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 내러티브 탐구 : 지방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 A narrative inquiry of experience with parents about work valu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storie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at the local university

    • 저자

      서진희

    • 발행사항

      천안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인력개발학과 진로 및 직업상담전공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1.55 판사항(6)

    • DDC

      331.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xii, 274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재경
      권말부록: 연구참여안내 ; 면접참여 동의서 ; 연구 인터뷰 질문지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자신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경험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 퍼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은 어떠한 가? 둘째,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의 의미는 어떠 한가? 이다.
    연구 참여자로 공학 계열에 재학하고 있는 남학생 네 명과 여학생 두명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5월부터 2016년 8월 까지 내러티브 인터뷰를 통해서 중간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이후 추가 인터뷰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 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나갔고, 시간성, 사회성, 장소를 의미하는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퍼즐 1은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참여자들의 부모와의 경험을 <김주영 이야기>, <김성준 이야기>, <오나리 이야기>, <김소희 이야기>, <최규진 이야기>, <허준호 이야기>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김주영 이야기>, 김주영의 부모와의 경험은 어머니와의 소통단절과 갈등, 아버지의 지지로 요약된다. 김주영이 지닌 협동, 공유, 영향력 발휘 등의 직업가치는 이러한 긴장관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김성준 이야기>, 김성준은 진심으로 존경하는 아버지처럼 유능하지 못 하다는 생각에 부모님께 죄송스럽다. 김성준에게는 미안한 마음과 더불어 위축감을 느끼게 하는 아버지가 있었고, 소통이 잘 되는 어머니가 있었 다. 이는 김성준이 인정, 발전성, 전문성이라는 직업가치를 갖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김성준의 부모는 아들에게 타인에게 인정받을 수 있고 안정 적인 일을 갖기를 강조하였다.
    <오나리 이야기>, 오나리는 부모에게서 경제적, 정서적 지지를 충분히 받지 못했다. 행복했던 가정이 경제적인 문제로 깨지고 부모의 이혼으로 이어졌다. 이는 오나리가 직업가치를 1부의 일과 생활의 균형, 경제적 안정, 가족 그리고 2부의 성취, 발전성으로 나누는 배경이 되었다.
    <김소희 이야기>, 김소희의 부모와의 경험은 아버지, 어머니와의 의사 소통과 지지로 요약된다. 김소희가 지닌 전문성, 성취, 영향력 등의 직업 가치는 이러한 관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김소희는 900여 편에 이르는 영화를 보았으며 미래에 영화감독이 되기를 꿈꾸고 있다.
    <최규진 이야기>, 최규진에게는 무엇보다 학업성취를 강조하며 자신을 압박했던 아버지가 있었고, 소통이 잘 되는 어머니가 함께 있었다. 최규 진은 매일 매일 똑같은 일상의 평탄한 삶을 살았다. 이는 최규진이 일과 생활의 균형, 안정성이라는 직업가치를 갖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최규진의 부모는 아들에게 안정적인 일을 갖기를 강조하였다.
    <허준호 이야기>, 허준호의 부모와의 경험은 같은 일을 오랫동안 지속한 아버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지지로 요약된다. 그가 지닌 안정성, 소득, 가족의 직업가치는 이러한 관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허준호가 한 직장에서 오래 일하고 안정적인 삶을 그리게 된 배경에는 같은 지역에서, 같은 일을 오랫동안 지속한 부모가 있었다.
    연구퍼즐 2는 대학생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 이다. <부모와 함께하는 직업가치 발달>, <부모가 바라는 자녀의 직업가치>, <효, 보답의 마음>, <독립, 자녀의 갈망이 담긴 가치>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부모와 함께하는 직업가치 발달> 부모는 중학교, 고등학교 시기를 지난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있어서 여전히 중요한 요인이었다. 연구 참여자 김성준, 최규진은 부모가 평소에 직업에 있어서 강조하는 내용을 순응하여 그대로 자신의 직업가치로 수용하였다. 김주영은 아버지와 김소 희, 허준호는 아버지, 어머니와의 충분한 의사소통과 정서적 지지를 경험 하였다. 부모가 강조하는 말 그대로는 아니지만 부모와의 삶에서 구축한 ‘나’를 기반으로 창조적인 적응과정을 거치며 직업가치가 발달하였다.
