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쿠레레로서 교사학습공동체 체험의 의미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는 교사가 경험하는 쿠레레로서 학습공동체 체험을 깊이 들여다보고, 그 체험의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가 경험하는 학습공동체 체험은 무엇인가?
    2. 교사학습공동체 체험의 의미는 어떻게 교육학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2020년 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총 12개월간 진행되었다. 연구현장은 경북지역 초록군에서 운영되고 있는 초록초등학교 학습공동체, 「나가서 놀자」 놀이나눔 수업공동체, 미술모임인 세 개의 교사학습공동체이다. 연구자는 네 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참여관찰과 인터뷰, 연구자 저널, 기타 문서자료를 수집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지속적인 질문과 답을 통해 지평을 확대해 나가는 과정을 반복하며 체험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의 실천이다. 교사는 학습공동체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였다. 그러나 선택으로 인한 책임을 다하는것은 쉽지 않았다. 완전한 자유의지에 의한 자발성이 만들어내는 교사의 주체적인 삶은 우리가 보내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불편함까지도 선택하게 했다.
    둘째, 대화의 체험이다. 교사는 교실 밖으로 나와 동료교사인 타자를 만나며 자신의 목소리와 색깔을 드러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동료교사와 나눈 잡담과 의미있는 대화를 체험하였고, 자신들의 의견을 내고 함께 결정하여 실천되는 경험을 했다. 또한, 교육과정 협의회, 교사수준 교육과정 만들기,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공간 혁신사업, 수업나눔 등의 협력을 향한 조율을 통해 대화를 체험하였다.
    셋째, 시선의 체험이다. 학습공동체에는 다양한 시선이 존재했다. 동료교사들간의 불편하고 두려운 시선, 공감하는 시선, 학습공동체를 바라보는 외부의 다양한 시선들이 있었다. 이 시선들 사이에서 교사들은 자기 목소리 내는 것을 포기하며, 마음을 닫고 상처를 받기도 했다. 반면에, 마음이 연결되는 찰나를 체험하기도 하였다.

    위의 교사학습공동체 체험을 바탕으로 교육학적인 의미를 찾고 해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나’를 찾는 길이다.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고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자신의 교육철학을 찾아가는 시간은 계속되었다. 이것은 교사로서의 진정한 삶을 찾기 위한 과정이었으며, 공동체 안에서 지속적으로 함께 찾아가려고 하였다.
    둘째, 타자를 위한 윤리적 실천이다. 우리는 모두 공동체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우리는 교육과정의 실천에 대한 고민과 질문을 드러내고, 공동체 구성원과 함께 그 답을 찾아나갔다. 또한, 구성원들과 함께 결정하고 책임을 지며 합의한 만큼 실천해나갔다. 이런 과정이 결론적으로 교육과정이 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는 학습공동체 그리고 교육현장의 세계를 함께 열어가는 타자를 위한 윤리적 실천이다.
    셋째, 교육적 고민을 통한 교사 되기이다. 교육적 고민은 교사인 우리에게 그림자처럼 가까이에서 ‘교사 되어가기’의 과정을 지켜보았다. 또한, 그 고민은 교사 개인에게만 머물지 않고, 공동체 속에서 동료교사와 함께 나누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동료교사와 영향을 주고 받으며 학습공동체는 연구참여자들에게 출발점과 귀환점이 되는 집과 같은 안정감과 소속감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쿠레레로서 교사학습공동체 체험의 의미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들의 놀이시간이 되어야한다. 우리는 교사들의 자발적 선택과 책임이 있는 자율적 학습공동체를 지향해야 한다. 학습공동체는 교사가 교실 밖으로 나와 동료교사를 만나, 그 구성원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는 과정중에 있다. 학습공동체가 지속되려면 공동체의 분위기를 함께 만들어가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민주적인 협의 문화만들기, 수평적인 의사소통의 관계, 공동의 책임, 동료애, 수업나눔, 마음나눔을 일상적으로 만들어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공동체의 결정이 실천되는 경험이 쌓일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 학습공동체를 할 수 있도록 공식적인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는 타자를 위한 윤리적 실천이다. 우리는 교실 밖으로 나와서 나의 목소리를 드러내고, 다른 존재인 동료교사와 마주하며, 교육현장의 세계를 함께 열어가야한다.
