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단기선교를 통한 선교지향적교회로의 성장방안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국문초록

    단기선교를 통한 선교 지향적 교회로의 성장 방안

    본 연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교회에서 위임하시고 명령하신 세계 선교가 교회의 본질이고 존재 목적임을 재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교회가 선교적인 교회로 구조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단기선교가 효과적인 방안 중의 하나임을 강조한다. 나아가 교회가 선교적 공동체로서의 본래의 목적을 인식하고 선교 지향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여 그 방안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제1장은 서론으로 문제의 제기, 연구의 의의와 목적, 연구의 방법과 한계, 연구 질문과 용어정의를 고찰함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단기선교를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로서 단기선교의 선교적, 성경적, 역사적, 신학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제3장은 한국교회 단기선교 현황과 교회성장전략을 조망하였다. 제4장은 단기선교를 통하여 성장한 신반포교회, 주안장로교회, 기쁨의교회, 미래로교회, 인천계산교회 등 다섯 개 교회를 일반적 이해와 단기선교 사역내용을 분석하고 평가를 하였다. 그리고 제 5장에서는 본 논문주제인 단기선교 적용을 통한 선교 지향적 교회로의 성장방안으로 열한 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했다.
    이상과 같이 ‘단기선교를 통한 선교 지향적 교회로의 성장 방안’을 연구하여 얻게 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선교는 성경과 선교신학의 기초 위에 이해되어져야 한다. 단기선교는 성경에 기록된 예수그리스도의 지상명령(마 28:19-20)에 대한 순종으로 시작된다. 다만 그 기간이 짧을 뿐이다. 단기선교는 “세상을 사랑하신 하나님의 마음”을 품고, “아들을 보내신 하나님의 방법”에 따라,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라”는 그리스도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교는 성령이 보내시는 곳으로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는’ 모든 영적인 일을 의미한다. 선교의 주도권은 삼위일체 하나님께 있다. 선교의 본질적 특성은 예수그리스도의 성육신이며, 궁극적인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함이다. 따라서 우리의 복음선포와 영혼구원, 그리고 모든 선교행위는 하나님의 구속사역과 중심인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에 근거했다. 그러므로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의 수단으로써 부름을 받은 존재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선교는 기독론적인 근거위에서 교회에게 종말론적으로 긴박함을 요청한다. 이에 성육신적 태도로 세상에 구원의 기쁜 소식을 말씀과 삶을 통해 전파하므로 온 세상에 화해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선교적 행위는 결과적 차원이 아니라 과정적 차원에서 인식되어야 한다. 하나님의 구원역사는 아담이 타락한 이후 수천 년 동안 완성되어 있는 하나님의 세심한 구원계획임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므로 단기선교 참여자들은 먼저 주님의 제자가 되어야 하고, 그분의 제자로서 주님의 선교방법을 훈련받아야 한다. 그것을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현장이 선교지이다. 따라서 성경・신학적 본래적인 의미에 충실하면서 선교적 완성으로서가 아니라, 선교의 과정 속에 참여하는 단기선교 동참자의 모습은 예수님의 증인이면서 배우고, 비전을 발견하는 자이다.
    둘째, 단기선교는 선교 지향적 교회로 구조화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단기선교는 하나님 백성들의 정체성확립과 교회의 본질을 발견하는 귀중한 통로이며, 타문화권의 선교사들을 동원하는 중요한 방편이라 할 수 있다. 한국선교가 장기선교사로의 동원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들 가운데 우선적인 것이 단기선교(여행・비전 트립)이다. 본 연구자가 청년이나 신학생, 성도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해보았다. 대부분이 지역교회나 선교단체를 통하여 단기선교여행을 경험하였으며, 단기선교를 통해 선교에 대한 비전과 소명감을 확신하게 되었다는 응답을 듣게 되었다. 단기선교가 비용이 많이 발생하지만 참여자들이 철저한 준비와 헌신을 하고, 선교지 사역을 위해 상호협력체제와 사후관리를 통하여 교회를 선교적 구조로 갱신해야 한다. 그러면 교회성장과 더불어 지역사회와 문화를 변화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단기선교를 위한 사전지식준비와 꾸준한 훈련, 협력선교, 사역의 내용, 사후관리가 잘 구성되어야 한다. 선교와 관련된 모든 프로그램들은 교회에 대한 이해(교회론)에 근거한다. 교회가 선교를 위해 존재하기에 모든 교회의 선교사역 내용들과 구조가 선교 지향적으로 재구축되어야만 한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교회론과 선교에 대한 이해는 분리되어 있는 실정이다. 선교를 위해 교회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선교가 교회의 만족을 주고 명목상으로 실용주의적인 교회론이 지배적인 것이 현실정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선교적 백성으로 양성하여 세상으로 보내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런데 단기선교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세상으로 파송된 선교사라는 의식을 일깨워주는 중요한 전략적 접근방법이다. 이러할 때 단기선교는 교회가 직접적으로 선교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선교사의 삶과 개인의 실제적인 사역을 통하여 교회성장을 이루게 된다.
