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커플관계에서 다름을 수용하는 태도의 적응적 기능 :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 개발 및 웹 기반 다름 수용 프로그램 효과 검증 = Adaptive Functions of Acceptance in Couple Relationships: Development of the Acceptance for Differences in Couple Relationship Scale and a Web-Based Acceptance Cultivating Program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는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커플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행동치료에 수용의 요소를 강화한 통합적 행동 커플치료(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BCT; Jacobson & Christensen, 1996) 모델을 이론적 틀로 삼아 커플관계에서 다름에 대한 수용을 명확히 정의하고, 수용의 핵심 구성 요소를 반영한 척도를 제작하였다.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여 다름 수용 태도와 다양한 개인 내적 변인 및 상호작용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다름 수용 태도가 개인의 심리적 건강과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다름 수용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웹 기반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가 가이드 조건과 임상가 가이드 조건으로 나누어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커플관계에서 서로의 다름을 수용하는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커플치료에서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한 IBCT 이론을 바탕으로 커플관계에서 다름에 대한 수용을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상대방을 변화시키려 하기보다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다름을 통해 친밀하고 발전된 관계로 나아가고자 노력하는 태도’로 정의하였다. IBCT의 주요 개념을 바탕으로 커플관계 다름 수용 태도 척도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기존의 커플 대상 척도들과 수용 관련 척도들을 참고하여 75개의 예비문항을 마련하였다. 연구 1-1에서는 대학생 327명과 온라인으로 모집한 성인 66명을 대상으로 문항을 실시하여, 다름에 대한 인내, 다름에 대한 역지사지, 다름에 대한 존중, 다름을 통한 성장, 다름에 대한 거리두기의 5요인, 22문항으로 이루어진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1-2에서는 일반인 305명과 대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본 척도가 5요인으로 이루어졌음을 재검증하였고, 수렴 및 변별타당도, 준거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적절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커플 교제 중이거나 커플 교제 경험이 있는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Big 5 성격특성과 다름 수용 태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성격특성이 커플관계 만족도에 영향 미치는 과정에서 다름 수용 태도의 역할을 갈등해결전략과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더불어 커플관계 다름 수용 태도와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다름 수용 태도는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신경증, 우울, 상태불안 및 특질불안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다름 수용 태도는 성격특성 및 갈등해결전략의 영향을 배제하고도 커플관계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특성이 커플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격특성에 따라 다름 수용 태도와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신경증에서는 다름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가, 외향성에서는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에서는 다름 수용 태도와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였으며, 친화성과 성실성에서는 다름 수용 태도에서 갈등해결전략으로 이어지는 순차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유의하였는데, 남성의 경우, 신경증을 중심으로 성격특성이 커플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성격특성과 커플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다름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가 두드러졌던 반면, 여성의 경우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두드러졌다. 결혼상태에 따른 차이도 유의하였는데, 미혼자의 경우, 다름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가 두드러졌던 반면, 기혼자의 경우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다름 수용 태도는 성격특성의 영향을 배제하고도, 자존감, 삶의 만족도, 우울, 상태불안, 특질불안에 대해 고유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3에서는 커플 200쌍을 대상으로 다름 수용 태도가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3-1에서는 Kenny(1996)가 고안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바탕으로 다름 수용 태도와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에 대한 지각이 자기 및 상대방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상호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남녀 모두 자신의 다름 수용 태도가 자신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가 자신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상대방 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신의 커플관계 질이 높아졌으며,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에 대한 자신의 지각이 자신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파트너의 지각이 자신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상대방 효과보다 컸다. 이어서 West와 Kenny(2011)가 제안한 진실과 편향 모형(Truth and Bias Model: T&B)을 바탕으로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 지각에 있어서 나타나는 특징을 조사하였다. 남녀 모두 자신의 다름 수용 태도가 높을수록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를 높게 지각하는 유사성 편향을 보였으며, 상대가 자신의 다름 수용 태도를 높게 보고할수록 상대의 다름 수용 태도를 높게 지각하는 정확성을 보였다. 지각의 정확성에서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지각의 유사성 편향은 여성보다 남성에서 크게 나타났고, 파트너의 자기보고 다름 수용 점수보다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를 낮게 지각하는 부정적 지향성 편향은 여성에게서만 유의하였다. 연구 3-2에서는 다름 수용 태도와 성인애착, 의사소통방식, 커플관계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인애착이 커플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다름 수용 태도의 역할을 의사소통방식과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름 수용 태도는 건설적 의사소통과는 정적 상관을, 회피 및 불안애착,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가 커플관계 질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다름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다름 수용 태도에서 건설적 또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으로 이어지는 순차 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성별 및 결혼상태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는데, 남성과 미혼자의 경우, 다름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가 두드러졌으나, 여성과 기혼자의 경우, 다름 수용 태도와 더불어 의사소통방식의 매개효과도 유의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4에서는 웹 기반 커플관계 다름 수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커플 34쌍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가 가이드 조건과 임상가 가이드 조건으로 나누어 가이드 제공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가 가이드 집단과 임상가 가이드 집단 모두 자기보고 다름 수용 태도와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에 대한 지각 점수가 향상되었고, 커플관계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다름으로 인한 고통 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임상가 가이드 집단의 경우, 건설적 의사소통 및 커플관계 친밀감, 안정성,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고, 지각된 다름 정도 및 갈등빈도, 우울은 감소하는 등 더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를 보였다. 한편, 임상가 가이드 집단의 경우, 측정 시기와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는데, 남성에 비해 여성의 커플관계 친밀감, 삶의 만족도는 더 증가하고, 다름으로 인한 고통 정도는 더 감소하였다. 즉 임상가 가이드 제공의 효과는 여성에게서 더욱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다름 수용 태도의 중요성과 다름 수용 태도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eport inventory measuring attitudes toward acceptance for differences in couple relationship,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among acceptance for differences, personality traits, couple relationship quality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study also included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program for cultivating acceptance for differences.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BCT) was used as the theoretical model. Acceptance for differences (AD) was defined as an attitude acknowledging inter-partner differences and developing intimacy through those differences without expecting one’s partner to change.