    우리는 공동체 안에서 서로의 세계에 영향을 주고받는 분위기의 움직임속에 있고자하며, 그것은 유치원, 학교문화의 변화와 교사의 삶에 생동감을 주고 계속적으로 살아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 I. 서 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 문제 10
    • II. 이론적 배경 12
    • A. 교사학습공동체 담론 변화 12
    • 1. 새로운 교육체제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13
    • 2. 학교혁신의 주체로서 전문적학습공동체 18
    • 가. 학교혁신운동 19
    • 나. 자율성과 협력문화의 전문적학습공동체 21
    • 다. 학교문화개선의 전문적학습공동체 24
    • B. 교사 전문성 담론 변화 27
    • 1. 전통적 교사연수: 교사 개인의 전문성 27
    • 2. 협력적 문화속에서 함께 길러지는 전문성 32
    • III. 연구 방법 39
    • A. 연구 현장 40
    • 1. 연구현장에 들어가기 40
    • 2. 연구현장: 학습공동체 46
    • 가. 초록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48
    • 나. 나가서 놀자놀이나눔 수업공동체 54
    • 다. 미술모임 59
    • B. 연구참여자 63
    • 1. 연구참여자 선정과정 64
    • 2. 교사 65
    • 가. 오수국 66
    • 나. 채송화 68
    • 다. 김안개 71
    • 라. 김장미 74
    • 3. 연구참여자로서의 연구자 77
    • 가. 수업에 대한 어떤 것을 찾고 싶었다 77
    • 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를 발견했다 78
    • 다. 교사로서 어떤 삶을 살 것인가 80
    • C. 자료수집 81
    • 1. 참여관찰 81
    • 2. 인터뷰 84
    • 3. 연구자저널 86
    • 4. 기타 문서자료 87
    • D. 자료분석과 해석 87
    • E. 연구의 타당성 및 윤리적인 면에 대한 고려 94
    • Ⅳ. 연구 결과 96
    • A. 교사가 경험하는 학습공동체의 체험 드러내기 96
    • 1. 선택의 실천: 같이 해보면 어때 98
    • 가. 내 발로 그곳을 찾아가다 99
    • 나. 우리가 보내는 시간과 장소: 모임에 대한 시공간의 선택 106
    • 다. 불편함에 대한 선택 113
    • 2. 대화의 체험: 아! 그렇구나. 나는 이렇게 생각해 117
    • 가. 목소리 내기 118
    • 나. 잡담과 의미 있는 대화 사이 127
    • 다. 협력을 향한 조율 136
    • 3. 시선의 체험: 마음이 연결되는 찰나 157
    • 가. 따가운 시선을 받다 158
    • 나. 공감하는 시선 162
    • 다. 두렵고 불편해지는 시선 165
    • 라. 마음이 연결되는 찰나 170
    • B. 교사가 경험하는 학습공동체 체험의 교육적 의미 171
    • 1. '나'를 찾는 길 173
    • 가. '길'로서 쿠레레: 실제하는 나를 만들어가기 174
    • 나. 나를 찾아가는 수련: 공동체속에서 전문성 키워가기 179
    • 2. 타자를 위한 윤리적 실천 188
    • 가. 서로의 세계에 영향을 주며 함께 열어나간다 189
    • 나. 문제의 답은 공동체의 구성원들에게서 찾는다 192
    • 3. 교육적 고민을 통한 교사 되기 199
    • 가. 우리 앞에 펼쳐질 새로운 풍경의 낯섦과 적응 200
    • 나. 교육자치. 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209
    • 다. 교사의 삶터인 학습공동체의 분위기를 만들어간다 212
    • Ⅴ. 논의 및 결론 224
    • A. 논의 224
    • 1. 자율적 학습공동체: 교사들의 놀이시간 225
    • 2. 학습공동체는 과정속에 있다 230
    • 3. 타자를 위한 윤리적 실천의 가능성 238
    • B. 결론 241
    • C. 제언 248
    • 참고문헌 250
    • ABSTRACT 263
    • 부록 267
    더보기
    • 1 레이첼 카슨, "The Sense of Wonder", 서울: 에코리브르, 2012
    • 2 이혁규, "한국의 교육 생태계", 서울: 교육공동체 벗, 2015
    • 3 정진화, "교사, 학교를 바꾸다", 서울: 살림터, 2016
    • 4 엄기호,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 서울: 따비, 2013
    • 5 이진경, "공동체주의와 코뮨주의", 문학과 경계, 1(3), 56-84, 2001
    • 6 박남희, "레비나스, 그는 누구인가", 서울: 세창출판사, 2019
    • 7 작은학교교육연대, "작은 학교 행복한 아이들", 서울: 우리교육, 2009
    • 8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2019
    • 9 심성보, "민주화 이후의 공동체교육", 서울: 살림터, 2008
    • 10 홍승미, "혁신유치원 운영 사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11 김삼진, "덕양중학교 혁신학교 도전기", 서울: 맘에드림, 2012
    • 12 Heidegger, M., "/1998). 존재와 시간. 이기상 역", 서울: 까치, 1979
    • 13 곽승주, 정선아, 장혜진, 임부연, 이현진, 이연선, 이경화, 윤민아, 오채선, 염지숙, 연희정, 신은미, 손은실, 서보순, 김성숙, 권혜진, "유 아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 경기: 공동체, 2021
    • 14 Sellers, M.,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 한 이해[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 Deleuze, Te Whariki and curricular understandings](손유진,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이진희, 임부연, 전가일, 한선아 역)", 서울: 창지사. (원전은 2013에 출판), 2018
    • 15 Molly Bang, "몰리 뱅의 그림 수업. 이미선 역", 서울: 공존, 2019
