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한·중·일 제2언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비교연구

    • 저자

      김경희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730 판사항(6)

    • DDC

      495.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xi, 200 p. :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덕배
      권말부록: 설문조사
      참고문헌: p. 178-190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Oxford (1990) stated that learning strategies are a way for learners to acquire knowledge and specific actions that are taken independently, effectively, and quickly. Even if a good learning environment is provided, it will not be successful if the learners do not learn by themselves. Successfully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language learning will also depend on how learners are aware of their abilities and transform a mistake into a learning experience. Researching from the successful learners confirmed that, the learners used diverse and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your second language. The success or failure of learning a second language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learning strategies has an enormous influence.
    This study is targeted at people who are studying a second language in China and Japan which are active in economic and human exchange with Korea. Al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relevance of academic achievement by determining the most preferred strategies for learners from three countries based on their different cultur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arning strategies used by learners of Korea, China, and Japan for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langu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ers utilize the cognitive strategy including 14, 17, and 14 sub-strategi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Chinese learners are used by the 17 cognitive strategies including 'Repetition' and 'Learning a voice' which are not found in the tactics of Korea and Japan. In addition, the Chinese learners were using lower social justice strategies, compensation strategies, and higher cognitive strategie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learning strategies commonly used by the learners of Korea, China, and Japan for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language are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1 strategies for learning strategies commonly used by three countries learners. Among them, the strategies that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users were 'Memorizing', 'Reading out loud', and 'Listening to music'. Second, the cognitive strategy was the most commonly used for these countries learners. however, the compensation strategy was not used at all b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is shows three countries learners prefer a biased learning strategy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r gender. Thus, the bias of such a learning strategy suggests that it can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some way. Third, the type of strategy used to acquire the second language was that the Chinese learners were using more diverse learning strategies than the Korean and Japanese learners. 19 Korean learners and 3 Japanese learners answered "Do not use learning strategies at all" and that there was nobody learned Chinese learners. Therefor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learning strategies is much higher for Chinese learners than Korean and Japanese learner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trategies applied to the learners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which were investigated that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of Korea, China, and Japan were commonly preferred as a second one. In this part, the author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trategies applied to the learners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which were investigated by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of Korea, China, and Japan as common preferences.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and to generalize the above results, we applied 7 representative learning strategies to Korean learners who learn Japanese in a second language.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btained how the learning strategies can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most preferred by Korean learners, the memorization strateg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87.97) and the standard deviation (6.71).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Korea󰡑s second language education is focusing on handwriting test.
    Second, we investigated 22 Japanese learner's students to apply 7 representative strategi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trategies by two experiments. In the above results, the average of the secondary results (76.69)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the primary results (78.12), but the standard deviation showed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ary (11.17) was lower than that of the primary (12.83). This means that students' grades are more evenly distributed in the second experiment test.
    Third, the first average (80.41) was higher than the second average (78.82) for men, whereas the first average (75.69) was lower than the second average (77.05) for women in the test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gender. However, in the standard deviation results, both male learners (1st: 10.14, 2nd: 10.07) and female learners (1st: 13.78, 2nd: 11.51) values were lower standard deviation results in the second times. These results of the standard deviation suggested that the learning strategies education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Fourt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st,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use by each learner in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s. In this result, the frequency of 'Repetition (1st: 3.68, 2nd: 4.1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emorizing (1st: 4.14, 2nd: 4.27)' and 'Listening and Concentrating (1st: 4.09, 2nd: 4.18)'.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E-Views program to accurately determine the effect of each learning strategy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1st and 2nd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strategies of 'Memorizing (R:0.52, A:0.49, R:10.04)' in the first education and 'Using the media (R:0.12, A:0.07, U:3.57)' in the second education were most effective.
    Sixth,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the Seven strategies helpful in learning languages other than Japanese?" the 14 people were answered 󰡐the most helpful󰡑, the 5 people were very helpful, and the only 3 people were answered 'normal'. Positive responses accounted for 86% of 22 respondents. Among the total 22 respondents, 86%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This can be regard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he learning strategy regardless of the kind of language such as English, Chinese, and French as well as Japane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strategies for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These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learning strategies and outcomes to learners who are struggling throughout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of the present and future.

