 128
    • B. 연구의 제한점 136
    • C. 제언 137
    • 참 고 문 헌 139
    • 부 록 162
    • Abstract 192
    더보기
    • 1 Dewey, John, "How we think", [s.n., 1910
    • 2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 3 Bowe, "Making inclusion work", 2005
    • 4 Korthagen, "Two models of reflection", 1993
    • 5 Fulwiler, "The journal book, Portsmouth", "The journal book, 1987
    • 6 Leong, Brodrova, "Vygotsky's Developmental theory", 1996
    • 7 Schon,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1983
    • 8 Reid, Harris, Graham, "Developing self-regulated learners", 1992
    • 9 Rosenshine, B., "Direct instruction for skill mastery", 1979
    • 10 Todnem, Killion,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building",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 building, 1991
    • 11 Madden, Karweit, Slavin, "Effective program for students at risk", 1989
    • 12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1991
    • 13 박은혜, "반성적 사고와 유아 교사교육",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1996
    • 14 Duston, "A critique of graphic organizer research", 1992
    • 15 이성영, 이필영, 이은희, "쓰기 능력의 지표화 방안 연구", 2001
    • 16 Han, Surbeck, Moyer, "Assessing reflective response in journals", 1991
    • 17 Gargiulo, "Special educ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2006
    • 18 Webber, Colema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4th ed.)", 2002
    • 19 Graham, Harris, "Helping young writers master the craft, 119", "Helping young writers master the craft, 1992
    • 20 U.S.Department of Education, "No child left behind: A toolkit for teachers", 2004
    • 21 Schunk, Zimmerman, "Social origins of self-regulatory competence", Social origins of self-regulatory competence, 1997
    • 22 McCutchen, "Functional automaticity" in children's writing", "Functional automaticity"" in children's writing", 1988
    • 23 Ross, "First Steps in Developing a Reflective Approach", First steps in developing a reflective approach, 1989
    • 24 Adams, Engelmann, "ResearchonDirectInstruction:25YearsBeyondDISTAR", Research on direct instruction: 25 years beyond DISTAR, 1996
    • 25 윤희재, "작문 평가의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작문평가의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1997
    • 26 Reiman, Alan, "Mentoring and supervision for teacher development", Longman, 1998
    • 27 Sugai, Horner, "School-wide behavior support:Anemerginginitiative", School-wide behavior support: An emerging initiative, 2000
    • 28 Tinio, "Academic engagement scale for grade school students", 2009
    • 29 Van Manen,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1977
    • 30 Cutler, Graham, "Primary grade writing instruction: A national survey", 2008
    • 31 Graham, "Writing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In S. Lee (Ed.)", 2005
    • 32 Doughty, Catherine,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 33 곽현주, "수업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론집, 2004
    • 34 Bronson, Martha,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 nature and nurture", Guilford Press,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2000
    • 35 Novak, Ausubel, Hanesian,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1978
    • 36 구연정, 손지영, 김동일, 홍성두, 이기정, "학령 초기 글쓰기 능력과 유창성과의 관계", 한국학습장애학회, "학습장애연구, 2008
    • 37 Meichenbaum, Donald, "Cognitive-behavior modification : an integrative approach", Plenum Press,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An integrative approach, 1977
    • 38 Filter, Horner, "Function-based academic interventions for problem behavior", 2009
    • 39 Risemberg, Zimmerman, "Becoming a proficient writer: A self-regulatory perspective", 1997
    • 40 Brown, And Others, "Learning to learn: On training students to learn from texts", unknown, 1981
    • 41 Han, Surbeck, "Becoming a child-sensitive teacher :Can Journal writing help", 1993
    • 42 박은혜, "유아교사교육에서 저널쓰기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사교육, 1999
    • 43 Swartz, de Kruif, Smith, Wakely, "Optimizing rating scales for self-efficacy (and other) research", 2003
    • 44 Webby, Lane, "Addressing antisocial behavior in the schools: A call for action", 2002
    • 45 Kopp,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 view", 1982
    • 46 Lynch, Goodman,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children of depressed mothers", 1993
    • 47 Henry, Van Acker, Grant, "Teacher and student behavior as a function of risk for aggression", 1996
    • 48 Scott, Liaupsin, Nelson, "Effective instruction: The forgotten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2001
    • 49 Vygotskii, L. S,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1978
    • 50 Bandura, Albert,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1986
    • 51 Luria, A. R., "The role of speech in the regulation of normal and abnormal behavior", 1961
    • 52 Walker, Buckley, "Teacher attention to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 1974
    • 53 Dowdy, Polloway, Smith, Patton, "Teach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settings (4th ed.)", 2006