    오나리는 부모의 경제적 지지, 정서적 지지가 부족한 상태에서 직업가치 발달에 있어서 혼란을 경험하고 있었다.
    <부모가 바라는 자녀의 직업가치>는 결과적으로 아주 단순한 메시지였 다. 자녀에 대한 부모의 바람은 이성보다는 본능에 가까웠다.‘인정 받았 으면’,‘행복하게, 잘 먹고 잘 살았으면’,‘큰 고생 없이 안정적으로 살았으면’으로 해석되었다. 부모가 바라는 삶의 방향으로 자녀를 양육하 고, 그 과정에서 자녀에 대한 부모의 믿음과 지지가 중요하였다. 부모가 자신에게 바라는 의도를 부모에게 듣고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김주영, 김소희, 허준호는 자신의 직업가치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자신 있게 자신의 미래를 향해 달려가고 있었다. 그리고 부모가 자신에게 바라는 의도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한 김성준, 최규진은 부모에게 순응하듯이 오나리는 혼란스러운 상태로 자신의 직업가치를 이해하고 있었다.
    <효, 보답의 마음>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부모에 대해‘성실하고 열심히 사시는 분들, 감사함, 대단함’으로 표현하였다. 부모와의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김성준, 오나리, 최규진도 마찬가지였다. 부모의 지원과 희생에 대해 감사하면서 그 이면에는 감사함에 대한 보답을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었다. 김성준은 부모의 기대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한 것에 대해 죄송함을 이야기 하였다.
    <독립, 자녀의 갈망이 담긴 가치>는 부모와의 삶에 대해 인정하고 부모 에게서 받았던 많은 것에 대해 감사하지만 이제는 독립을 선언하는 것이다. 부모와의 단절을 의미하는 독립이 아닌 상호의존적 맥락속에서의 독립이었다. 즉, 부모와 지속적인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각자의 심리적 독립을 기대하는 모습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을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 논의하 였다. 첫째, 연구자는 그들이 들려주는 삶의 이야기에 집중하며 충실히 들으려 노력하였다. 부모-자녀 관계는 정제되지 않은 삶, 그 자체로 충분히 경이로웠다. 그 과정은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모두에게 자신과 부모에 대해 좀 더 깊고 새롭게 인식하게 하였다. 또한 아직까지는 직업만족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인‘직업가치’가 개인에게 낯선 주제라는 것과 함께 직업가치와 관련한 부모와의 삶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과 기회의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부모와의 경험은 그들의‘살아가는 과정’중 자신이 살아온 이야기 경험들이 또 다른 이야기로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연구 참여자의 부모와의 경험은 일회적으로 끝나거나 단절된 것이 아니라 연속성(continuity)과 상호작용(interaction)의 과정 속에서 발전하며 변화하였다.‘대학생 자녀는 부모를 자신의 직업가치 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존재로 인식함’,‘부모의 기대를 자녀에게 명확하게 들려주는 것이 필요함’,‘대학생 자녀가 부모에게 바라는 것은 부모의 지지와 믿음’으로 드러났다. 부모의 전폭적인 정서적 지지와 믿음은 대학생 자녀로 하여금 자신 있게 그리고 주도적으로 자신의‘꿈’을 향해 나아갈수 있는 기폭제가 되었다. 셋째,‘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의 가정환경 맥락 속에서 어떻게 삶을 이어 왔는지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에 대해 살펴 보았다. 연구 참여자 삶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개인의 경험을 보다 생생하게 이해하고자 내러티브 탐구가 수행되었고, 개인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 결과, 부모는 내 자녀의 이야기와 생각에 집중할 필요가 있었다. 자녀가 자신의 일을 만족하며 그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성취하기를 바란다면 부모의 역할은 자녀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것이다. 부모와 자녀가 자유롭게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자녀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들어주고, 자녀의 의견을 지지하고 자율성을 부여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였다. 그 과정에서 부모가 자녀에게 기대하고 바라는 것이 자녀의 의견과 다르다면 부모 자신의 의도를 자녀에게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생각대로만 나아가지 않았다.
