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방송(放送) 환경에서 M.C.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연구
저자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MC,리포터학과 , 2010. 2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viii, 84 p. ; 26cm.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수록
소장기관
Abstract
A Study on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M.C.(Master of Ceremonies)
in the Environment of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im, Sung hwan
Department of M.C. Reporter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reconsider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MC in this digitalized broadcast environment. Media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very fast and it influences existing media system, also it makes the word 'new media' sounds very usual. It actually is 'media big bang'. The DMB which has been commercialized since 2005 is a good example of change in digital broadcast environment. DMB is a service which makes it possible to enjoy TV, radio and data reception during movement, and it is through digital broadcast technology. We can watch TV program whenever and wherever using mobile phone or PDA, it will open the age of 'mobile TV'.
As the digital broadcast is getting usual, experts indicate three main changes in media broadcast environment. The first change is paradigm shift. The second one is the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That is, digital media industry appeared as a main industry in country. High technology and digital media contents industry are making biggest value instead of existing traditional manufacturing industry. The last one is rapid change of the value of life. Quantity expansion of program which viewers can enjoy was naturally followed by this change. Beyond numeral increase of program, change in program quality was inevitable. Program itself was diversified and furtherly categorized and specialized. Following thes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the way viewers accept it was also changed.
On this flow, air broadcasters has already established up-to-date broadcast system which is adequate for new media environment and is concentrating force on making new and diverse programs. However, if the software doesn't follow this high-tech system, the hardware can be fallen useless. So, in this multi-media era,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media MC who actually leads the program is still very important. In short, the most crucial factor to take into consideration in this digital broadcast environment where media big bang is taking place is to secur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he talented MC.
Then, who is program host in detail? The researcher of this report has been working as a actor and MC in air broadcast for a long time, and sincerely thought about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broadcast MC. Under this consideration, researcher started this report. This report is not based on objective sight of outside observers(career researcher) but it i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f MC who is in service now and interview of senior, junior MC.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propose the desirable role of MC in digital broadcast environment. The researcher premis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roadcast is the host who actually makes and leads the program even though lots of other measures are being discussed.
By reconsidering researcher's own experience and know-how in the course of studying existing academic results, the researcher tries cohabitation of broadcast theory and actual practice in this report. The researcher tries to consider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broadcast host, especially MC confronting rapidly changing digital broadcast environment. Start point of discussion is to propose the desirable role of MC based on the researcher's direct and indirect broadcast experience. The researcher judges that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MC is very strong in this era of media big bang. It can be seen through the position of famous hosts like Kang Ho-Dong, Yoo Jae-Suk and Kim Jae-dong.
Quantity expansion of broadcast media brought mass production of diverse programs, and it lead to expansion of human resources for broadcast.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is kind of change in media environment is not definitely advantageous for the people who want to be broadcast host. As the need for personnel increases, academies to produce human force appeared a lot, but there exists much limit to mak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this multi-media era. To the end, to become a good broadcast host, they should get the virtues of fairness and credibility. Actually two of them are like the other side of coin. Because credibility can be naturally obtained when the host lead the program with fairness.
What the researcher realized through the experience as a broadcast host is that the MC should develop his own character. It also has a connection with other researchers' claim that MC should take the role of symbol in the program. It will be difficult to adjust in digital media era without their own character even though they get all other factors.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MC in digital broadcast environment is getting larger.
논문 개요
이 논문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매체 환경에서 MC의 위상과 역할을 재고하려는 것이다. 미디어 환경이 급속도로 달라지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빠른 속도로 발달되어가는 정보통신 기술은 기존 대중매체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이제 ‘뉴미디어’라는 말 자체가 일상어처럼 된지 오래다. 다매체 혹은 다채널 시대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마도 1995년 초부터 개시된 케이블 방송과 그해 말에 실시된 위성방송의 개시부터가 아닌가 싶다. 여기에 해외 위성방송 채널의 증가도 다매체 시대를 여는데 한몫을 했다고 본다. 지난 2005년부터 상용화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디지털 방송환경 변화의 가장 큰 예이다.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함에 따라 미디어 방송환경에 세 가지 큰 변화가 생겼다. 우선 무엇보다도 패러다임의 전환을 꼽을 수 있다. 패러다임의 전환은 미디어 영역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미디어의 하부구조로 통하는 광고가 그 단적인 예다. 두 번째는 산업 구조의 변화다. 요컨대 디지털 미디어 산업이 국가 최고의 산업으로 부상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끝으로 삶의 가치가 급속히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시청자들의 수용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종전 방송 매체들이 일방적으로 쏟아내는 프로그램들을 그저 수용하기에 급급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프로그램 제작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기를 욕망하게 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지상파 방송사들은 새로운 매체 환경에 걸 맞는 최첨단 방송시스템을 일찌감치 구축해놓고 보다 새롭고 보다 다양하고 보다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전력을 쏟아왔다. 그런데 제아무리 첨단 시스템에 신경을 쓰고, 그러한 장비 및 설비를 갖추어 놓았다고 해서 저절로 양질의 방송 프로그램이 제작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 첨단 시스템에 부합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이 따라주지 못한다면, 그 하드웨어는 무용지물로 전락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디지털 방송환경에서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것은 방송프로그램들을 실질적으로 이끌어가는 방송진행자의 위상과 역할일 수밖에 없다. 미디어 빅뱅이 현실화된 오늘날의 입장에서 MC의 위상과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졌다는 것이 본 연구자의 판단이다. 이는 요즘 한창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는 유명 MC들의 위상만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본 연구자는 오늘날 MC의 위상을 살펴보기에 앞서 우리나라에서 방송이 시작된 이래 MC의 유래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았다. 또한 한때 아나운서가 하던 역할이 어떻게 해서 MC에게 이전되었는지에 대한 이유도 살펴보았다. 디지털 방송환경에서 MC의 위상과 역할을 가늠해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MC에 관련된 자료 미비로 MC의 기원과 역사에 대한 연구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는 또 다른 과제로 남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자가 오랫동안 방송진행자의 한 사람으로 활동하면서 체득한 것은 방송진행자는 자기만의 캐릭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이 논문을 준비하면서 직-간접적으로 면담을 했던 MC들은 모두 자신만의 독특한 캐릭터 개발로 성공을 거둔 케이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들은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캐릭터인 지성파 캐릭터, 친서민적 캐릭터, 중도파 캐릭터로 MC의 주류를 형성해왔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새로운 유형의 형태의 다매체 캐릭터의 MC들이 큰 인기를 끌면서 디지털 방송환경에 걸맞은 새로운 MC의 상을 구현하게 되었다.
다매체 MC는 기존 언어중심의 사회에서 탈피하여 non-verbal communication 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스테이지(stage)와 플로어(floor)’, ‘스튜디오와 거실’의 경계를 없애고 격이 없는 탈권위적인 면모를 보여주어 완전히 프로그램에 동화됨으로써 시청자들의 호감과 지지를 받고 있다.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자기만의 캐릭터를 확립하여 방송의 역사에서 한 획을 그은 몇몇 MC들을 거론함으로써 그 문제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제14조(추가적 이용·제공 판단기준)
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
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학술데이터본부 정광훈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