    In study 1, based on the primary concepts of IBCT, five factors were constructed for developing the Acceptance for Differences in Couple Relationship Scale (ADCRS), and 75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existing measures of acceptance and couple relationship. Study 1 was conducted in two parts. In Study 1-1, three hundred and twenty-seven college students and sixty-eight adults completed the ADC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CRS consisted of 22 items and five factors. These factors are as follows: (i) Tolerance for differences (TD), (ii) Perspective-taking for differences (PD), (iii) Respect for differences (RD), (iv) Growth through differences (GD), and (v) Distancing for differences (DD). In Study 1-2, three hundred five adults and one hundred thirty-six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DC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five-factor model as the best model fit, and a bifactor model as reasonable. The ADCR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two-week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study 2, the associations among AD, personality traits(Big Five),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investigated in a sample of 300 adults participants. The A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penness,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an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uroticism and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AD showed a stronger effect on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mediating role of AD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varied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traits. Moreover,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on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D in the link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tronger in men than in women. To the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AD and psychological health was investigated. The AD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In addition, 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state and trait anxiety even after excluding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In study 3, the effect of AD on the quality of couple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in a sample of 200 couples. In study 3-1,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PIM; Kenny, 1996)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the AD, perception of partner's AD and couple relationship quality for two peopl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AD and perception of partner's AD on couple relationship quality were found in both men and women. The actor effect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partner effect. Furthermore, the Truth and Bias (T&B; West & Kenny, 2011) model was administer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self-reported AD and perception of partner's AD. Results indicated a perceptual similarity bias and a perceptual accuracy in both men and women. The gender difference in perception accuracy was not significant, and males showed greater bias than females in perceptual similarity bias. Negative directional bias was found only in women and not in men. In study 3-2, the role of A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couple relationship quality was examined by comparing communication styles.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D and constructive or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as found in the associ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couple relationship quality. The mediating effect of AD was significant in both men and wome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tyle was significant only in women.
    In study 4, a four-session web-based acceptance for differences cultivat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its efficacy was examined. A total of 34 couples was assigned to either the self-guided or clinician-guided groups. In the clinician-guided group,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researcher's feedback on their answers. It was found that the self-reported AD, perception of partner's AD,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mproved, and distress due to differences reduced, in both groups. In the clinician guided group,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more diverse aspects such as an increase in constructive communication, couple relationship intimacy, s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reduction of conflict frequency and depression. In the clinician-guided group, women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couple intimacy and life satisfaction, and decrease in distress due to differences than men.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ffect of providing clinical guides was greater for women than for me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더보기