    셋째, 단기선교는 담임목회자의 선교 지향적 목회방침에 달려있다. 담임목회자가 선교에 대한 마인드를 가지고 강단에서부터 선포하면 성도들도 단기선교에 동참하여 현장경험을 통해 장기선교에 이르기까지 비전과 사명을 갖게 된다. 교회의 머리이자 주인은 예수그리스도이시다. 주님은 지역교회를 담당하고 목양하는 사명은 목회자에게 위탁하셨다. 또한 목회자가 하나님중심으로 살려는 자세가 강하고 교회의 성도들이 복음증거의 사명을 잘 감당하도록 목회철학을 정립해야 한다. 그러면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로 말미암아 교회의 성장이 경험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5개 교회는 담임목회자가 분명한 단기선교를 이해한 목회철학과 선교철학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선교가 운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단기선교는 철저한 교육과 훈련이 요구된다. 단기선교가 준비되지 않으면 결실보다도 관광이 되어버릴 수 있다. 단기선교는 짧은 기간에 선교의 효과를 거두어야 하기 때문에 철저한 교육과 훈련이 있어야 한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단기선교사로 교육하고 훈련시키셨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부르시고 선교현장에서 훈련을 시키는 모습이 마태복음에 잘 나타나 있다. 먼저, 영성훈련으로 교육과 기도훈련이 있다. 다음으로, 팀 사역훈련으로 단계별 사전준비훈련이다. 그 다음은, 언어와 문화적응훈련이다. 이러한 훈련을 본 논문의 다섯 개 모델교회 가운데 인천계산교회가 주일학교에서부터 비전 트립을 통하여 선교에 대한 사명감을 갖게 하고,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그리스도인으로서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을 키우게 한다. 또한 꾸준하게 어릴 때부터 영어교육과 성경공부를 시킴으로 글로벌화시대에 준비된 일꾼으로 잘 양육하고 있다. 인천계산교회는 ‘준비된 평신도선교사 양육’을 목회방향과 하나님 중심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제나 평신도를 준비된 선교사로 철저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새롭게 태어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교회의 존재 이유는 모든 민족에게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선포하여 세상 곳곳에 하나님의 통치가 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일은 복음선포와 사회참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한국교회가 선교적 교회로서의 기능을 회복하면 현재의 침체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부흥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시기 위해 선교적 교회를 사용하시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하나님이 주목하는 선교적 교회가 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단기선교”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제안한다.


