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전통예능문화의 이해 . 제1권 - 제7권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Volume. 1]----------
      • 목차
      • 제1부 전통 서예 문화
      • 제1장 한자 생성과정과 서예 공부 방법 = 55
      • 제1절 한자 생성과정과 유래 = 55
      • Ⅰ. 한자 생성 과정 = 55
      • Ⅱ. 한자 형성의 유래 = 56
      • 제2절 서예의 의미와 공부 방법 = 57
      • Ⅰ. 서예의 의미 = 57
      • Ⅱ. 서예 공부 순서 = 58
      • Ⅲ. 서예공부 방법 = 60
      • 제3절 글씨 쓰는 자세와 붓 잡는 방법 = 61
      • Ⅰ. 글씨 쓰는 자세 = 61
      • Ⅱ. 붓 잡는 위치 = 62
      • Ⅲ. 붓 잡는 방법 = 63
      • Ⅳ. 오지제력(五指齊力) = 64
      • 제4절 운완·침완·제완·현완의 방법 = 64
      • Ⅰ. 운완(運腕)법 = 64
      • Ⅱ. 침완(枕腕)법 = 65
      • Ⅲ. 제완(提腕)법 = 66
      • Ⅳ. 현완(懸腕)법 = 66
      • 제5절 낙관과 인장 찍는 법 = 67
      • Ⅰ. 낙관방법 = 67
      • Ⅱ. 인장 찍는 방법 = 68
      • 제6절 서예감상과 필적 감정법 = 69
      • Ⅰ. 서예 감상법 = 69
      • Ⅱ. 서예 감정법 = 72
      • 제2장 집필 방법과 용봉의 의미 = 75
      • 제1절 집필 방법 = 75
      • Ⅰ. 쌍구(雙鉤) = 75
      • Ⅱ. 단구(單鉤) = 75
      • 제2절 운필의 제방법 = 76
      • Ⅰ. 필봉(筆鋒) = 76
      • Ⅱ. 중봉(中鋒) = 76
      • Ⅲ. 측봉(側鋒) = 77
      • Ⅳ. 회봉(回鋒) = 78
      • Ⅴ. 절봉(折鋒) = 78
      • 제3장 용필의 각종 방법 = 80
      • 제1절 역입·평출(逆入平出)과 장두획미·무수불축·무왕불수 = 82
      • Ⅰ. 역입(逆入)·평출(平出) = 82
      • Ⅱ. 장두획미(藏頭獲尾) = 82
      • Ⅲ. 무수불축(無垂不縮) = 83
      • Ⅳ. 무왕불수(無往不收) = 83
      • 제2절 잠두·연미, 현침·수로 = 84
      • Ⅰ. 잠두(蠶頭)·연미(燕尾) = 84
      • Ⅱ. 현침(懸針)·수로(垂露) = 84
      • 제3절 일파삼절·질삽·견사·옥루흔·절차고 = 85
      • Ⅰ. 일파삼절(一波三折) = 85
      • Ⅱ. 질삽(疾澁) = 86
      • Ⅲ. 견사(牽絲) = 86
      • Ⅳ. 옥루흔(屋漏痕) = 87
      • Ⅴ. 절차고(折차股) = 87
      • 제4절 획사인니, 내엽·외탁, 방필·원필, 만호제력, 영자필법 = 88
      • Ⅰ. 획사인니(劃沙印泥) = 88
      • Ⅱ. 내엽(內엽)·외탁(外拓) = 88
      • Ⅲ. 방필(方筆)·원필(圓筆) = 89
      • Ⅳ. 만호제력(萬毫齊力) = 90
      • Ⅴ. 영자팔법(永字八法) = 90
      • Ⅵ. 영(永)자 팔법과 한글의 기본 획 = 91
      • 제5절 필력·필세·필의 = 93
      • Ⅰ. 필력(筆力) = 93
      • Ⅱ. 필세 = 94
      • Ⅲ. 필의(筆意) = 95
      • 제4장 용묵(用墨)법·문방사우(文房四友) 선택방법 = 98
      • 제1절 용묵법(用墨法) = 98
      • Ⅰ. 용묵의 의미 = 98
      • Ⅱ. 조윤(燥潤)법 = 99
      • Ⅲ. 농담(濃淡)법 = 100
      • 제2절 문방사우(文房四友) = 100
      • Ⅰ. 먹(墨) = 101
      • Ⅱ. 벼루 = 102
      • Ⅲ. 붓 = 102
      • Ⅳ. 종이 = 103
      • 제3절 문방사우 선택 방법 = 104
      • Ⅰ. 붓 선택 방법 = 104
      • Ⅱ. 먹 선택 방법 = 106
      • Ⅲ. 종이 선택 방법 = 108
      • Ⅳ. 벼루 선택 방법 = 109
      • 제4절 문방사우(文房四友)에 얽힌 이야기들 = 110
      • Ⅰ. 먹에 얽힌 이야기 = 110
      • Ⅱ. 벼루에 얽힌 이야기 = 114
      • Ⅲ. 붓에 얽힌 이야기 = 117
      • Ⅳ. 종이에 얽힌 이야기 = 119
      • 제5장 전각(篆刻) = 125
      • 제1절 전각의 의미와 연원 및 고새(古새) = 125
      • Ⅰ. 전각의 의미 = 125
      • Ⅱ. 전각의 연원 = 126
      • Ⅲ. 최고(最古)의 도장 고새(古새) = 127
      • 제2절 상형 문자 = 127
      • Ⅰ. 자연을 본 뜬 한자 = 127
      • Ⅱ. 기록을 위한 문자 발생 = 128
      • 제3절 기록 보전의 형성과정 = 129
      • Ⅰ. 갑골문의 형성 = 129
      • Ⅱ. 금문의 형성 = 130
      • Ⅲ. 석문(石文)의 형성 = 130
      • 제4절 문자구성과 인신(印信) = 131
      • Ⅰ. 서(書)와 각(刻) = 131
      • Ⅱ. 새인의 탄생 = 132
      • Ⅲ. 초형인(肖形印) = 133
      • 제5절 전각의 신표성 = 134
      • Ⅰ. 전각의 예술적 가치 = 134
      • Ⅱ. 봉니인(封泥印) = 135
      • Ⅲ. 장서인(藏書印) = 136
      • Ⅳ. 사인(私印) = 137
      • Ⅴ. 방각(傍刻) = 138
      • 제6절 전각의 기법 = 139
      • Ⅰ. 전각의 기법 개관 = 139
      • Ⅱ. 용구의 조건 = 140
      • Ⅲ. 재료의 선택 = 141
      • 제7절 전각의 조형의식 = 142
      • Ⅰ. 장법(章法)의 조건 = 142
      • Ⅱ. 적(赤)과 백(白)의 조화 = 143
      • Ⅲ. 작품과 인의 구성 요건 = 144
      • Ⅳ. 독립된 작품으로서의 전각 = 145
      • 제6장 한국서예 개관 = 148
      • 제1절 한국서예 약사 = 148
      • Ⅰ. 고려시대 이전의 서예 = 148
      • Ⅱ. 고려시대의 서예 = 148
      • Ⅲ. 조선시대의 서예 = 149
      • 제2절 서예에 필요한 용구(用具) = 149
      • Ⅰ. 필지와 연적 = 149
      • Ⅱ. 서진과 갈개, 기타 부수품 = 149
      • 제3절 서예용구의 올바른 취급법 = 150
      • Ⅰ. 벼루 취급법 = 150
      • Ⅱ. 먹 취급법 = 151
      • Ⅲ. 붓 취급법 = 151
      • Ⅳ. 종이 취급법 = 152
      • 제4절 작품의 형식·낙관·낙관인 = 153
      • Ⅰ. 작품의 형식(形式) = 154
      • Ⅱ. 낙관(落款) = 154
      • Ⅲ. 낙관인(落款印) = 155
      • 제5절 휘호(揮毫)의 각종 이명(異名) = 155
      • Ⅰ. 달(月)의 이명(異名) = 155
      • Ⅱ. 간지(간지)(10간과 12지) = 156
      • Ⅲ. 날(日)자 이명(異名) = 157
      • Ⅳ. 계절의 이명(異名) = 157
      • 제6절 서예의 감상작품과 휘호의 요제 = 158
      • Ⅰ. 감상작품(鑑賞作品)과 휘호(揮毫) = 158
      • Ⅱ. 휘호(揮毫)의 요제(要諦) = 158
      • 제7절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 = 158
      • Ⅰ. 글씨의 미추(美醜〓아름다움과 추함) = 158
      • Ⅱ. 구성미(構成美) = 159
      • Ⅲ. 감상 작품의 구상(構想) = 159
      • 제2부 한국 전통회화 이해를 위한 기초지식
      • 제1장 한국 전통 회화에 대한 접근의 기초 = 163
      • 제1절 한국화 이해의 기초 = 163
      • Ⅰ. 제작 태도 = 163
      • Ⅱ. 재료 = 163
      • Ⅲ. 필묵의 운용[筆墨法] = 164
      • Ⅳ. 시점(視點)과 구도(構圖) = 165
      • Ⅴ. 낙관(落款)·제발(題跋) = 166
      • Ⅵ. 표구(表具) = 167
      • Ⅶ. 회화의 품등(品等) = 167
      • 제2장 한국 전통 회화의 소재와 상징 = 169
      • 제1절 용의 그림 = 170
      • Ⅰ. 용에 대한 관념 = 171
      • Ⅱ. 용의 종류와 그 성격 = 172
      • Ⅲ. 용과 전통미술 = 174
      • 제2절 호랑이 그림 = 178
      • Ⅰ. 호랑이의 성격 = 179
      • Ⅱ. 벽사용 호랑이 그림 = 179
      • Ⅲ. 까치 호랑이 그림 = 180
      • Ⅳ. 그 밖의 호랑이 그림 = 183
      • 제3절 소 그림 = 184
      • Ⅰ. 은일사상(隱逸思想)과 소 = 184
      • Ⅱ. 기우도(騎牛圖) = 185
      • Ⅲ. 우도(牛圖) = 188
      • 제4절 물고기 그림 = 189
      • Ⅰ. 물고기에 대한 관념 = 189
      • Ⅱ. 잉어 그림 = 190
      • Ⅲ. 쏘가리 그림 = 192
      • Ⅳ. 메기 그림 = 193
      • Ⅴ. 세 마리의 물고기 그림 = 193
      • Ⅵ. 아홉 마리의 물고기 그림 = 194
      • Ⅶ. 그 밖의 물고기 장식과 그림 = 194
      • 제5절 화조(花鳥) 그림 = 195
      • Ⅰ. 화조화의 개념 문제 = 195
      • Ⅱ. 대자연의 함축적 표현 = 196
      • Ⅲ. 꽃과 새의 조화 = 196
      • Ⅳ. 화조화 소재의 실례(實例) = 197
      • 제6절 새 그림 = 198
      • Ⅰ. 백로(白鷺) 그림 = 199
      • Ⅱ. 학(鶴) 그림 = 199
      • Ⅲ. 봉황(鳳凰) 그림 = 201
      • Ⅳ. 원앙(鴛鴦) 그림 = 201
      • Ⅴ. 닭 그림 = 202
      • Ⅵ. 까치 그림 = 202
      • Ⅶ. 기러기 그림 = 203
      • 제7절 소나무 그림 = 204
      • Ⅰ. 지조와 절개의 표현 = 204
      • Ⅱ. 장수의 염원 = 206
      • Ⅲ. 탈속과 풍류 = 207
      • 제8절 화병(花甁) 그림 = 208
      • Ⅰ. 화병(花甁) = 208
      • Ⅱ. 화병에 여의(如意)를 꽂는 형식 = 209
      • Ⅲ. 화병에 공작(孔雀) 깃털을 꽂은 형식 = 209
      • Ⅳ. 화병에 살구꽃을 꽂은 형식 = 210
      • Ⅴ. 화병에 연꽃을 꽂은 형식 = 211
      • Ⅵ. 화병에 모란꽃을 꽂은 형식 = 211
      • Ⅶ. 화병에 감나무를 꽂은 형식 = 212
      • Ⅷ. 화병에 장미꽃을 꽂은 형식 = 213
      • 제9절 윤리문자(倫理文字) 그림 = 213
      • Ⅰ. 명칭과 성격 = 213
      • Ⅱ. 사상적 배경 = 214
      • Ⅲ. 소재 = 215
      • Ⅳ. 각 문자도의 소재 = 215
      • 제10절 신선사상(神仙思想)과 민화 = 222
      • Ⅰ. 신선사상 = 222
      • Ⅱ. 요지연도(瑤池宴圖) = 223
      • Ⅲ. 십장생도(十長生圖) = 224
      • Ⅳ. 팔선도(八仙圖) = 225
      • Ⅴ. 선인도(仙人圖) = 226
      • Ⅵ. 민화 금강산도(金剛山圖) = 226
      • 제11절 세화(歲畵) = 227
      • Ⅰ. 세화란 무엇인가 = 227
      • Ⅱ. 세화의 내용 = 228
      • 제12절 궁궐건축의 길상장식 = 232
      • Ⅰ. 잡상(雜像) = 232
      • Ⅱ. 치미(치尾) = 233
      • Ⅲ. 석사자(石獅子) = 233
      • Ⅳ. 드무 = 234
      • Ⅴ. 닫집과 천장(天障) = 234
      • Ⅵ. 오봉산일월도(五峰山日月圖) = 235
      • Ⅶ. 전각(殿閣)의 편액장식문양(扁額裝飾紋樣) = 237
      • Ⅷ. 경복궁 아미산(蛾眉山)의 굴뚝과 석물(石物) = 238
      • Ⅸ. 경복궁 자경전(慈慶殿)의 꽃담과 십장생(十長生) 굴뚝 = 238
      • 제13절 시와 그림 = 239
      • Ⅰ. 시화일체사상(詩畵一體思想) = 239
      • Ⅱ. 조선시대의 시화(詩畵) = 240
      • 제14절 고사인물(故事人物) 그림 = 244
      • Ⅰ.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의 정의 = 244
      • Ⅱ. 작화 의도(作畵意圖)와 사상적 배경 = 244
      • Ⅲ. 고사인물화의 내용과 작례(作例) = 246
      • 제3부 한국 전통회화의 개관
      • 제1장 한국 전통 미술의 성격과 미술사 구분방법 = 253
      • 제1절 한국 전통 미술의 성격 = 253
      • Ⅰ. 한국 전통 미술의 본질 = 253
      • Ⅱ. 외래 미술의 수용 = 257
      • 제2절 한국 미술사의 구분방법 = 260
      • Ⅰ. 지역 구분 = 260
      • Ⅱ. 시대 구분 = 262
      • 제2장 선사(先史) 시대의 전통미술 = 264
      • 제1절 선사시대의 사회적 배경과 회화개관 = 264
      • Ⅰ. 선사시대의 사회적 배경 = 264
      • Ⅱ. 선사시대의 회화(선각화 線刻畵) - 개관 = 265
      • 제2절 선사시대의 미술개관 = 267
      • Ⅰ. 선사시대의 석기 = 267
      • Ⅱ. 선사시대의 토기와 금속기 = 268
      • Ⅲ. 선사시대의 장신구, 초목기 = 268
      • 제3절 석기(石器)시대의 미술 = 269
      • Ⅰ. 수혈주거지(竪穴住居址) = 269
      • Ⅱ. 분묘의 양식 = 269
      • Ⅲ. 석기의 종류 = 270
      • Ⅳ. 골각기·패기류 = 270
      • Ⅴ. 토기 종류 = 271
      • 제4절 청동기 시대의 각종 유물 = 272
      • Ⅰ. 세형동검(細形銅劒) = 272
      • Ⅱ. 동과·동모·동부(銅戈·銅모·銅斧) = 273
      • Ⅲ. 의기(儀器) = 273
      • Ⅳ. 각종 동제 영구(鈴具) = 273
      • Ⅴ. 동물형 대구(動物形帶鉤) = 274
      • 제5절 낙랑(樂浪)의 미술 = 274
      • Ⅰ. 낙랑미술의 주체성 = 274
      • Ⅱ. 낙랑의 고분 = 274
      • Ⅲ. 낙랑의 각종 유물 = 275
      • 제3장 암각화 = 278
      • 제1절 암각화의 이해 = 279
      • Ⅰ. 암각화의 의미 = 279
      • Ⅱ. 암각화 유적의 환경 = 280
      • Ⅲ. 새겨진 그림들의 종류 = 281
      • Ⅳ. 암각화를 새기는 목적 = 282
      • Ⅴ. 한국 암각화의 제작 시기 = 284
      • Ⅵ. 한국 암각화의 원류 = 285
      • 제2절 한국 암각화의 유적 = 286
      • Ⅰ. 울주 반구대 암각화 - 동물과 사람의 어울림 = 286
      • Ⅱ. 울주 천전리 암각화 - 추상적인 상징들 = 294
      • Ⅲ. 태양신의 얼굴을 새긴 신상 암각화 = 299
      • Ⅳ. 석검과 석촉을 새긴 고인돌 암각화 = 308
      • Ⅴ. 안동 수곡리 암각화 - 제의를 위한 흔적 = 309
      • Ⅵ. 그 밖의 암각화 = 312
      • 제4장 삼국시대의 전통 미술 = 315
      • 제1절 삼국시대의 사회적 배경 = 315
      • Ⅰ. 고구려 = 315
      • Ⅱ. 백제 = 316
      • Ⅲ. 신라 및 가야(伽倻) = 317
      • 제2절 삼국시대의 회화 개관 = 318
      • Ⅰ. 고구려의 회화 개관 = 319
      • Ⅱ. 백제의 회화 개관 = 323
      • Ⅲ. 신라의 회화 개관 = 325
      • Ⅳ. 삼국시대의 회화와 일본 회화 = 326
      • 제3절 삼국시대의 미술 개관 = 328
      • Ⅰ. 고구려 미술(회화·조각·공예 등) 개관 = 328
      • Ⅱ. 백제의 미술(회화·조각·건축 등) 개관 = 330
      • Ⅲ. 고신라(古新羅)의 미술(건축·조각·공예·회화 등) 개관 = 331
      • 제5장 삼국시대의 각종 회화 유물 = 334
      • 제1절 고구려의 회화 유물 = 334
      • Ⅰ. 벽화고분기(壁畵古墳期) = 334
      • Ⅱ. 매산리 사신총 주벽벽화(主壁壁畵) = 334
      • Ⅲ. 무용총의 벽화 = 335
      • Ⅳ. 각저층 벽화 = 336
      • Ⅴ. 쌍영총 벽화 = 336
      • Ⅵ. 사신도·천상도 = 337
      • Ⅶ. 우현리 벽화 = 338
      • 제2절 백제의 회화 유물 = 339
      • Ⅰ. 백제의 고분 벽화 = 339
      • Ⅱ. 백제의 유명 화공 = 339
      • Ⅲ. 금동관·관식금구 = 339
      • 제3절 고(古) 신라의 회화유물 = 341
      • Ⅰ. 고신라의 서적(書蹟) = 341
      • Ⅱ. 고신라의 회화 = 342
      • 제6장 통일 신라의 전통 미술 = 344
      • 제1절 통일 신라의 사회적 배경과 회화 개관 = 344
      • Ⅰ. 통일 신라의 사회적 배경 = 344
      • Ⅱ. 통일 신라의 회화 개관 = 345
      • 제2절 통일 신라의 회화와 서예 = 346
      • Ⅰ. 통일 신라의 미술 개관 = 346
      • Ⅱ. 통일 신라의 서예 = 348
      • 제7장 고려 시대의 전통 미술 = 350
      • 제1절 고려의 사회적 배경과 회화 개관 = 350
      • Ⅰ. 고려의 사회적 배경 = 350
      • Ⅱ. 고려의 회화 및 서예 개관 = 351
      • 제2절 고려의 미술(회화·조각·공예) 개관과 회화 및 서예의 경향 = 357
      • Ⅰ. 고려 시대의 미술 개관 = 357
      • Ⅱ. 고려의 회화의 경향과 유명 화가 = 359
      • Ⅲ. 고려의 불화와 나한도 = 361
      • Ⅳ. 고려시대의 유명 작품 = 362
      • Ⅴ. 고려의 서예와 명필가 = 363
      • Ⅲ.1. 최우(崔?) = 363
