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장애인 전환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 이후를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연구목적: 국내 장애인 전환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08년부터 2020년 6월 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장애인 전환교육을 제목이나 초록에 포함하는 연구를 수집하였다. 포함 및 제외준거에 따라 총 14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 기준에 근거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전환교육 연구는 2008년부터 대체로 증가하다 2013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환교육 관련 연구의 주제어로 교육, 프로그램, 지원, 교사 등의 단어와 요인, 역할, 자기결정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연구 유형에서 조사연구와 문헌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문헌연구는 전략 실행 방안 연구, 조사연구는 교사 인식 연구가 다수였다. 실험연구의 경우, 중·고등학생의 일상생활자립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질적연구는 학교급, 성인기 전환이 중심 주제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인 전환교육 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on transition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eek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 Among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8 to June 2020, the studies including the word ‘transition education’ in the title or abstract, and studies satisfy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A total of 145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earch studies on transition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ince 2008; however, after 2013 a decline has been observed. The result of keyword analysis showed education, programs, support, teachers, factors, roles, and self-determination as frequently used words in the collected studies. Survey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of research types. The frequent topic of literature review studies was strategy implementation plans, while teacher recognition was identified as a common topic for survey studies. In the case of experimental studies, many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to improve the independent daily liv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main topic for qualitative studies was the transitions to school and adulthoo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task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n transition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suggested.

    더보기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요약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 1 이현명,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7 (27): 57-87, 2017
    • 2 나경은, "학습장애아동 및 성인을 위한 전환교육연구의 질적지표에 의거한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167-186, 2012
    • 3 박윤정, "학습장애 학생의 전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국내 및 미국 중재연구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245-273, 2016
    • 4 홍주희,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9 (29): 135-162, 2019
    • 5 김영준, "평생학습 측면에서 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의 활용방안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37-166, 2015
    • 6 이경림, "특수학급학생의 중학교 전이기 지원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237-259, 2008
    • 7 박석돈, "특수학급교사의 전환교육인식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65-290, 2011
    • 8 이미지,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초·중등 학교급 전환에 요구되는 교육지원요소 탐색: 개념도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95-121, 2019
    • 9 이경림, "특수학급 교사의 초등학교 6학년 장애학생의 전이기 지원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분석-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93-210, 2008
    • 10 한경근, "특수학교의 직업전환교육에 대한 지역사회 기관의 인식: 개별화전환교육계획을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1-19, 2013
    • 11 정성민, "특수학교(급) 고등부 전환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45-171, 2013
    • 12 황순영, "특수학교 중등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 운영 실태 및 운영 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9 (19): 259-291, 2018
    • 13 정윤우, "특수교육교사의 전환교육 실행 동기요인과 인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1 (11): 113-131, 2018
    • 14 박영근, "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수행에 따른 딜레마- 네 가지 딜레마 프레임을 활용한 질적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29-57, 2013
    • 15 김요섭, "특수교사의 인식을 통하여 본 학습장애 학생 전환교육의 중요도와 실행정도 및 개선방안" 특수교육연구소 15 (15): 155-176, 2016
    • 16 윤태성, "충남 중등특수학급 전환교육 실태 및 개선방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17-41, 2008
    • 17 나수현,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중학교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85-109, 2009
    • 18 함보라,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장애학생 전환기 협력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요구" 특수교육연구소 19 (19): 75-99, 2020
    • 19 배연경,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장애유아의 적응기술에 관한 교사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111-139, 2010
    • 20 배애란, "초등학교 교사의 장애인식, 특수교육 전문성, 장애학생의 초등학교 전환, 통합교육 효율성의 구조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223-248, 2019
    • 21 나수현, "초등 장애학생의 일반중학교 전이에 필요한 기술 : 일반중학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259-284, 2008
    • 22 박원경, "청각장애학생의 전환관련 요인 및 특성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611-644, 2012
    • 23 오혜정, "청각장애유아의초등학교 통합교육 준비를 위한 전환교육"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3 (3): 21-38, 2012
    • 24 오혜정, "청각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환교육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73-196, 2009
    • 25 강소영, "지체장애학생의 전환교육 관련국내 연구동향 분석 - 1990년~2013년까지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5-44, 2014
    • 26 송승민, "지체장애 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요소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93-217, 2015
    • 27 김영한,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환교육 실행수준과 실행역량에 관한 인식 특성"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349-372, 2013