    • 54 박세원, "STS 저널 쓰기를 통한 초등학생의 도덕적 성장 이야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06
    • 55 Crow, Young, "Using dialogue journals to help students with deal with their problems", 1992
    • 56 Reid, Jacobson, "Improving the persuasive essay writing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ADHD", 2010
    • 57 Hallahan, Mostert, Kauffman, "Managing classroom behavior: A reflective case-based approach. (3rd ed.)", 2002
    • 58 최종근, "증거기반 특수교육 실제에서 평가 조정의 의의와 원칙", 2010
    • 59 Falk, Wehby, Lane, "Academic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003
    • 60 Magno, "Self-regulation and approaches to learning in English composition writing", 2009
    • 61 Cutler, Quay, Morse, "Personality patterns of pupils in classrooms for the emotionally disturbed", 1966
    • 62 Witt, Elliott, Martens, Darveaux, "Teacherjudgments concerning the acceptability of school basedinterventions", 1985
    • 63 Bowman, Galvez-Martin, Morrison, "An exploratorystudy the level of reflection attained by preservice teachers", An exploratory study the level of reflection attained by preservice teachers, 1998
    • 64 Carta, Bulgren, "Examining the instructional context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1992
    • 65 권정숙, 최석란, "반성적 사고 경험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 반성적 사고경험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 2003
    • 66 권정숙,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반성적 사고수준과 교수능력", 서울여자대학교,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반성적 사고 수준과 교수능력, 2002
    • 67 민천식, 김계남, "자기조절학습전략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통합교육연구, 2008
    • 68 양현정, 윤찬영,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2007
    • 69 Graham, Harris, "Writing better: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with learning difficulties", 2005
    • 70 임천택, 김은경, "초등교육 실습생의국어과 수업 저널 쓰기 적용 사례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2009
    • 71 Rankin, Walker, "Assessing the behavioral expectations and demands of less restrictivesettings", 1983
    • 72 김지영, "저널 쓰기 활동이 유아의 쓰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73 Montague, "Solve it! A practical approach to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kills", 2003
    • 74 정대영, "정서행동장애이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 자기조절 모형", 2007
    • 75 Deshler, Schumaker, "Learning strategies: An instructional alternative for low-achieving adolescents", 1986
    • 76 배성아, 이현주, "수준별 교육의 수요자 관점에서 본 능력별 이동수업의 탐색", 2006
    • 77 Harris, Karen R, "Making the writing process work : strategies for composition and self-regulation", Brookline Books, Making the writing process work: Strategies for composition and self-regulation, 1996
    • 78 강승희, 원미경,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력 향상에 대한 저널쓰기의효과",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력 향상에 대한 저널쓰기의 효과, 2007
    • 79 Lewis, Sugai, "Effective behavior support: A systems approach to proactive schoolwide management", 1999
    • 80 Lane, O’'Shaughnessy, Gresham,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or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002
    • 81 이승순, "수업일기 쓰기 활동이 국어 학습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2010
    • 82 Wilson, Trainin, "First-grade students'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r reading, writing, and spelling", "First-grade students'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r reading, 2007
    • 83 Darch, Eaves, "Visual displays to increase comprehension of high school learning-disabled students", 1986
    • 84 이선화, "자기조절전략훈련이 쓰기지체아동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3
    • 85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2003
    • 86 Pintrich,P.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1990
    • 87 이진향, "수업반성이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과 반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 2002
    • 88 Kauffman, J. M.,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 (8th ed.)", 2005
    • 89 Achenbath, Edelbrock, "The classification of childpsychopathology: A review and analysis ofempirical efforts", The classification of child psychopathology: A review and analysis of empirical efforts, 1978
    • 90 Graham, Harris, Mason, "Every child has a story to tell: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for story writing", 2002
    • 91 Graham, "Handwriting and spell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review", 1999
    • 92 Brown, Hastings, "Coping strategies and the impact of challenging behaviors on special educators' burnout", 2002
    • 93 Yell, Mitchell L, "Evidence-based practices for educati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Merrill, 2009
    • 94 Kenny, "The generative effects of instructional organizers with computer-based interactive video", 1992
    • 95 Pajares, "Self-efficacy beliefs,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writ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Self-efficacy beliefs, 2003
    • 96 Watson, Wong, "The comparative efficacy of two approaches to teaching sixth graders opinion essay writing", 2008