      • 제8장 조선 왕조의 전통 미술 = 365
      • 제1절 조선 왕조의 사회적 배경과 미술 개관 = 365
      • Ⅰ. 사회적 배경 = 365
      • Ⅱ. 미술 개관 = 366
      • 제2절 조선 왕조 초기의 회화 = 368
      • Ⅰ. 초기의 회화 개관 = 368
      • Ⅱ. 도화서(圖畵署)의 구성과 화원(畵員)의 시취(試取) = 370
      • Ⅲ. 화단의 제경향과 안견파 화풍 = 372
      • 제3절 조선 왕조 중기의 회화 = 385
      • Ⅰ. 중기의 회화 개관 = 385
      • Ⅱ. 초기 화풍의 계승과 절파계 화풍(浙派系畵風) = 386
      • 제4절 조선 왕조 후기의 회화 = 396
      • Ⅰ. 후기의 회화 개관 = 396
      • Ⅱ. 전통 화풍의 계승과 새 화풍의 태동 = 397
      • Ⅲ. 산수화의 새 경향 = 402
      • Ⅳ. 풍속화의 유행 = 412
      • 제5절 조선왕조 말기의 회화 = 417
      • Ⅰ. 말기의 회화 개관 = 417
      • Ⅱ. 남종화풍의 유행과 이색화풍의 대두 = 418
      • Ⅲ. 근대 및 현대 화단으로의 이행 = 424
      • 제9장 조선시대의 유명 화가와 작품명 = 426
      • 제1절 조선시대 전기의 유명 화가와 작품명 = 426
      • Ⅰ. 안견(安堅)·안견필(安堅筆)·최경(崔涇)·이상좌(李上佐) = 426
      • Ⅱ. 강희안(姜希顔)·최수성(崔壽성)·양팽손(梁彭孫)·김시·신세림(申世霖) = 427
      • Ⅲ. 이불해(李不害)·이정근(李正根)·이숭효(李崇孝)·이흥효(李興孝)·이정(李楨) = 429
      • Ⅳ. 이징(李澄)·이암(李巖)·신사임당·황집중(黃執中) = 430
      • Ⅴ. 이영윤(李英胤)·윤의립(尹毅立)·윤정립(尹貞立)·어몽룡(魚夢龍)·이정(李霆)·이경윤(李慶胤) = 431
      • 제2절 조선시대 후기의 유명 화가와 작품명 = 432
      • Ⅰ. 이계호(李繼祜)·김명국(金明國)·조세걸(曺世杰)·한시각(韓時覺) = 432
      • Ⅱ. 조속(趙涑)·정선(鄭敾)·진재해(秦再奚)·김두량(金斗樑) = 433
      • Ⅲ. 최북(崔北)·이인문(李寅文)·김홍도(金弘道)·김득신(金得臣) = 435
      • Ⅳ. 김석신·변상벽·신윤복·조명우 = 436
      • Ⅴ. 심사정·강세황·이재관·장승업 = 437
      • 제4부 한국의 전통 불교회화의 개관
      • 제1장 전통불교회화 분류 및 고려불교회화 = 441
      • 제1절 전통 불교회화 분류 = 441
      • Ⅰ. 재료에 의한 분류 = 441
      • Ⅱ. 용도에 의한 분류 = 441
      • 제2절 고려불교회화의 조성배경 = 442
      • Ⅰ. 고려 전기의 무인시대 = 442
      • Ⅱ. 고려 후기의 문인시대 = 445
      • 제3절 고려 불교회화의 주제와 내용 = 446
      • Ⅰ. 관경변상도 = 448
      • Ⅱ. 아미타불존상도 = 449
      • Ⅲ. 아미타불래영도 = 450
      • Ⅳ. 미륵하생경변상도 = 451
      • Ⅴ. 수월관음도 = 451
      • Ⅵ. 지장보살도 = 453
      • Ⅶ. 나한도 = 453
      • Ⅷ. 사경변상도 = 454
      • 제2장 탱화·괘불·만다라 = 455
      • 제1절 탱화 = 455
      • Ⅰ. 탱화의 유형과 구조 = 456
      • Ⅱ. 신앙형태별 탱화 = 457
      • Ⅲ. 탱화의 구조적 성격 = 463
      • Ⅳ. 탱화의 내용과 종류 = 467
      • 제2절 괘불 = 479
      • Ⅰ. 괘불의 의의 = 479
      • Ⅱ. 괘불의 헌괘 = 483
      • Ⅲ. 괘불의 제작과정과 이운의식 = 485
      • Ⅳ. 괘불의 유형 = 487
      • 제3절 만다라 = 493
      • Ⅰ. 만다라의 뜻 = 493
      • Ⅱ. 밀교와 만다라 = 494
      • Ⅲ. 만다라의 특징 = 495
      • Ⅳ. 만다라의 종류 = 496
      • Ⅴ. 만다라의 구조 = 498
      • Ⅵ. 만다라의 표현방법 = 500
      • Ⅶ. 태양계 만다라의 구조와 사상 = 505
      • Ⅷ. 금강계 만다라의 구조와 사상 = 510
      • Ⅸ. 9회 만다라의 구조와 성격 = 514
      • Ⅹ. 별존 만다라와 현교적(顯敎的) 만다라 = 519
      • XI. 우리나라의 만다라 사상 = 522
      • XII. 만다라에 얽힌 이야기 = 535
      • 제3장 산신도·심우도와 팔상도 = 540
      • 제1절 산신도 = 540
      • Ⅰ. 산신신앙과 산신도 = 540
      • Ⅱ. 산신설화 = 541
      • Ⅲ. 산신신앙의 형태 = 544
      • Ⅳ. 조선 건국을 도운 산신 = 546
      • Ⅴ. 동남아의 산신신앙 = 547
      • Ⅵ. 조선후기의 산신도 = 549
      • Ⅶ. 산신각과 산신도 = 551
      • Ⅷ. 독성도와 칠성도 = 556
      • Ⅸ. 용왕과 조왕신 = 559
      • Ⅹ. 여성산신·암각산신·무속산신 = 560
      • XI. 산신도의 종류와 복식 = 563
      • XII. 호랑이와 산신 = 566
      • XIII. 맺음말 = 567
      • 제2절 심우도와 팔상도 = 568
      • Ⅰ. 심우도 = 568
      • Ⅱ. 팔상도 = 570
      • 제4장 단청과 전통문양 = 573
      • 제1절 단청 = 573
      • Ⅰ. 단청의 의의 = 573
      • Ⅱ. 단청 관련용어 = 575
      • Ⅲ. 건물단청 = 575
      • Ⅳ. 한국의 단청역사 = 576
      • Ⅴ. 한국 단청의 특색 = 577
      • Ⅵ. 단청문양의 종류 = 579
      • Ⅶ. 단청문양의 명칭 = 581
      • 제2절 전통문양 = 587
      • Ⅰ. 전통문양의 의미 = 587
      • Ⅱ. 전통문양의 특성 = 588
      • Ⅲ. 전통문양의 배후세계 = 589
      • Ⅳ. 문양의 분류 = 591
      • Ⅴ. 문양의 상징성 = 592
      • Ⅵ. 팔보·암팔선 문양 = 612
      • Ⅶ. 구장·흉배 모양 = 613
      • Ⅷ. 수파·구름·귀면 모양 = 614
      • Ⅸ. 단청의 시공기법 = 615
      • Ⅹ. 단청의 순서 = 616
      • XI. 단청의 오행설과 색채관 = 620
      • XII. 단청채색의 종류와 배색 = 622
      • XII. 사찰 건축의 단청양식 = 626
      • XIII. 궁궐과 관아 건축의 단청양상 = 627
      • XV. 유교 건축의 단청양상 = 628
      • XVI. 향리의 공공 건물 = 629
      • 제5장 고승진영 = 630
      • 제1절 고승진영의 개념과 조성·봉안 = 630
      • Ⅰ. 고승 진영의 개념 = 630
      • Ⅱ. 고승진영의 조성과 봉안 = 631
      • 제2절 고승진영의 유형과 양식적 특징 및 찬문 = 638
      • Ⅰ. 형식과 구조 = 638
      • Ⅱ. 진영의 전개와 양식적 특징 = 641
      • Ⅲ. 찬문(讚文)에 대하여 = 653
      • 제3절 지옥도 = 655
      • Ⅰ. 지옥사상의 기원과 전개 = 657
      • Ⅱ. 불교의 우주관에서 본 지옥 = 660
      • Ⅲ. 지옥의 모습 = 663
      • Ⅳ. 지옥의 위치와 구조 = 665
      • Ⅴ. 지옥의 종류와 지옥의 사람들 = 666
      • Ⅵ. 지옥그림 = 673
      • 참고문헌 = 680
      • [Volume. 2]----------
      • 목차
      • 제1부 한국 전통 음악에 관한 기초지식
      • 제1장 전통음악의 전승방식과 속성·분류 및 창악 = 17
      • 제1절 전승방식 = 17
      • Ⅰ. 기록전승과 구비전승 = 17
      • Ⅱ. 직업적 전승과 비직업적 전승 = 18
      • Ⅲ. 가전적 전승과 도제적 전승 = 18
      • 제2절 전통음악의 속성 = 19
      • Ⅰ. 사회성과 민속성 = 19
      • Ⅱ. 고정성과 가변성 = 19
      • 제3절 한국 음악의 분류 = 20
      • Ⅰ. 유래·악기 편성법 등에 의한 분류 = 20
      • Ⅱ. 목적별 분류 = 23
      • 제4절 창악의 음조(音調)와 발성 = 30
      • Ⅰ. 창악의 음조 = 30
      • Ⅱ. 창악의 발성(唱樂의 發聲) = 35
      • 제2장 한국 음악사 = 38
      • 제1절 상고(上告)시대와 삼국시대의 음악 = 39
      • Ⅰ. 상고시대의 음악 = 39
      • Ⅱ. 삼국시대의 음악 = 40
      • 제2절 통일신라시대의 음악 = 42
      • Ⅰ. 당악의 수용 = 43
      • Ⅱ. 서역계악(西域系樂) = 44
      • Ⅲ. 향악의 발전 = 44
      • Ⅳ. 신라의 범패·선풍(仙風)·국선(國仙)음악 = 45
      • 제3절 고려시대의 음악 = 45
      • Ⅰ. 아악의 도입·대성(大晟)아악·송의 사악(詞樂) = 45
      • Ⅱ. 고려의 향악(鄕樂)과 악보 = 46
      • Ⅲ. 향악 정재(呈才)와 당악정재 = 47
      • 제4절 조선 전기(前期)의 음악 = 47
      • Ⅰ. 조선의 창업송가(創業頌歌) = 48
      • Ⅱ. 조선 전기의 아악·당악·향악 = 48
      • Ⅲ. 「보태평(保太平)」과 「정대업(定大業)」 = 49
      • Ⅳ. 발상(發祥)과 여민락(與民樂) = 49
      • Ⅴ. 「세종실록」과 「세조실록」의 악보 = 50
      • Ⅵ. 악학궤범·안상금보·시용향악보 = 50
      • Ⅶ. 조선전기 음악의 특징 = 51
      • 제5절 조선 후기의 음악 = 52
      • Ⅰ. 조선 후기의 아악·당악·향악 = 52
      • Ⅱ. 영산회상과 가곡·시조의 발달 = 53
      • Ⅲ. 판소리 대두와 가야금 산조 성행 = 54
      • Ⅳ. 조선후기의 성악곡 - 만대엽·중대엽·북전 = 54
      • Ⅴ. 조선 후기의 각종 악보 = 55
      • 제6절 한국전통 음악의 분류 = 57
      • Ⅰ. 아악·당악·향악 = 57
      • Ⅱ. 독주·병주·세악 = 58
      • Ⅲ. 관악·대풍류·삼현육각 = 58
      • Ⅳ. 줄풍류·방중악·합악 = 59
      • Ⅴ. 정악·민속음악·종교음악 = 59
      • 제3장 한국 전통음악의 종류 = 61
      • 제1절 제례악(祭禮樂) = 62
      • Ⅰ. 문묘(文廟)제례악(10가지) = 62
      • Ⅱ. 종묘(宗廟)제례악(8가지) = 65
      • 제2절 연례악(宴禮樂) = 66
      • Ⅰ. 연향(宴享) = 67
      • Ⅱ. 연례악의 종류 = 68
      • Ⅲ. 연례악에 쓰이는 악기 = 71
      • 제3절 영산회상 = 71
      • Ⅰ. 영산회상의 연혁 = 71
      • Ⅱ. 영산회상의 종류 = 72
      • Ⅲ. 영산회상의 10개 곡명 = 72
      • 제4절 취타 = 77
      • Ⅰ. 취타의 종류 = 77
      • Ⅱ. 취타 음악의 종류 = 77
      • 제5절 무용음악 = 79
      • Ⅰ. 일무(佾舞·祭禮舞) = 79
      • Ⅱ. 궁중무용 = 79
      • Ⅲ. 민속무용 = 81
      • Ⅳ. 한국의 무용음악 = 83
      • 제6절 산조(散調) = 85
      • Ⅰ. 산조의 연혁(沿革) = 85
      • Ⅱ. 산조에 쓰이는 장단과 조(調) = 86
      • Ⅲ. 산조의 종류 : 가야금산조·거문고산조·대금·해금·피리산조 = 86
      • Ⅳ. 가야금 산조의 종류 = 86
      • Ⅴ. 거문고·대금·해금·피리 산조 = 88
      • 제7절 농악 = 89
      • Ⅰ. 농악의 편성과 장단 = 89
      • Ⅱ. 농악에 쓰이는 악기 = 89
      • Ⅲ. 농악의 지방적 분류 = 90
      • Ⅳ. 농악 용어 = 90
      • 제8절 무속음악 = 91
      • Ⅰ. 무가(巫歌)·무(巫)악기 = 92
      • Ⅱ. 무악장단·무가가락·바라지 = 92
      • Ⅲ. 무속 무용곡·고사소리·시나위 = 93
      • 제9절 가사(歌詞) = 93
      • Ⅰ. 가사 개관(槪觀) = 93
      • Ⅱ. 가사의 연혁 = 94
      • Ⅲ. 가사의 종류 - 십이가사(十二歌詞) = 94
      • 제10절 시조(時調) = 96
      • Ⅰ. 시조의 연혁 = 96
      • Ⅱ. 시조의 종류 = 96
      • Ⅲ. 시조의 향제(鄕制) = 98
      • 제11절 범패(梵唄) = 98
      • Ⅰ. 범패 개관·재(齋)의 종류 = 98
      • Ⅱ. 범패의 종류 = 99
      • Ⅲ. 불교춤의 작법(作法) = 100
      • 제12절 판소리 = 100
      • Ⅰ. 판소리 개관(槪觀) = 100
      • Ⅱ. 판소리 연혁 = 101
      • Ⅲ. 판소리 12마당과 5마당 = 102
      • Ⅳ. 춘향가·심청가 내용의 요지 = 102
      • Ⅴ. 흥보가·수궁가·적벽가 내용 요지 = 103
      • Ⅵ. 판소리 장단 = 104
      • Ⅶ. 판소리의 조(調) = 105
      • Ⅷ. 판소리 유파(流派) = 106
      • Ⅸ. 판소리 목과 성 = 107
      • Ⅹ. 단가 = 107
      • 제13절 입창(立唱) = 109
      • Ⅰ. 입창의 개관과 연혁 = 109
      • Ⅱ. 입창의 종류 : 경기입창·서도입창·남도입창 = 109
      • 제14절 잡가(雜歌) = 111
      • Ⅰ. 잡가개관 = 111
      • 제15절 민요(民謠) = 113
      • Ⅰ. 민요의 개관 = 113
      • Ⅱ. 민요의 지방적 분류 = 114
      • Ⅲ. 경기도 민요 = 114
      • Ⅳ. 평안도·황해도·강원도·함경도 민요 = 116
      • Ⅴ. 전라도·제주도·충청도·경상도 민요 = 119
      • 제4장 한국의 전통악기 = 122
      • 제1절 한국 전통 악기의 분류 = 122
      • Ⅰ. 재료에 의한 분류 = 122
      • Ⅱ. 유래에 의한 분류 - 아악기·당악기·향악기 = 123
      • Ⅲ. 형태와 연주법에 의한 분류 = 123
      • 제2절 한국 전통 관악기의 종류 = 124
      • Ⅰ. 대금 = 124
      • Ⅱ. 중금 = 125
      • Ⅲ. 당적 = 125
      • Ⅳ. 지(지) = 125
      • Ⅴ. 소 = 126
      • Ⅵ. 약 = 126
      • Ⅶ. 적 = 126
      • Ⅷ. 퉁소 = 126
      • Ⅸ. 단소 = 127
      • Ⅹ. 피리 = 127
      • XI. 태평소 = 127
      • XII. 생황 = 128
      • XIII. 훈 = 128
      • XIV. 소라 = 128
      • XV. 나팔 = 129
      • 제3절 한국 전통 현악기의 종류 = 129
      • Ⅰ. 아쟁 = 129
      • Ⅱ. 해금 = 129
      • Ⅲ. 거문고 = 130
      • Ⅳ. 가야금 = 131
      • Ⅴ. 대쟁·금·슬 = 132
      • Ⅵ. 향비파·당비파 = 133
      • Ⅶ. 월금·공후·양금 = 134
      • 제4절 한국 정통 타악기의 종류 = 135
      • Ⅰ. 유율(有律) 타악기 : = 135
      • Ⅱ. 무율(蕪律) 타악기 : = 137
      • 제2부 판소리
      • 제1장 판소리가 의미하는 것 = 141
      • 제1절 「판」과「소리」의 의미 = 141
      • Ⅰ. 판을 벌여 향유하는 문화 = 141
      • Ⅱ. 모두 제 몫을 하는 판소리 판 = 141
      • 제2절 언어 문화로서의 판소리 = 142
      • Ⅰ. 노래로 하는 이야기 = 142
      • Ⅱ. 인간다움에 관한 이야기 = 142
      • Ⅲ. 다양한 말하기 방식의 진열장 = 143
      • Ⅳ. 상반된 이야기 방식의 교직 = 143
      • Ⅴ. 인간의 이중적 본질 반영 = 144
      • 제3절 음악 문화로서의 판소리 = 145
      • Ⅰ. 수준 높고 폭넓은 음악 = 145
      • Ⅱ. 매번 창조되는 북 장단 = 145
      • 제4절 공연 문화로서의 판소리 = 146
      • Ⅰ. 새롭게 태어나는 공연 = 146
      • Ⅱ. 토막소리 중심으로 향유 = 147
      • Ⅲ. 흥행성이 기반인 문화 = 147
      • Ⅳ. 살아 숨쉬는 인간의 문화 = 148
      • 제5절 민족 문화로서의 판소리 = 149
      • Ⅰ. 하나되는 문화 = 149
      • Ⅱ. 웃는 즐거움의 문화 = 149
      • Ⅲ. 인간다움의 문화 = 150
      • 제6절 판소리의 과거·현재·미래 = 151
      • Ⅰ. 판소리의 역사 = 151
      • Ⅱ. 판소리의 현주소 = 152
      • Ⅲ. 판소리의 미래 = 152
      • 제2장 판소리의 성격 = 154
      • 제1절 판소리의 일반적 성격 = 154
      • Ⅰ. 판소리의 광대와 고수 = 154
      • Ⅱ. 판소리의 열두 마당 = 155
      • Ⅲ. 판소리의 내력 = 157
      • Ⅳ. 판소리의 가창 방법 = 159
      • Ⅴ. 판소리의 구성과 문체 = 161
      • Ⅵ. 판소리의 사회의식 = 163
      • 제2절 판소리의 장르적 성격 = 165
      • Ⅰ. 개관 = 165
      • Ⅱ. 판소리 사설의 장르 = 165
      • Ⅲ. 판소리의 장르 = 169
      • 제3절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 = 171
      • Ⅰ. 판소리의 아름다움 = 171
      • Ⅱ. '저만큼'의 거리와 웃음 = 172
      • Ⅲ. 대상의 노래화와 시름 = 174
      • Ⅳ. 웃음과 울음으로 이루어진 우리의 삶 = 177
      • 제4절 판소리의 음악적 성격 = 178
      • Ⅰ. 판소리의 음악적 정의 = 178
      • Ⅱ. 판소리 음악의 특징 = 179
      • Ⅲ. 판소리의 장단 = 180
