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성과평가와 메타평가의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 행정학과 , 2014. 2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352 판사항(22)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 study on improv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of Korea NPO : focusing on examining the validity of performance and meta evaluations
형태사항
viii, 168 p. : 삽화 ; 30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성민
참고문헌 : p. 124-134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을 평가하는 기존 평가체계가 비영리조직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 같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하였고, 이에 앞서 현 평가에 대한 진단과 의견수렴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체계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비영리조직 성과평가체계를 크게 성과평가와 메타평가로 분류하였다. 여기서 성과평가는 개인 및 조직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로서 사업평가, 회계평가, 인사․조직평가로 구성하였고, 메타평가는 향후 보완되어야 할 이상적인 평가로서 평가투입평가, 평가실시과정평가, 평가효과평가로 구성하였다.
비영리조직 성과평가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를 위해 비영리조직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중요한 성과평가 및 지표들이 무엇이라 생각하는지에 대한 계층적 의사결정분석을 시행하였고, 비영리조직 근무자를 대상으로 성과평가에 대한 일반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 계량적인 결과도출 후 이에 대한 견해를 듣고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 때 비영리조직은 조직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 NPO, 역량배양 NPO, 권한강화 NPO로 유형화하였다.
계층적 의사결정분석(AHP)은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의 쌍대비교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의 경험이나 직관적 판단을 포착하고자 하는 방법론이다. 비영리조직의 성과평가체계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결과, 모든 결과는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일관성 지수(CI)가 나왔다. 비영리조직의 유형 구분 없이 성과평가에서는 사업평가가, 메타평가에서는 평가효과평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굉장히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성과평가와 메타평가의 세부지표는 각 비영리조직 유형별로 미묘하게 차이가 있으나 큰 맥락에서 살펴보면 공통성을 띄었다. 집단 간 차이 검증을 통해서 비영리조직 유형별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민감도 분석을 통해서 비영리조직 성과평가에 대한 중요도는 어느 정도 확고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메타평가에 있어서도 일부 변하지 않는 순위를 발견했으나 성과평가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동적 민감도가 높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비영리조직의 유형별로 성과를 무엇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차이나 각 조직유형별 특징을 반영하는 형태 혹은 정성적 평가에서 내용상의 차이 등에 대한 고려가 있다면 핵심적인 평가지표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즉, 비영리조직의 성과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핵심은 동일하나, 위와 같은 고려사항에 대한 부분이 명확하게 고려되지 않아 평가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평가의 타당성에 대한 신뢰가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드러난 비영리조직의 미션 중심적 특성이나 가치 중심적인 특성은 비영리조직의 고유한 것이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갖는다. 비영리조직의 미션 중심적인 특성과 가치 중심적인 특성은 비영리조직 유형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비영리조직은 영리조직과 공공조직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미션 중심적, 가치 중심적 특성은 비영리조직 내에서는 유형과 관계없이 의미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started from a critical mindset that the existing evaluation scheme was insufficient to reflect the uniqueness of nonprofit organizations (NPOs). To further specify the NPO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t is divided into performance evaluation and meta evaluati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ans a practical assessment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comprising business evaluation, accounting evaluation,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evaluation, whereas the meta evaluation means ideal evaluation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and deals with evaluation input, evaluation implementation procedures, and evaluation effects.
For an improved NPO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is research operat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on NPO expert groups for their opinions on the key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indicators along with general surveys on performance evaluation for NPO employees. After drawing a quantitative result, experts were invited for in-depth interview to discuss their opinions. Here, based o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NPOs are classified into service NPOs, capacity building NPOs, and empowerment NPOs.
As a result of NPO performance evaluation scheme’s priority, all of the outcomes shows consistency index(CI) within the reliable range. Regardless of NPO typ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es business evalua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reas meta evaluation identifies evaluation effect assessment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ith a considerably high weighted value. Sub-indicator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meta evaluation represent subtle differences according to NPO types, but they show common aspects from a larger picture. The group-to-group’s difference verification has proven that no big difference existed according to NPO types. The sensitivity analysis finds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NPO performance evaluation is firm to some extent. Part of the priority order within meta evaluation is found-unchanged with a higher dynamic sensitiv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 research’s findings suggest a confirmation that key evaluation indicators can be identically applied if there is proper consideration on different performance natures, depending upon NPO types, forms reflecting organizational type-specific features, differences in details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etc. This research has given important contributions that it successfully finds unique characteristics of NPOs such as mission-oriented and value-centered characteristics. The mission-oriented NPO characteristics and value-oriented features show no big type-specific difference. The findings also clarify that NPOs have different features than profit organizations or public organizations, and their mission-oriented and value-oriented features are significant within NPOs regardless of their typ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