    • 16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세종: 교육부, 2019
    • 17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개정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세종: 교육부, 2019
    • 18 서경혜, "교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탐색", 교사교육연구, 58(3), 413-426, 2019
    • 19 박지애, 소경희, "국내 교사연구 동향에 대한 고찰", 교사교육연구, 54(3), 471-482, 2015
    • 20 최남정,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 단계 탐색",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3
    • 21 권낙원,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 1-27, 2007
    • 22 교육부, "2021년 교원연수 중점 추진방향(안).", 2020
    • 23 김광현, "건축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들", 경기: 뜨인돌, 2018
    • 24 곽영순, "교사 학습공동체의 발달 단계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8(2), 83-104, 2015
    • 25 김재춘, 배지현, "들뢰즈와 교육: 차이생성의 배움론", 서울: 학이시습, 2016
    • 26 Otto Friedrich Bollnow, "Mensch und Raum, 인간과 공간. 이기숙 역", 서울: 에코리브르, 2011
    • 27 곽영순, "교사학습공동체 신자유주의 그 이후", 경기: 교육과학사, 2017
    • 28 이병환,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성격과 평가", 한국교육, 29(2), 33-55, 2002
    • 29 성열관, "2022 국가교육과정의 개편 방향과 과제", 교육과정 네트워크 이해 세미나 자료집, 2021
    • 30 Huizinga, J.,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 이종인 역", 경기: 연암서가, 2010
    • 31 곽영순, 김종윤, "한국형 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성과 과제", 교육과정평가연 구, 19(1), 179-198, 2016
    • 32 Parker J.Palmer, "가르칠 수 있는 용기. 이종인, 이은정 역", 서울: 한문화, 2020
    • 33 교육부,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 방안", 세종: 교육부, 2018
    • 34 소경희, "교사학습 이해를 위한 이론적 기초 탐색", 교육과정연구, 27(3), 107-126, 2009
    • 35 오채선, "누리과정, 놀이와 교육의 변증법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39(2), 279-305, 2019
    • 36 강정현, 권귀염, "유아 교사의 혁신유치원 근무 경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5(2), 31-56, 2021
    • 37 권낙원, "교사전문성으로서의 수업의 윤리적 측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19-41, 2009
    • 38 김남균, 이현명, 심영택, 김민조,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7), 233-254., 2014
    • 39 김송자, 박수정, 맹재숙,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 구논총, 34(1), 227-247, 2013
    • 40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53-80, 2008
    • 41 오재환, "사소한 일상이 삶의 원천이자 공동체의 토대", 부산발전포럼 2006-12, 2006(98), 66-70, 2006
    • 42 이은정, "유아교육기관 교사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교육연구논총, 41(3), 83-106, 2020
    • 43 박일관, "혁신학교 2.0 - 혁신학교를 넘어 학교혁신으로", 서울: 에듀니티, 2014
    • 44 유혜령,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아동교육, 6(1), 96-110, 1997
    • 45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교육과정 현장네트워크 구성·운영 안내 자료.", 2021
    • 46 야마구치 슈,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김윤경 역", 경기: 다산초 당, 2018
    • 47 서경혜,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운동의 의의와 과제", 교육과학연구, 50(2), 1-28, 2019
    • 48 김수아, "교원평가제에 관한 찬반 의견의 논리구조 분석", 교육연구논총, 29(1), 41-59, 2008
    • 49 김현주, "교육철학의 성격과 역할: 실천철학을 지향하며", 교육철학, 41, 93-118, 2008
    • 50 서경혜, "반성과 실천 :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2-310, 2005
    • 51 교육부,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 추진 계획(안)", 2021
    • 52 장미연, 임재택,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생태유아 교육연구, 9(3), 81-108, 2010
    • 53 소경희, "한국의 국가교육과정의 변천과 최근의 개혁 동향",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8(1), 87-103, 2019
    • 54 홍석재, "“코로나 19 학습결손, 정말 심각하게 보고 있다”", 한겨레 신 문. 에서 2021년 6월 7일 출력, 2021