    더보기

    ABSTRACT

    A Plan of Mission-Oriented Church Growth
    Through Short-Term Missions

    Student: Byung Joon Cho
    Professor: Kwang Seog Go
    This research paper is to recognize the world mission which is commissioned and commanded by Jesus Christ is essence and existence of churches. Churches need to be structured to mission-oriented, and short-term mission is the one of effective ways for church growth. Furthermore, churches need to recognize the original purpose of mission community and find the growth strategy to become mission-oriented body of the Christ. Chapter 1 the introduction of this research paper, talks about the purpose, direction, significance, methods, limitations, questions and definitions of each terms used in this research paper. Chapter 2 is about the theoretical basic researches for short-term missions biblically,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Chapter 3 talks about the current status and church growth strategies for short-term missions of Korean churches. Chapter 4 talks about the research model of short-term missions short-term mission ministries of five churches such as Shinbanpo Church , Jooan Presbyterian Church, Joy Church, Merero Church and Incheon Geysan Church. And chapter 5 talks about eleven adaptive methods of growing strategies for mission-oriented churches through short-term mission adopt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Growth plan of mission-oriented churches through short-term mission” is as follows:First. short-term mission should be understood based upon the biblical and mission theology. Short-term mission starts with obedience for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Matthew 28: 19-20). But the period is short. Short-term mission is people who has "a mind of God who love the world” according to "the way of God who sent the Son” and obedient to Christ’s command which is "being a witness till the world ends". Therefore, mission means all spiritual things that ‘go to the place where the Holy Spirit sends' and ‘making disciples of all nations'. The core control of mission is in the Trinity God. The essential of mission is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and main purpose is the glory of God. Therefore, proclaiming the gospel, soul salvation, and all missionary activities were based on Redeemed ministry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refore, the Church got calls for the God's mission. Thus, God's mission request for an eschatological urgency to the Church based on Christian theory. Through the incarnated attitude, we spread the glad news of salvation through the Word and our life, so that we make mediation to the whole world. God's mission ministry should be recognized on a procedure level, not on a result level. The history of God's salvation has been completed over thousands of years after Adam's corruption and it is a meticulous plan of God. So we should remember about it. Therefore, short-term mission participants should become disciples of the Lord and be trained with the Lord's ministry way as disciples. The place where you can experience and learn is the mission field. Therefore, it is not faithful completion based on original meaning of the Bible and theology, the short-term missionary participant who are in the mission process is a witness of Jesus and a person who learns and finds a vision. Second, short-term mission is an effective way to make a structure of mission-oriented churches. Short-term mission is a valuable way to find the identity of God's people and make the core value of the church, also an important way of gathering missionaries from other cultures. Short-term mission (travel and vision trips) is the most effective ways for Korean missions to gather long-term missionaries. This researcher got an interview with young people, seminary students and Saints. Most of them experienced short-term mission trips through local churches or missions agencies, and they got answer and be sure about their vision and calling. Although short-term mission cost a lot, participants should be prepare and devote, also for mission field ministry, update making the church to a missionary structure through mutual cooperation system and post management. And then, with the growth of the church, we can change the community and culture. Therefore, prior knowledge of preparation for short-term missions, keep steady training, a cooperative mission, subject(content) of ministry, and post management should be organized. All programs related in mission a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hurch(Ecclesial). Because the church exists for mission, all the mission ministry contents and structure should be reconstructed by mission-oriented way.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hurch’s mission and ecclesiology is separate. The church does not exist for mission. Rather, it is a reality that mission is the satisfaction of the church and nominally it dominates pragmatic ecclesiology. Therefore, the church should do their best for training God's people as missionary and send them to the world. But, a short-term mission is an important strategic way convince of reminding all Christians that they are missionaries sent to the world. Then short-term mission can provide the opportunity of the church to participate directly, and church can grow through the life of missionary and the actual ministry activity. Third, short-term mission depends on senior pastor’s ministry principle. If a senior pastor preaches sermons on the podium with missional mind, church members will participate in short-term missions, and then they will see visions and hear callings for long-term missions. Jesus Christ is the head and the master of church. Jesus entrust the pastor with the work taking care of church. Therefore pastors should try to live Jesus-centered life, and build ministry philosophy for church members to take mission preaching the Gospel. Then you will see that church grows by God’s love and grace. In the 5 churches I studied, senior pastors had clear ministry and mission philosophy, so missionary program was running well with the well-understanding of short-term mission. Fourth, short-term mission requires education and training. Unless short-term mission is not well-prepared, it would be just a tourism, not a fruitful mission. Because short-term mission should work within short-period, thorough education and training is needed. Jesus taught and trained disciples to be short-term missionaries. The book of Matthew describe that Jesus called disciples and trained them in the mission field. First of all, it says about education and prayer training for spirit training. And then, it says about step by step advance preparation training for team-work training, and then, it says about language and enculturation training. Incheon Gyesan Church makes church members have sense of duty, arouse national consciousness, and develop discernment looking at the world as christians. Also, the church nurture students to be well-prepared christian-workers by teaching English and Bible from childhood. Because Incheon Gyesan Church’s ministry focus on ‘Nurturing to well-prepared lay missionary’ who is Jesus-centered, you can see a layperson become a well-prepared missionary by thorough education and training.