    • 97 방선주, "과정중심 쓰기 교수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 98 Wolery, Horner, "The use of single-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The use of single-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2005
    • 99 성은영 ( Eun Young Sung ), "저널쓰기를 통한 반성적사고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 발문의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2004
    • 100 Scheurmann,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recommendations for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1998
    • 101 강영심 ( Young Sim Kang ),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09
    • 102 Davis, Vannest, Burke, Parker, "Reliability of frequent retrospective behavior rating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EBD", 2009
    • 103 Reid, Epstein, Nelson, Mooney, "Status of and trends in academic intervention research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turbance", 2003
    • 104 Perin, Graham, "Writing next: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writing of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2007
    • 105 윤송이, "자기조정전략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8
    • 106 Smart, Toumbourou, Letcher, Sanson, "Psychosocial precursors and correlates of differing internalizing trajectories from 3 to 15 years", 2009
    • 107 Dodge, the Conduct Problems Prevention Research Group, Wehby, Valente, "School behavior of first grade children identified as at-risk for development of conduct problems", 1993
    • 108 Kedem, Mason, "TWA + PLANS Strategies for expository reading and writing: Effects for nine fourth-grade students", 2006
    • 109 박수옥(Soo-Ok Park), 전병운(Byung-Un Jeon),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유아특수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유아특수교육연구, 2004
    • 110 윤희재, "작문 평가의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제6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997
    • 111 Swartz, "The Index of Self-Efficiency for Writing. Clinical Center for the Study of Development and Learning", 1994
    • 112 김수연(Kim Sooyoun), 이대식(Lee Daesik), "초등학교 일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학급 내 문제행동 실태와 그 대처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 2008
    • 113 박귀주, 한경근, "반성적 대화저널쓰기가 발달장애 학생의 글쓰기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2008
    • 114 Park, Swain-Bradway, Scott, Landers,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the classroom: Facilitating behaviorally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s", 2007
    • 115 Clack, Yinger, "Reflective journal writing: Theory and practice. East Lansing, MI: Institute for Research on Teaching", "Reflective journal writing: Theory and practice. East Lansing, 1981
    • 116 이슬기, 손승현, "SRSD(자기조절전략)를 활용한 쓰기교수가 ADHD 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2009
    • 117 Miech, Goldsmith, Essex,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adjustment to school: The role of self-regulation during early childhood", 2001
    • 118 Baker, Ketterlin-Geller, Apichatabutra, Doabler, Chard, "Teaching writing to at-risk students: The Quality of evidence for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2009
    • 119 한수란,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 수준 및 교수행동변화연구",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 수준 및 교수행동 변화 연구, 2006
    • 120 Lynne, "Young students at risk for antisocial behavior: The utility of academic and social skills intervention", 1999
    • 121 장미순, 김은경, 전상신,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에게 일반초등교사가 적용하는 문제행동 중재 유형 비교", 2010
    • 122 김길순, "과정 중심의 쓰기 지도가 학습장애아의 쓰기표현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000
    • 123 한안나, "웹 기반 학습에서 전자 텍스트 설계를 위한 시각적 조직자의 사용 편의성 효과", 2006
    • 124 Rogers, Leslie Ann, "Effect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tory-writing instruction: Adult school volunteers in action", Vanderbilt University, 2010
    • 125 Asara, Saddler, "Increasing story quality through planning and revising: Effects on young writ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007
    • 126 Fabes, Leonard, Martin, Kupanoff, "Parental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responding", 2001
    • 127 하은영(Ha Eun Young), 장혜원(Chang Hye Won), "수학저널 쓰기를 활용한 수학학습 부진학생의 기하학적 사고 수준 변화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학교수학, 2009
    • 128 김수경, "초등영어 언어 형식 학습에서 명시적 교수법과 암시적 교수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2010
    • 12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ducation, "Twenty-fifth annual report to congres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2003
    • 130 이영철, 홍란주, "마임드맵을 통한 일기 쓰기지도가 정신지체 학생의 국어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9
    • 131 Wehby, Symons, Shores, "A descriptive analysis of aggressive behavior in classroom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1995
    • 132 고문숙, "반성적 사고조장교수방법이 유치원예비교사의 자기평가와 반성적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1994
    • 133 White, Gureasko-Moore, DuPaul,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on the organizational skills of adolescent with ADHD", 2006