    • 55 서경혜,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한 접근: 교사학습공동체", 서울: 학지사, 2015
    • 56 나귀수, "초등학교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 구, 20(3), 373-395, 2010
    • 57 김경희,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인재를 만드는 미래의 교육", 서울: 예문아 카이브, 2019
    • 58 오찬숙, "교사학습공동체의 개혁확산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고려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59 김민정, 조형숙,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학습공동체의 의미", 유아교 육연구, 31(4), 119-142, 2011
    • 60 소경희, "교사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 연구, 21(4), 77-96, 2003
    • 61 김대훈,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지리교사 전문성 발달", 한국교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62 오찬숙, "교사학습공동체 특성에 따른 공유와 정착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 연구, 33(1), 297-328, 2016
    • 63 유혜경, "교원능력개발 평가가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교육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64 유혜령, "소수 민족 유아의 유치원 생활 경험: 현상학적 이해", 교육인류학연 구, 2(2), 139-170, 1999
    • 65 문진미, "유치원 교사의 놀이기록 공유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한국교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66 박미리, "공립유치원 교사의 수업외적 업무 부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67 손은실, 이성은 , 오채선, "달님반에서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 경 험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975-1004, 2020
    • 68 최효영,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69 심성보, "코로나 시대, 마을교육 공동체운동과 생태적 교육학", 서울: 살림터, 2021
    • 70 박시영, 홍석희, 주주자, 조윤정, 임현화, "전문적 학습공동체 사례 연 구를 통한 성공요인 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 71 Deleuze, G., "푸르스트와 기호들[Proust et signes](서동욱, 이충민 역).", 서울: 민음사 (원전은 1964에 출판), 2018
    • 72 이우학교십주년기념사업회, "꿈꾸고 도전하고 함께 가다. 이우학교 십 년의 발자취", 성남: 이우학원, 2013
    • 73 교육부,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안)", 2020
    • 74 김희규, "교원평가제도의 개정에 담긴 정책적 함의와 개선 방안", 인력개발연 구, 10(3), 265-286, 2008
    • 75 최수진, "국내 고등학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 모습과 과제", 교육과정연 구, 36(1), 169-196, 2018
    • 76 함은숙, 심성경, 박수경, "교사 학습공동체를 통한 유아 평가의 실행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52(1), 33-49, 2013
    • 77 김영주, 황영동, 윤승용, 심유미, 박용주, 박미경, "배움과 나눔으로 삶을 가 꾸는 남한산 초등학교 이야기", 서울: 문학동네, 2013
    • 78 오채선, "유아교육 보육 정책 변화에 따른 유아교사 전문성 탐색", 유아교육 학논집, 15(5), 249-277, 2011
    • 79 Sergiovanni, T. J., "학교 공동체 만들기[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주 철안 역.", 서울: 에듀케어. (원전은 1994에 출판), 2004
    • 80 제천간디학교, "흔들리며 피는 꽃, 간디학교: 제천간디학교 10년의 기록", 서 울: 궁리출판, 2013
    • 81 염지숙, 오채선,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형성을 위한 비판적 고찰”", 열린 유아교육연구, 21(1), 319-341, 2016
    • 82 조한혜정,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 서울: 또하나의문화, 2006
    • 83 이영신, "교사학습공동체 이론을 적용한 교사 현직 연수 모형 탐색", 서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84 심성보, "이 시대는 교사에게 어떤 역할과 역량을 요구하고 있는가", 한국교 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26, 2017
    • 85 전남익, "교사학습 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과정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86 양천수, 최샘, "타자에 대한 책임의 근거 - 레비나스의 철학을 예로 하여 -", 법철학연구, 23(1), 169-208, 2020
    • 87 허수향, "한국유아교육에서의 공동체교육에 대한 고찰. 영유아교육", 보육연 구, 7, 5-25, 2014
    • 88 정정훈, "자신을 마주할 용기: 교육과정수업에서의 쿠레레 의미 탐색", 교육 과정연구, 34(3), 103-126, 2016