      • Ⅳ. 판소리의 조 = 181
      • Ⅴ. 판소리의 발성법 = 183
      • Ⅵ. 판소리의 가사 발음법과 붙임새 = 184
      • Ⅶ. 동편제·서편제·중고제의 음악적 차이 = 185
      • Ⅷ. 이면에 맞는 소리 = 186
      • 제3장 판소리의 전개과정 = 188
      • 제1절 판소리의 기원 = 188
      • Ⅰ. 판소리 기원을 찾는 시각 = 188
      • Ⅱ. 설화 기원론의 검토 = 188
      • Ⅲ. 서사 무가 기원설의 검토 = 190
      • Ⅳ. 판소리 창작 기원론 = 192
      • Ⅴ. 창우 집단과 판소리 = 194
      • 제2절 판소리의 유파와 기법적 특징 = 196
      • Ⅰ. 판소리 유파의 성립 = 196
      • Ⅱ. 판소리의 유파 = 198
      • Ⅲ. 유파별 음악적 기법 = 201
      • 제3절 판소리 명창과 더늠 = 203
      • Ⅰ. 명창의 조건 = 203
      • Ⅱ. 명창과 더늠 = 204
      • 제4절 판소리와 창극 = 210
      • Ⅰ. 판소리와 창극의 관계 = 210
      • Ⅱ. 창극의 위상 = 215
      • 제5절 판소리 8명창과 전승자들 = 215
      • Ⅰ. 〈덜렁제〉와 권삼득(權三得) = 216
      • Ⅱ. 서울의 〈경제〉와〈호걸제〉, 송흥록(宋興祿) = 217
      • Ⅲ. 〈모흥갑(牟興甲)더늠〉과 문재 고수관(文才 高壽寬) = 219
      • Ⅳ. 사풍세우 신만엽(斜風細雨 申萬葉) = 220
      • Ⅴ. 5명창(名唱)의 위용(偉容) = 222
      • Ⅵ. 대천재, 송만갑(大天才, 宋萬甲) = 223
      • Ⅶ. 〈중고제〉 김창용(金昌龍) = 224
      • Ⅷ. 명고·명무·한성준(名鼓·名舞·韓成俊) = 226
      • 제4장 판소리의 예술성 = 228
      • 제1절 판소리의 주제 구현방식 = 228
      • Ⅰ. 판소리 주제 논란 = 228
      • Ⅱ. 판소리 공연과 주제 전달 방식 = 228
      • Ⅲ. 판소리 주제 구현 방식 = 230
      • Ⅳ. 과제와 전망 = 233
      • 제2절 판소리의 사설 양상 = 234
      • Ⅰ. 판소리 사설의 성격 = 234
      • Ⅱ. 판소리 사설의 장르 교섭 양상 = 234
      • Ⅲ. 판소리 장르 교섭의 사회 문화적 배경 = 238
      • 제3절 판소리의 사설 작시 원리 = 240
      • Ⅰ. 연행적 현장성과 적층성 = 240
      • Ⅱ. 사설의 갈등 구조성 = 241
      • Ⅲ. 사설의 내용의 거시적 구성 = 242
      • Ⅳ. 창과 아니리의 교체성 = 243
      • Ⅴ. 독립적 단위의 가요형태. = 244
      • Ⅵ. 구비문학적 사설 구성 = 245
      • 제4절 판소리 사설 문체론 = 246
      • Ⅰ. 문체론의 범주 = 246
      • Ⅱ. 판소리의 문학적 진술 방식 = 247
      • Ⅲ. 자유 간접화법 = 249
      • 제5절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 251
      • Ⅰ.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개념 = 251
      • Ⅱ.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의 관계 = 253
      • Ⅲ. 선후 문제 = 254
      • Ⅳ. 의미상의 차이 = 255
      • 제5장 판소리 작품의 이해와 감상 = 258
      • 제1절 춘향가 = 258
      • Ⅰ. 숭고한 사랑의 힘 = 259
      • Ⅱ. 살맛나는 새로운 세계 = 260
      • Ⅲ. 관능의 미학 = 261
      • Ⅳ. 축제 양식에 의한 문제 해결 = 261
      • Ⅴ. 생동하는 인물들 = 262
      • 제2절 심청가 = 263
      • Ⅰ. 심청가의 제재와 판소리적 전개 = 263
      • Ⅱ. 비장과 골계의 균형과 조화 = 265
      • 제3절 흥보가 = 267
      • Ⅰ. 흥보·놀보의 인물 형상 = 267
      • Ⅱ. 작품에 투영된 의식과 주제 = 270
      • 제4절 수궁가 = 272
      • Ⅰ. 인물과 그들의 관계 = 272
      • Ⅱ. 이행기 및 현실 인식 = 274
      • 제5절 적벽가 = 277
      • Ⅰ. 〈적벽가〉의 기원과 변모 과정 = 277
      • Ⅱ. 〈적벽가〉의 주제론과 작품 구조 및 미적 특질 = 279
      • 제6절 변강쇠가 = 280
      • Ⅰ. 강쇠를 둘러싼 갈등 양상 = 281
      • Ⅱ. 옹녀를 통해 본 하층민의 전락 양상 = 283
      • Ⅲ. 〈변강쇠가〉의 판소리 문학적 의의 = 285
      • 제7절 옹고집전 = 287
      • Ⅰ. 이해의 실마리 = 287
      • Ⅱ. 이해의 실상과 허상 = 287
      • 제8절 장끼 타령 = 293
      • Ⅰ. 조선 후기 유랑민의 삶과 〈장끼타령〉의 작품 성격 = 293
      • Ⅱ. 〈장끼타령〉의 인물 형상과 그 삶의 지향 = 295
      • 제9절 배비장 타령·강릉 매화타령·무숙이타령·가짜신선타령 = 299
      • Ⅰ. 실전 판소리의 일반적 특징 = 300
      • Ⅱ. 배비장타령과 강릉 매화타령 = 301
      • Ⅲ. 〈무숙이타령〉 = 302
      • 제10절 창작 판소리 = 305
      • Ⅰ. 창작 판소리의 개념 = 305
      • Ⅱ. 창작 판소리의 형성 동인과 담당층 = 306
      • Ⅲ. 창작 판소리 열사가·판소리 예수전·오적·소리 내력·오월 광주·그날이여 영원하라 사설의 표현 특질과 주제 의식 = 308
      • Ⅳ. 창작 판소리의 의의와 전망 = 311
      • 제6장 판소리의 창본·발림과 음악 = 313
      • 제1절 판소리의 창본(唱本) = 313
      • Ⅰ. 판소리의 창본 개관 = 313
      • Ⅱ. 무명창본(별춘향가·열녀춘향수절가·원본 별주부전·심청전·적벽가·토벌가·배비장전·토생전·자치가) = 314
      • Ⅲ. 유명창본(신재효·방만춘·김창환·손만갑·이동백·정정렬·유성준·정용민 창본 등) = 314
      • 제2절 판소리의 발림과 음악 = 316
      • Ⅰ. 판소리의 발림 = 317
      • Ⅱ. 판소리의 음악 = 320
      • 제7장 한국의 전통음악가 = 322
      • 제1절 정악(正樂)의 명인(名人) = 323
      • Ⅰ. 여옥·백결선생·가실왕·우륵 = 323
      • Ⅱ. 왕산악·미마지·옥보고·안장 = 324
      • Ⅲ. 극종·김창하·함재홍·이인식 = 325
      • Ⅳ. 김종남·김종한·함제운·김경남 = 325
      • Ⅴ. 명완벽·정약대·강재흥·최학봉 = 326
      • Ⅵ. 함재명·최순명·이수경·김계선·김준현 = 327
      • 제2절 정악(正樂)의 명창. = 328
      • Ⅰ. 법지·계고·만덕·김수장·김천택 = 328
      • Ⅱ. 이세춘·박효관·안민영·하규일·이병성 = 329
      • 제3절 이론가(理論家) = 330
      • Ⅰ. 맹사성(孟思誠) 1360∼1438·박연·성현·안상 = 330
      • Ⅱ. 양덕수·이득윤·신성·서명응 = 331
      • Ⅲ. 서유구·이규경·신재효·김영제·함화진 = 332
      • 제4절 민속악(民俗樂)의 명인(名人) = 333
      • Ⅰ. 박판석·김창근·한숙구·백낙준·한성준 = 333
      • Ⅱ. 한수동·한성기·박종기·심상건·강태홍·오태석 = 334
      • 제5절 판소리 명창(名唱) = 335
      • Ⅰ. 판소리 명창 개관 = 335
      • Ⅱ. 하한담·권삼득·송홍록·염계달 = 336
      • Ⅲ. 모흥갑·방만춘·고소관·김성옥 = 337
      • Ⅳ. 송광록·주덕기·김계철·신만엽 = 338
      • Ⅴ. 박유전·박만순·심제종·이날치 = 339
      • Ⅵ. 정춘풍·주상환·송우룡·이석순 = 340
      • Ⅶ. 한송학·김정근·김거복·김창환 = 340
      • Ⅷ. 정창업·정자백·이창운·전해종 = 341
      • Ⅸ. 김창록·황호통·성창렬·백점택 = 342
      • Ⅹ. 이창윤·오끗준·배희근·강재만 = 342
      • XI. 김채만·유공렬·신학준·전도성 = 343
      • XII. 한경석·정재근·진채석·허금파 = 343
      • XIII. 송만갑·박기홍·유성준·이동백 = 344
      • XIIII. 김봉문·김창룡·이선유·김석창 = 345
      • XV. 정정렬·장판개·공창식·김정문 = 346
      • XVI. 박중근·정응민·한성준·오태석 = 347
      • XVII. 이화중선·임방울·강장원·박녹주 = 347
      • XVIII. 김연수·김여란·정광수·박초월 = 348
      • 제6절 가사(歌詞), 잡가의 명창 = 349
      • Ⅰ. 최상욱(崔相旭) 1875∼1951 = 349
      • Ⅱ. 박춘재(朴春載) 1881∼1948 = 349
      • Ⅲ. 문영수(文泳洙) = 350
      • 제3부 농악과 민요
      • 제1장 농악(農樂) = 351
      • 제1절 농악의 개념·명칭·유형 = 351
      • Ⅰ. 농악의 개념 = 351
      • Ⅱ. 농악의 명칭 = 353
      • Ⅲ. 농악의 유형 = 354
      • 제2절 농악의 유래와 변천 과정 = 355
      • Ⅰ. 농악의 유래 = 355
      • Ⅱ. 농악의 변천 과정 = 356
      • 제3절 각 시대(왕조)별 농악의 성격 = 361
      • Ⅰ. 상고시대의 농악 = 361
      • Ⅱ. 삼국시대의 농악 = 362
      • Ⅲ. 통일 신라시대의 농악 = 363
      • Ⅳ. 고려시대의 농악 = 364
      • Ⅴ. 조선시대·근대·현대의 농악 = 366
      • 제4절 각 지방별 농악의 특성 = 371
      • Ⅰ. 전라우도 농악 = 373
      • Ⅱ. 전라좌도 농악 = 378
      • Ⅲ. 강원도 강릉 농악 = 382
      • Ⅳ. 경기평택농악 = 383
      • Ⅴ. 경북 청도 농악 = 383
      • Ⅵ. 경남 진주 농악 = 384
      • Ⅶ. 부산 아미 농악 = 384
      • Ⅷ. 충북 괴산 농악 = 385
      • Ⅸ. 충북 영동 농악 = 385
      • Ⅹ. 전남 화순 농악 = 386
      • XI. 충남 공주 농악 = 386
      • XII. 북한의 농악 = 386
      • 제5절 농악에 쓰이는 악기와 깃발 = 389
      • Ⅰ. 농악에 쓰이는 악기 = 389
      • Ⅱ. 농악에 쓰이는 깃발 = 392
      • 제2장 한국 민요 = 394
      • 제1절 민요의 일반적 성격 = 394
      • Ⅰ. 비전문적 대중성 = 394
      • Ⅱ. 공동 재창작성 = 394
      • Ⅲ. 노동과 유희 기능성 = 394
      • Ⅳ. 생활 감정의 표출성 = 395
      • 제2절 민요의 분류 = 395
      • Ⅰ. 기능상의 분류 = 396
      • Ⅱ. 전파 정도·음악적 세련도·지방별 분류 = 400
      • 제3절 민요의 기능 = 403
      • Ⅰ. 노동 기능 = 403
      • Ⅱ. 유희 기능 = 405
      • Ⅲ. 정치 기능 = 406
      • Ⅳ. 종교기능 = 408
      • 제4부 산조(散調)·시조(時調)·범패
      • 제1장 산조(散調)·시조(時調)·범패 = 411
      • 제1절 산조(散調) = 411
      • Ⅰ. 산조의 개념 = 411
      • Ⅱ. 산조의 연혁 = 411
      • Ⅲ. 산조의 종류 = 412
      • 제2절 시조(時調) = 414
      • Ⅰ. 시조의 개념 = 414
      • Ⅱ. 시조의 연혁 = 414
      • Ⅲ. 시조의 종류 = 414
      • 제3절 범패(梵唄) = 416
      • Ⅰ. 범패의 개념과 용도 = 416
      • Ⅱ. 범패의 종류 = 416
      • Ⅲ. 불교 무용의 작법 = 417
      • 제2장 잡가(雜歌) = 418
      • 제1절 잡가의 개념과 명칭 = 418
      • Ⅰ. 개념 = 418
      • Ⅱ. 명칭 = 419
      • 제2절 잡가의 전개 과정 = 419
      • Ⅰ. 잡가의 악곡상 편제별 분류 = 419
      • Ⅱ. 잡가의 형성 및 전개과정 = 419
      • 제3절 잡가의 유형별 특징 = 421
      • Ⅰ. 가사계 잡가 = 422
      • Ⅱ. 시조계 잡가 = 422
      • Ⅲ. 민요계 잡가 = 423
      • Ⅳ. 판소리계 잡가 = 423
      • 참고문헌 = 425
      • [Volume. 3]----------
      • 목차
      • 제1부 한국 전통 무용(춤)의 기초지식
      • 제1장 한국 무용의 연혁과 시대별 특징 = 23
      • 제1절 한국 무용의 연혁 = 23
      • Ⅰ. 상고시대 = 23
      • Ⅱ. 삼국시대 이후 = 24
      • 제2절 한국 무용의 시대별 특징 = 24
      • Ⅰ. 상고시대 = 24
      • Ⅱ. 삼국시대 이후 = 25
      • 제2장 한국 무용(춤)의 성격·기능 및 특징 = 28
      • 제1절 한국 무용의 성격 = 28
      • Ⅰ. 성모의적 성격 = 28
      • Ⅱ. 밟음의 성격 = 28
      • Ⅲ. 벽사적 성격 = 28
      • Ⅳ. 전투적 성격 = 28
      • Ⅴ. 신맞이적 성격 = 29
      • Ⅵ. 동물 모의적 성격 = 29
      • Ⅶ. 농경 모의적 성격 = 29
      • Ⅷ. 배역춤적 성격 = 29
      • Ⅸ. 기구춤적 성격 = 29
      • Ⅹ. 복을 주는 성격 = 30
      • 제2절 한국 무용(춤)의 기능 = 30
      • Ⅰ. 생활적 기능 = 30
      • Ⅱ. 공동체적 기능 = 31
      • Ⅲ. 표현적 기능 = 32
      • Ⅳ. 예술적 기능 = 33
      • 제3절 한국 무용(춤)의 특징 = 33
      • Ⅰ. 궁중 무용의 특징 = 33
      • Ⅱ. 민속 무용의 특징 = 34
      • Ⅲ. 가면 무용의 특징 = 34
      • Ⅳ. 의식 무용의 특징 = 34
      • 제3장 한국 무용(춤)의 분류 = 36
      • 제1절 춤의 구분 방법 = 36
      • 제2절 한국 춤의 분류 = 36
      • Ⅰ. 기능상 분류 = 36
      • Ⅱ. 직능상 분류 = 37
      • Ⅲ. 예술학적 분류 = 39
      • Ⅳ. 사회과학적 분류 = 39
      • 제4장 춤의 유형별 종류 = 41
      • 제1절 종교의식 춤 = 41
      • Ⅰ. 무속춤 = 42
      • Ⅱ. 불교춤 = 44
      • Ⅲ. 유교춤 = 45
      • Ⅳ. 장례춤 = 46
      • 제2절 민속춤 = 47
      • Ⅰ. 농악춤 = 48
      • Ⅱ. 탈춤 = 49
      • Ⅲ. 소리춤 = 51
      • Ⅳ. 허튼춤 = 52
      • Ⅴ. 모방춤 = 53
      • 제3절 교방춤(기방춤) = 54
      • Ⅰ. 살풀이 춤 = 56
      • Ⅱ. 승무 = 57
      • Ⅲ. 태평무 = 58
      • Ⅳ. 검무 = 59
      • Ⅴ. 승전무 = 59
      • 제4절 궁중춤 = 59
      • 제5장 한국 전통 무용의 유래와 종류별 내용 요지 = 62
      • 제1절 궁중·민속·가면·의식 무용 개관 = 62
      • Ⅰ. 한국의 궁중무용(韓國-宮中舞踊) = 62
      • Ⅱ. 한국의 민속무용 = 62
      • Ⅲ. 한국의 가면무용 = 62
      • 제2절 왕조별 궁중무용 개관 = 63
      • Ⅰ. 신라시대의 궁중무용 = 63
      • Ⅱ. 고려시대의 궁중무용 = 63
      • Ⅲ. 조선시대의 무용 = 64
      • 제3절 각종 궁중무용의 유래와 내용요지 및 구성 = 65
      • Ⅰ. 검무(劍舞) = 65
      • Ⅱ. 처용무(處容舞) = 66
      • Ⅲ. 선유락(船遊樂) = 66
      • Ⅳ. 당악무와 향악무(唐樂舞-鄕樂舞) = 67
      • Ⅴ. 수연장무·표구락·헌선도무 = 67
      • Ⅵ. 4선무·5양선·6화대무·연화대무 = 68
      • Ⅶ. 무고·무애무·동동무·향발무 = 68
      • Ⅷ. 아박무·학무·몽금척무·소보록무 = 69
      • Ⅸ. 근천정무·수명명무·하황은무·하성명무 = 70
      • Ⅹ. 성택무·곡파무·보상무·만수무 = 71
      • XI. 헌천화무·박접무·심향춘·향령무 = 71
      • XII. 제수창·무산향·고구려무·장생보연지무 = 72
      • XIII. 가인전목단·문덕곡무·봉래의무·초무 = 73
      • XIIII. 첨수무·공막무·춘앵전·경풍도무 = 73
      • XV. 첨승무·최화무·항장무·사자무·연백복지무 = 74
      • 제4절 각종 민속무용의 유래와 내용요지 = 75
      • Ⅰ. 농악무·승무·한량무·남무 = 75
      • Ⅱ. 살풀이 춤·강강수월래·무당춤·무동춤 = 76
      • Ⅲ. 소고춤·장고춤·쾌지나 칭칭 나네 = 77
      • 제5절 각종 가면무용의 유래와 내용요지 = 77
      • Ⅰ. 중부형 탈춤·경남형 탈춤 = 77
      • Ⅱ. 해서형 탈춤·기타 지역의 탈춤 = 78
      • 제6절 각종 의식무용의 유래와 내용요지 = 78
      • Ⅰ. 일무(佾舞) = 78
      • Ⅱ. 나비춤·바라춤 = 79
      • 제6장 탈춤 = 80
      • 제1절 탈의 의미 = 80
      • 제2절 탈의 유래 = 82
      • 제3절 탈의 분류 = 84
      • Ⅰ. 신앙탈과 예능탈 = 84
      • Ⅱ. 무형문화재의 탈 이름 = 87
      • 제4절 가면극으로서의 탈춤 = 90
      • 제5절 탈의 뜻과 탈춤의 상징 = 92
      • Ⅰ. 탈의 뜻 = 92
      • Ⅱ. 탈춤의 상징 - 주술성·연행성·조형성 = 93
      • 제6절 탈춤의 마당별 제목 = 97
      • 제7절 지역별 탈춤 무형문화재 분류 = 101
      • 제2부 한국 민속춤의 기초지식과 역사적 배경 및 지역별 춤의 주요 내용
      • 제1장 민속무용(춤)에 관한 기초지식 = 103