    • 28 정성은,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전환을 위한 고용능력 및 생활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299-326, 2017
    • 29 김정민, "지적장애학생의 전환역량 요인 탐색"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201-221, 2019
    • 30 김영준, "지적장애학생의 전환교육프로그램과 특수교육과정 사회교과의 통합적 접근 구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41-172, 2012
    • 31 조인수, "지적장애학생의 전환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자기주장․자기결정 사정도구 구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49-80, 2013
    • 32 정동영, "지적장애학생의 전환 지원을 위한 진로교육의 목표와 방법 탐색"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7 (7): 1-25, 2014
    • 33 이근용, "지적장애학생의 대학 기반의 전환 프로그램 준비에 대한 교사의 지원 특성"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25-54, 2017
    • 34 박정식, "지적장애학생의 대학 기반의 전환 프로그램 준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157-183, 2016
    • 35 조인수, "지적장애학생들의 개별화전환교육계획을 위한 협력적 전환사정 모델 적용"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99-216, 2009
    • 36 최명미, "지적장애학생 전환서비스 조정을 위한 기관 간 협력 실행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1-27, 2015
    • 37 조인수, "지적장애학생 전환교육의 이슈와 실행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36, 2012
    • 38 박은희, "지적장애특수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결과중심전환교육 최상의 실천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93-122, 2012
    • 39 박희찬, "지적장애인 고등학교 졸업 이후 전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24, 2013
    • 40 김형일, "지적장애 학생의 중등 이후의 전환과 교육 방안 : 대학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09-227, 2014
    • 41 서효정,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전환과 고등교육 프로그램(TPSID) 분석 연구: 미국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287-319, 2018
    • 42 정윤향,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기능적 성인생활기술 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99-1320, 2019
    • 43 홍정숙, "지적장애 특수학교 전환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387-408, 2015
    • 44 김유리,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47-68, 2011
    • 45 이미지, "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 학생의 초·중등 학교급 전환을 위한 교육지원 요소 탐색_ 초·중등특수교사 인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 46 서혜연,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 진로지도효능감,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69-96, 2019
    • 47 배내윤, "중증 자폐성 장애 청소년의 성인기 전환에 대한 가족지원 요구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2 (12): 31-59, 2013
    • 48 양재원, "중등학급 특수교사의 전환교육계획 실행수준"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283-307, 2012
    • 49 정윤우, "중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전환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287-314, 2009
    • 50 박영근, "중등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71-90, 2014
    • 51 김경화, "중등특수교사의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준비도 및 만족도에 대한 인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209-234, 2013
    • 52 김경화, "중등 특수교육 교사들의 전환교육 및 서비스 수행에 대한 인식 조사" 교육연구원 29 (29): 121-138, 2013
    • 53 박은송, "중도장애학생의 졸업 후 지역사회 전환에 따른 진로·직업 실태 및 교육효과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59-180, 2011
    • 54 교육부,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8
    • 55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3
    • 56 교육과학기술부, "제3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8
    • 57 김경신, "정신지체학교 전공과 졸업생의 직업전환교육과 직무수행 및 직무만족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95-117, 2008
    • 58 송소현, "정신지체․자폐성장애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1990년~2010년까지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21-248, 2011
    • 59 김창호,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졸업생의 진로실태 및 전환교육 효과 분석"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85-105, 2013
    • 60 홍주희, "전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 고등학생 가족의 전환준비 및 가족역량강화 과정에서의 경험과 인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3 (13): 41-72, 2020
    • 61 박찬웅, "전환지원 정착을 위한 개념 정립과 실행 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69-292, 2009
    • 62 박인숙, "전환중심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특수교사의 전환교육지식과 교수수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73-394, 2012
    • 63 정연수, "전환서비스 기반 발달장애성인평생교육 운영경험 연구: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8 (28): 1-27, 2018
    • 64 송정선, "전환사정 실행에 대한 영역과 내용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351-371, 2009
    • 65 조인수, "전환사정 실천사항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교사의 인식수준"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8 (48): 133-152, 2009
    • 66 조인수, "전환기 지적장애청소년의 오락, 여가 및 건강생활 증진방략"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29-148, 2014
    • 67 우선주, "전환기 지적장애 청소년의 가정 및 독립생활기술에 대한 중등특수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93-819, 2019
    • 68 한선경, "전환기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직무환경에서의 AAC 적용" 2 (2): 99-117, 2014
    • 69 임혜경, "전환기 장애청소년이 지각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211-236, 2015
    • 70 이현주, "전환기 장애청소년의 미래 계획 수립을 위한 개인중심계획 프로그램 적용"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1 (21): 73-98, 2019
    • 71 복헌수, "전환교육지원센터 담당교사에게 들어본 전환교육 지원기관의 현실과 발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9 (29): 191-220, 2019
    • 72 김형일, "전환교육의 이론적 모형 탐색을 통한 교육적 시사점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18, 2008
    • 73 이정은, "전환교육을 위한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요구 조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129-153, 2008
    • 74 조인수, "전환교육서비스 실행 기초형성 철학적 배경 함의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75-208, 2014
    • 75 조인수, "전환교육계획과정에서의 가족․부모 역할체계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93-211, 2009
    • 76 김민영, "전환교육 현장 전문가들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적용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31-54, 2010