    • 89 오승현,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체육교사의 변화 경험과 요인 탐색", 한국 스포츠교육학회지, 21(3), 67-88, 2014
    • 90 사영숙, "수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영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 탐구", 배재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91 윤소영, "저경력 유아교사들의 어려움해결을 위한 학습공동체 이야기",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92 박지희, 조형숙, 염지숙,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직교사교육 연 구동향분석", 유아교육연구, 34(5), 207-228, 2014
    • 93 Husserl, E., "/2009).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1, 이종훈 역 (2009)", 서울: 한길사, 1930
    • 94 오채선, "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 전략. 한국유아교육", 보 육복지학회 2017년 춘계전국학술대회 논문집, 2017(1), 57-84, 2017
    • 95 J. Abner Peddiwell, "The Saber-Tooth Curriculum. 김복영, 김유미 역.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 경기: 양서원, 1995
    • 96 윤지혜, "가르치는 예술가 되기 : 한 사진 예술강사의 사례를 중심으 로.",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97 이연선, "새로운 교육담론과 실험적 실천: 뇌과학, 놀이 그리고 페다고지", 임부연, 정낙림, 조상식, 정광순, 곽영순, 최승현, 류미향, 전가일, 이진 희, 이연선 (공저).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1 (p. 341-372). 경기: 교육과학사., 2020
    • 98 김서연,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가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경 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99 김나희,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들의 변화 양상",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100 진다정,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한 놀이중심 교육의 이해와 실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101 박수정, 석민기, "유치원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운영 특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695-713, 2020
    • 102 김지선, 김지영, "초중등학교에서의 교원평가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초등교육연구, 27(2), 315-337, 2016
    • 103 이은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 배움공동체의 이해와 재구성 과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104 심성보,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반공동체성과 민주적 공동체 교육의 요청", 교육비평, 4, 106-125, 2001
    • 105 송경오, 허은정, "교사의 학습기회가 교직 신념 및 교수법 활용에 미 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4), 89-116, 2011
    • 106 유혜령, "현상학적 글쓰기:형언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살아나는 공간 만들 기", 교육인류학연구, 17(4), 1-34, 2014
    • 107 Otto Friedrich Bollnow, "Padagogik in anthropologischer Sicht. 오인탁, 정혜 영 역(1990). 교육의 인간학", 서울 : 문음사, 1977
    • 108 김정아, "공립유치원 교사의 행정적 업무수행의 어려움 및 개선에 대한 인 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09 한혜정, "한국 교사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자서전적 방법의 이론적 기초 탐 색", 교육과정연구, 27(1), 21-40, 2009
    • 110 안혜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사례분석을 통한 학습공동체 경험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8(4), 5-32, 2014
    • 111 신인영, "한국의 신자유주의 교육개혁 비판과 교육공공성 논리의 정당성 탐 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112 진혜영,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천하는 유아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 탐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113 김병찬, 임종헌, 유경훈, "4 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44(2), 5-3, 2017
    • 114 김병만, "신자유주의비판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 정책평가척도의 개발 방향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111-136, 2015
    • 115 고영미, "자기 성찰과 공유를 통해 함께 성장해가는 학습공동체 활 성화 방안 연구",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4(1), 67-84, 2017