      • 제1절 민속춤의 정의와 분류 = 103
      • Ⅰ. 민속춤의 정의와 명칭 = 103
      • Ⅱ. 민속춤의 분류 = 105
      • 제2절 민속춤의 분포조건 = 108
      • Ⅲ. 사회환경적 조건 = 110
      • 제3절 민속춤의 역사 = 113
      • Ⅰ. 농악의 역사 = 113
      • Ⅱ. 탈춤의 역사 = 116
      • Ⅲ. 소리춤의 역사 = 120
      • Ⅳ. 허튼춤의 역사 = 123
      • Ⅴ. 모방춤의 역사 = 124
      • 제4절 민속춤의 형성과정 = 125
      • Ⅰ. 종교의식의 영향 = 126
      • Ⅱ. 세시풍속의 영향 = 127
      • Ⅲ. 민중의식의 영향 = 128
      • 제5절 민속춤의 구성 = 130
      • Ⅰ. 춤의 편성 = 130
      • Ⅱ. 춤꾼 = 132
      • Ⅲ. 춤옷과 장식 = 134
      • Ⅳ. 민속춤의 구성 = 137
      • 제6절 민속춤의 춤판종류·구조·성격·기능 = 140
      • Ⅰ. 춤판의 종류 = 140
      • Ⅱ. 춤판의 구조 = 143
      • Ⅲ. 춤판의 성격 = 144
      • Ⅳ. 춤판의 기능 = 145
      • 제7절 민속춤 춤사위(춤동작)의 생성과정과 형태 및 특징 = 146
      • Ⅰ. 춤사위의 생성 과정 = 147
      • Ⅱ. 춤사위의 형태 = 149
      • Ⅲ. 춤사위의 특징 = 151
      • 제8절 민속춤의 성격 = 159
      • Ⅰ. 성모의적·밟음의 성격 = 160
      • Ⅱ. 벽사적·전투적 성격 = 160
      • Ⅲ. 신맞이·동물모의·농경모의·배역춤적 성격 = 161
      • Ⅳ. 기구춤·원형춤·밤의 춤적 성격 = 161
      • Ⅴ. 길놀이·복춤적 성격 = 162
      • 제9절 민속춤의 심성표현과 춤의 표정 = 162
      • Ⅰ. 춤의 심성표현 = 162
      • Ⅱ. 춤의 표정 = 165
      • 제10절 민속춤의 표현미 = 167
      • Ⅰ. 정중동의 미 = 167
      • Ⅱ. 내면적 표현미 = 168
      • Ⅲ. 투박스러운 단순미 = 168
      • Ⅳ. 점과 곡선미 = 168
      • Ⅴ. 익살과 해학의 풍자미 = 169
      • 제2장 한국 민속무용(춤)의 시대(왕조)별 역사적 배경과 주요내용 = 177
      • 제1절 원시·상고시대와 문화 인류학적 관점에서의 무용 = 177
      • Ⅰ. 원시시대와 상고시대의 무용 = 177
      • Ⅱ.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분류되는 원시시대의 무용 = 179
      • 제2절 부족국가시대 무용의 역사적 배경과 내용 = 181
      • Ⅰ. 부족국가시대의 역사적 배경 = 181
      • Ⅱ. 부족국가시대의 제천의식과 무용 = 182
      • 제3절 삼국시대 무용의 역사적 배경과 무용 = 184
      • Ⅰ. 고구려의 무용 = 184
      • Ⅱ. 백제의 무용 = 186
      • Ⅲ. 신라의 무용 = 190
      • 제4절 통일신라시대 무용의 역사적 배경과 내용 = 192
      • Ⅰ. 통일신라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내용 = 192
      • Ⅱ. 통일신라시대의 흥성했던 무용 = 192
      • 제5절 고려시대 무용의 역사적 배경과 내용 = 197
      • Ⅰ. 고려시대의 역사적 배경 = 197
      • Ⅱ. 연등회와 팔관회 = 198
      • Ⅲ. 향악정재와 당악정재 = 199
      • Ⅳ. 고려시대의 궁중무용 전문기관 = 208
      • 제6절 조선시대 무용의 역사적 배경과 내용 = 208
      • Ⅰ. 조선시대의 역사적 배경 = 208
      • Ⅱ. 조선 시대의 궁중무용 = 209
      • Ⅲ. 궁중 의식무용 = 216
      • Ⅳ. 민속무용 = 217
      • Ⅴ. 불교 의식무용 = 222
      • Ⅵ. 무속 의식무용 = 223
      • 제3장 한국 민속무용(춤)의 지역별·종류별 주요내용 = 227
      • 제1절 무속무용(巫俗舞踊) = 227
      • Ⅰ. 경기지역(성내·성외)의 무무(巫舞) : 진오귀굿·도당굿 = 228
      • Ⅱ. 호남 해안지역의 무무 : 씻김굿 = 230
      • Ⅲ. 동해안 지역의 무무 : 별신굿 = 231
      • Ⅳ. 제주도 지역의 무무(巫舞) : 큰굿·작은굿 = 232
      • 제2절 농악무용 및 향토무용 = 233
      • Ⅰ. 경기도 농악과 향토무용 = 234
      • Ⅱ. 충청도 농악과 향토무용 = 240
      • Ⅲ. 호남농악과 향토무용 = 241
      • Ⅳ. 영남농악과 향토무용 = 247
      • 제3절 가면무용(假面舞踊) = 255
      • Ⅰ. 황해도 해서지방을 중심한 탈춤 = 256
      • Ⅱ. 중부지방을 중심한 산대가면무(山臺假面舞) = 261
      • Ⅲ. 강원도를 중심한 경북 안동지역의 성황신제 가면무 = 266
      • Ⅳ. 경남 해안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야유 오광대(野遊五廣大) 가면무 = 271
      • Ⅴ. 북청 사자놀음 = 275
      • Ⅵ. 남사당 덧뵈기 = 279
      • 제4절 사찰무용(寺刹舞踊) = 282
      • Ⅰ. 나비춤 = 283
      • Ⅱ. 바라춤 = 285
      • Ⅲ. 법고(法鼓)춤 = 287
      • 제5절 기방무용(妓房舞踊) = 288
      • Ⅰ. 교방청무용(敎坊廳舞踊) : 진주검무·승전무 = 288
      • Ⅱ. 권번무용(券番舞踊 : 妓房舞踊) : 한량무·남무·승무·살풀이·허튼춤·장끼춤 = 292
      • 제3부 전통 탈놀이와 탈 종류
      • 제1장 전통 탈놀이의 유래와 특징 = 300
      • 제1절 양주 별산대 놀이 = 300
      • Ⅰ. 유래 = 300
      • Ⅱ. 특징 = 301
      • 제2절 송파 산대놀이 = 303
      • Ⅰ. 유래 = 303
      • Ⅱ. 특징 = 303
      • 제3절 봉산 탈춤 = 304
      • Ⅰ. 유래 = 304
      • Ⅱ. 특징 = 306
      • 제4절 강령 탈춤 = 307
      • Ⅰ. 유래 = 307
      • Ⅱ. 특징 = 308
      • 제5절 은율 탈춤 = 309
      • Ⅰ. 유래 = 309
      • Ⅱ. 특징 = 310
      • 제6절 통영 오광대 = 312
      • Ⅰ. 유래 = 312
      • Ⅱ. 특징 = 313
      • 제7절 고성 오광대 = 314
      • Ⅰ. 유래 = 314
      • Ⅱ. 특징 = 315
      • 제8절 가산 오광대 = 316
      • Ⅰ. 유래 = 316
      • Ⅱ. 특징 = 316
      • 제9절 수영 야류 = 317
      • Ⅰ. 유래 = 317
      • Ⅱ. 특징 = 318
      • 제10절 동래 야류 = 319
      • Ⅰ. 유래 = 319
      • Ⅱ. 특징 = 320
      • 제11절 하회 별신굿 탈놀이 = 321
      • Ⅰ. 유래 = 321
      • Ⅱ. 특징 = 324
      • 제2장 하회동 탈 박물관에 소장된 탈 종류 = 326
      • 제1절 하회탈 = 326
      • Ⅰ. 주지탈 = 328
      • Ⅱ. 양반탈 = 329
      • Ⅲ. 선비탈 = 330
      • Ⅳ. 백정탈 = 331
      • Ⅴ. 초랭이 탈 = 331
      • Ⅵ. 중탈 = 332
      • Ⅶ. 할미탈 = 333
      • Ⅷ. 각시탈 = 334
      • Ⅸ. 부네(과부)탈 = 335
      • Ⅹ. 이매탈 = 336
      • 제2절 처용탈·병신탈 = 336
      • Ⅰ. 처용탈 = 336
      • Ⅱ. 병신탈 = 337
      • 제3절 양주 별산대 탈 = 338
      • Ⅰ. 옴중탈 = 340
      • Ⅱ. 목중탈 = 341
      • Ⅲ. 말뚝이 탈 = 343
      • Ⅳ. 왜장녀탈 = 344
      • Ⅴ. 연잎과 눈끔적이 탈 = 344
      • Ⅵ. 포도부장 탈 = 345
      • Ⅶ. 기타 인물의 탈 = 345
      • 제4절 송파산대놀이 탈 = 346
      • Ⅰ. 상좌탈 = 347
      • Ⅱ. 샌님탈 = 348
      • Ⅲ. 미얄할미탈 = 349
      • Ⅳ. 노장탈 = 349
      • Ⅴ. 원숭이탈 = 350
      • Ⅵ. 취발이탈 = 351
      • 제5절 봉산탈춤 탈 = 352
      • Ⅰ. 취발이탈 = 353
      • Ⅱ. 맏양반탈 = 354
      • Ⅲ. 목중탈 = 355
      • Ⅳ. 말뚝이탈 = 356
      • Ⅴ. 신장수탈 = 356
      • 제6절 은율탈춤 탈 = 357
      • Ⅰ. 양반 삼형제 탈 = 358
      • Ⅱ. 최괄이탈 = 359
      • Ⅲ. 노승탈 = 360
      • Ⅳ. 할미탈 = 360
      • 제7절 강령탈춤 탈 = 361
      • Ⅰ. 둘째양반 탈 = 362
      • Ⅱ. 소무탈 = 363
      • Ⅲ. 원숭이탈 = 364
      • Ⅳ. 노승탈 = 364
      • Ⅴ. 목중탈 = 365
      • Ⅵ. 마부탈 = 365
      • Ⅶ. 용산삼개 덜머리집 탈 = 366
      • Ⅷ. 남강노인 탈 = 366
      • 제8절 수영야류 탈 = 366
      • Ⅰ. 할미탈 = 368
      • Ⅱ. 영노탈 = 368
      • Ⅲ. 기타 탈들 = 369
      • 제9절 동래야류 탈 = 369
      • Ⅰ. 말뚝이 탈 = 370
      • Ⅱ. 차양반과 모양반 탈 = 371
      • Ⅲ. 영노 탈 = 371
      • 제10절 통영오광대 탈 = 372
      • Ⅰ. 홍백양반·손님양반 탈 = 374
      • Ⅱ. 법고탈 = 374
      • Ⅲ. 기타 탈들 = 375
      • 제11절 가산오광대 탈 = 376
      • Ⅰ. 오방신장 탈 = 377
      • Ⅱ. 기타 탈들 = 378
      • 제12절 고성오광대·영해별신굿 탈 = 379
      • Ⅰ. 고성오광대 탈 = 379
      • 제13절 남사당 덧보기 탈 = 380
      • Ⅰ. 꺽쇠와 먹쇠탈 = 382
      • Ⅱ. 샌님 탈 = 383
      • Ⅲ. 옴중과 먹중 탈 = 384
      • Ⅳ. 기타 탈들 = 384
      • 제14절 북청사자놀음 탈 = 384
      • Ⅰ. 사자탈 = 386
      • Ⅱ. 꼽추탈 = 386
      • Ⅲ. 양반탈 = 386
      • 제15절 예천 청단놀음 탈·우도농악 잡색탈 = 387
      • Ⅰ. 예천 청단놀음 탈 = 387
      • Ⅱ. 우도 농악 잡색탈 = 387
      • 제3장 갈촌탈 박물관과 공주민속 박물관에 소장된 탈 종류 = 390
      • 제1절 갈촌 박물관에 소장된 탈 종류 = 390
      • Ⅰ. 목심칠면·방상시탈·장군탈 = 391
      • Ⅱ. 청계씨탈·십이지탈·고시래탈 = 393
      • Ⅲ. 망부석탈·한글탈 그림·새 생명의 탈 = 395
      • Ⅳ. 원천지탈·자연탈·석마·장승 = 396
      • Ⅴ. 고성오광대 탈 = 398
      • Ⅵ. 쇠돌이탈·옴중과 눈끔적이·사자탈·동방청제 장군 탈 = 404
      • Ⅶ. 기타 탈작품들 = 405
      • 제2절 공주 민속박물관에 소장된 탈 종류 = 406
      • Ⅰ. 띠놀이탈·발탈 = 406
      • Ⅱ. 진주오광대 탈 = 408
      • 제4부 한국 민속놀이
      • 제1장 한국 민속놀이의 기능과 의미 = 413
      • 제1절 민속놀이의 개념·기원·성격 = 414
      • Ⅰ. 놀이의 개념 = 414
      • Ⅱ. 놀이의 발생과 기원 = 415
      • Ⅲ. 놀이의 성격 = 417
      • 제2절 민속놀이의 분류와 형태 = 420
      • Ⅰ. 놀이의 분류 = 420
      • Ⅱ. 놀이와 재미 = 423
      • Ⅲ. 놀이의 형태별 특성 = 424
      • 제3절 민속놀이의 유형적 의미와 세시 풍속적 의미 = 426
      • Ⅰ. 놀이의 유형적 의미 = 426
      • Ⅱ. 민속놀이의 세시풍속과의 관련 의미 = 432
      • 제2장 한국민속놀이의 내용분석과 특징 = 437
      • 제1절 한국민속놀이의 내용분석 = 437
      • Ⅰ. 노는 사람 = 437
      • Ⅱ. 노는 목적 = 437
      • Ⅲ. 노는 시기 = 438
      • Ⅳ. 지역분포 = 439
      • 제2절 한국 민속놀이의 특징 = 440
      • Ⅰ. 제의성(祭儀性) = 440
      • Ⅱ. 향토 의식 = 441
      • Ⅲ. 예술성 = 442
      • 제3장 한국민속놀이의 문화계통과 대표적인 놀이의 내용 = 444
      • 제1절 한국민속놀이의 문화계통 = 444
      • Ⅰ. 북방계통의 놀이문화 = 444
      • Ⅱ. 남방계통의 놀이문화 = 445
      • 제2절 북방문화 계통의 놀이 내용 = 446
      • Ⅰ. 윷 = 446
      • Ⅱ. 장기 = 449
      • Ⅲ. 격구 = 451
      • Ⅳ. 씨름 = 454
      • Ⅴ. 매사냥 = 458
      • 제3절 남방문화 계통의 놀이내용 = 463
      • Ⅰ. 줄다리기 = 463
      • Ⅱ. 소싸움 = 465
      • Ⅲ. 닭싸움 = 466
      • Ⅳ. 횃불싸움 = 467
      • Ⅴ. 돌팔매싸움 = 469
      • 제4장 삼국시대의 전통 스포츠놀이 = 473
      • 제1절 기마술 = 473
      • Ⅰ. 마희(馬戱) = 474
      • Ⅱ. 기사(騎射) = 475
      • 제2절 궁술(弓術) = 477
      • Ⅰ. 활과 화살 = 477
      • Ⅱ. 영웅전설(英雄傳說)에 보이는 궁술 = 478
      • Ⅲ. 무술로서의 궁술 = 479
      • Ⅳ. 교육으로서의 궁술 = 481
      • 제3절 삼국시대의 놀이와 스포츠 = 481
      • Ⅰ. 수렵(狩獵) = 482
      • Ⅱ. 방응(放鷹) = 483
      • Ⅲ. 축국(蹴鞠) = 484
      • Ⅳ. 씨름 = 485
      • Ⅴ. 석전(石戰) = 486
      • Ⅵ. 투호(投壺) = 487
      • 제5장 중세의 체육적 성격의 무예활동과 사회체육적 성격의 놀이 = 490
      • 제1절 고려시대의 체육적 성격의 무예활동 = 490
      • Ⅰ. 궁술(弓術) = 490
      • Ⅱ. 마술(馬術) = 491
      • Ⅲ. 격구(擊毬) = 492
      • Ⅳ. 사구(射毬) = 493
      • Ⅴ. 수박(手搏) = 493
      • 제2절 고려의 사회체육적 성격의 놀이 = 494
      • Ⅰ. 축국(蹴鞠) = 494
      • Ⅱ. 씨름 = 495
      • Ⅲ. 추천(추韆) = 496
      • Ⅳ. 석전(石戰) = 497
      • Ⅴ. 연날리기 = 497
      • Ⅵ. 기타 여가활동 = 498
      • 제3절 조선시대의 체육적 성격의 무예활동 = 498
      • Ⅰ. 과거제도 = 499
      • Ⅱ. 편사(便射) = 501
      • 제4절 조선시대의 사회체육적 성격의 놀이 = 503
      • Ⅰ. 상류층의 놀이 = 503
      • Ⅱ. 일반 대중의 놀이 = 504
      • Ⅲ. 초판희(超板戱) = 504
      • Ⅳ. 장치기 = 504
      • Ⅴ. 유상과 등고 = 505
      • Ⅵ. 도색희 = 506
      • Ⅶ. 축치구 = 506
      • Ⅷ. 설마 = 507
      • Ⅸ. 인색희(引索戱) = 507
      • 제5부 한국의 각 지역별 굿 문화
      • 제1장 서해안 지역(전남북·충북지방)의 굿 문화 = 509
      • 제1절 전라도 씻김굿(영광지역·장산도 씻김굿을 중심으로) = 509
      • Ⅰ. 씻김굿 자료 = 510
      • Ⅱ. 무당 = 511
      • Ⅲ. 씻김굿의 진행과정 = 512
      • Ⅳ. 씻김굿의 상징성 = 519
      • Ⅴ. 호남의 단골제도 = 522
      • 제2절 위도 띠배굿 = 532
      • Ⅰ. 위도 띠배굿 개설 = 532
      • Ⅱ. 위도의 개관 = 537
      • Ⅲ. 위도 띠배굿 = 552
      • 제3절 은산 별신굿 = 555
      • Ⅰ. 별신제의 유래 = 556
      • Ⅱ. 별신제의 구성과 준비 = 556
      • Ⅲ. 별신제의 진행 = 557
      • Ⅳ. 맺힌 고, 풀리는 넋 = 566
      • 제2장 제주도의 굿문화 = 573
      • 제1절 제주의 영등굿 = 573
      • Ⅰ. 영등신과 영등굿 = 573
      • Ⅱ. 영등굿의 실제 - 세 마을의 경우 = 575
      • Ⅲ. 영등굿의 역사와 현황 = 582
      • Ⅳ. 제주도굿의 춤과 음악 = 585
      • 제2절 제주도 무혼굿 = 589
      • Ⅰ. 무혼굿의 의미 = 589
      • Ⅱ. 굿의 준비와 규모 = 589
      • Ⅲ. 굿의 진행순서 = 591
      • Ⅳ. 무혼굿의 구성요약 = 598
      • Ⅴ. 죽은자와 산자의 대화 = 599
      • 제3절 제주도 신굿 = 603
      • Ⅰ. 신굿의 개관 = 604
      • Ⅱ. 신굿의 구성 = 604
      • Ⅲ. 신굿의 제차 = 605
      • Ⅳ. 당주맞이 = 607
      • Ⅴ. 고분질침 = 609
      • Ⅵ. 제주무가의 어원 = 613
      • 제3장 영남 지역의 굿문화 = 620
      • 제1절 거제도 별신굿 = 620
      • Ⅰ. 거제도 무속의 특징 = 620
      • Ⅱ. 마을개관 = 621
      • Ⅲ. 죽림의 별신굿 = 621
      • Ⅳ. 무당과 악사 = 623
      • Ⅴ. 별신굿의 제차 = 623
      • Ⅵ. 별신굿의 내용 = 623
      • 제2절 통영 오귀새남굿 = 631
      • Ⅰ. 오귀새남굿의 개설 = 631
      • Ⅱ. 통영굿의 개요 = 632
      • Ⅲ. 오귀새남굿의 구성 = 633