    • 77 조성욱,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직업재활학회 21 (21): 117-140, 2011
    • 78 박영근,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69-90, 2014
    • 79 김영준, "전환교육 측면에서 본 발달장애학생의 자립훈련을 위한 증거기반 교수기술에 대한 학습스타일 사정방법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153-213, 2014
    • 80 박정식, "전환교육 직무수행능력 기준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능력정도와 학교의 실행역량과의 관계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4 (24): 288-321, 2017
    • 81 박영주, "전환교육 전문가의 수행능력 기준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9 (19): 249-278, 2017
    • 82 강혜경, "전환교육 요소를 적용한 문제중심학습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및 중재 교사의 경험" 특수교육연구소 10 (10): 143-175, 2011
    • 83 조인수, "전환교육 실행과정에 따른 실천적 과제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97-122, 2011
    • 84 박영근, "전환교육 수행에 따른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교사 인식: 혼합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19-243, 2014
    • 85 이현주, "전환교육 관련 전문성 개발활동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7 (17): 91-114, 2018
    • 86 박영근, "전환교육 과정에서 가족참여의 중요성과 참여율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혼합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439-460, 2014
    • 87 송여미, "재택순회교육 대상 학생의 성인기로의 전환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01-221, 2014
    • 88 이숙향, "장애학생의 학교급간 전환 관련 국내 연구동향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07-130, 2015
    • 89 나수현,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지원요소 및 실행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215-240, 2014
    • 90 김희주, "장애학생의 직업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사회 연계 및 기관 협력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8 (28): 85-111, 2018
    • 91 이숙향, "장애학생의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 지원 및 지원 요구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4 (14): 71-107, 2015
    • 92 전보성, "장애학생의 중등교육이후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5-47, 2013
    • 93 박정식, "장애학생의 전환교육 증거 기반 교수 전략의 학교 현장 적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457-487, 2017
    • 94 이익동, "장애학생의 전환계획요구 평가에 대한 정서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121-141, 2013
    • 95 권택환, "장애학생의 전환계획과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만족도 비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01-116, 2010
    • 96 이숙향,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성인기 전환과 관련된 자기결정 개념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47-74, 2009
    • 97 이숙향,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과 전환을 위한 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및 효과적 중재방안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33-263, 2008
    • 98 이익동, "장애학생의 고용성과향상을 위한 특수학교-기업체연계 직업전환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서장애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1 (11): 97-120, 2011
    • 99 서선진, "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전환-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입시준비 및 대학적응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31-53, 2010
    • 100 심은정, "장애청소년의 지적장애 어머니를 위한 전환중심 양육지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3 (23): 249-279, 2017
    • 101 김지수, "장애청소년의 중등학교 이후 전환교육 지원전략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505-528, 2015
    • 102 성유진,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83-105, 2011
    • 103 이성용, "장애청소년의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55-187, 2010
    • 104 이영선, "장애청소년의 전환교육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131-161, 2011
    • 105 이설희, "장애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및 전환 프로그램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263-287, 2014
    • 106 김수정, "장애청소년을 위한 전환교육 활성화 방안 -서울시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159-184, 2010
    • 107 조인수, "장애인의 전환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0
    • 108 박영균, "장애아동 조기 전환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21, 2008
    • 109 김경화, "장애신입대학생들의 고등학교에서 제공받았던 대학 진학 관련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99-315, 2014
    • 110 서민경, "장애 학생 및 성인을 위한 현장중심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및 구성요소 고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95-123, 2016
    • 111 유명신,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환 관련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143-166, 2018
    • 112 한수진, "장애 아동 부모의 초등전환 양육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259-276, 2009
    • 113 최진혁, "자폐성장애 학생의 성공적 전환지원을 위한 특수교사의 요구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85-109, 2018
    • 114 이원희, "자폐성 장애학생 부모의 경험을 통한 초·중등전환시스템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73-200, 2014
    • 115 이효정,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고등교육 및 전환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279-305, 2011
    • 116 임대섭, "자기결정기술 중심의 전환계획프로그램이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전환계획인식, 자기결정기술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0 (10): 85-111, 2010
    • 117 이은정, "일반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정서행동장애아동과 자폐성장애아동 부모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1 (11): 27-47, 2012
    • 118 김요섭, "일반 고등학교를 졸업한 장애학생들의 전환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197-218, 2013
    • 119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4
    • 120 박애선, "어머니의 관점에서 본 발달장애자녀의성인기 전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93-113, 2018
    • 121 이숙화, "시각중복장애학생 전환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와 교사인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8 (28): 101-121, 2012
    • 122 김동복, "시각장애학생의 직업재활을 위한 전환교육 사례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5-30, 2010
    • 123 손기순, "시각장애학교 전환교육 운영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 34 (34): 75-94, 2013