    • 134 이세나 ( Sae Na Lee ), 이영석 ( Yeung Suk Lee ),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반성적 사고수준과 반성적 사고과정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반성적 사고수준과 반성적 사고과정에 미치는 영향, 2005
    • 135 Fleisch, Steinberg, Knitzer, "At the schoolhouse door: An examination of programs and policies for children with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1990
    • 136 Bakaman, Logan, Keefe, "Effects of instructional variables on engaged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1997
    • 137 송지은, 송지은, "문제중심 학습에서 비판적 성찰일지작성이 반성적 사고수준과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 138 손승현, 김선아, "읽기 활동을 통합한 자기조절 쓰기전략 교수가 쓰기 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학습장애연구, 2010
    • 139 홍석준 ( Seok Jun Hong ), 손연아 ( Yeon A Son ), "중학생의 기초 탐구 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 140 김번영(Beonyoung Kim), 박승희(Seunghee Park),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特殊敎育學會, "특수교육학연구, 2007
    • 141 Graham, "Strategy instruction and the teaching of writing: A meta-analysis. In C. MacArthur, S. Graham, & J. Fitzgerald (Eds.)", "Strategy instruction and the teaching of writing: A meta-analysis. In C. MacArthur, 2006
    • 142 Reid, Lienemann,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for written expression with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06
    • 143 Wehby, Sutherland, "The effects of self-evaluation on teaching behaviors i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001
    • 144 Graham, Harris, "Components analysis of cognitivestrategy instruction: Effects on learning disabled students' compositionand self-efficacy", Components analysis of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Effects on learning disabled students composition and self-efficacy, 1989
    • 145 Falk, Barton-Arwood, Wehby, "Reading instruction for elementary-age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cademic and behavioral outcomes", 2005
    • 146 Baird, Gomez, Jung, "Regulatory disorder identification, diagnosis, and intervention planning: Untapped resources for facilitating development", "Regulatory disorder identification, 2004
    • 147 Graham, Harris,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A part of the writing process. In M. Pressley, K. R., Harris, & J. T. Guthrie (Eds.)",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A part of the writing process. In M. Pressley, 1992
    • 148 최지훈 ( Ji Hoon Choi ), 이인경 ( In Kyung Lee ), "반성적 사고 교육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교수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 149 Moran, Harris, Saddler, Graham, "Preventing writing difficulties: The effects of planning strategy instruction on writing performance of struggling writers", 2004
    • 150 Graham, Zito,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Relationship to the social-cognitive perspective and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2007
    • 151 Hess, Bennett, Power, "The acceptability of interventions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1995
    • 152 성은영 ( Eun Young Sung ), "반성적 사고 중심의 발문개선 교사교육 과정에 나타난 교사의 발문 변화와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6
    • 153 송하나, 박지현, "자기조절능력 증진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및 정서조절 능력과 외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2011
    • 154 Burke, Chalk,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on the writing proces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005
    • 155 Perin, Rogevich, "Effects on science summarization of a reading comprehension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behavior and attention disorders", 2008
    • 156 Turco, Elliott, "Students’' acceptability ratings of interventions for classroom misbehaviors: A study of well-behaving and misbehaving youth", 1986
    • 157 Venn, Gunter, Denny, "Modific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Procedures for Curricular Success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000
    • 158 Garcia, Garcia,M,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thinking and level ofteacher development as Measured in teachers' stimulated recallinter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thinking and level of teacher development as Measured in teachers'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1996
    • 159 Tindal, Crawford, "Teaching writing to students with behavior disorders: Metaphor and medium. In K. L. Lane, F. M. Gresham, & T. E. O'Shaughnessy (Eds.)", "Teaching writing to students with behavior disorders: Metaphor and medium. In K. L. Lane, 2002
    • 160 안부금, "유아과학 교수 실제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 과정에관한 연구; 반성적 저널쓰기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유아과학 교수 실제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반성적 저널쓰기를 중심으로, 2002
    • 161 Mason, Shriner,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instruction for writing an opinion essay: Effects for six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 disorders", 2008