      • Ⅳ. 오귀새남굿의 실제 = 635
      • Ⅴ. 무당 = 640
      • Ⅵ. 오귀새남굿의 의식 = 641
      • Ⅶ. 무속에 나타난 세계관 = 642
      • 제3절 수용포 수망굿 = 646
      • Ⅰ. 동해안 무속의 특징 = 646
      • Ⅱ. 수망굿의 위치와 성격 = 648
      • Ⅲ. 수망굿의 개관 = 648
      • Ⅳ. 무속에서의 죽음의 의미 = 655
      • Ⅴ. 무속과 종교 = 657
      • 제4절 강사리 범굿 = 665
      • Ⅰ. 범굿의 의미 = 666
      • Ⅱ. 강사리의 생활환경 = 666
      • Ⅲ. 범굿의 준비과정 = 667
      • Ⅳ. 범굿의 실제 = 670
      • Ⅴ. 범굿의 특징 = 675
      • 제4장 서울·경기·강릉지역 굿문화 = 678
      • 제1절 서울 당굿 = 678
      • Ⅰ. 당굿의 개설 = 678
      • Ⅱ. 무당 = 679
      • Ⅲ. 당굿의 현장 = 680
      • Ⅳ. 서울 당굿의 특징과 의미 = 689
      • 제2절 서울 진오기굿 = 692
      • Ⅰ. 개설 = 692
      • Ⅱ. 당굿의 제의절차 = 693
      • Ⅲ. 진행과정 = 694
      • Ⅳ. 진오기굿의 상차림 = 697
      • Ⅴ. 진오기굿의 성격 = 698
      • Ⅵ. 진오기굿의 종교적 체험 = 699
      • 제3절 경기도 도당굿 = 701
      • Ⅰ. 경기도 도당굿 개설 = 701
      • Ⅱ. 마을의 개관 = 703
      • Ⅲ. 경기도 남부 도당굿의 무당 = 704
      • Ⅳ. 도당굿의 준비과정 및 내용 = 705
      • Ⅴ. 도당굿의 목적과 기능 = 712
      • Ⅵ. 도당굿의 춤과 음악 = 715
      • 제4절 옹진 배연신굿 = 718
      • Ⅰ. 황해도 굿의 개관 = 718
      • Ⅱ. 배연신 굿의 실제 = 720
      • Ⅲ. 배연신 굿놀이(巫劇)의 세계 = 727
      • 제5절 양주 소놀이굿 = 731
      • Ⅰ. 개설 = 731
      • Ⅱ. 역사적 유래 = 731
      • Ⅲ. 소놀이 굿의 특징 = 734
      • Ⅳ. 소놀이굿 순서와 거리별 내용 = 735
      • Ⅴ. 소놀이굿의 준비과정 = 741
      • 제6절 강릉 단오굿 = 742
      • Ⅰ. 개관 = 742
      • Ⅱ. 역사 = 742
      • Ⅲ. 근원설화 = 745
      • Ⅳ. 祭儀와 일정 = 747
      • Ⅴ. 무가와 무의식(巫歌와 巫儀式) = 749
      • Ⅵ. 민속놀이 = 759
      • Ⅶ. 문화재 지정 과정과 전승자 = 763
      • Ⅷ. 사회적 기능 = 765
      • 제5장 한국의 풍어제 문화 = 768
      • 제1절 뱃고사 = 770
      • Ⅰ. 동해안 지방의 뱃고사 = 771
      • Ⅱ. 남해안 지방의 뱃고사 = 772
      • Ⅲ. 서해안 지방의 뱃고사 = 773
      • 제2절 동해안 별신굿 = 773
      • Ⅰ. 마을과 제의 준비 = 773
      • Ⅱ. 사제무와 별신굿 계약 = 774
      • Ⅲ. 제당과 신 = 775
      • Ⅳ. 자정의 당제사 = 775
      • Ⅴ. 굿당 = 776
      • Ⅵ. 별신굿 과정과 내용 = 777
      • Ⅶ. 무복·무구·무악기 = 782
      • Ⅷ. 동해안별신굿의 특징 = 783
      • 제3절 남해안별신굿 = 784
      • Ⅰ. 마을과 제의 준비 = 785
      • Ⅱ. 사제무와 담합 = 785
      • Ⅲ. 제당과 신 = 786
      • Ⅳ. 당제사 = 786
      • Ⅴ. 굿당 = 787
      • Ⅵ. 별신굿 내용 = 787
      • Ⅶ. 무복·무구·무악기 = 790
      • Ⅷ. 남해안별신굿의 특징 = 790
      • 제4절 서해안 대동굿 = 791
      • Ⅰ. 마을과 제의 준비 = 791
      • Ⅱ. 사제무 선정 = 792
      • Ⅲ. 제당과 신 = 792
      • Ⅳ. 제당의 고축 = 793
      • Ⅴ. 굿당 = 793
      • Ⅵ. 대동굿 과정과 내용 = 794
      • Ⅶ. 무복·무구·무악기 = 798
      • Ⅷ. 대동굿의 특징 = 799
      • 제5절 위도띠뱃놀이 = 799
      • Ⅰ. 마을과 제의 준비 = 800
      • Ⅱ. 사제무와 보수 = 801
      • Ⅲ. 제당과 신 = 801
      • Ⅳ. 제당의 제관 독축 = 802
      • Ⅴ. 굿당 = 802
      • Ⅵ. 제의 진행 과정 = 803
      • Ⅶ. 무복·무구·무악기 = 807
      • Ⅷ. 무굿의 특징 = 807
      • 참고문헌 = 810
      • [Volume. 4]----------
      • 목차
      • 제1부 한국의 연극사
      • 제1장 한국의 고전극(古典劇) = 17
      • 제1절 고전극 개관과 고대 연극 특질 = 17
      • Ⅰ. 고전극 개관 = 17
      • Ⅱ. 고대(古代)연극의 특질 = 18
      • 제2절 상고시대 연극과 삼국이전의 풍속과 악무 = 19
      • Ⅰ. 상고(上古) 시대 연극 = 19
      • Ⅱ. 삼국 이전의 풍속과 악무(樂舞) = 20
      • 제2장 삼국·고려시대의 연극 = 23
      • 제1절 고구려(高句麗)의 연극 = 24
      • Ⅰ. 서역악(西域樂)의 영향 = 24
      • Ⅱ. 고려기(高麗伎)의 정체(正體) = 25
      • Ⅲ. 고구려의 가악(歌樂) = 27
      • 제2절 백제와 신라의 연극 = 28
      • Ⅰ. 백제(百濟)의 연극 = 28
      • Ⅱ. 신라(新羅)의 연극 = 32
      • 제3절 통일신라의 향악과 가면무극 = 35
      • Ⅰ. 검무(劍舞) = 35
      • Ⅱ. 무애가무(無애歌舞) = 36
      • Ⅲ. 처용가무(處容歌舞) = 39
      • Ⅳ. 오기(五伎) = 43
      • 제4절 고려시대의 연극 = 47
      • Ⅰ. 나례(儺禮)와 산대잡극(山臺雜劇) = 49
      • Ⅱ. 군왕(君王)의 호악(好樂)과 가무백희(歌舞百戱) = 52
      • Ⅲ. 우인(優人)·광대(廣大)의 역할과 사회적 보장 = 56
      • Ⅳ. 고려의 연극과 그 종류 = 58
      • 제3장 조선시대의 연극 = 63
      • 제1절 조선시대의 사회상과 연극개관 = 63
      • Ⅰ. 조선시대의 사회상(社會相) = 63
      • Ⅱ. 조선시대의 연극개관 = 64
      • 제2절 조선 전기(前期)의 연극 = 67
      • Ⅰ. 채붕산대(綵棚山臺) 나례(儺禮) = 68
      • Ⅱ. 백희(百戱) = 70
      • 제3절 조선 중기(中期)의 연극 = 71
      • Ⅰ. 산대나례의 해산과 민속극(民俗劇)의 태동 = 72
      • Ⅱ. 근세(近世) 민속가면극과 꼭두각시극 = 74
      • 제4절 조선 후기(後期)의 연극 = 92
      • Ⅰ. 광대(廣大)와 재인(才人), 사당패(寺黨牌) = 92
      • Ⅱ. 판소리 = 98
      • Ⅲ. 신재효(申在孝)와 창극의 완성 = 100
      • 제2부 한국의 민속극
      • 제1장 문화재로 지정된 민속극과 채록돼 있는 민속극 = 105
      • 제1절 민속극의 특성과 독창적 예술성의 전승방향 = 105
      • Ⅰ. 민속극의 특성 = 105
      • Ⅱ. 민속극의 독창적 예술성의 전승방향 = 107
      • 제2절 들놀음(野遊) = 111
      • Ⅰ. 들놀음 개관 = 111
      • Ⅱ. 들놀음의 짜임새(構成) = 114
      • Ⅲ. 수영 들놀음 = 114
      • Ⅳ. 동래 들놀음 = 115
      • Ⅴ. 옛 놀이판, 현 전수소(傳授所) = 117
      • 제3절 오광대(五廣大) 놀이 = 119
      • Ⅰ. 오광대놀이 개관 = 119
      • Ⅱ. 통영 오광대놀이의 짜임새(構成) = 121
      • Ⅲ. 고성 오광대놀이의 짜임새 = 122
      • Ⅳ. 오광대놀이의 앞 놀이 = 123
      • Ⅴ. 옛 놀이판, 현 전수소 = 123
      • 제4절 산대놀이 = 124
      • Ⅰ. 산대놀이 개관(槪觀) = 124
      • Ⅱ. 양주 별산대놀이 = 125
      • Ⅲ. 송파 산대놀이 = 128
      • Ⅳ. 산대놀이의 짜임새(構成) = 129
      • Ⅴ. 옛 놀이판, 현 전수소 = 131
      • 제5절 해서(海西)탈춤 = 132
      • Ⅰ. 해서탈춤 개관 = 132
      • Ⅱ. 봉산탈춤의 짜임새 = 135
      • Ⅲ. 강령탈춤의 짜임새 = 135
      • Ⅳ. 해주(海州)탈춤의 짜임새 = 136
      • Ⅴ. 해서탈춤의 앞놀이 = 137
      • Ⅵ. 옛 놀이판, 현 전수소 = 138
      • 제6절 남사당(男寺黨)놀이 = 139
      • Ⅰ. 남사당패(男寺黨牌)란? = 139
      • Ⅱ. 남사당패의 짜임새 = 141
      • Ⅲ. 남사당패의 연희(演戱) = 143
      • Ⅳ. 남사당놀이의 놀이판 = 145
      • 제7절 꼭두각시 놀음 = 146
      • Ⅰ. 민속인형극(民俗人形劇) 개관 = 146
      • Ⅱ. 꼭두각시놀음의 유래(由來) = 147
      • Ⅲ. 꼭두각시 놀음의 어원(語源) = 149
      • Ⅳ. 배역(配役)과 내용(內容) = 149
      • Ⅴ. 장단과 춤사위 = 152
      • Ⅵ. 연희자(演戱者) = 152
      • Ⅶ. 옛 놀이판과 현 전수소 = 153
      • 제2장 민속극과 신화 = 154
      • 제1절 굿의 절차와 분화 = 154
      • Ⅰ. 농악대굿 = 154
      • Ⅱ. 무당굿 = 156
      • Ⅲ. 탈광대굿 = 157
      • 제2절 굿과 놀이의 공통점 = 161
      • Ⅰ. 굿과 놀이의 연행순서 = 161
      • Ⅱ. 놀이 내부의 연행 순서 = 167
      • 제3절 건국신화에 나타나는 굿의 절차 = 172
      • Ⅰ. 해모수신화 = 173
      • Ⅱ. 환웅신화 = 175
      • Ⅲ. 김수로신화 = 177
      • Ⅳ. 박혁거세 신화 = 180
      • 제3절 민족과 서사문학 = 184
      • 제1절 중 이야기와 중 놀이 = 184
      • Ⅰ. 신승신화(神僧神話)와 파계승전설의 세계관 = 184
      • Ⅱ. 굿놀이의 중놀이에 나타난 세계관 = 190
      • Ⅲ. 탈놀이의 중놀이에 나타난 세계관 = 195
      • Ⅳ. 꼭두각시놀이의 중놀이에 나타난 세계관 = 198
      • 제2절 양반 이야기와 양반놀이 = 200
      • Ⅰ. 서사문학에 나타난 통치자에 대한 인식 = 201
      • Ⅱ. 사또놀이(양반놀이)의 갈등구조 = 202
      • Ⅲ. 사또놀이(양반놀이)에 나타난 갈등의 해결방식 = 207
      • 제4장 민속극과 판소리의 대응양상 = 213
      • 제1절 봉사놀이와 심청가 = 213
      • Ⅰ. 봉사 놀이의 순차구조 = 213
      • Ⅱ. 심청가의 서사구조 = 220
      • 제2절 하회 별신놀이와 춘향가 및 변강쇠가 = 223
      • Ⅰ. 하회별신놀이 발생설화와 구조와 혼례마당의 해원(解寃) 기능 = 223
      • Ⅱ. 춘향가 발생설화의 구조와 춘향가의 해원 기능 = 226
      • Ⅲ. 변강쇠가의 구조와 해원굿의 수용 양상 = 229
      • 제5장 민속극의 양면성 = 235
      • 제1절 탈놀이의 갈래와 제의성 = 235
      • Ⅰ. 탈놀이의 갈래 = 235
      • Ⅱ. 무당의 탈놀이굿 = 237
      • Ⅲ. 농악대의 잡색탈놀이 = 240
      • Ⅳ. 탈광대의 탈놀이 = 242
      • 제2절 농악대 잡색놀이의 연극성과 제의성 = 247
      • Ⅰ. 판굿과 잡색놀이의 유형 = 247
      • Ⅱ. 잽이와 잡색의 잡색놀이 = 250
      • Ⅲ. 잡색 단독의 잡색놀이 = 254
      • Ⅳ. 호남농악 잡색의 양의성 = 260
      • 제3절 진주 오광대의 지역성과 시대성 = 262
      • Ⅰ. 이본의 양상 = 262
      • Ⅱ. 지역성과 연극사적 위치 = 266
      • Ⅲ. 양반·말뚝이마당의 구성과 의미 = 270
      • Ⅳ. 복원의 방향과 방법 = 274
      • 제3부 한국의 고전극·가면극·인형극·창극·신파극
      • 제1장 한국의 고전극(古典劇) = 277
      • 제1절 부족사회와 삼국시대의 연극 = 278
      • Ⅰ. 부족사회의 제천의례(祭天儀禮)와 가면희 = 278
      • Ⅱ. 삼국시대의 연극 = 279
      • 제2절 고려시대의 연극 = 283
      • Ⅰ. 산대잡극(山臺雜劇) = 284
      • Ⅱ. 연등회·팔관회·백희(燃燈會·八關會·百戱) = 284
      • Ⅲ. 교방가무희(敎坊歌舞戱) = 284
      • Ⅳ. 나희(儺戱) = 285
      • Ⅴ. 조희(調戱) = 285
      • Ⅵ. 고려의 재인(才人)·광대(廣大) = 285
      • 제3절 조선시대의 연극 = 286
      • Ⅰ. 조선 전기의 연극 = 286
      • Ⅱ. 조선중기의 연극 = 287
      • Ⅲ. 조선 후기의 연극 = 289
      • Ⅳ. 조선조의 재인(才人)·광대(廣大) = 290
      • 제2장 한국의 가면극(假面劇) = 291
      • 제1절 한국 가면극의 연혁 = 292
      • Ⅰ. 기원 = 292
      • Ⅱ. 고려시대의 산대잡희(山臺雜戱) = 293
      • Ⅲ. 조선시대의 산대나례(山臺儺禮) = 293
      • Ⅳ. 산대 가면극의 전파 = 294
      • 제2절 한국 가면극의 종류 = 294
      • Ⅰ. 북청의 사자놀음 = 295
      • Ⅱ. 하회별신굿놀이 = 295
      • Ⅲ. 강릉관노탈놀이 = 296
      • Ⅳ. 오광대 = 297
      • Ⅴ. 동래·수영의 야유(野遊) = 298
      • Ⅵ. 산대놀이 = 298
      • Ⅶ. 봉산탈춤 = 299
      • Ⅷ. 남사당 덧보기 = 300
      • Ⅸ. 한국 가면극 내용상의 공통점 = 300
      • Ⅹ. 한국 가면극의 연희본(演戱本) = 301
      • 제3절 한국 가면극의 공연 방식 = 302
      • Ⅰ. 공연 시기 = 303
      • Ⅱ. 연희자 = 303
      • Ⅲ. 공연 장소 = 303
      • Ⅳ. 악사와 반주 = 304
      • Ⅴ. 연기와 대사 = 304
      • Ⅵ. 가면 = 304
      • Ⅶ. 공연 시간 = 304
      • Ⅷ. 사당패 가면극의 공연 방식 = 304
      • 제4절 한국 가면극의 무대·의상·소도구 = 305
      • Ⅰ. 무대 = 305
      • Ⅱ. 의상(탈복) = 306
      • Ⅲ. 가면극의 소도구 = 307
      • 제5절 한국 가면극의 가면 = 307
      • 제3장 한국의 인형극(人形劇) = 309
      • 제1절 인형극의 연혁 및 종류 = 310
      • Ⅰ. 인형극의 계통 = 310
      • Ⅱ. 인형극의 종류 = 311
      • 제2절 한국 인형극의 내용과 무대 = 313
      • Ⅰ. 인형극의 내용 = 314
      • Ⅱ. 인형극의 무대 = 316
      • 제3절 한국 인형극의 연희본(演戱本) = 316
      • Ⅰ. 기존의 채록 연희본 = 316
      • Ⅱ. 덜미(꼭두각시놀음)의 채록본 = 317
      • 제4절 한국인형극의 음악과 무용 = 318
      • Ⅰ. 덜미(꼭두각시놀음)의 음악 = 318
      • Ⅱ. 덜미(꼭두각시놀음)의 무용 = 318
      • 제5절 한국 인형극의 연희 조종자 = 319
      • Ⅰ. 산받이 = 319
      • Ⅱ. 대잡이 = 319
      • 제4장 한국의 창극(唱劇) = 320
      • 제1절 창극의 연혁 및 창극 단체명 = 321
      • Ⅰ. 창극 연혁 개황(槪況) = 321
      • Ⅱ. 가설극장 및 창극단체 = 322
      • 제2절 창극의 연출과 연기 = 323
      • Ⅰ. 창극 연출·연기의 개황 = 323
      • Ⅱ. 창극 대본 = 324
      • Ⅲ. 창극의 작곡 = 325
      • Ⅳ. 창극연출의 준비 = 326
      • Ⅴ. 창극의 배역 결정 = 326
      • Ⅵ. 창(唱) 연습 = 326
      • Ⅶ. 창극의 대본읽기와 동작연습 = 327
      • Ⅷ. 창극의 일관연습과 총연습 = 327
      • 제3절 창극의 작품과 감상 = 328
      • Ⅰ. 창극의 작품 연혁 = 328
      • Ⅱ. 창극의 감상법 = 329
      • Ⅲ. 창극 작품 내용 개요 = 330
      • 제5장 한국의 신파극(新派劇) = 333
      • 제1절 신파극의 연혁 = 334
      • Ⅰ. 신파극의 연혁 개황 = 334
      • Ⅱ. 신파(新派)와 혁신단(革新團), 개량신파(改良新派) = 338
      • Ⅲ. 여형(女形) 배우와 신파의 눈물 = 339
      • Ⅳ. 동양극장 = 340
      • 제2절 신파극의 작가와 작품 = 341
      • Ⅰ. 신파극의 작가와 작품 개황 = 341
      • Ⅱ. 작가와 작품 = 343
      • 제4부 한국의 전승연희
      • 제1장 연희의 개념·특징·분류 = 353
      • 제1절 연희의 개념과 특징 = 353
      • Ⅰ. 연희의 개념 = 353
      • Ⅱ. 연희의 특징 = 354
      • 제2절 연희의 분류화 실체 = 357
      • Ⅰ. 연희의 분류 = 360
      • Ⅱ. 연희의 실체 = 361
      • 제2장 민속연희 = 364
      • 제1절 민속연희의 성격 = 364
      • Ⅰ. 민속연희의 분류 = 365
      • 제2절 민속연희의 연혁 = 367
      • Ⅰ. 한국 민속연희의 연혁 개설 = 367
      • Ⅱ. 삼국시대의 민속연희 = 367
      • Ⅲ. 고려시대의 가무백희(歌舞百戱) = 368
      • Ⅳ. 조선시대의 산대잡희(山臺雜戱) = 369
      • 제3절 민속연희(놀이)의 성격 = 370
      • Ⅰ. 제의성(祭儀性) = 370
      • Ⅱ. 향토성 = 371