    연구 참여자 김소희, 허준호에게서 부모의 기대에 보답하고자 하는‘효’ 사상이 한국사회 우리의 자녀들에게 집단무의식처럼 남아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부모가 자신의 의도 즉, 자녀에게 바라는 미래와 삶을 명확하게 진정성 있게 자녀에게 전달한다면 자녀도 기꺼이 부모의 기대를 선택하고 수용할 각오를 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 최규진의 이야기에서 부모의 권위만으로 자녀를 이끌 경우 자녀는 부모의 의견에 수동적으로 따르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자신의 진로와 삶이 부모의 바람대로 흐르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부모와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해 성찰하는 시각을 얻었다. 연구의 의의는 첫째,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에 대해 연구 참여자 삶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개인의 경험을 보다 생생하게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방 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있어 부모의 구체적인 역할이나 영향에 대해 확인하는 경험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직업가치의 발달이라는 관점에서 직업가치를 연구한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에서 개인의 직업가치를‘발 달’의 차원에서 접근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직업가치 발달과 관련된 요인들을 각 개인의 경험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신이 만족할 수 있는 진로의사결정의 어려움에 직면한 대학생들을 위한 상담의 확장에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 자녀의 직업가치 발달에서 부모의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가치 연구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논의를 위해 부모 입장에서의 인식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상학이나 사례연구, 근거이론 등 보다 다양한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직업가치 발달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한다면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경험의 본질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연구한다면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 과정에서 필요한 의사결 정이 왜 이루어지고, 이러한 의사결정의 배경에 어떤 주요 요인이 있는지를 좀 더 상세히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근거이론의 방법으로 연구한다면 개인의 직업가치 발달에 대한 추상적이고 분석적인 구조를 생성하여 개인의 경험과 관련한 현상의 맥락과 이론에 접근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보다 다양한 경험 사례들을 활용하여 개인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는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넷째, 대학생이 사회에 진출한 이후 개인의 직업가치 변화에 기여하는 요인에 대한 종단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에 있어서 아들과 딸의 인식을 확인하고, 각각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llege students experience with their parents in the development of work value and what significance they give to their experience. Research puzzle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your experience with parents on the development of college work value? Second, how is the meaning of experience with parents about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work value?
    to be.
    I interviewed four male students and two female students who are in the engineering department.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completed through a narrative interview from May 2016 to August 2016, and further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rch 2018 to September 2018.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repeated in the interview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analyzed in the three - dimensional narrative space, meaning time, sociality, and place.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puzzle 1 is the experience with parents about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work value.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their parents were described as <Kim Joo-young story>, <Kim Sung-jun story>, <Onari story>, <Kim So-hee story>, <Choi Kyu-jin story>, <Huh Jun-ho story>.
    <Kim Joo-young story>, Kim's experience with parents is summarized as disconnection and conflict with mother and father' s support. Work value such as co-operation, sharing and influence of Kim Joo-young was interpreted as being influenced by this tension.
    <Kim Sung-jun story>, Kim Sung-jun is sorry to his parents that he can not be competent like his sincere and respectful father. Kim Sung-jun had a father who felt depressed with a sorry heart, and there was a mother who communicated well. This has become a background in which Kim Sung - joon has the work value of recognition, development, and professionalism. Kim's parents emphasized having a stable job for his son.
    <Onari story>, Onari did not receive enough economic and emotional support from her parents. A happy family broke down with economic problems and led to a parental divorce. This is the background on which Onari divided work value into a balance of work and life, economic stability, family, and achievement and development.