    • 국문 초록 i
    • 서 론 1
    • 커플관계에서 다름의 역할 2
    • 커플치료 및 연구 동향과 수용 중심 커플치료 4
    • 커플관계 다름 수용 측정의 문제 13
    • 커플관계에 영향 미치는 주요 변인들과 다름 수용 태도의 관련성 17
    • 웹 기반 다름 수용 프로그램의 필요성 25
    •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8
    • 연구 1. IBCT에 기반한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32
    • 연구 1-1.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 개발 35
    • 방 법 37
    • 결 과 39
    • 논 의 45
    • 연구 1-2.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 타당화 51
    • 방 법 54
    • 결 과 59
    • 논 의 66
    • 연구 2. 커플관계 다름 수용 태도와 성격 및 심리적 건강의 관계 71
    • 방 법 75
    • 결 과 78
    • 논 의 92
    • 연구 3. 커플관계 다름 수용 태도가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101
    • 연구 3-1. 자기보고 다름 수용 태도 및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에 대한 지각과 커플관계 질의 관계 101
    • 방 법 106
    • 결 과 109
    • 논 의 118
    • 연구 3-2. 성인애착과 커플관계 질의 관계에서 다름 수용 태도의 역할 123
    • 방 법 125
    • 결 과 127
    • 논 의 135
    • 연구 4. 웹 기반 커플관계 다름 수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141
    • 방 법 143
    • 결 과 154
    • 논 의 169
    • 종합 논의 176
    • 참고 문헌 191
    • 부 록 221
    • 영문 초록 291
    더보기
    • 1 Seligman , M. , & Csikszentmihalyi , M., "Positive psychology", 55 ( 1 ) , 5-14 ., 2000
    • 2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0
    • 3 김성현, 김성회, "관용성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7(2), 215-229, 2006
    • 4 김성회, 이진아, "부부조화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1(4), 1623-1637, 2010
    • 5 Hendrick , C. , & Hendrick , S., "A theory and method of love", 50 ( 2 ) , 392-402 ., 1986
    • 6 이영호, 이주열, "커플관계에서의 공감",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4), 739-766, 2017
    • 7 Booth , A. , Johnson , D. , & Edwards , J. N., "Measuring marital instability", 45 ( 2 ) , 387-394 ., 1983
    • 8 권석만, 김진숙, "부부신념 척도의 개발", Korean J 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2), 459-473, 2009
    • 9 Sawilowsky , S. S., "New effect size rules of thumb .", 8 ( 2 ) , 467-474 ., 2009
    • 10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 1 ) , 71-75, 1985
    • 11 김중술, 홍강의, 조수철, 조두영, 유성진, 신민섭, 류인균, "부부치료의 새로운 접근", 인지행동치료, 2(1), 1-13, 2002
    • 12 문현미, "인지행동치료의 제3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5-33, 2005
    • 13 양병창, 최상진,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2001
    • 14 Kiecolt-Glaser , J. K. , & Newton , T. L., "Marriage and health : His and hers", 127 ( 4 ) , 472-503 ., 2001
    • 15 원호택, 이훈진, "자기개념과 편집증적 경향", 심리과학, 4(2), 15-29, 1995
    • 16 Bienvenu Sr , M. J,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19 ( 1 ) , 26-31 ., 1970
    • 17 West , T. V. , & Kenny , D. A, "The truth and bias model of judgment", 118 ( 2 ) , 357-378, 2011
    • 18 Donnellan , M. B. , Conger , R. D. , & Bryant , C. M., "The Big Five and enduring marriages .", 38 ( 5 ) , 481-504 ., 2004
    • 19 조명한, 차경호,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집문당, 1998
    • 20 안옥선, "성인애착과 결혼만족의 관계",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21 김정택,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8
    • 22 Carson , J. W. , Carson , K. M. , Gil , K. M. , & Baucom , D. H., "Mindfulness-based relationship enhancement", 35 ( 3 ) , 471-494 ., 2004
    • 23 김수영,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학지사, 2016
    • 24 이영순, 추미례,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27-43, 2014
    • 25 Kenny , D. A, "Commentary : Dyadic analyses of family data", 36 ( 5 ) , 630-633 ., 2011
    • 26 Teven , J. J. , McCroskey , J. C. , & Richmond , V. P., "Measurement of tolerance for disagreement .", 15 ( 2 ) , 209-217 ., 1998
    • 27 Sunnafrank , M., "On debunking the attitude similarity myth .", 59 ( 2 ) , 164-179 ., 1992
    • 28 김성회, 박경희, "대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9(2), 375-389, 2008
    • 29 양명숙, 전지경, "미혼 커플관계 탄력성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2(5), 1509-1525, 2011
    • 30 Borcsa , M. , & Pomini , V., "Couple and family therapy in the digital era", 627-635, 2019
    • 31 McCrae , R. R., "Social consequences of experiential openness", 120 ( 3 ) , 323-337 ., 1996
    • 32 Kenny , D. A, "Models of non-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13 ( 2 ) , 279-294 ., 1996