    더보기

    Oxford(1990)는 학습전략을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고, 자주적이며 효과적으로 신속히 취하는 구체적인 행동이라고 하였다. 아무리 좋은 교육 환경이 마련되어도 학습자 스스로 자주적으로 학습을 이끌어가지 않는다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언어 습득의 어려움을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것은 어떻게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을 인지하고, 자신의 오류를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전환하는 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성공적인 제2언어 학습자들에 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제2언어를 습득할 때 개개인의 다양하고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에 성공적인 학습이 이루어짐을 밝히고 있어 학습전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인적, 경제적 교류가 활발하며, 비슷한 한자어를 사용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에서 제2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2언어 습득을 위해 사용하는 학습전략을 살펴보고, 나아가 제2언어 습득 상황이 여러 가지로 비슷한 한·중·일 학습자가 제2언어를 습득할 때 가장 선호하고 자주 사용하는 학습전략이 각각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학습전략의 차이점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한·중·일 학습자가 제2언어 습득을 위해 사용하는 학습전략을 비교 분석한 결과 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략은 각각 14가지, 17가지, 14가지 하위전략을 포함한 인지전략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특히 중국 학습자가 사용한 17가지 인지전략에는 한국과 일본 학습자는 사용하지 않는 ‘반복하기’와 ‘음성 익히기’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중국 학습자는 한국 학습자와 일본 학습자의 사용도가 낮은 사회 정의적 전략과 보상전략, 상위 인지전략을 더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이어서 한·중·일 학습자가 제2언어 습득을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학습전략에 관한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일 학습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학습전략에는 모두 11가지 전략이 있었는데, 이들 중 사용자 수에서 가장 크게 차이를 보인 전략은 ‘외우기’, ‘소리 내어 읽기’, ‘음악 듣기’이었다. 둘째, 한·중·일 남녀 학습자가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략이 인지전략인 반면, 보상전략은 한·중·일 남녀 학습자 모두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한·중·일 학습자의 경우, 교육적 환경이나 성별과 무관하게 한쪽으로 편중된 학습전략을 선호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학습전략의 편향은 어떤 형태로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셋째, 제2언어를 습득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의 종류는 중국의 학습자가 한국과 일본의 학습자들 보다 더 다양한 학습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전략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답한 학습자가 한국 학습자의 경우 19명, 일본 학습자의 경우 3명인 반면, 중국 학습자는 단 한명도 없었던 것으로 보아 학습전략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가 한·일 학습자보다는 중국 학습자가 훨씬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중·일의 제2언어 학습자가 공통적으로 선호한 것으로 조사된 이상의 학습전략을 실제 교육현장의 학습자들에게 적용할 경우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도 밝힐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다음은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고 이상의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일본어를 제2언어로 학습하는 한국 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학습전략 7가지를 학습에 직접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우기 전략은 다른 전략들에 비해 평균(87.97)과 표준편차(6.71)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의 