    <Kim So-hee story>, Kim So-hee's experience with parents about work value development is summarized as communication and support with father and mother. Kim So-hee's work value, achievement, influence, etc. Were interpreted as influenced by this relationship. Kim has seen over 900 films and dreams of becoming a film director in the future.
    <Choi Kyu-jin story>, Choi Kyu-jin was with his father, who stressed his academic achievement, and his mother who communicated well. Choi Kyu-jin lived the same everyday flat life everyday. This is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It has become a background to get the work value of stability. Choi Kyu-jin's parents emphasized having a stable job for his son.
    <Huh Jun-ho story>, Huh's experience with parents about work value development is summarized as communication and support with father and mother. His stability, and the family's work value were interpreted as having been influenced by this relationship. He is working for a long time and wants a stable life. In the background, there were parents who continued the same work for a long time in the same area.
    What does research puzzle 2 mean in terms of experience with parents about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work value? to be. <Development of work value with parents>, <The work value of a child's parent's wishes>, <Filial piety , heart of reward>, <Independence, the value of the child's desire>.
    <Development of work value with parents> Parents were still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work value of college students who passed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years. Participants Kim Sung - joon and Choi Kyu - jin accepted the contents emphasized by their parents in their jobs as their own work values. Kim Joo-Young, experienced enough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with his father, Kim So - hee, and Huh Jun - ho with his father and mother. It is not the words that parents emphasize, but it has developed through the creative adaptation process based on the 'I' that I built in my life with my parents. Onari was experiencing confus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work value in the absence of economic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with parents.
    <The work value of a child's parent's wishes> As a result, it was a very simple message. Parents' desire for their children was closer to instinct than reason. It was interpreted as 'to be recognized', 'to live happily, to live well and to live well', and 'to live stable without great suffering'. Parents' beliefs and support for their children we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nurturing their children in the direction of their desired life. Kim Joo-young, Kim So-hee, and Huh Jun-ho, who are clearly aware of their parents' intentions toward their parents, were running toward their future confidently with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work value. And as Kim Sung - joon and Choi Kyu - jin, who did not clearly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ir parents, agreed to their parents, Onarri understood his work value in a confused state.
    <Filial piety, heart of rewar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parents' 'sincerity and hard livelihood, thanksgiving, and greatness'. Kim Sung jun , Onari, and Choi Kyu-jin, who have experienced conflicts with parents, were also the same. I was grateful for my parents' support and sacrifice, and I was worried about how to give back the gratitude. Kim spoke of his sorryness for not meeting his parents' expectations.
    <Independence, the value of the child's desire> acknowledges the life with the parents and appreciates many things they have received from their parents, but now declares independence. It was independence in an interdependent context, not independence, which meant disconnection with parents. In other words, they were expecting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sustained ties with their pare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experiences of parents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work values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legitimacy, actual legitimacy, and social legitimacy. First, the researchers focused on the story of their life and tried to listen faithfully. Unpublished life itself, the parent - child relationship was marvelous enough. The process allowed both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to become more deeply aware of themselves and their parents. I was able to draw a clearer picture of the future life that I did not intend to do. In addition, 'work value', which is a predictor of job satisfaction, is an unfamiliar topic for the individual, and the need for time and opportunity to think about life with parents related to work value has become known.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with their parents was a process in which their experiences of 'living process' led to another story. The experience with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s did not end once or cut off, but developed and changed in the process of continuity and interaction. It was revealed that‘A college student recognizes parent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development of their work value', 'The image of the life that parents showed in the development of the work value of college students', ‘What college students want for their parents is revealed by their parents' support and faith’ The full emotional support and belief of the parents became a catalyst for college students to confidently and proactively advance toward their‘dreams'. Parental emo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has become a flowing artery throughout their lives. Third,‘A narrative inquiry of experience with parents about work valu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showed vividly how the researchers led their lives in the context of their home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narrative inquiry, parents needed to focus on my child's stories and thoughts. If the child is satisfied with his work and wishes to lead in the field, the role of the parent is to listen to the child's opinion. It was important that parents and children communicate freely and openly, listen to what they really want, support their opinions and give them autonomy. In the process, it was necessary for parents to communicate their intentions to their children clearly if what they were expecting and expecting from the child was different from the opinion of the child. Participants did not go according to their own idea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Kim So-hee and Huh Jun-ho, confirmed that the "Filial piety" thought to repay the expectation of their parents remained as a collective unconscious to our Korean children. If parents clearly and sincerely communicate their intentions, the future and life they desire to their children, their children are willing to choose and accept the expectations of their parents. In the story of Choi Kyu-jin, the participant, when the child was led by the authority of the parent, the child showed a passive attitude to the opinion of the parents. However, I could see that I was afraid that my career and life would flow like the wind of my parents.