    In conclusion, the reason why the church exist is to preach the Gospel to all nations and to make God’s kingdom come to everywhere around the world. This work can be accomplished by preaching the Gospel and social participation. When korean church restore the function of missional church, the church will overcome depression and experience revival. It is because God uses missional church to spread the Gospel. With that point, this research emphasize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short-term mission” by means of becoming a missional church.

    더보기
    • 목 차
    • 목 차 ⅰ
    • 표 목 차 ⅴ
    • 국문초록 ⅵ
    • I. 서론 1
    • 1. 문제의 제기 1
    • 2. 연구의 중요성 2
    • 3. 연구의 목적 3
    • 4. 연구의 방법 4
    • 5. 연구의 한계 4
    • 6. 연구의 질문 5
    • 7. 용어의 정의 5
    • II. 단기선교의 이론적 고찰 9
    • 1. 단기선교의 선교적 고찰 9
    • 1) 단기선교의 이해 9
    • (1) 단기선교의 정의 9
    • (2) 단기선교의 유형 10
    • (3) 단기선교의 동기 13
    • (4) 단기선교의 목적 13
    • 2) 단기선교의 배경과 필요성 15
    • (1) 단기선교의 배경 15
    • (2) 단기선교의 필요성 16
    • 2. 단기선교의 성경적 고찰 17
    • 1) 구약의 단기선교 18
    • 2) 신약의 단기선교 21
    • 3) 초대교회의 단기선교 23
    • 3. 단기선교의 역사적 고찰 25
    • 1) 세계교회사의 단기선교 역사 26
    • (1) 초대교회의 단기선교(30-300년) 26
    • (2) 중세의 단기선교(300-1500년) 27
    • (3) 로마 가톨릭의 단기선교(1300-1700년) 28
    • (4) 현대의 단기선교(1800-2005년) 29
    • 2) 한국교회의 단기선교 역사 31
    • (1) 단기선교의 파송기(1907-1940년) 32
    • (2) 단기선교의 암흑기(1940-1980년) 34
    • (3) 단기선교의 부흥기(1980-1995년) 37
    • 4. 단기선교의 신학적 고찰 38
    • 1) 하나님의 선교 이해 38
    • 2) 선교의 원동력과 선교사 파송 43
    • 3) 선교중심의 교회 46
    • 4) 하나님 백성의 선택과 사명 50
    • Ⅲ. 한국교회의 단기선교 현황과 교회성장 전략 57
    • 1. 한국교회 단기선교의 구조적 한계 57
    • 1) 목회자 중심적 구조의 문제점 57
    • (1) 목회자 중심적인 교회 58
    • (2) 평신도 은사활용 결여 59
    • 2) 단기선교 준비 과정의 문제점 61
    • (1) 단기선교 훈련방법과 준비부족 61
    • (2) 단기선교 현장경험의 미비 61
    • (3) 단기선교 지도자의 부재 63
    • (4) 협력선교의 약화 64
    • 2. 선교적 교회성장 이론과 원리 65
    • 1) 교회성장운동의 선교적 이해 66
    • 2) 교회성장운동의 선교원리 67
    • 3) 회심과 교회성장 원리이해 75
    • Ⅳ. 단기선교를 통한 교회성장 모델 연구83
    • 1. 신반포교회의 “아웃리치(Outreach) 선교” 83
    • 1) 신반포교회의 일반적 이해 83
    • 2) 신반포교회 단기선교 사역내용 86
    • 3) 평가 90
    • 2. 주안장로교회의 “타문화권 선교훈련” 92
    • 1) 주안장로교회의 일반적 이해 92
    • 2) 주안장로교회 단기선교 사역내용 94
    • 3) 평가 99
    • 3. 기쁨의교회의 “의료 단기선교” 100
    • 1) 기쁨의교회의 일반적 이해 101
    • 2) 기쁨의교회 단기선교 사역내용 104
    • 3) 평가 108
    • 4. 미래로교회의 “패밀리형 단기선교” 110
    • 1) 미래로교회의 일반적 이해 110
    • 2) 미래로교회 단기선교 사역내용 113
    • 3) 평가116
    • 5. 인천계산교회의 “청소년 비전 트립”117
    • 1) 인천계산교회 교회의 일반적 이해117
    • 2) 인천계산교회 단기선교 사역내용121