      • Ⅲ. 예술성 = 372
      • Ⅳ. 분포성 = 372
      • 제4절 민속연희의 종류 = 373
      • Ⅰ. 한국민속연희의 종류 개설 = 373
      • Ⅱ. 민속연희의 종류 = 375
      • 제3장 굿놀이·탈놀이·인형놀이·광대굿놀이의 원리와 방법 = 389
      • 제1절 굿놀이 = 389
      • Ⅰ. 굿과 굿놀이 = 389
      • Ⅱ. 무당의 신들 = 391
      • Ⅲ. 무당의 예능 = 392
      • Ⅳ. 굿놀이의 종류 = 394
      • Ⅴ. 분석 대상 = 396
      • Ⅵ. 공간·시간의 전이 = 399
      • Ⅶ. 변신과 가장 = 401
      • Ⅷ. 음악·노래·무용 = 403
      • Ⅸ. 표현매체와 관중 = 405
      • Ⅹ. 굿과 자연 = 406
      • 제2절 탈놀이 = 408
      • Ⅰ. 탈과 탈놀이 = 409
      • Ⅱ. 탈의 조형미 = 411
      • Ⅲ. 탈광대의 예능 = 413
      • Ⅳ. 탈놀이의 종류 = 414
      • Ⅴ. 분석 대상 = 416
      • Ⅵ. 골계화소·탈의 성격화 = 418
      • Ⅶ. 춤·음악의 형식 = 421
      • Ⅷ. 재담과 노래 = 423
      • Ⅸ. 장면만들기와 관중 = 426
      • 제3절 인형놀이 = 428
      • Ⅰ. 인형과 인형놀이 = 428
      • Ⅱ. 인형의 원형성 = 430
      • Ⅲ. 인형사의 예능 = 431
      • Ⅳ. 놀이의 종류·분석 대상 = 433
      • Ⅴ. 공중무대 = 435
      • Ⅵ. 박첨지의 역할과 화소 = 437
      • Ⅶ. 재담과 노래 = 439
      • Ⅷ. 장면 만들기 = 441
      • 제4절 광대굿놀이 = 442
      • Ⅰ. 광대와 광대굿놀이 = 442
      • Ⅱ. 배뱅이굿놀이 = 443
      • Ⅲ. 장대장네굿놀이 = 447
      • Ⅳ. 발탈 = 448
      • Ⅴ. 줄타기 = 450
      • Ⅵ. 창무굿놀이 = 452
      • Ⅶ. 호상놀이 = 454
      • [Volume. 5]----------
      • 목차
      • 제1부 공예 문화의 기초지식
      • 제1장 공예와 문화 = 27
      • 제1절 예능의 분류 = 27
      • Ⅰ. 시간예술 = 27
      • Ⅱ. 시·공간예술 = 28
      • Ⅲ. 공간예술 = 28
      • 제2절 미술과 공예 = 31
      • Ⅰ. 종합시대 = 31
      • Ⅱ. 미술의 발생 = 36
      • Ⅲ. 미술의 특성 = 39
      • Ⅳ. 미술과 공예 = 42
      • 제3절 공예의 개념 = 45
      • Ⅰ. 공예의 의의 = 45
      • Ⅱ. 공예의 본질 = 46
      • Ⅲ. 공예의 정의 = 47
      • Ⅳ. 공예의 분류 = 48
      • 제2장 공예와 미 = 50
      • 제1절 공예의 성립 = 50
      • Ⅰ. 용도 = 50
      • Ⅱ. 재료 = 51
      • Ⅲ. 수공과 도구 = 55
      • Ⅳ. 기량과 기술 = 58
      • Ⅴ. 노동과 조직 = 62
      • Ⅵ. 전통과 시대 = 65
      • 제2절 공예의 목표 = 69
      • Ⅰ. 목표의 필요성 = 69
      • Ⅱ. 수수한 아름다움 = 69
      • Ⅲ. 평상성(平常性) = 72
      • Ⅳ. 건강성 = 75
      • Ⅴ. 단순성 = 76
      • Ⅵ. 지방성 = 78
      • 제3절 공예미의 특색 = 80
      • Ⅰ. 공예적인 성질 = 80
      • Ⅱ. 실용성 = 82
      • Ⅲ. 반복성 = 84
      • Ⅳ. 저렴성(低廉性) = 87
      • Ⅴ. 공공성 = 91
      • Ⅵ. 법칙성 = 92
      • Ⅶ. 모양성(模樣性) = 94
      • Ⅷ. 비개인성 = 96
      • Ⅸ. 간접성 = 100
      • Ⅹ. 부자유성 = 101
      • 제3장 전통공예 기술분류와 지정종목 = 106
      • 제1절 전통공예 기술분류와 보존의 필요성 = 106
      • Ⅰ. 전통공예 기술의 분류 = 106
      • Ⅱ. 전통공예 기술보존의 필요성 = 107
      • 제2절 전통공예 지역분포와 기술의 지정종목 = 109
      • Ⅰ. 전통공예 지역분포 = 109
      • Ⅱ. 전통공예 기술의 지정종목 = 111
      • 제4장 전통공예 솜씨 = 113
      • 제1절 솜씨의 개념 = 113
      • Ⅰ. 솜씨의 의미 = 113
      • Ⅱ. 의식주를 통해본 솜씨 = 113
      • Ⅲ. 자급자족 생활과 솜씨 = 116
      • 제2절 한국인 솜씨의 독자성 = 118
      • Ⅰ. 귀족적인 것과 대중적인 것을 위한 솜씨 = 118
      • Ⅱ. 한민족 솜씨의 탁월성 = 120
      • Ⅲ. 전통적 공예 솜씨의 단절 문제 = 123
      • 제5장 수공예와 기계 공예 = 125
      • 제1절 수공예 = 125
      • Ⅰ. 수공예 역사 = 125
      • Ⅱ. 귀족적 공예 = 128
      • Ⅲ. 귀족적 공예의 한계 = 130
      • Ⅳ. 개인적 공예 = 132
      • Ⅴ. 개인적 공예의 한계 = 133
      • Ⅵ. 민중적 공예 = 137
      • Ⅶ. 민중적 공예의 한계 = 140
      • 제2절 기계 공예 = 143
      • Ⅰ. 기계 공예의 성질 = 143
      • Ⅱ. 기계공예의 한계 = 145
      • Ⅲ. 기계공예의 전망 = 148
      • 제3절 미래 공예 = 152
      • Ⅰ. 미래 공예의 요건 = 152
      • Ⅱ. 민중적 공예(民藝)의 수공예성 = 153
      • 제2부 한국의 전통공예
      • 제1장 한국 전통공예의 시대(왕조)별 중요 공예품(유물) = 155
      • 제1절 고신라(古新羅)의 공예 = 155
      • Ⅰ. 고신라 공예 개관 = 155
      • Ⅱ. 장신구(裝身具) = 155
      • Ⅲ. 금속용기 = 157
      • Ⅳ. 유리제품 = 158
      • Ⅴ. 마구류(馬具類) = 158
      • Ⅵ. 토도(土陶)제품 = 158
      • Ⅶ. 그 밖의 공예품 = 159
      • 제2절 고구려의 공예 = 159
      • Ⅰ. 투각용봉문 금동관형 장식 = 159
      • Ⅱ. 투각 초화문 금동관 = 159
      • Ⅲ. 귀걸이(金銅耳飾) = 160
      • Ⅳ. 을묘년명 청동호우 = 160
      • Ⅴ. 채색백호문 운모감 = 161
      • Ⅵ. 만달상 고분군 출토 토기류 = 161
      • Ⅶ. 와당 = 161
      • 제3절 백제의 공예 = 161
      • Ⅰ. 금동관 = 161
      • Ⅱ. 고분출토 관식금구 = 162
      • Ⅲ. 금제 투작 초화 문관식 = 162
      • Ⅳ. 무령왕릉 종합유물 = 162
      • 제4절 통일신라의 공예 = 163
      • Ⅰ. 신라 범종 = 163
      • Ⅱ. 상원사 종 = 163
      • Ⅲ. 봉덕사 종 = 164
      • Ⅳ. 감은사지 석탑사리구 = 164
      • Ⅴ. 천부동 고분출토 일괄유물 = 165
      • Ⅵ. 금동제 과대식 = 165
      • Ⅶ. 충효리 고분출토 일괄유물 = 165
      • Ⅷ. 유개청동병 = 166
      • Ⅸ. 녹유인화문호 = 166
      • Ⅹ. 토기의 시문 = 166
      • XI. 유약(釉藥) = 166
      • 제5절 고려의 공예 = 167
      • Ⅰ. 동경(銅鏡) = 167
      • Ⅱ. 관식·과대(冠飾·과帶) = 168
      • Ⅲ.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 정병 = 168
      • Ⅳ. 표충사 동제은입 사향로 = 168
      • Ⅴ. 나전칠기 = 168
      • Ⅵ. 나전칠기 초목수금문 함(草木水禽文函) = 169
      • Ⅶ. 나전칠기 입국경함(螺鈿漆器立菊經函) = 169
      • Ⅷ. 고려종의 특색 = 169
      • Ⅸ. 천흥사 종 = 170
      • Ⅹ. 금동불감(金銅佛龕) = 170
      • XI. 수동사부도 발견 사리구 = 170
      • XII. 광주 서오층석탑 발견 사리장치(光州西五層石塔發見舍利藏置) = 171
      • XIII. 와전 = 171
      • 제6절 조선시대의 공예 = 171
      • Ⅰ. 금공(金工) = 171
      • Ⅱ. 흥천사 종 = 172
      • Ⅲ. 이충무공의 유명도 쌍구 = 172
      • Ⅳ. 철제금상감 유명삼인검 = 172
      • Ⅴ. 일본 민예관장 은상감 연초구 = 173
      • Ⅵ. 목죽(木竹)공예 = 173
      • Ⅶ. 육화형 목제인갑 = 173
      • Ⅷ. 칠공(漆工) = 173
      • Ⅸ. 나전칠기 당초화문갑(螺鈿漆器唐草花文匣) = 174
      • Ⅹ. 화각공(華角工) = 174
      • XI. 동경 국립박물관장 화각갑 = 174
      • 제7절 한국 근대의 공예 = 175
      • Ⅰ. 암흑기 공예 = 175
      • Ⅱ. 목공예 = 175
      • Ⅲ. 석공예 = 175
      • Ⅳ. 금속공예 = 176
      • Ⅴ. 칠기 = 176
      • 제3부 전통공예의 부문별 개관
      • 제1장 목칠공예 = 177
      • 제1절 목칠공예의 종류 = 178
      • Ⅰ. 칠공예(漆工藝) = 178
      • Ⅱ. 나전칠기(螺鈿漆器) = 179
      • Ⅲ. 화각장공예(華角張工藝) = 179
      • Ⅳ. 대모복채(玳瑁伏彩) = 180
      • Ⅴ. 죽세공(竹細工) = 180
      • 제2절 짜임과 이음 = 180
      • Ⅰ. 짜임 = 181
      • Ⅱ. 이음 = 181
      • 제3절 금구장식과 도구 = 182
      • Ⅰ. 금구(金具)장식 = 182
      • Ⅱ. 목공예 도구 = 182
      • 제4절 목칠공예의 시대(왕조)별 전승계보 = 183
      • Ⅰ. 삼국시대의 목칠공예 = 183
      • Ⅱ. 무령왕릉 출토 목공예물 = 187
      • Ⅲ. 통일신라기의 목칠공예 = 190
      • Ⅳ. 고려시대의 목칠공예 = 193
      • Ⅴ. 조선시대의 목칠공예 = 197
      • Ⅵ. 고분유물 속의 목칠기 공예 개관 = 203
      • 제5절 나전칠기 = 207
      • Ⅰ. 나전칠기의 기원 = 207
      • Ⅱ. 나전칠기의 기법 개관 = 208
      • Ⅲ. 나전칠기의 변천과정 = 210
      • 제6절 전통 목가구의 성격과 분류 = 214
      • Ⅰ. 전통 목가구의 성격 = 214
      • Ⅱ. 전통 목가구의 분류 = 215
      • Ⅲ. 안방과 사랑방의 목가구 양식 = 216
      • Ⅳ. 안방과 사랑방의 치장 = 218
      • 제7절 전통 목가구의 종류와 특징 = 221
      • Ⅰ. 궤(櫃) = 221
      • Ⅱ. 옷장(欌) = 222
      • Ⅲ. 각게수리·약장 = 224
      • Ⅳ. 농(籠) = 224
      • Ⅴ. 함(函) = 225
      • Ⅵ. 빗접과 좌경 = 226
      • Ⅶ. 평상(平狀) = 226
      • Ⅷ. 탁자와 의자(椅) = 227
      • Ⅸ. 궤(궤) = 227
      • Ⅹ. 서안(書案) = 228
      • XI. 연갑(硯匣)과 연상(硯箱) = 230
      • XII. 문갑(文匣) = 230
      • XIII. 사방탁자와 탁자장 = 231
      • XIIII. 책갑과 책장 = 231
      • XV. 뒤주 = 232
      • XVI. 찬장과 찬탁 = 232
      • XIVII. 제상과 향안(香案), 교의(交椅) = 233
      • 제8절 전통 목가구의 재료와 제작 기법 = 233
      • Ⅰ. 재료 = 234
      • Ⅱ. 벌채와 건조 = 237
      • Ⅲ. 제작 기법 = 238
      • 제9절 전통 목가구의 보존관리와 소목장 = 239
      • Ⅰ. 목가구의 보존관리 = 239
      • Ⅱ. 소목장과 장전 = 240
      • Ⅲ. 제언 = 241
      • 제2장 소반 = 243
      • 제1절 소반의 역사와 조형적 특성 = 243
      • Ⅰ. 소반의 역사 = 243
      • Ⅱ. 소반의 조형적 특성 = 244
      • Ⅲ. 상과 반 = 245
      • 제2절 소반의 구조와 용도 = 245
      • Ⅰ. 소반의 구조 = 245
      • Ⅱ. 소반의 칠 = 246
      • Ⅲ. 궁중 소반의 용도 = 248
      • Ⅳ. 민간 소반의 용도 = 248
      • 제3절 소반의 장식문양과 곡선 = 249
      • Ⅰ. 장식문양 = 249
      • Ⅱ. 소반의 곡선 = 251
      • 제4절 소반의 분류와 특징 = 252
      • Ⅰ. 생산지별 분류 : 나주반·해주반·통영반 = 252
      • Ⅱ. 모양에 의한 분류 : 호족반·구족반·단각반 = 254
      • Ⅲ. 용도에 의한 분류 : 공고상·과반·궁중반·막소반·별반 = 255
      • 제5절 소반의 재료·제작기법과 연장 = 258
      • Ⅰ. 소반의 재료 = 258
      • Ⅱ. 소반의 제작 기법과 연장 = 258
      • 제3장 불교 목공예 = 261
      • 제1절 불교 목공예의 역사와 특징 = 261
      • Ⅰ. 불교 목공예의 기원과 역사 = 261
      • Ⅱ. 불교 목공예의 특징 = 263
      • 제2절 불교 목공예의 분류 = 265
      • Ⅰ. 예불용 목공예 = 265
      • Ⅱ. 장엄용 목공예 = 266
      • Ⅲ. 의식용 목공예 = 266
      • Ⅳ. 생활용 목공예 = 267
      • 제3절 불교 목공예의 종류 = 267
      • Ⅰ. 불단 = 267
      • Ⅱ. 광배 = 272
      • Ⅲ. 공포와 건축 장식 = 273
      • Ⅳ. 목어 = 274
      • Ⅴ. 북대와 업경대 = 275
      • Ⅵ. 윤장대 = 276
      • Ⅶ. 소통, 축원패, 위패 = 277
      • Ⅷ. 법상 = 278
      • Ⅸ. 판각 = 278
      • Ⅹ. 문살 = 279
      • XI. 촛대와 등잔 = 279
      • XII. 벽을 타오르는 거북 = 280
      • 제4장 불교의식 용구와 불교공예 = 281
      • 제1절 시련의식 용구 = 281
      • Ⅰ. 가마·산개·번 = 282
      • Ⅱ. 깃발·부채·당 = 284
      • Ⅲ. 깃대·나발·법라 = 285
      • 제2절 법회의식 용구 = 286
      • Ⅰ. 패·구룡장식 관불기·소통 = 287
      • Ⅱ. 공양구(供養具) = 287
      • Ⅲ. 장엄구(莊嚴具) = 290
      • 제3절 수행 의식 용구 = 290
      • Ⅰ. 가사(袈裟) = 291
      • Ⅱ. 낙자(絡子) = 291
      • Ⅲ. 직철(直철) = 291
      • Ⅳ. 좌구(坐具) - 방석(方席) = 292
      • Ⅴ. 궤(櫃) = 292
      • Ⅵ. 석장(錫杖) = 292
      • 제4부 전통 금속 공예
      • 제1장 금속공예의 기초 = 295
      • 제1절 금속공예의 재료와 문양제작기술 및 도구 = 295
      • Ⅰ. 금속재료 = 295
      • Ⅱ. 금속공예의 문양제작 기술 = 296
      • Ⅲ. 금속공예 도구 = 297
      • 제2절 금속공예의 종류 = 298
      • Ⅰ. 장신구 = 298
      • Ⅱ. 제사용 그릇(祭器) = 300
      • Ⅲ. 일상용품 = 301
      • 제2장 고분 유물속의 금속공예품 = 304
      • 제1절 고분 유물속의 금속기(金屬器) = 304
      • Ⅰ. 고구려 고분속의 금속기 = 304
      • Ⅱ. 백제 고분속의 금속기 = 304
      • Ⅲ. 전기 신라 고분속의 금속기 = 306
      • Ⅳ. 가야 고분속의 금속기 = 308
      • 제2절 고분 유물속의 장신구(裝身具) = 309
      • Ⅰ. 고구려 고분 속의 장신구 = 310
      • Ⅱ. 백제 고분속의 장신구 = 311
      • Ⅲ. 전기 신라 고분속의 장신구 = 313
      • Ⅳ. 가야 고분속의 장신구 = 316
      • 제3절 고분유물속의 마구(馬具) = 320
      • Ⅰ. 고구려 고분속의 마구 = 320
      • Ⅱ. 백제 고분속의 마구 = 322
      • Ⅲ. 전기 신라 고분속의 마구 = 323
      • Ⅳ. 가야 고분속의 마구 = 325
      • 제4절 고분 유물 속의 무기공예 = 328
      • Ⅰ. 고구려 고분속의 무기 = 328
      • Ⅱ. 백제 고분속의 무기 = 330
      • Ⅲ. 전기 신라 고분속의 무기 = 332
      • Ⅳ. 가야 고분속의 무기 = 334
      • 제3장 한국의 전통 유기 공예 = 339
      • 제1절 유기의 어원과 내력 = 340
      • Ⅰ. 유기와 놋쇠 = 340
      • Ⅱ. 유기의 내력 = 342
      • 제2절 전통 유기 제작법 = 344
      • Ⅰ. 문헌을 통한 유기 제작법 = 344
      • Ⅱ. 유기제작 3대 기법 = 345
      • Ⅲ. 주물유기 제작법 = 346
      • Ⅳ. 주물의 종류 = 347
      • Ⅴ. 주물 유기 제작 공정 = 349
      • 제3절 방짜(方字)유기 제작법 = 350
      • Ⅰ. 방짜 유기의 시작 = 350
      • Ⅱ. 방짜 합금의 특성 = 351
      • Ⅲ. 방짜 금속의 화학 성분 = 351
      • Ⅳ. 방짜 합금의 화학적 특성 = 352
      • Ⅴ. 방짜 유기 제작의 인원 조직 = 353
      • Ⅵ. 방짜 유기를 만드는 인원 배치 = 353
      • Ⅶ. 방짜 유기의 제작 공정 = 354
      • Ⅷ. 방짜 숟가락 만드는 법 = 356
      • Ⅸ. 안성 유기의 내력 = 357
      • 제4절 유기의 종류 = 358
      • Ⅰ. 유기 종류 개관 = 358
      • Ⅱ. 제기류(祭器類) = 360