제2언어 교육 지필시험에 치중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현장에서 일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 22명을 대상으로 대표적 전략 7가지를 활용하도록 제시하고 1차와 2차로 나누어 학업성취도와 상관성을 비교 분석 결과에서는 1차 성적의 평균(78.12)에 비해 2차 성적의 평균(76.69)이 낮았으나, 1차와 2차 성적의 표준편차를 살펴본 결과 1차(12.83)에 비해 2차(11.17)의 표준편차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학생들의 성적이 2차 시험에서 좀 더 고르게 분포되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성별에 따른 1, 2차의 평균과 표준편차에서는 남성 학습자의 경우 1차 평균(80.41)이 2차 평균(78.82)보다 높았으나, 여성 학습자의 경우에는 2차 평균(77.05)에 비해 1차 평균(75.69)이 낮게 나왔다. 그러나 표준편차 결과에서 남성 학습자(1차: 10.14, 2차: 10.07)와 여성 학습자(1차: 13.78, 2차: 11.51) 모두 2차 때 표준편차가 낮았다는 것은 남녀 모두 학습전략 교육이 학업성취도와 상관성에 다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1, 2차 성적의 평균 및 표준편차의 변화에 대해 좀 더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각 학습자들이 1, 2차에서 사용한 전략별 사용 척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반복하기(1차: 3.68, 2차: 4.18) 전략 척도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외우기(1차: 4.14, 2차: 4.27), 듣기 집중하기(1차: 4.09, 2차: 4.18) 전략이 높았다. 다섯째, 1, 2차 교육을 통해서 각각의 학습전략 사용 빈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EViews 프로그램을 통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차 교육에서는 외우기(R:0.52, A:0.49, R:10.04), 2차 교육에서는 매체 활용하기(R:0.12, A:0.07, U:3.57)의 전략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일본어 이외의 언어를 학습할 때 7가지 전략이 도움이 되었습니까?”라는 앙케이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움이 되었다’가 1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매우 도움이 되었다’가 5명, ‘보통이다’가 3명으로 긍정적 응답이 조사대상자 22명의 86%를 차지하였다. 이는 일본어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그리고 불어 등 언어의 종류를 불문하고 제2언어 학습과 학습전략 간의 상관성을 입증해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제2언어 학습을 위한 학습전략과 그 사용에 따른 학업성취도와의 상관성을 현행의 학습현장과 실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특히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등 3국의 제2언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분석한 본 연구는, 현재는 물론 미래의 제2언어 학습자, 더 나아가 학습 전반에 걸쳐 분투하는 학습자들에게 학습전략과 그 성과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연구의 검토 5
    • 1.3 연구범위와 방법 19
    • 1.3.1 연구 대상 19
    • 1.3.2 연구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0
    • 2. 제2언어 학습전략 23
    • 2.1 제2언어 학습전략의 정의 23
    • 2.2 학습전략의 필요성 24
    • 2.3 제2언어 학습전략의 분류 27
    • 2.3.1 O'Malley& Chamot(1990)의 학습전략 분류 28
    • 2.3.2 Oxford(1990)의 학습전략 분류 29
    • 2.4 제2언어 습득과 학습전략 32
    • 2.5 의사소통전략 36
    • 3.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41
    • 3.1 자기주도 학습 41
    • 3.1.1 통합적 동기 46
    • 3.1.2 도구적 동기 48
    • 3.1.3 동기부여의 필요성 49
    • 3.1.4 자기주도 학습자의 특징 54
    • 3.2 성공적인 제2언어 습득 57
    • 3.2.1 성공적인 언어 학습자의 유형 61
    • 3.2.2 학습 고무를 위한 전략 교육 67
    • 3.3 심리적 요인 74
    • 3.3.1 인지적 요인 75
    • 3.3.2 정서적 요인 78
    • 4. 제2언어 학습자의 학습전략 사용 실태 조사 82
    • 4.1 한국 학습자들의 학습전략 사용 실태 82
    • 4.1.1 한국 학습자 성별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 83
    • 4.1.2 한국인의 학습전략 분류 85
    • 4.2 중국 학습자들의 학습전략 사용 실태 87
