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arning을 위한 LMS module 설계 = LMS MODULE Design for e-learn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KDC
02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45(25쪽)
제공처
지식사회의 교육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아직 지식사회에서의 교육형태가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하여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분명한 것은 원격교육이 커다란 비중을 가질 것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불행하게도 많은 교육관련자들은 단순하게 internet을 통한 교육매체가 바뀌어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현실이다. 사회환경이 변화하였으므로 교육 형식도 변화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접근보다는 교육 매체중심으로 교육환경을 생각하고 있는 우를 범하고 있다. 학습단계별 원격 교육의 필요성이 서로 다르다. 원격교육이 가지는 장점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학습으로 지원을 해야한다.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internet을 통하여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차원이다. 이들의 학습환경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기대하는 원격교육의 완성도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의 원격교육방법으로는 교육효율을 얻기가 어렵다.
반면 교수자가 직접 상호주의를 주도하면 교육효과 면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교육체계에서 상호주의 교육방법은 교수자에게 시간과 부담이 증대할뿐 만 아니라 현실적 여러문제가 발생한다. 비록 교육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하더러도 교수자의 역할의 한계 및 교육원가에 대한 것을 고려하면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상호주의에 따른 부작용을 해결하면서 교수자의 교육에 대한 각자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구현하며 교수자와 학습자가 편리하고 간편하며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learning 시스템 구축을 본 연구에서 제안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contents database를 기본으로 feedback 시스템과 knowledge based 시스템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자율학습시스템을 제안한다.
Recently, we say next society that is a knowledge based society. Many university try to open e-learning for several positive reasons. So, e-learning mode is very widely spread most kind of class substitute and supporting. But they do not correctly have the definitions e-learning models. In this paper introduce one kind of design model to bulit for e-learning : content frame, learning management system with intelligent and implement lms module which are structured by database system.
Content frame is based on database system as a e-learning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for educational technology and some company like us west are taken by this methods by knowledge management business for officer education.
The concept of contents with database system is increased effective learning ability for self-studies e-education. Then, this study are designed a new contents frame structure with database along with all kind of functions.
The teachers have too much the load and times. It is not good for e-learning system. This studies are presented the e-learning for effectively model with stro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his model is built by contents database system, feedback system and knowledge based management syste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