    • 3) 평가 125
    • Ⅴ. 단기선교 적용을 통한 선교 지향적 교회로의 성장 방안 127
    • 1. 단기선교 적용을 통한 준비단계 127
    • 1) 담임목사의 선교철학 127
    • 2) 조기 선교훈련 시행 127
    • 3) 충분한 기도와 사전 지식습득 129
    • 4) 교회의 재정적 지원 130
    • 2. 단기선교 적용을 통한 실천단계 131
    • 1) 동일 지역 3회 반복선교 131
    • 2) 선진국으로의 단기선교 패러다임 전환 132
    • 3) 기독교인 병원과 의료협력사역 134
    • 4) 단기선교는 장기선교사를 돕는 사역 135
    • 5) 단기팀 구성의 동질성 135
    • 3. 단기선교 적용을 통한 후속단계 136
    • 1) 단기선교 후 평가회 136
    • 2) 후원관리자 시스템 139
    • Ⅵ. 결론 및 제언 140
    • 1. 연구요약 140
    • 2. 연구결론 및 제언 141
    • 참고문헌 144
    • ABSTRACT 151
    더보기
    • 1 신동우, "『선교학", 서울: 예루살렘, 1993
    • 2 최복규, "성령행전", 서울: 일민사, 1989
    • 3 나일선, 전호진, 이종윤, "교회성장론",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86
    • 4 홍영기, "선교학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5 최찬영, "최찬영 이야기", 서울: 두란노, 1995
    • 6 김성은, "단기선교매뉴얼", 서울: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8
    • 7 박보경, 안승오, "현대선교학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6
    • 8 김활영, "세계선교의 비전",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출판부, 1999
    • 9 선교적, 이병옥, "교회의 오늘과 내일", 서울: 예영 커뮤니케이션, 2016
    • 10 김성태, "현대 선교학 총론", 서울: 이레서원, 2008
    • 11 김성욱, "개혁주의 선교신학", 서울: 이머징북스, 2013
    • 12 송기태, "“송기태 선교사 칼럼.”", (청년목회자 연합). , 2080
    • 13 강승삼, "21세기 선교 길라잡이",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8
    • 14 김연수, "단기선교사 가이드북", 서울: 선교 한국조직위원회, 2005
    • 15 박기호, "한국교회 선교운동사", 서울: 아시아선교연구소, 1999
    • 16 배안호, "한국교회와 자립선교",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8
    • 17 홍기영, "현대선교 방향과 모델", 서울: 다산글방, 2004
    • 18 이장우, "“단기선교 이렇게 하자.”", 「월간고신」: 75-104, 1999
    • 19 이광순, "“요나서를 통해본 선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선교와 신학」1집 : 49-55, 1998
    • 20 김강덕, 임창복, 김영동, "21세기 교회의 선교교육", 서울: 한국 기독교교육연구원, 2007
    • 21 한국일, "세계를 품는 그리스도인",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4
    • 22 장훈태, "한국교회와 선교의 미래", 서울: 도서출판 대서, 2012
    • 23 이태웅, "한국선교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1994
    • 24 김은수, "현대선교의 흐름과 주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25 최형근, "“선교적 교회란 무엇인가?”", 「목회와 신학」3월호: 45-63, 2013
    • 26 최바울, "“한국 선교의 문제점 고찰.”", 「크리스챤 저널」년 제 89호): 6-15, 1992
    • 27 김병윤, "“더 많은 기회, 새로운 경험.”", 「복음과 상황」제103호 : 100-101, 2000
    • 28 진재혁, "왜 청년학생이어야 하는가?", 서울: 선교한국, 1994
    • 29 고광석, "개혁주의 선교신학과 문화론", 미간행: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교재, 2017
    • 30 정경환, "“세계화와 한국교회 단기선교.”", 박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8