    • 116 김영천, 주재홍,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생각해보는 교육과정 연구: 탐구주제 와 연구영역들", 교육과정연구, 27(2), 1-31, 2009
    • 117 이승연, 진다정, "하늘초병설유치원 교사들의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 과정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8(1), 83-111, 2021
    • 118 유혜령,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Max van Manen의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가족과 상담, 5(1), 1-20, 2015
    • 119 김은주, "유아교사의 혁신유치원에 대한 고민과 기대: 공립유치원교사를 중 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4(2), 241-25, 2015
    • 120 최성운, "유아수학교육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들의 실천 적 지식의 변화",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21 서경혜,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 과 한계", 한국교사교육연구, 26(2), 243-276, 2009
    • 122 김미진, 김병만,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 29-5, 2012
    • 123 정바울, "Lortie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재조명: 학교 변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4), 129-1358, 2011
    • 124 김남균, 심영택, 김종원, 김민조, "교사들의 반 (半) 자발성에서 출발한 학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3(4), 223-248, 2016
    • 125 김남균, 이현명, 심영택, 김민조, "교사학습공동체의 대화 분석과 교육적 의미 탐색-초등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화법연구, 0(25), 7-40, 2014
    • 126 김은준, "신자유주의 시대 교육담론과 주체형성: 한국의 대학입학사정관제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127 김호, "유아놀이중심교육을 위한 유치원 학습공동체 참여 이야기에 나타난 경험이해", 교육논총, 40(4), 189-213, 2020
    • 128 서영숙, 조선경, "‘서울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서 나타난 교사학습 공동체 경험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147-171, 2010
    • 129 곽영순, 최정순, 이승미, 이근호, "미래 사회 대비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교육과정 구상. (연구보고 RRC 2012-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 130 Seidman, I.,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박혜준, 이승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6에 출판), 2009
    • 131 박민선,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 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132 현성혜, "학교교육과정 개발 사례에서 나타난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발 전과정 분석", 교육과정연구, 38(2), 127-152, 2020
    • 133 문무경,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형성과정에서 나타난 갈등연구. 한국교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134 연희정, 이연선, "‘놀이 중심 교육과정 전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1481-1507, 2021
    • 135 유혜령,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대한 오해와 이해: 연구 논리와 연구 기법 사이에서 길 찾기",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 10(1), 5-31, 2013
    • 136 박나실, 장연우, 소경희,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 학교 안 교사학습 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과정연구, 33(4), 91-114, 2015
    • 137 Hargreaves, A., Shirley, D., "학교교육 제4의 길 1[fourth way: the inspiring future for educational change] 이찬승, 김은영 공역.", 서울: 교 육을 바꾸는 사람들 (원전은 2009에 출판), 2015
    • 138 박수경, 여선옥, "음악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 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연구, 40(6), 225-249, 2020
    • 139 박수정, 최민석, "시 도교육청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 실태 분석 : 2019학년도 주요업무계획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1077-1097, 2019