    • 4.2.1 중국 학습자 성별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 88
    • 4.2.2 중국인의 학습전략 분류 90
    • 4.3 일본 학습자들의 학습전략 사용 실태 91
    • 4.3.1 일본 학습자 성별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 92
    • 4.3.2 일본인의 학습전략 분류 93
    • 5. 한중일 학습자의 공통적인 학습전략 결과 분석 97
    • 5.1 한중일 학습자의 공통적인 학습전략 97
    • 5.1.1 한중일 학습자의 남성 학습자의 학습전략 101
    • 5.1.2 한중일 여성 학습자의 학습전략 102
    • 5.2 한중 학습자의 공통적인 학습전략 104
    • 5.2.1 한중 남성 학습자의 학습전략 105
    • 5.2.2 한중 여성 학습자의 학습전략 106
    • 5.3 한일 학습자의 공통적인 학습전략 비교 107
    • 5.3.1 한일 남성 학습자의 학습전략 108
    • 5.3.2 한일 여성 학습자의 학습전략 108
    • 5.4 중일 학습자의 공통적인 학습전략 비교 109
    • 5.4.1 중일 남성 학습자의 학습전략 110
    • 5.4.2 중일 여성 학습자의 학습전략 110
    • 5.4.3 한중일 학습자의 개인별 학습전략 111
    • 5.5 한중일 학습자의 개인별 학습시간 113
    • 5.5.1 한국 학습자의 제2언어 학습시간 113
    • 5.5.2 중국 학습자의 제2언어 학습시간 114
    • 5.5.3 일본 학습자의 제2언어 학습시간 116
    • 5.5.4 한중일 학습자의 학습시간 비교 117
    • 5.6 한중일 학습자의 학습전략 사용 선호도 121
    • 6. 학업성취도 및 학습전략 향상 교육과의 상관관계 126
    • 6.1 한국 학습자의 자아존중감 검사 127
    • 6.2 한국인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전략 130
    • 6.2.1 성별에 따른 학습전략 비교 133
    • 6.2.2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분석 134
    • 6.3 현장 학습에서 진행한 학습전략 교육 138
    • 6.3.1 연구대상자 및 진행과정 139
    • 6.3.2 1차 교육 학습전략 사용 빈도 140
    • 6.3.3 2차 교육 학습전략 사용 빈도 148
    • 6.3.4 1, 2차 학습전략의 사용 변수 비교 155
    • 6.3.5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 상관성 및 가설 검증 161
    • 6.3.6 1, 2차 학습전략의 회귀분석 164
    • 6.3.7 가설의 검증 172
    • 7. 결론 175
    • 참고문헌 178
    • ABSTRACT 191
    • 부록(설문조사) 196
    더보기
    • 1 서상훈, "펌프업", 지상사, 2009
    • 2 김일남, "개성교육", 북랩, 2017
    • 3 박인연, "공부재능", 쌤앤파커스, 2012
    • 4 신경식, "언어공부", 바다출판사, 2017
    • 5 임하선, "학습전략", 배영사, 1990
    • 6 이은주, 황상민, "공부 삽질", 푸른들녘, 2016
    • 7 채사장, "열한 계단", whale books, 2016
    • 8 정재승, "열두 발자국", 에크로스, 2018
    • 9 장미경, 최수미, "청소년 심리", KNOUPRESS, 2015
    • 10 박남기, "최고의 교수법", 생각의 나무, 2011
    • 11 송인섭, "공부는 전략이다", 팝콘북스, 2007
    • 12 서상민, 전동민, "완전학습 시스템", 지상사, 2012
    • 13 조영미, "외국어 몰입학습",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6
    • 14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 15 정범모, "한구의 교육세력", 나남출판, 2000
    • 16 고승진, 조승수, "혼자공부하는 힘", 이상, 2017
    • 17 박병기, "질적 연구와 교육", 학이당, 2001
    • 18 이시형, "아이의 자기 조절력", 지식채널, 2013
    • 19 박혜숙, 장소영, 오영주, "「대학생의 학습유형", 학습전략이 영어 능숙도에 미치는 영향」 영어영문학연구 제43권 제2호, pp.299-324, 2017
    • 20 권혁도, "꿈을 이루는 공부습관", 지상사, 2009
    • 21 이동재, "백전백승 진짜 공부법", 형실 라이프, 2014
    • 22 박경자, "언어습득 연구 방법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 23 조용한,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 24 김윤옥, "학습장애의 이론적 기초", 교육과학사, 2011
    • 25 박명숙, 함경애, 전성문, 이영순, 이동훈,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5
    • 26 이덕봉, "일본어교육의 이론과 방법", 시사일본어사, 1998
    • 27 이시형,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 중앙books, 2009
    • 28 박덕재, 박성현, "외국어 습득론과 한국어교수", 박이정, 2011
    • 29 홍승수, "코스모스 사이언스 북스", Carl Sagan(1980) COSMOS, 2017
    • 30 강현구, "상위그룹5% 학생들의 공부비법", 예림미디어, 2004