    • 31 채수일, "“테오 순더마이어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구 신앙과 신학)」제31 권 가을호): 25-45, 2004
    • 32 전문인, "선교사. ", 년 10월 6일 접속, 2017
    • 33 김세윤, "“한국교회 안의 신학적 혼돈들.”", 「목회와 신학」: 41-55, 1999
    • 34 이상훈, "하나님 백성의 선교적 사명과 책무",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선교신학」36권 : 165-203, 2014
    • 35 박용미, "“인천계산교회 새터민 맞춤사역,”", 기독신문. 년 2월 4일, 2013
    • 36 정승현,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인 교회.”", 「선교와 신학」20집 : 184-214, 2007
    • 37 고광석, "이슬람, 기독교와 뿌리가 같은가", 서울: 도서출판 엔크, 2016
    • 38 이현모, "“지금, 하나님은 당신을 부르신다.”", 「빛과 소금」제147호 : 31-45, 1997
    • 39 백신종, "“한국교회의 단기선교 회고와 전망,”", 한국세계선교협의회 세계선교전략회의 발 표문. . 년 7월 24일 접속, 2017
    • 40 김성복, "“현지인과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 법.”", 「빛과 소금」: 45-52, 1997
    • 41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세계선교부., "사도행정 29장을 열어나가는 비전 트립", 서울: 도서출판 홍가비전, 2008
    • 42 선교한국, "“굵고 짧게 헌신하는 그리스도 세대를 위해", ”「청년학생 선교저널」제3호 : 5-20, 1995
    • 43 김승기, "“단기선교를 통한 농촌교회 활성화 방안.”", 박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12
    • 44 최방은, "“선교적 교회론에 따른 지역교회의 선교방향 연구”", 박사학위 논문, 장로회신 학대학교, 2015
    • 45 홍혜은, "“해외 한국 선교사 27,205명 파송…줄어들기 시작할까,”", 『기독일보. 년 1 월 12일, 2017
    • 46 Stiles, J., "Mack. Short-Term Missions. 최동수 역. 위대한 도전 단기선교", 서울: 죠이선교회, 2005
    • 47 김용신, "“한국교회의 현대예배 적용을 통한 교회성장방안 연구.”", 박사학위 논문, 총신 대학교, 2016
    • 48 송우재, "“사례연구를 통한 성경공부의 원리와 적용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총신 대학교, 2013
    • 49 한국일, "“한국적 상황에서 본 선교적 교회 :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선교와 신학」 가을호): 75-115, 2012
    • 50 백신종, "단기선교 퍼스펙티브: 단기선교에 나타난 하나님의 섭리", 서울: 두날개, 2008
    • 51 김희수, "“국내거주 네팔 노동자 선교를 통한 네팔의 선교전략 연구”", 박사학위 논문, 총 신대학교, 2014
    • 52 정경호 ( Gyeong Ho Jung ), "단기 선교의 전략적 교육과 훈련이 요청되는 오늘의 한국교회",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선교와 신 학」70집 : 303-337, 2014
    • 53 Van Engen, "Charles. God’s Missionary People. 임윤택 역. 모이는 교회, 흩어지는 교회", 서울: 두란노, 1994
    • 54 성남용, "“현장 선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교회 단기선교의 오늘과 내일.”", 「개혁 주의 선교신학회」, 10): 40-53, 2007
    • 55 장정훈, "“개혁주의 선교신학의 입장에서 Missio Dei에 대한 비판과 선교적 교회론.”", 박 사학위 논문, 총신대학교, 2015
    • 56 김병국, "“그리스도를 위해 자신의 이익과 반대로 가자/ 인천계산교회 김태일목사,”", 기 독신문. 년 2월 2일, 2015
    • 57 이광희, "“교회의 선교적 기능회복을 위한 ‘평신도 목회 패러다임전환’에 관한연구.”",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현 상과 인식」통권 101호 : 175-214,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