      • Ⅲ. 반상기류(飯床器類) = 363
      • Ⅳ. 생활 용구류 = 364
      • Ⅴ. 불구류(佛具類) = 368
      • 제4장 장석과 자물쇠 = 369
      • 제1절 장석의 의미와 역사 = 369
      • Ⅰ. 장석의 의미 = 369
      • Ⅱ. 장석의 역사 = 370
      • 제2절 장석의 이름과 기능 = 374
      • Ⅰ. 경첩·들쇠·고리의 기능 = 374
      • Ⅱ. 앞바탕·뻗침대·광두정의 기능 = 376
      • Ⅲ. 감잡이·귀잡이(귀장식)·통귀쌈의 기능 = 377
      • Ⅳ. 자물쇠의 기능 = 378
      • 제3절 장석의 용도 = 379
      • Ⅰ. 안방 가구와 장석의 용도 = 380
      • Ⅱ. 사랑방 가구와 장석의 용도 = 382
      • Ⅲ. 부엌 가구와 장석의 용도 = 383
      • 제4절 장석의 형태와 문양 = 384
      • Ⅰ. 장석 형태와 문양 개관 = 384
      • Ⅱ. 장석의 형태 = 385
      • Ⅲ. 장석의 문양 = 388
      • 제5절 장석의 재료와 기법 = 390
      • Ⅰ. 장석의 주요 재료 = 390
      • Ⅱ. 장석의 주요 기법 = 393
      • 제6절 장석의 제작공정과 공구 = 395
      • Ⅰ. 작업 공정 = 396
      • Ⅱ. 작업 도구 = 396
      • 제5장 불교 금속공예 = 399
      • 제1절 금속의식법구 = 399
      • Ⅰ. 범종(梵鐘) = 399
      • Ⅱ. 금고(金鼓) = 400
      • Ⅲ. 운판(雲版) = 400
      • Ⅳ. 금강저(金剛杵) = 400
      • Ⅴ. 금강령(金剛鈴) = 401
      • Ⅵ. 경(磬) = 401
      • Ⅶ. 동라(銅라) = 401
      • Ⅷ. 동발(銅발) = 402
      • 제2절 금속 장엄구·공양구 = 402
      • Ⅰ. 천개(天蓋) = 402
      • Ⅱ. 사리구 = 402
      • Ⅲ. 향로(香爐) = 403
      • Ⅳ. 화병(花甁) = 403
      • Ⅴ. 촛대(燭臺) = 403
      • Ⅵ. 정병(淨甁) = 404
      • Ⅶ. 발우(鉢盂) = 404
      • 제6장 장신구·불구·사리구·일상용품·무구·마구 = 405
      • 제1절 장신구(裝身具) = 406
      • Ⅰ. 관(冠)·관식(冠飾) = 407
      • Ⅱ. 귀걸이 = 409
      • Ⅲ. 팔찌 = 410
      • Ⅳ. 반지 = 411
      • Ⅴ. 과대(과帶)·요패(腰佩) = 412
      • Ⅵ. 목걸이 = 413
      • Ⅶ. 머리 장식품 = 414
      • Ⅷ. 신 = 414
      • Ⅸ. 장도(裝刀)와 침통(針筒) = 415
      • Ⅹ. 기타 = 415
      • 제2절 불구(佛具) = 417
      • Ⅰ. 범종(梵鐘) = 417
      • Ⅱ. 향완(香완) = 420
      • Ⅲ. 금고(金鼓) = 421
      • Ⅳ. 정병(淨甁) = 422
      • Ⅴ. 보탑(寶塔) = 423
      • Ⅵ. 보당(寶幢) = 423
      • Ⅶ. 경통(經筒) = 424
      • Ⅷ. 요령(搖鈴) = 424
      • Ⅸ. 기타불구(其他佛具) = 425
      • 제3절 사리구(舍利具) = 425
      • Ⅰ. 분황사 석탑(芬皇寺石塔) 사리장엄구 = 425
      • Ⅱ. 감은사지 서3층석탑(感恩寺址西三層石塔) 사리장엄구 = 426
      • Ⅲ. 경주 구황동 3층석탑(九黃洞三層石塔) 사리장엄구 = 427
      • Ⅳ. 불국사 3층석탑(佛國寺三層石塔) 사리장엄구 = 428
      • Ⅴ. 전북 남원(南原) 발견 사리장엄구 = 429
      • Ⅵ. 송림사 5층전탑(松林寺五層塼塔) 사리장엄구 = 429
      • Ⅶ. 익산 왕궁리 5층석탑(益山王宮里五層石塔) 사리장엄구 = 430
      • Ⅷ. 광주 서5층석탑(光州西五層石塔) 사리장엄구 = 431
      • Ⅸ. 법주사팔상전(法住寺捌相殿) 사리장엄구 = 432
      • Ⅹ. 수종사 8각 5층석탑(水鐘寺八角五層石塔) 사리장엄구 = 432
      • XI. 기타 = 433
      • 제4절 일상용품(日常用品) = 434
      • Ⅰ. 동경(銅鏡) = 435
      • Ⅱ. 기명(器皿) = 437
      • Ⅲ. 수저 = 439
      • Ⅳ. 촛대 = 440
      • Ⅴ. 추 = 440
      • Ⅵ. 청동기시대 유물(靑銅期時代遺物) = 440
      • 제5절 무구(武具)와 마구(馬具) = 442
      • Ⅰ. 무구(武具) = 442
      • Ⅱ. 마구(馬具) = 445
      • 제7장 범종 = 447
      • 제1절 한국 범종의 기원과 형태 = 448
      • Ⅰ. 한국 범종의 기원 = 448
      • Ⅱ. 한국 범종의 형태와 각부 명칭 = 448
      • 제2절 신라의 범종 = 450
      • Ⅰ. 유기명 범종 = 451
      • Ⅱ. 무기명 범종 = 455
      • Ⅲ. 신라 범종의 각부 문양 = 458
      • 제3절 고려의 범종 = 460
      • Ⅰ. 전기 범종 = 461
      • Ⅱ. 후기 범종 = 464
      • Ⅲ. 고려 범종의 각부 특징 = 467
      • 제4절 조선의 범종 = 469
      • Ⅰ. 조선 범종의 양식 전래 = 469
      • Ⅱ. 조선 범종의 형태와 양식 모방 예(例) = 470
      • 제5절 한국 범종의 조형·주조와 음률 = 471
      • Ⅰ. 한국 범종의 조형(비천상과 보살상) = 471
      • Ⅱ. 한국 범종의 주조와 음률 = 472
      • 제5부 전통 종이 공예 문화
      • 제1장 한지의 역사와 이름 및 특성 = 475
      • 제1절 한지의 역사 = 475
      • Ⅰ. 종이의 역사 = 475
      • Ⅱ. 한지에 얽힌 이야기 = 478
      • 제2절 한지의 옛 이름과 특성 = 483
      • Ⅰ. 문헌에 의한 한지 옛 이름 = 484
      • Ⅱ. 한지의 일반적 옛 이름 = 484
      • Ⅲ. 한지의 특성 = 488
      • 제3절 한지의 원료별 만드는 법 = 489
      • Ⅰ. 닥종이로 만드는 방법 = 489
      • Ⅱ. 그 밖의 원료로 만드는 법 = 490
      • 제2장 한지 공예 = 493
      • 제1절 한지 공예의 유래와 특성 = 493
      • Ⅰ. 한지 공예의 유래 = 493
      • Ⅱ. 한지 공예품의 특성 = 495
      • 제2절 한지 공예의 종류 = 496
      • Ⅰ. 한지 공예 개관 = 496
      • Ⅱ. 지승 공예 = 498
      • Ⅲ. 지호 공예 = 502
      • Ⅳ. 지장 공예 - 오색 전지 공예 = 503
      • Ⅴ. 기타 지공예품 = 507
      • 제3절 전통 종이 염색법 = 509
      • Ⅰ. 홍염(紅染) = 509
      • Ⅱ. 남염(藍染) = 511
      • Ⅲ. 자염(紫染) = 511
      • Ⅳ. 황염(黃染) = 512
      • Ⅴ. 갈염(褐染) = 514
      • Ⅵ. 흑색염(黑色染) = 514
      • 제4절 색지 종이 공예 = 514
      • Ⅰ. 색지 공예 개관 = 514
      • Ⅱ. 전통 색지 공예품 종류 = 515
      • Ⅲ. 색지 공예의 문양 = 516
      • 제5절 종이 공예품 만드는 법 = 519
      • Ⅰ. 오색 전지 공예품 만드는 법 = 519
      • Ⅱ. 종이탈 만드는 법 = 520
      • Ⅲ. 장판지 만드는 법 = 520
      • Ⅳ. 종이꽃 만들기 = 521
      • Ⅴ. 종이연 만들기 = 522
      • 제3장 부채 공예 = 523
      • 제1절 부채의 어원과 역사 = 523
      • Ⅰ. 부채의 어원 = 523
      • Ⅱ. 부채의 역사 = 524
      • 제2절 부채에 쓰이는 용어와 종류 = 526
      • Ⅰ. 부채에 쓰이는 용어 = 526
      • Ⅱ. 전통 부채의 종류 = 528
      • 제3절 부채의 문양 = 538
      • Ⅰ. 부채 자루의 문양 = 538
      • Ⅱ. 문양지(꽃지) = 539
      • 제4절 부채와 풍류 = 540
      • Ⅰ. 부채에 얽힌 이야기 = 540
      • Ⅱ. 부채와 풍류 = 541
      • 제5절 세시풍속에 얽힌 이야기 = 543
      • Ⅰ. 부채와 세시풍속 = 543
      • Ⅱ. 부채와 교류 = 544
      • 제6절 부채 만드는 법 = 545
      • Ⅰ. 부채의 옛 이름 = 545
      • Ⅱ. 접선(합죽선) 만드는 법 = 546
      • Ⅲ. 단선 만드는 법 = 547
      • Ⅳ. 문양(꽃지) 오리기 = 548
      • Ⅴ. 부채 손잡이(자루) 만들기 = 548
      • 제6부 풀 공예·짚 공예 문화편
      • 제1장 풀 공예 문화 = 549
      • 제1절 풀 공예문화와 풀의 의미 = 549
      • Ⅰ. 풀 공예 문화 = 549
      • Ⅱ. 풀의 의미 = 552
      • 제2절 싸리·띠·갈대 공예 = 554
      • Ⅰ. 싸리 공예 = 554
      • Ⅱ. 띠 공예 = 555
      • Ⅲ. 갈대 공예 = 557
      • 제3절 억새·신서란·순비기 공예 = 558
      • Ⅰ. 억새 공예 = 558
      • Ⅱ. 신서란 공예 = 560
      • Ⅲ. 순비기 공예 = 561
      • 제4절 칡·부들·댕댕이 덩굴 공예 = 561
      • Ⅰ. 칡 공예 = 561
      • Ⅱ. 부들 공예 = 563
      • Ⅲ. 댕댕이 덩굴 공예 = 565
      • 제5절 버드나무 공예와 밧줄 공예 = 567
      • Ⅰ. 버드나무 공예 = 567
      • Ⅱ. 노끈과 밧줄 공예 = 570
      • 제6절 화문석(花紋席 : 꽃무늬 돗자리)공예 = 571
      • Ⅰ. 주거 양식의 필수품으로 출발한 화문석 = 571
      • Ⅱ. 토산품화한 조선시대의 화문석 = 572
      • Ⅲ. 화문석의 주재료 = 575
      • Ⅳ. 왕골 = 578
      • 제2장 짚 공예 문화 = 580
      • 제1절 짚 문화와 서민 = 580
      • Ⅰ. 삼신짚과 초분 = 580
      • Ⅱ. 흔해 빠진 짚 = 581
      • Ⅲ. 짚 문화와 서민 = 581
      • 제2절 짚 공예 제품 = 582
      • Ⅰ. 짚신 = 582
      • Ⅱ. 쇠짚신 = 584
      • Ⅲ. 멍석 = 584
      • Ⅳ. 씨오쟁이 = 586
      • Ⅴ. 두트레 방석 = 587
      • Ⅵ. 닭 둥우리 = 587
      • Ⅶ. 멱서리 = 588
      • Ⅷ. 터줏가리와 업가리 = 589
      • Ⅸ. 제웅 = 589
      • 제3절 짚 문화에 얽힌 이야기 = 590
      • Ⅰ. 짚과 민속 = 590
      • Ⅱ. 볏가리와 도령신앙 = 590
      • Ⅲ. 제주도의 초고 문화 = 593
      • Ⅳ. 짚의 운명 = 594
      • 제3장 죽(竹)공예 문화 = 597
      • 제1절 대나무의 의미와 대숲의 4계절 = 597
      • Ⅰ. 대나무의 의미와 선비의 기개 = 597
      • Ⅱ. 대숲의 4계절 변화 = 598
      • 제2절 대나무의 종류와 형태 = 600
      • Ⅰ. 대나무의 종류(1,250종) = 600
      • Ⅱ. 대나무의 형태 = 602
      • 제3절 대나무의 성질과 환경 = 605
      • Ⅰ. 연령 = 606
      • Ⅱ. 분포 = 606
      • Ⅲ. 기후(온도) = 607
      • Ⅳ. 수분 = 609
      • Ⅴ. 조도 = 611
      • 제4절 대나무의 일대기 = 612
      • Ⅰ. 생장기 - 죽순의 생장 = 612
      • Ⅱ. 대나무의 개화 = 615
      • Ⅲ. 신생죽(회복죽) = 616
      • Ⅳ. 개화 죽림의 회복 = 617
      • Ⅴ. 씨가 여무는 대나무 - 죽미 = 619
      • 제5절 대나무 문화 = 620
      • Ⅰ. 책의 효시가 된 죽간 = 620
      • Ⅱ. 신라인과 죽현릉 = 620
      • Ⅲ. 무기로서의 대나무 = 621
      • 제6절 한국인과 대문화 = 621
      • Ⅰ. 세시풍속에 나타난 대문화 = 621
      • Ⅱ. 서민 생활과 죽제품 = 622
      • 제7절 죽공예 문화 = 624
      • Ⅰ. 방갓 - 대나무 모자 = 624
      • Ⅱ. 죽마고우 = 625
      • Ⅲ. 죽부(竹部) : 대나무 악기(대금·중금·소금·단소·퉁소) = 626
      • Ⅳ. 기타 각종 죽공예품 = 626
      • Ⅴ. 담양과 죽공예 = 627
      • 제8절 피죽채상(皮竹彩箱) = 629
      • Ⅰ. 피죽채상(꽃무늬 상자) 개관 = 629
      • Ⅱ. 피죽채상의 명칭 = 630
      • Ⅲ. 피죽채상의 예 = 631
      • 제7부 전통 자수와 매듭 공예 문화
      • 제1장 전통 자수 공예 = 635
      • 제1절 자수의 역사 = 635
      • Ⅰ. 선사 시대 = 636
      • Ⅱ. 삼국시대 = 636
      • Ⅲ. 통일 신라 시대 = 638
      • Ⅳ. 고려 시대 = 639
      • Ⅴ. 조선 시대 = 640
      • Ⅵ. 근세와 현대의 자수 = 641
      • 제2절 자수의 문양과 기법 = 642
      • Ⅰ. 자수의 문양 = 642
      • Ⅱ. 자수의 기법 = 644
      • 제3절 자수의 종류 = 646
      • Ⅰ. 복식 자수 = 646
      • Ⅱ. 생활용품 자수 = 649
      • Ⅲ. 감상 자수 = 653
      • Ⅳ. 불교 자수 = 655
      • 제4절 중국자수와의 관계 = 656
      • Ⅰ. 한국자수와 중국자수 = 656
      • Ⅱ. 한국자수의 유물 = 657
      • 제2장 전통 매듭 공예 = 659
      • 제1절 매듭의 역사 = 659
      • Ⅰ. 매듭의 연원 = 659
      • Ⅱ. 한·중·일(韓中日)의 매듭 비교 = 659
      • 제2절 매듭의 용도 = 660
      • Ⅰ. 남자용 매듭 = 660
      • Ⅱ. 여자용 매듭 = 661
      • Ⅲ. 예복에 쓰는 매듭 = 662
      • Ⅳ. 절에서 사용하던 매듭 = 662
      • Ⅴ. 실내 장식용 매듭 = 663
      • Ⅵ. 악기 장식용 유소(流蘇) = 663
      • 제3절 끈목과 천연 염색 = 664
      • Ⅰ. 끈목(여러 올의 실로 짠 끈의 총칭)과 다회(多繪 : 띠) = 664
      • Ⅱ. 천연 염료와 염색 방법 = 665
      • 제4절 술(띠나 끈 따위의 끝에 달린 여러가닥의 실) = 669
      • Ⅰ. 술의 종류 = 669
      • Ⅱ. 술 만드는 공정 = 671
      • 제5절 패물 = 672
      • Ⅰ. 노리개 = 672
      • Ⅱ. 주머니 = 675
      • 제8부 전통 석(石)공예·직물·피모·염직 공예 및 복식 문화
      • 제1장 전통 석(石)공예 = 679
      • 제1절 석공예와 석재 = 679
      • Ⅰ. 민구와 민예품 = 679
      • Ⅱ. 문헌에 나타난 석재의 산지 = 680
      • Ⅲ. 옥석과 일반 석류(石類) = 681
      • Ⅳ. 석공예 기술의 발달과 쇠퇴 = 683
      • 제2절 고분유물 속의 유리 용기(琉璃容器) = 684
      • Ⅰ. 전기 신라 고분 속의 유리용기 = 684
      • Ⅱ. 가야 고분속의 유리용기 = 685
      • 제3절 석불상과 나한(羅漢) = 685
      • Ⅰ. 석불상 = 685
      • Ⅱ. 나한(羅漢) = 688
      • 제4절 석물(石物)과 돌장승 = 691
      • Ⅰ. 석물(石物) = 691
      • Ⅱ. 돌장승 = 693
      • 제5절 동자상과 무인석 = 698
      • Ⅰ. 동자상(童子像) = 698
      • Ⅱ. 무인(武人)석 = 701
      • 제2장 직물·피모 공예 = 704
      • 제1절 갓 공예 = 704
      • Ⅰ. 갓의 역사 = 704
      • Ⅱ. 갓의 종류와 재료 = 705
      • Ⅲ. 제작 공정 = 708
      • 제2절 염직공예 = 712
      • Ⅰ. 염색 = 712
      • Ⅱ. 직조 = 714
      • 제3장 한국복식문화 = 717
      • 제1절 남자 복식 = 717
      • Ⅰ. 왕(王)의 복식 = 717
      • Ⅱ. 백관(百官)의 복식 = 719
      • Ⅲ. 사대부의 복식 = 720
      • 제2절 여자 복식 = 722
      • Ⅰ. 궁중 여자 복식 = 722
      • Ⅱ. 일반 여자 복식 = 723
      • Ⅲ. 기녀 복식 = 724
      • Ⅳ. 무당의 복식 = 724
      • Ⅴ. 어린이 복식 = 724
      • 제9부 최근 공예 문화
      • 제1장 최근 목공예 = 729
      • 제1절 목공예 개관과 각 국의 목공예 = 729
      • Ⅰ. 최근 목공예 개관 = 729
      • Ⅱ. 최근 각국의 목공예 = 729
      • 제2절 최근의 목공예의 재료(材料) = 730
      • Ⅰ. 목재(木材) = 730
      • Ⅱ. 목재의 성질 - 외관적 목질(木質)과 물리적인 성질 = 731
      • Ⅲ. 합판(合板) = 732
      • Ⅳ. 목질 보드판(木質board板) = 732
      • 제3절 최근 목공예의 기법(技法) = 733
      • Ⅰ. 기본 공작법(工作法) = 733
      • Ⅱ. 접합법(接合法) - 판자를 맞춰서 만드는 측물법(測物法) = 734
      • Ⅲ. 목공 물레판과 목공선반 = 734
      • Ⅳ. 곡목과 곡륜 = 735
      • Ⅴ. 목상감과 새기기·파내기 조각 = 736
      • Ⅵ. 성형합판(成形合板) = 736
      • 제2장 최근 금속공예 = 738
      • 제1절 최근 금속공예의 특징과 재료 = 738
      • Ⅰ. 금속공예 개황 = 738
      • Ⅱ. 최근 금속공예까지의 과정 = 739
      • 제2절 금속공예의 재료 = 740