    • 31 송인섭, "송인섭의 공부하는 척하지마라", 청림출판, 2014
    • 32 주혜명, "에니어그램의 지혜 한문화", Don Richard Riso(1999) The Wisdom of The Enneagram, 2000
    • 33 이수진, 허일범, "이젠 내 힘으로 공부할 수 있어요", 한국학술정보(주), 2011
    • 34 홍영남, "역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Richard Dawkins(1989) The Selfish Gane, 1993
    • 35 김지영, "제2언어 학습 교수론 형설출판사", Vivian Cook(1996)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TEACHING, 1999
    • 36 이효웅, "「외국어 학습책략에 관한 연구 중,고", 대학생 중심으로」 영어 교육 48, pp.51-99, 1994
    • 37 심민희, "「자기조적 학습이론: 의미, 구성요소", 설계원리」 교육공학연구 14권 1호, pp.1, 1998
    • 38 성용구, 종정진, 임청환, "역 뇌 기반 교수-학습전략 학지사. J", Diane Commell(2008) Brain -Based Strategies to Reach Every Learner, 2014
    • 39 김경섭, 유광태, "성공하는 10대들의 7가지 습관 김영사", SEAN COVEY(1998) 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TEENS, 2008
    • 40 조경숙, "크라센의 읽기혁명 르네상스. Stephen D", Krashen(2004) THE POWER OF READING, 2013
    • 41 기준성,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42 박정숙, "의식의 스펙트럼 범양사, KEN WILBER(1977)", HE Spectrum of Consciousness, 2006
    • 43 김은영, 박승호, "「노트필기훈련이 여자대학생의 학습전략", 주의력 및 학 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4(3), pp.525-543, 2010
    • 44 전왕록, "역 하버드 자기조절 수업 라이스메이커", 高明(2015) SELF-REGULATION CLASS, 2018
    • 45 이덕배, "역 제2언어 습득과 일본어교육 제이앤씨", 迫田久美子(2002) 日本語教育に生かす第二言語習得研究, 2010
    • 46 에스텔, "한국인이 성공하는 영어 스피킹은 따로 있다", 아름다운사람들, 2018
    • 47 강훈, 정현옥, 민세홍, 김미영, "행복하게 성공하기 위한 자기주도 학 습전략", 이담, 2012
    • 48 송휘석, 신재환, "창의· 인성교육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교육과학사, 2013
    • 49 한정호, "역 이제는 ‘다중언어’다 예영커뮤니케이션", Xiao-lei Wang(2008) Growing up with Three languages, 2013
    • 50 김경섭,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김영사. Stephen R", Covey(1994) THE 7 HABITS OF HICHLY EFFECTIVE PEOPLE, 2003
    • 51 이규행, "감역 미래 쇼크 한국 경제신문사. Alvin Toffler(1987)", Future Shock, 1989
    • 52 정의석, "진짜 공부: 성공적인 자녀로 키우는 창의형 학습전략", 북씽크, 2016
    • 53 남상조, 조은순,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자발성과 수업기능 활용", 학 습 성공에 대한 이해도가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 회논문지 11(12), pp.968-975, 2011
    • 54 박의재, 이정원, "제2언어 습득론 한신문화사. Susan M. Gass& Larry Selinker(1994)",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99
    • 55 김미영, "「EFL학습자의 어휘학습 전략과 연어 능력에 대한 연구」 Vol", -No.69 pp.485-505, 2011
    • 56 서화지, 윤강구, "「태도, 동기 및 학습전략이 일본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 향」", 일본어교육 Vol. 46, pp.37-60, 2008
    • 57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00
    • 58 김영우, "「듣기 능력 향사에 대하여」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회 vol", 8-9No. pp.211-232, 1994
    • 59 신재철, "「언어학습자를 위한 학습전략에 관한 고찰」 教育論業 Vol", 47No. 2. pp.19-40, 2010
    • 60 이동섭, "「자기주도 학습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61 김윤희, 전형길, "「중국인 학부생의 읽기 동기가 읽기 전략 사용에 미치 는 영향」", 한국어문학 국제학술포럼 35 pp33-59, 2016
    • 62 차채국, "「선교사 언어습득의 이론과 실제」 고신대학교 선교연구소 vol", -No.3 pp.37-63, 2004
    • 63 이달석, "「대학생의 학습방략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5(4)", pp.403-421, 2001