    • 162 Hinshaw,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academic underachievement in childhood andadolescence: Causal relationships and underlying mechanisms", 1992
    • 163 이대식,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문제 해결을 위한 직접교수법의 이론과 활용방안: 직접교수법의 의미와 주요 특징", 2004
    • 164 Little, Mary Annette, "Self-regulated strategies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writing skills of students with internalizing behavior patterns and writing concerns", Vanderbilt University, 2007
    • 165 Krol, "Febru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tudents' dialogue journals; What characterizes students' reflective writing and a teacher's comments", 1996
    • 166 Canale, Symons, Wehby, "Teaching practices in classroom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iscrepancies between recommendations and observations", 1998
    • 167 Zumbrunn, "Nurturing young students' writing knowledge, self-regulation, attitudes, and self-efficacy: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Nurturing young students' writing knowledge, 2010
    • 168 Graham, Harris,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process of writing: A meta-analysis of SRSD studies. In H. L. Swanson, K. R. Harris, & S. Graham (Eds.)",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process of writing: A meta-analysis of SRSD studies. In H. L. Swanson, 2003
    • 169 Eissa,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based on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on the writing skills of writing-disabled secondary school students", 2009
    • 170 Mason, "Explicit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versus reciprocal questioning: effects on expository reading comprehension among struggling readers", Explicit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versus reciprocal questioning: Effects on expository reading comprehension among struggling readers, 2004
    • 171 김정길, "아동의 충동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동 자기 행동관리 전략의 효과: 가정의 자유놀이에서의 부모중재실행", 2003
    • 172 황순희, "자기조절학습전략 글쓰기 프로그램이 아동의 글쓰기 능력, 자기조절전략 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학습전략 글쓰기 프로그램이 아동의 글쓰기 능력, 2004
    • 173 Fidalgo-Redono, Garcia-Sanchez, "Effects of two types of self-regulatory instruction programs o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writing products processes, and self-efficacy", "Effects of two types of self-regulatory instruction programs o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writing products, 2006
    • 174 Wehby, Sutherland,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opportunities to respond to academic requests and the academic and behavioral outcomes of students with EBD", 2001
    • 175 진미영, "장애 및 장애 위헌군 학생의 읽기·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Self-Regulated Strategies Development(SRSD) 모델의 연구 동향 분석", 장애 및 장애 위헌군 학생의 읽기?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Self-Regulated Strategies Development(SRSD) 모델의 연구 동향 분석, 2011
    • 176 Graham, Harris, Mason, "Improving the writing, knowledge, and motivation of struggling young writers: 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with and without peer support", "Improving the writing, 2006
    • 177 Liljequsit, Liljequist, L.,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behaviour,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ratings of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behaviour, 2007
    • 178 김천희, 박윤, "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 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수용적 태도와 형용사에 미치는 영향", 2010
    • 179 Lane, "Academic instruction and tutor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1990 to present. In R. B. Rutherford, M. M. Quinn, & S. R. Mathur (Eds)", "Academic instruction and tutor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1990 to present. In R. B. Rutherford, 2004
    • 180 이경순, "특수학급 교사들의 PBL(문제중심학습) 적용을 위한 교수적 지원이 장애 아동의 언어적 문제해결력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 181 Sperger, "An exploratory pretest and posttest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the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approach to writing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boy's writing achievement", 2010
    • 182 Lane, Menzies, "Using Self-Regulation Strategies and Functional Assessment-Based Interventions to Provide Academic and Behavioral Support to Students at Risk within Three-Tiered Models of Prevention", 2011
    • 183 Lane, "Identifying and supporting students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within multi-level models: Data driven approaches to conducting secondary interventions with an academic emphasis", 2007
    • 184 김남희, "가족이 참여한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적용이 문제행동을 보이는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국어과 교육목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185 이은정,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교수적 루브릭의 적용이 초등학교 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과 통합학급 학생들의 국어과 학습목표 수행 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