      • Ⅰ. 단금속의 일반적인 성질 = 740
      • Ⅱ. 단금속 재료의 용도 = 741
      • 제3절 최근 금속공예의 기술 = 741
      • Ⅰ. 주조(鑄造) = 742
      • Ⅱ. 단금·추금(鍛金·鎚金) = 742
      • Ⅲ. 조금(彫金) = 743
      • Ⅳ. 방금(방金) = 743
      • Ⅴ. 칠보(七寶) = 743
      • 제3장 최근 칠공예·염직공예·글라스공예 = 744
      • 제1절 최근 칠공예 = 744
      • Ⅰ. 칠공예의 재료 = 744
      • Ⅱ. 칠공예 기법 = 745
      • 제2절 최근 염직공예(染織工藝) = 746
      • Ⅰ. 염직의 성립 = 746
      • Ⅱ. 고대의 직물(織物) = 746
      • Ⅲ. 염직 무늬의 형식(染織 形式) = 748
      • Ⅳ. 염색 기술 = 749
      • Ⅴ. 직 무늬 기술(織-技術) = 750
      • 제3절 글라스 공예 = 752
      • Ⅰ. 글라스 공예 개관 = 752
      • Ⅱ. 유리공예의 재료 = 753
      • Ⅲ. 유리공예의 기법 = 753
      • Ⅳ. 유리공예품 사용 목적 = 754
      • 제4장 디자인-design = 755
      • 제1절 디자인의 경향 = 756
      • Ⅰ. 디자인의 일반적인 경향 = 756
      • Ⅱ. 디자인 종류별 경향 = 757
      • 제2절 비주얼 디자인(visual design) = 758
      • Ⅰ. 비주얼 디자인(visual design) = 758
      • Ⅱ. 그래픽 디자인(graphic design) = 759
      • Ⅲ. 타이포그래피(typograraphy) = 759
      • Ⅳ. 레터링(lettering) = 760
      • Ⅴ.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 760
      • Ⅵ. 레이아우트(layout) = 760
      • Ⅶ. 포스터(Poster) = 761
      • Ⅷ. 간판 = 761
      • Ⅸ. 아트 디렉터(art director) = 762
      • Ⅹ. 패키지(Package) = 762
      • 제3절 프로덕트 디자인의 특질과 범위 = 762
      • Ⅰ. 프로덕트 디자인의 특질 = 762
      • Ⅱ. 디자인의 용어와 의미의 변천 = 763
      • Ⅲ. 인더스트리얼 디자인 = 763
      • Ⅳ. 프로덕트 디자인의 범위(範圍) = 764
      • 제4절 프로덕트 디자인의 일반적인 기본조건 = 765
      • Ⅰ. 합목적성(合目的性) = 765
      • Ⅱ. 심미성(審美性) = 765
      • Ⅲ. 경제성(經濟性) = 766
      • Ⅳ. 독창성(獨創性) = 766
      • Ⅴ. 질서성(秩序性) = 766
      • 제5절 프로덕트 디자인의 구성요소 = 767
      • Ⅰ. 형태 = 767
      • Ⅱ. 색채(色彩) = 767
      • Ⅲ. 텍스처 = 768
      • Ⅳ. 재료와 가공기술(材料-加工技術) = 768
      • 제6절 프로덕트 디자인의 작업과정 = 768
      • Ⅰ. 원안도(原案圖) = 769
      • Ⅱ. 제품 초벌그림(렌더링) = 769
      • Ⅲ. 모형(模型)(스케일 모델) = 769
      • Ⅳ. 설계도(設計圖) = 769
      • 제7절 환경 디자인 = 770
      • Ⅰ. 환경 디자인 개관 = 770
      • Ⅱ. 옥외광고(屋外廣告) = 771
      • Ⅲ. 디스플레이 디자인(display design) = 772
      • Ⅳ. 인테리어 디자인(interior design) = 773
      • Ⅴ. 광장(廣場) = 773
      • Ⅵ. 다리의 디자인 교(橋) = 773
      • Ⅶ. 디자인과 환경 = 774
      • 참고문헌 = 776
      • [Volume. 6]----------
      • 목차
      • 제1부 도예문화의 기초지식
      • 제1장 도예의 개관 = 17
      • 제1절 도자기의 개념과 번조(燔造) 방법 = 17
      • Ⅰ. 도자기의 개념 = 17
      • Ⅱ. 번조(燔造) 방법 = 18
      • 제2절 도자기의 분류 = 19
      • Ⅰ. 일반적 분류 = 19
      • Ⅱ. 용도에 의한 분류 = 19
      • Ⅲ. 산지에 의한 분류 = 20
      • Ⅳ. 기타 분류 방법 = 20
      • 제3절 점토(粘土)의 의미와 종류 및 성질 = 20
      • Ⅰ. 점토(粘土)의 의미 = 20
      • Ⅱ. 점토의 종류 = 21
      • Ⅲ. 점토의 성질 : 가소성·기공성·분말도·내화도·점력 = 21
      • Ⅳ. 요업과 도예의 의미 = 21
      • 제4절 도자기의 종류 = 22
      • Ⅰ. 토기(土器) = 22
      • Ⅱ. 도기 = 22
      • Ⅲ. 석기 = 22
      • Ⅳ. 자기(磁器) = 23
      • Ⅴ. 청자(靑磁) = 23
      • Ⅵ. 백자(白磁) = 23
      • Ⅶ. 천목(天目) = 24
      • Ⅷ. 진사(辰砂) = 24
      • Ⅸ. 청화(靑畵) = 24
      • Ⅹ. 적화(赤畵) = 24
      • XI. 화청자(畵靑磁) = 25
      • 제5절 고분 유물속의 도자 공예품 = 25
      • Ⅰ. 고구려 고분속의 토기 = 25
      • Ⅱ. 백제 고분 속의 토기 = 26
      • Ⅲ. 전기 신라·가야 고분 속의 토기 = 26
      • 제2장 토기 문화의 약사(略史) = 28
      • 제1절 선사시대의 토기문화 = 28
      • Ⅰ. 신석기시대의 토기 문화 = 28
      • Ⅱ. 청동기시대의 토기문화 = 30
      • Ⅲ. 철기시대의 토기문화 = 32
      • 제2절 삼국시대의 토기문화 = 33
      • Ⅰ. 고구려의 토기문화 = 33
      • Ⅱ. 백제의 토기문화 = 34
      • Ⅲ. 신라·가야토기의 문화 = 35
      • 제3절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문화 = 36
      • Ⅰ. 시대개관 = 36
      • Ⅱ. 무덤 출토 토기 = 38
      • Ⅲ. 뼈 항아리 = 39
      • Ⅳ. 생활용기 = 41
      • Ⅴ. 통일신라 토기 가마터 = 43
      • 제3장 도자문화의 약사(略史) = 44
      • 제1절 고려시대의 도자문화 = 44
      • Ⅰ. 시대개관 = 44
      • Ⅱ. 고려도자의 특징 및 종류 = 45
      • 제2절 조선시대의 도자 문화 = 47
      • Ⅰ. 시대개관 = 47
      • Ⅱ. 조선도자의 특징 및 종류 = 48
      • Ⅲ. 분청사기 = 49
      • Ⅳ. 조선백자 = 53
      • 제4장 도자기의 제조과정 = 59
      • 제1절 도자기 제조과정 개관 = 59
      • Ⅰ. 도자기의 성형법(陶磁器-成形法) = 59
      • Ⅱ. 장식법(裝飾法) = 60
      • Ⅲ. 시유방법(施釉方法) = 60
      • 제2절 성형의 전 단계 = 61
      • Ⅰ. 태토의 준비 = 61
      • Ⅱ. 반죽 = 62
      • Ⅲ. 흙의 재사용 = 62
      • 제3절 성형 방법 = 62
      • Ⅰ. 핀칭 성형 방법 = 63
      • Ⅱ. 흙가래 성형 방법 = 64
      • Ⅲ. 점토판 성형 방법 = 66
      • Ⅳ. 물레 성형 방법 = 67
      • Ⅴ. 석고로 하는 성형 = 75
      • 제4절 장식 방법 = 76
      • Ⅰ. 태토 자체의 장식 = 77
      • Ⅱ. 건조시키기 전의 장식 = 77
      • Ⅲ. 초벌구이 후의 장식 = 79
      • 제5절 유약과 시유 방법 = 79
      • Ⅰ. 유약의 개념 = 79
      • Ⅱ. 유약의 분류 = 80
      • Ⅲ. 시유(施釉) = 81
      • 제6절 소성(燒成)과 가마 = 83
      • Ⅰ. 가마 재임 = 83
      • Ⅱ. 소성 = 84
      • Ⅲ. 가마 = 85
      • 제2부 토우·질그릇·옹기 문화
      • 제1장 토우(土偶)문화 = 87
      • 제1절 토우의 개념과 토우에 얽힌 이야기 = 87
      • Ⅰ. 토우의 개념 = 87
      • Ⅱ. 토우에 얽힌 이야기 = 88
      • 제2절 상형토기 = 91
      • Ⅰ. 상형토기의 개관 = 91
      • Ⅱ. 인물형 토기 = 92
      • Ⅲ. 동물형 토기 = 93
      • Ⅳ. 기물형 토기 = 94
      • 제3절 장식 토우 = 97
      • Ⅰ. 개관 = 97
      • Ⅱ. 인물상 = 98
      • Ⅲ. 동물상 = 102
      • 제4절 토용(土俑)·선각(線刻)토우·신라 토우 조형 = 104
      • Ⅰ. 토용(土俑) = 104
      • Ⅱ. 선각(線刻)토우 = 108
      • Ⅲ. 신라 토우의 조형 = 110
      • 제2장 질 그릇 문화 = 113
      • 제1절 선사(先史)시대의 질 그릇 = 114
      • Ⅰ. 신석기시대 질그릇 = 114
      • Ⅱ. 청동기시대 질그릇 = 120
      • Ⅲ. 초기철기시대 질그릇 = 124
      • 제2절 역사시대의 질그릇 = 125
      • Ⅰ. 원삼국시대 질그릇 = 125
      • Ⅱ. 삼국시대 질그릇 = 126
      • Ⅲ. 통일신라시대 질그릇 = 136
      • Ⅳ. 고려시대 질그릇 = 141
      • Ⅴ. 조선시대 질그릇 = 144
      • 제3장 옹기 문화 = 151
      • 제1절 옹기의 유래와 발전 = 151
      • Ⅰ. 옹기의 유래 = 152
      • Ⅱ. 옹기의 발전 = 155
      • 제2절 광명단(光明丹)과 옹기 = 155
      • Ⅰ. 장독대 = 156
      • Ⅱ. 장독과 장 = 157
      • Ⅲ. 장 담그는 정성 = 158
      • 제3절 옹기의 용도 = 160
      • Ⅰ. 식생활 속의 옹기 = 160
      • Ⅱ. 일상 생활 속의 옹기 = 163
      • Ⅲ. 주거 생활 속의 옹기 = 165
      • 제4절 옹기 제작 과정 = 166
      • Ⅰ. 밑일 = 167
      • Ⅱ. 건아꾼 작업 = 168
      • Ⅲ. 물레칸 작업 = 169
      • Ⅳ. 건아일 = 172
      • Ⅴ. 가마 작업 = 172
      • 제3부 고려 청자·조선 백자·분청사기 문화편
      • 제1장 고려 청자 = 175
      • 제1절 고려자기의 등장 배경과 청자의 발생 및 특징 = 175
      • Ⅰ. 고려자기의 등장 배경 = 175
      • Ⅱ. 청자의 발생 = 176
      • Ⅲ. 청자의 특징 = 178
      • 제2절 고려 청자와 토기와의 관계 및 중국 청자와의 차이점 = 179
      • Ⅰ. 고려 청자와 토기와의 관계 = 179
      • Ⅱ. 중국청자와 고려청자의 차이점 = 181
      • 제3절 고려 청자의 변천 과정 = 182
      • Ⅰ. 순 청자 시대 = 182
      • Ⅱ. 상감 청자 시대 = 182
      • Ⅲ. 쇠퇴기의 청자 = 183
      • 제4절 고려 도자의 분류 방법 = 183
      • Ⅰ. 재료상 분류 = 183
      • Ⅱ. 기법상 분류 = 184
      • Ⅲ. 형태상 분류 = 185
      • 제5절 고려 청자의 종류 = 185
      • Ⅰ. 순청자[純靑磁 : 소문·음각·양각·인각·투각청자(素文·陰刻·陽刻·印刻·透刻靑磁)] = 186
      • Ⅱ. 상형(象形)청자 = 186
      • Ⅲ. 상감(象嵌)청자 = 187
      • Ⅳ. 철화(鐵畵)청자 = 187
      • Ⅴ. 철채(鐵彩)청자 = 187
      • Ⅵ. 동화(銅畵)청자 = 187
      • Ⅶ. 화금(畵金) : 금수(金彩)청자 = 188
      • Ⅷ. 연리문(練理文)청자 = 188
      • 제6절 고려청자의 대표적인 작품 = 188
      • Ⅰ. 청자칠보투각 향로(靑磁七寶透刻香爐) = 188
      • Ⅱ. 사자형유개청자 향로(獅子形유蓋靑磁香爐) = 188
      • Ⅲ. 청자어룡형주전자(靑磁魚龍形酒煎子) = 189
      • Ⅳ. 청자압형연적(靑磁鴨形硯滴) = 189
      • Ⅴ. 청자음각보상화문매병(靑磁陰刻寶相畵文梅甁) = 189
      • Ⅵ. 청자상감진사모란문매병(靑磁象嵌辰砂牡丹文梅甁) = 189
      • Ⅶ. 청자상감운학문매병(靑瓷象嵌雲鶴文梅甁) = 190
      • Ⅷ. 청자상감운학모란문표형수병(靑磁象嵌雲鶴砂牡丹文瓢形水甁) = 190
      • Ⅸ. 청자상감모란문항(靑瓷象嵌牡丹文缸) = 190
      • Ⅹ. 청자상감어문매병(靑磁象嵌魚文梅甁) = 190
      • XI. 화청자양류문통형병(畵靑磁楊柳文筒形甁) = 191
      • 제7절 고려자기의 무늬·기형·요지 = 191
      • Ⅰ. 고려자기의 무늬 = 191
      • Ⅱ. 고려자기의 기형(高麗磁器-器形) = 191
      • Ⅲ. 요지(窯址 : 가마터) = 192
      • 제2장 조선시대 도자에 관한 기초지식 = 193
      • 제1절 조선시대의 사회적 배경과 조선자기시대 구분 = 193
      • Ⅰ. 사회적 배경 = 193
      • Ⅱ. 조선자기 시대 구분 = 194
      • 제2절 분청자기 개관 = 195
      • Ⅰ. 분청자기의 뜻 = 195
      • Ⅱ. 인화분청(印花粉靑) = 195
      • Ⅲ. 감화분청(嵌花粉靑) = 195
      • Ⅳ. 백토분청(白土粉靑) = 196
      • Ⅴ. 박지분청(剝地粉靑) = 196
      • Ⅵ. 철화분청(鐵畵粉靑) = 196
      • 제3절 분청사기의 특징과 변천과정 = 197
      • Ⅰ. 분청사기의 특징 = 197
      • Ⅱ. 분청사기의 변천 과정 = 198
      • 제4절 분청사기 지역별 가마터 특색과 가마 구조 = 202
      • Ⅰ. 경기도와 충청도 가마터의 특색 = 202
      • Ⅱ. 전라남·북도 가마터 특색 = 203
      • Ⅲ. 경상 남·북도 가마터 특색 = 203
      • Ⅳ. 분청사기 가마 구조 = 203
      • 제5절 분청사기 대표작 = 205
      • Ⅰ. 분청자기 상감모란 문반합(粉靑磁器象嵌牡丹文飯盒) = 205
      • Ⅱ. 분청자기 박지삼어문 편호(粉靑磁器剝地三魚文扁壺) = 205
      • Ⅲ. 계룡산 분청자기 철화어문병(鷄龍山粉靑磁器鐵畵魚文甁) = 205
      • 제3장 조선백자 = 206
      • 제1절 조선백자의 의미와 특징 = 206
      • Ⅰ. 조선백자의 의미 = 206
      • Ⅱ. 조선 백자의 특징 = 207
      • 제2절 조선백자의 양식 변천 = 209
      • Ⅰ. 전기의 백자 양식 = 209
      • Ⅱ. 중기의 백자 양식 = 210
      • Ⅲ. 후기의 백자 양식 = 211
      • 제3절 조선 백자의 종류 = 212
      • Ⅰ. 순백자 = 213
      • Ⅱ. 상감백자 = 213
      • Ⅲ. 청회백자 = 214
      • Ⅳ. 철화백자 = 215
      • Ⅴ. 진사백자 = 216
      • Ⅵ. 조선청자 = 216
      • Ⅶ. 기타 = 216
      • 제4절 조선백자의 제작 과정 = 217
      • Ⅰ. 사기장(沙器匠) = 217
      • Ⅱ. 자기소, 도기소와 분원 = 218
      • Ⅲ. 경기도 광주 분원 = 219
      • 제5절 백자용(白磁俑) = 220
      • Ⅰ. 백자용에 담긴 의미 = 220
      • Ⅱ. 백자용과 부장제도 = 221
      • Ⅲ. 토기용과 백자용 = 223
      • Ⅳ. 백자용 표현방식의 특징 = 224
      • 제4부 건축용 자재로 쓰이는 옛 기와·전돌 문화편
      • 제1장 옛 기와 문화 = 229
      • 제1절 기와의 유래와 명칭 = 229
      • Ⅰ. 기와의 유래 = 229
      • Ⅱ. 기와의 명칭 = 230
      • 제2절 기와의 종류 = 231
      • Ⅰ. 기본 기와 = 232
      • Ⅱ. 막새(瓦當) = 232
      • Ⅲ. 서까래 기와 = 234
      • Ⅳ. 마루 기와 = 236
      • Ⅴ. 특수 기와 = 239
      • 제3절 기와 잇기와 기와 지붕의 곡선미 = 242
      • Ⅰ. 기와 잇기 = 242
      • Ⅱ. 기와 지붕의 곡선미 = 244
      • 제4절 각 시대(왕조)별 기와의 특징 = 245
      • Ⅰ. 고구려 기와의 특징 = 246
      • Ⅱ. 백제 기와의 특징 = 249
      • Ⅲ. 고신라 기와의 특징 = 251
      • Ⅳ. 통일신라 기와의 특징 = 253
      • Ⅴ. 고려 기와의 특징 = 256
      • Ⅵ. 조선 기와의 특징 = 258
      • 제5절 기와의 생산 과정 = 259
      • Ⅰ. 조와 조직(造瓦組織) = 259
      • Ⅱ. 기와의 제작 = 261
      • Ⅲ. 기와의 소성(燒成) = 263
      • 제2장 옛 전돌(塼) 문화 = 271
      • 제1절 전돌의 기원과 전래 = 271
      • Ⅰ. 전돌의 기원 = 271
      • Ⅱ. 전돌의 전래 = 272
      • 제2절 전돌의 분류 = 273
      • Ⅰ. 묘전돌 = 274
      • Ⅱ. 부전돌 = 274
      • Ⅲ. 벽전돌 = 275
      • Ⅳ. 탑전돌 = 275
      • Ⅴ. 특수 전돌 = 276
      • Ⅵ. 전불 = 276
      • 제3절 각 시대(왕조)별 전돌의 특징 = 277
      • Ⅰ. 고구려 전돌의 특징 = 278
      • Ⅱ. 백제 전돌의 특징 = 280
      • Ⅲ. 고신라 전돌의 특징 = 285
      • Ⅳ. 통일신라 전돌의 특징 = 286
      • Ⅴ. 발해 전돌의 특징 = 291
      • Ⅵ. 고려 전돌의 특징 = 292
      • Ⅶ. 조선 전돌의 특징 = 293
      • 제4절 전돌의 제작 과정과 가마터 = 295
      • Ⅰ. 전돌의 제작 과정 = 295
      • Ⅱ. 전돌의 가마터 = 296
      • 참고문헌 = 301
      • [Volume. 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