    • 64 박기표, "「언어 학습전략의 연구에 관한 고찰」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 3. No.1 pp.199-221, 1998
    • 65 전명남, "「높은 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수행분석」 교육심리연구 17(4)", pp.1-28, 2003
    • 66 김동일, 황애경, 신을진, "「메타분석을 통한 학습전략의 효과 연구」 아시 아 교육언구 2(2)", pp.71-93, 2002
    • 67 최정희, "「일본어 학습자의 학습유형별 학습전략과 결과」 일본어교육 제52집", 한국일본어교육학회 pp.34-47, 2010
    • 68 박주경, 최연희, 차경환, 이흥수, 이소영, 이성희, 이병민, "공역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제5판 (주)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H", Douglas Brown(198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2011
    • 69 김영민, "「초등영어교육에서의 학습전략의 효과적 사용」 영어교육 53권 2호 pp", 87-106, 1998
    • 70 배민지, "「중학생 듣기 말하기 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 한국어와 문화 제8집 pp", 117-142, 2010
    • 71 임미란, "「영어 듣기 전략과 학습유형이 영어 청해에 미는 영향」 조선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72 김경희, "「제2언어 우수학습자들의 학습전략 사용 실태 연구」 일본어교 육 제78 pp", 33-44, 2016
    • 73 안정자,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 한일일어일문 학회 vol", 9No pp.1-11, 2005
    • 74 윤강구, "「의사소통 기능 지도에서 패턴 드릴의 필요성과 지도법」 일본 어교육 Vol", 0 No. 48, pp.1-18, 2007
    • 75 강후동, 윤웅진, 원명옥, "「상위인지 읽기 방략의 훈련이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육 연구 13(2)", pp.203-221, 2001
    • 76 김경희, "「한일 제2언어 학습자들의 학습전략 사용 실태 고찰」 일본어문 학 제75집 pp", 89-107, 2017
    • 77 윤강구, "「제2언어 습득의 인지적인 과정과 학습전략」 한국일본어교육학 회 제41 집 pp", 69-98, 2007
    • 78 윤희정, "역 외국어 학습에 성공하는 사람과 실패하는 사람: 제2언어 습 득론 한국문화사", 白井泰宏(2004)外国語学習に成功する人、しない 人:第二言語習得論への招待, 2007
    • 79 김선희, "「일본어 청해 능력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안」 일 본어교육 연구 vo1", 7 pp.43-59, 2004
    • 80 차경환, "「실용영어능력 신장을 위한 자기주도적 듣기 말하기 교수-학 습법 연구」 중앙대학교", 2010년 정책연구 개발사업, pp.1-169, 2010
    • 81 강승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  연세 교육연구 Vol", 9 No.1 pp.5-31, 1996
    • 82 신은정, "「일본어 습득에 미치는 학습자 심리유형의 영향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83 박현정,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습전략의 사용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 32(1)", pp.203-222, 2005
    • 84 김현정, "「전략적 협동학습이 대학생의 영어 어휘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 향」 중앙 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85 박형근, "「동기요인과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 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86 김경희, "「자기주도 학습자의 듣기 말하기 능력 신장 전략에 관한 연구」 일본어 문학 제62집 pp", 133-152, 2014
    • 87 오경미, "「한국 고등학생의 프랑스어 학습전략 연구: 듣기 전략을 중심으 로」 이화교육 논총 Vol", 11 No. pp, 2000
    • 88 김형수, "역 「학습자 특성 및 적용 영역별 인지학습 전략의 효과」 교 육 과학연구회 제37집 제2호", pp.43-74, 2005
    • 89 박지민, "「메타인지 전략 활용 수업이 영어 읽기 동기 및 독해력에 미치 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90 김요섭, 윤태형, 김태훈,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 연 구」 대한 지역사회 작업 치료학회서 Vol", 1. pp.39-47, 2011
    • 91 윤웅기, "「외국어 학습에서 동기의 중요성과 교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연구논문집 제9권 제1호", pp.55-62, 1984
    • 92 홍은실, "「외국인 학생부 읽기 교재에 나타나는 초인지 전략과 보조전략 분석」 새국어교육 102호", 한국구어교육학회, pp.337-363, 2015
