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임진왜란 초기 해전을 통해 본 朝・日 수군 비교 = Comparison of The Korea and Japanese naval Forces in the Early Naval Battles of the Imjin War
저자
신윤호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0-147(28쪽)
제공처
The Joseon navy showed unmatched victories in the naval battles of the Imjin year. In the first and second naval battles, the Japanese troops who spotted the Joseon Navy often fled. Their tactics were passive and defensive, taking positions on hills on land and firing bullets. The ornate appearance of the Japanese warships indicated that they had no understanding and were not prepared for naval battles.
The battle that truly revealed the true nature of the Japanese navy was the Battle of Hansan Island during their third outing. Up until this point, the Japanese navy had been looting, burning, and stationing as they had not anticipated a naval battle. Therefore, the Joseon navy unilaterally attacked the Japanese navy when they found them. In comparison, at the Battle of Hansan Island, the Japanese navy went head-to-head with the Joseon navy. The difference in combat power was evident in this battle. The Joseon navy was able to fire large cannons from a distance, while the Japanese navy’s close-quarters tactics of fighting after getting on the enemy’s ships were ineffective against Joseon’s tactic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navies’ naval capabilities was in their ability to operate large cannons. It is in this context that it makes sense that Toyotomi Hideyoshi ordered large ships to be built to carry large cannons after the Battle of Hansan Island.
The Joseon navy was full of morale and made its fourth appearance in Busan. After the Battle of Hansan Island, the Japanese banned naval battles, built castles in Geojedo and other places around Busan, and began to defend. This was because Busanpo was a strategic point as a supply base.
Although the Joseon navy won four naval battles in the year of Imjin, neither country had information about the other’s naval forces before the outbreak of the war. While preparing for the Japanese invasion, Joseon focused on preparing for land battles, thinking that Japan was strong in water battles but at a disadvantage when it came to land. Japan did not form a naval force for naval warfare because they did not know about the Joseon navy. It was only after a naval battle after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that the two countries came to know about each other’s combat power.
The significance of the outcome of the Imjin naval battle can be found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nd Japanese navies. Joseon’s naval forces were developed to defend against the rampant Japanese warships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A fact t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Panokseon was developed during these periods. Panokseon ships were larger and more robust than Japanese warships. They could be equipped with large cannons and were developed as warships for the purpose of fighting the Japanese forces. In order to maximize the power of the naval forces, troops who could operate them were needed, which is why Yi Sun-sin constantly suggested that coastal people who were familiar with the sea be recruited into the navy.
The Japanese navy was comprised of daimyos who were subordinated to Toyotomi Hideyoshi during his unification of Japan. Their mission was to transport troops and weapons to areas of operation by ship. When the Joseon invasion force was organized in the year of Imjin, there was a vanguard line of ships that allowed the invasion force to navigate smoothly to Nagoya, Iki, Tsushima, and Busan (Joseon). The targets that the Joseon naval forces defeated in their first and second appearances were part of the vanguard line. The behavior of the Japanese naval forces during the Joseon navy’s victory suggests that they were not expecting a naval battle. In response, Japan organized naval forces for naval warfare and attacked the Joseon navy. The naval battle of Hansando soon followed, and despite facing a similarly sized Joseon navy head-on, the Japanese navy was defeated. Thi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pabilities of the two navies. The fact that Toyoto...
임진년 해전의 전개과정을 보면 조선수군이 일방적으로 승리하였다. 1차・2차 출전에서 조선수군을 발견한 일본군은 달아나기 일쑤였고, 육지 언덕에 포진하여 탄환을 난사하는 등 소극적이고 수비 위주의 전술이었다. 일본군선의 화려한 외형은 해전에 대한 개념이나 준비가 없었음을 말해주고 있었다.
일본수군의 실체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전투는 3차 출전 중에 있었던 한산도해전이었다. 그전까지는 해전을 예상하지 못하고 약탈・방화하며 주둔해 있던 일본수군을 발견한 후 일방적 공격을 퍼붓는 상황이었던데 반해, 한산도해전은 일본수군이 조선수군을 목표로 출전하여 정면으로 대결했다는 점이다. 이 전투에서 전투력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났다. 조선수군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형화포를 발사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전술 앞에 일본수군의 근접전인 등선백병전은 소용이 없었다. 이와 같은 양국 수군의 해전 수행능력의 차이는 대형화포 운용능력에 있었다. 한산도해전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대형화기를 실을 수 있는 대형선박 건조를 지시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조선수군은 사기가 충천하였고 부산지역을 목표로 4차 출전하였다. 한산도해전 이후 일본군은 해전을 금한 채 부산을 중심으로 거제도 등지에 성을 쌓고 수비에 돌입하였다. 부산포가 보급기지로서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방어선을 구축한 것이었다.
임진년 4차에 걸친 해전에서 조선수군이 연승을 거두었지만, 전란발발 이전에는 양국이 서로의 수군에 대한 정보가 없었다. 조선은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는 과정에서 ‘일본은 수전에 강하지만 육지에 오르면 불리하다’고 생각하여 육상전 대비에 집중하였다. 일본은 해전을 위한 수군을 편성하지 않았는데, 조선수군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임진왜란 발발 후 해전을 치른 후에야 비로소 서로의 전력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다.
임진년 해전의 결과에 대한 의의는 조선과 일본의 수군발달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조선의 수군은 고려말・조선초 기승을 부리던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발전되었다. 이 과정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판옥선 개발이었다. 일본군선보다 크고 견고하여 대형총통을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었는데, 왜구와 싸우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된 전선(戰船)이었다. 이러한 수군의 전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선을 운용할 수 있는 병력이 필요했는데 이를 위해 이순신은 바다에 익숙했던 해안지역 백성들을 수군으로 징발하도록 지속적으로 건의했던 것이다.
일본의 수군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복속된 여러 다이묘들이었다. 이들의 임무는 작전지역으로 군량・무기 등을 선박으로 운반하는 것이었다. 임진년 조선침략군 편성 당시 선봉행(船奉行)이 있었는데, 이들은 침략군이 일본 나고야-이키-쓰시마-부산(조선)으로 원활하게 도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선수군이 1, 2차 출전하여 무찔렀던 대상이 바로 선봉행의 일부였다. 조선수군의 일방적 승리 과정에서 본 일본수군의 행태는 그들이 해전을 예상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일본에서도 해전을 위한 수군을 편성하여 조선수군을 공격하였다. 곧 한산도해전으로 이어졌고 비슷한 규모의 조선수군과 정면 대결하였음에도 참패하였던 결과는 양국 수군의 기능 면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후 도요토미가 해전을 금 ...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