    • 140 류미경, "혁신학교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나무초등학 교 사례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141 방정숙, 선우진,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 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 분석", 초등수학교육, 17(3), 189-203, 2014
    • 142 김은주, 연희정, "혁신유치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부산ㆍ경남 공사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5(3), 269-30, 2015
    • 143 김성천,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협동 학습연구회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144 소경희, 허예지, 최유리, "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에 가정된 교사 자율 성 재개념화: Foucault 의자기 배려논의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연구, 35(2), 119-141, 2017
    • 145 유경훈, "혁신 고등학교 운영과정의 특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양가 성(ambivalence)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2(4), 229-261, 2014
    • 146 손연주, 임부연,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교사의 역할 탐구: 국가와 유아 사이 존재자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0(3), 127-148, 2020
    • 147 김용우, 정바울, "학교 혁신의 미시동원으로서 하늘별초의 전문적 학 습 공동체: 교사 인문학 연구 동아리 사례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5(2), 27-53, 2018
    • 148 박정진,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교육관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Paulo Freire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149 Fullan, M., Hargreaves, A., "교직과 교사의 전문적 자본 학교를 바꾸는 힘[Professional capital: Transforming Teaching in every school] 진동섭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전은 2012에 출판), 2014
    • 150 임부연, "이미지와 어린이 놀이의 생태성: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에 기 반한 놀이중심 미래학교에 대한 소고", 임부연, 정낙림, 조상식, 정광순, 곽영순, 최승현, 류미향, 전가일, 이진희, 이연선 (공저). 미래학교를 위 한 놀이와 교육1 (p. 17-64). 경기: 교육과학사., 2020
    • 151 강에스더, 조영하, 윤정,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과정에 대 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 분석: 미래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 구, 34(4), 155-185, 2016
    • 152 송경오, 최진영,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한 학습기회 실태 분석-사회과에 대한 교사학습기회의 형식적. 실질적 측면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5(3), 223-244, 2007
    • 15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사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 강화 방안(Ⅲ)-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개발 및 실행 (연구보고 RRC 2015-4)", 서 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 154 이승호, 정바울, "한국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실행에 관한 탐색적 연 구: 효과적 실천의 저해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4(4), 183-212, 2017
    • 155 이종철, "전문적학습공동체의 변화 과정과 변화 동인에 대한 사례 연구: 새 물결 중학교의 공동 수업 디자인 및 나눔 모임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156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Listening to children : Being and becoming](변윤희,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임부연 역)", 서울: 창지사. (원전은저 2014에 출판)., 2017
    • 157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London, 신경림, 안규남 역(1994). 체험연구 :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 동녘, 1990
    • 158 Taguchi, H. L.,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 [Going beyond the theory/ practice divid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신은 미,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진희, 임부연, 전가일, 한선아, 변윤희 역)", 서울: 창지사 (원전은 2010에 출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