    • 93 최병연, 이신동, 유미선,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간의 학업성패에 대한 귀 인성향과 자기 조절 학습전략 사용의 차이」", 영재교육 연구 제18권 제3호 pp425-441, 2008
    • 94 김희수, 윤은종,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 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Vol", 4.No.2, 2006
    • 95 김유미,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전략 검사결과 비교 연구」 한 국 초등수학교육학회 vol", 14 No.2 pp.217-239, 2010
    • 96 한순미, "「중다목표 관점에서의 성취목표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3)", pp.291-312, 2003
    • 97 김성백, 오정석, 박찬정,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계획이 학업성취 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교육과학연구 Vol", 16.No.2, 2014
    • 98 심상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전략 비 교 연구」 어문연구 35권 1호", pp.243-262, 2007
    • 99 정혜진,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듣기 학습전략 사용과 듣기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 100 윤강구, "「제2언어로서 일본어의 이해와 사용-언어 처리의 심리적인 과정 을 통하여-」 일본어교육 Vol", 0 No. 5, pp.161-178, 2010
    • 101 송윤희,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업지연을 예측하는 요인 분석」 평생학습사회 제8권 제1호 pp", 113-135, 2012
    • 102 양애경, "감성지능, 학습동기, 학습자스트레스 및 자기주도학습이 학 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 103 함순애, "「한국 대학생들의 학습 스타일이 영어 학습전략 사용과 성취도 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교육회 12(1)", pp.295-332, 2005
    • 104 주서은 , 김아영, 정소연, "「수학성취 수준별 집단의 성취도와 학습전략 사 용및 변화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 제19권 제 3집 Vol19, No.3, pp.677-698, 2005
    • 105 박경숙, "역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 태도 학습습관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한국교육개발원 3권 1호 pp", 88-99, 2005
    • 106 김경련, "「학문목적 유학생들의 독해력 지수와 읽기 전략, 동기 변인들과 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어교육 21권 4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25-302, 2008
    • 107 박미순, 장은정, "「학습전략 중 노트필기 전략 훈련의 효과에 관한 대학 생 사례연구」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Vol. 8", Ni.3.pp.60-86, 2014
    • 108 강진주, "「중학교 일본어 특기 적성 교육에 관한 연구-광주지역의 학습 환경 및 학습자 요구 조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109 박혜숙, "「국내 대학생들의 전공 영어 강좌에서의 학습전략과 유능감 성 취에 관한 질적 장기연구」 교육심리연구 23(1)", pp.197-217, 2009
    • 110 강명희,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감성지능의 학습유형별 학업성 취도에 대한 예측 타당도 검증」 교과교육연구 제11권 1호", pp.235-256, 2007
    • 111 홍성연, "「원격고등교육기관별 우수학습자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수행 및 인식 비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5권 제4호 pp", 149-175, 2009
    • 112 성은모, 이혜정, "「대학 교육에서 대학생 중심의 교수설계를 위한 최우수 학습자의 학습전략 특성 및 학습전략 탐색」교육공학연구 제27권 제1호 pp", 1-35, 2011
    • 113 정지원, "「명시적 독해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메타인지적 독해 전랴 사 용과 학습스타일 및 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1
    • 114 서영희, "「한국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영어 독해력 신장을 위한 상위인지 전략 사용 및 자기주도 학습 실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