    This study wa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society and the participants gained a reflective view of their life through the story of their life with their par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story of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bout the experience of the parents about the work value development of th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of the narrative which i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ividly understand the individual experience. Second, we attempted empirical studies to confirm the specific roles and influences of parents in the development of work valu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ird, in the absence of research on the value of the work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work value, the work value of the individual wa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Fourth,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work value were confirmed through empirical cases of each individual. These findings may provide empirical data on the expansion of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confronted with the difficulty of career decision making that they can satisfy and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par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work value .
    Suggestions for follow - 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in order to discuss more deeply about the study of the value of the work. Second,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work value through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phenomenology, case studies, and grounded theory. If the phenomenon of parental experience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value of college students is studied phenomenologically, it will be possible for the researcher to grasp the nature structur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experience.
    If we study the method of case study, we can find out why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value of college students and what are the main factors behi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f we study the method of grounded theory, we can get an abstract and analytical 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s work value and approach the context and the theory related to the individual's experience. Third, it would be possible to suggest a theoretical model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work value of the individual by using various experience case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hange of individual 's work value after university students enter the society.
    Fifth, we propose a follow - up study that examines the perception of sons and daughters in their experiences with parents about work value development and how they experience each other.

    더보기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내러티브의 시작 1
    • 1. 나의 직업가치 1
    • 2. 부모와의 경험 6
    • 3. 대학원과정 9
    • 제2절 연구의 필요성 13
    • 제3절 연구퍼즐 21
    • 제2장 이론적 배경 22
    • 제1절 직업가치 22
    • 1. 직업가치의 개념 22
    • 2. 직업가치에 관한 선행연구 27
    • 제2절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자녀 관계 31
    • 1. 부모-자녀 관계 31
    • 2.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자녀 관계 선행연구 32
    • 제3장 연구방법 및 절차 40
    • 제1절 내러티브 탐구 40
    • 1.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43
    • 2. 내러티브 탐구의 정당성 48
    • 제2절 연구의 절차 49
    • 1. 연구 참여자 49
    • 2. 연구의 진행과정 51
    • 3. 윤리적 고려 61
    • 4. 연구의 타당성 63
    • 제4장 연구 결과 66
    • 제1절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 이야기 66
    • 1. 김주영 이야기 66
    • 2. 김성준 이야기 80
    • 3. 오나리 이야기 92
    • 4. 김소희 이야기 102
    • 5. 최규진 이야기 114
    • 6. 허준호 이야기 124
    • 제2절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의 의미 138
    • 1. 부모와 함께하는 직업가치 발달 143
    • 2. 부모가 바라는 자녀의 직업가치 157
    • 3. 효, 보답의 마음 171
    • 4. 독립, 자녀의 갈망이 담긴 가치 181
    • 제5장 결 론 191
    • 제1절 요약 191
    • 제2절 논의 198
    • 1. 개인적 정당성 200
    • 2. 실제적 정당성 204
    • 3. 사회적 정당성 215
    • 제3절 의의 및 제언 229
    • 1. 의의 229
    • 2. 제언 235
    • 내러티브 탐구를 마치며 241
    • 참고 문헌 245
    • ABSTRACT 266
    • 부 록 2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