    • 124 박은송, "성공적인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방향성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11-234, 2011
    • 125 박재국,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전환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239-255, 2008
    • 126 김영준, "사회교과 통합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식당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36, 2012
    • 127 이혜영, "부모의 전환과정 참여와 장애청소년의 진로결정능력과의 관계 분석" 4 (4): 81-101, 2011
    • 128 박정식, "발달장애학생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으로의 전환경로와 방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55-273, 2013
    • 129 박정식,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운영 방향 모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61-191, 2009
    • 130 김영준, "발달장애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직업교육 측면에서 본 직무기술과 자기관리기술의 통합적 교수 접근에 관한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91-330, 2014
    • 131 김지수, "발달장애학생의 고용전환 지원을 위한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프로그램 참여자와 관련자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5 (25): 73-100, 2015
    • 132 김동일,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전환교육의 효과: 국내 집단설계연구의 메타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2 (22): 1-26, 2020
    • 133 이희연, "발달장애학생 대상의 지역사회중심 교수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한국행동분석학회 6 (6): 1-22, 2019
    • 134 이영선, "발달장애청소년의 전환성과 탐색"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83-103, 2013
    • 135 이성하,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55-292, 2012
    • 136 박승희, "발달장애인의 성공적 성인기 전환에 영향을 준 요소와 전환 지원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41-175, 2012
    • 137 나운환, "발달장애인의 Empowerment 강화를 위한 전환과정과 프로그램 개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5 (15): 27-47, 2011
    • 138 박은영, "발달장애 학생의 적응행동에 대한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59-78, 2011
    • 139 박영근, "발달장애 학생들의 고등교육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실천적 과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231-257, 2013
    • 140 안예지, "발달장애 학생 언론보도기사의 주제어 및 토픽 분석: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 141 김대룡, "발달장애 대학생의 직업전환을 위한 진로태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33-152, 2011
    • 142 한경임, "발달장애 고등학생 학부모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77-103, 2013
    • 143 조인수, "독특한 교육적 지원요구학생을 위한 개별화 전환교육계획 실행방략"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89-121, 2010
    • 144 이현주,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진로 및 전환교육 교사 재교육의 방향성 탐색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209-239, 2018
    • 145 김문섭, "대인.사회적 기능 중심의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7 (17): 363-390, 2010
    • 146 홍주희, "국내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및 성과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145-169, 2016
    • 147 노주혁, "국내 전환교육 관련연구 동향분석 : 2004년 이후 국내학술지 등재논문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148 백수진, "국내 전환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18 : 127-147, 2007
    • 149 한경임,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환교육 운영 실태와 인식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4 (4): 1-29, 2009
    • 150 강민채, "고등부 특수교사의 전환교육계획과 실행과정에 대한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21 (21): 1-25, 2017
    • 151 박정식,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 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능력과 학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81-103, 2013
    • 152 박정식,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 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일상생활자립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23-44, 2013
    • 153 조인수, "결과중심전환교육 최상의 실천사항에 대한 지적장애특수학교 교사의 인식수준"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7-40, 2011
    • 154 조인수, "개별화교육 프로그램과 기본교육과정 교과별지도"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5
    • 155 조인수, "개별화 전환교육 계획을 위한 전환사정 모델과 지침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71-195, 2008
    • 156 강하늘, "가족협력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전환기 중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및 전환목표달성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117-148, 2020
    • 157 정지희, "가족중심의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과 부모의 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77-101, 2010
    • 158 Kohler, P. D., "Transition-focused education : Foundation for the future" 37 (37): 174-183, 2003
    • 159 Kraemer, B., "Transition for young adult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 School preparation, parent expectations, and family involvement" 39 (39): 422-435, 2001
    • 160 King, G. A., "The effectiveness of transition strategie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35 (35): 155-178, 2006
    • 161 Silge, J., "R로 배우는 텍스트 마이닝: tidytext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는 방법" 제이펍 2019
    • 162 McCarthy, T., "Preparing personnel to educate and employ individuals at risk : A look into the 21st century" 14 (14): 17-20, 1991
    • 163 김경화, "Perceptions of America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Family Partnership during Transition"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93-411, 2011
    • 164 김경화, "Involving Parent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in Transition Planning"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14, 2011
    • 165 Cooney, B. F., "Exploring perspectives on transi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 Voices of young adults, parents, and professionals" 40 (40): 425-435, 2002
    • 166 Kochhar-Bryant, C., "Aligning transition and standards-based education"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9 1.64 1.895 0.27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