    • 33 Beck, A. T., "우울증의 인지치료 (원호택 외 역)", 학지사 (원전은 1979년에 출판), 2005
    • 34 성혜옥, "친밀감이 부부갈등의 벽을 허문다", 예영커뮤니케이션, 2011
    • 35 권석만, 김진숙, "부부 문제에 대한 인지행동적 접근", 심리과학, 12(1), 41-64, 2003
    • 36 Eysenck , H. J, "Personality , marital satisfaction , and divorce", 47 ( 3_suppl ) , 1235-1238, 1980
    • 37 McHugh , R. K. , & Otto , M. W., "Refining the measurement of distress intolerance", 43 ( 3 ) , 641-651 ., 2012
    • 38 Marra, T., "변증법적 행동치료. (신민섭 외 공역)",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5년에 출판), 2006
    • 39 Aron , A. , Aron , E. N. , Tudor , M. , & Nelson , G., "Close relationships as including other in the self", 60 ( 2 ) , 241 ., 1991
    • 40 김영애, "『통합적 사티어 변형체계치료적용』",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11
    • 41 김경의, 채숙희, 조용래, 이우경, 이금단,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2008
    • 42 권재환, 박주영, 김경희, "한국형 수용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콘텐츠학회, 16(8), 132-146, 2016
    • 43 Gurman , A. S. , & Fraenkel , P., "The history of couple therapy : A millennial review", 41 ( 2 ) , 199-260 ., 2002
    • 44 이기복,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수용 프로그램",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45 Piedmont , R. L. , McCrae , R. R. , & Costa , P. T., "Adjective Check List scales and the five-factor model", 60 ( 4 ) , 630-637 ., 1991
    • 46 Hazan , C. , & Shaver , P.,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52 ( 3 ) , 511-524 ., 1987
    • 47 권석만, 서장원, "고통을 견디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3), 641-666, 2015
    • 48 Rahim , M. A,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26 ( 2 ) , 368-376, 1983
    • 49 Johnson , S. M. , & Greenberg , L. S., "Emotionally focused couples therapy : An outcome study", 11 ( 3 ) , 313-317 ., 1985
    • 50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타당화 연구 2", Korean J 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8(2), 139-150, 1999
    • 51 Furler , K. , Gomez , V. , & Grob , A ., "Personality similarity and life satisfaction in couples", 47 ( 4 ) , 369-375 ., 2013
    • 52 Long , E. C. , & Andrews , D. W., "Perspective taking as a predictor of marital adjustment", 59 ( 1 ) , 126, 1990
    • 53 정혜정, 하상희,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간 전이", 상담학연구, 9(2), 789-806, 2008
    • 54 Boag , E. M. , & Carnelley , K. B ., "Attachment and prejudice : The mediating role of empathy", 55 ( 2 ) , 337-356 ., 2016
    • 55 Beam , C. R. , Marcus , K. , Turkheimer , E. , & Emery , R. E., "Gender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marital quality .", 48 ( 3 ) , 209-223 ., 2018
    • 56 Deal , J. E. , Wampler , K. S. , & Halverson , C. F., "The importance of similarity in the marital relationship", 31 ( 4 ) , 369-382 ., 1992
    • 57 김정규, "경쟁과 위협: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수용도", 사회이론(43), 199-239, 2013
    • 58 이순묵, "요인분석 1: Exploratory factor analysis 중심으로", 학지사, 1995
    • 59 Kang , H. W., "Approach for The Couple Therapy in Oriental Psychotherapy", 22 ( 3 ) , 87-100 ., 2011
    • 60 고재홍, 황민혜, "부부간 결혼가치관 차이, 오해 및 부부갈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779-800, 2010
    • 61 신희천, 한소영,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817-835, 2006
    • 62 White , J. K. , Hendrick , S. S. , & Hendrick , C., "Big five personality variables and relationship constructs", 37 ( 7 ) , 1519-1530 ., 2004
    • 63 Buss , D. M. , & Shackelford , T. K., "Susceptibility to infidelity in the first year of marriage", 31 ( 2 ) , 193-221 ., 1997
    • 64 Davidson , G. N. , & Horvath , A. O, "Three sessions of brief couples therapy : A clinical trial", 11 ( 4 ) , 422, 1997
    • 65 Simpson , J . A. , Rholes , W. S. , & Phillips , D., "Conflict in close relationships : An attachment perspective", 71 ( 5 ) , 899-914, 1996
    • 66 Johnson , S. M. , Hunsley , J. , Greenberg , L. , & Schindler , D., "Emotionally focused couples therapy : Status and challenges", 6 ( 1 ) , 67-79 ., 1999
    • 67 Jacobson , N. S. , Follette , W. C. , & Pagel , M., "Predicting who will benefit from behavioral marital therapy", 54 ( 4 ) , 518-522 ., 1986
    • 68 McCrae , R. R. , & Costa Jr , P. T., "The stability of personality : Observations and evaluations", 3 ( 6 ) , 173-175 ., 1994
    • 69 Little , T. D. , Rhemtulla , M. , Gibson , K. , & Schoemann , A. M., "Why the items versus parcels controversy needn ’ t be one", 18 ( 3 ) , 285-300 ., 2013
    • 70 이선희, "'내가먼저하기-Self Help' 부부집단 교육 워크북", 성문사, 2004
    • 71 Halford , W. K. , Osgarby , S. , & Kelly , A ., "Brief behavioural couples therapy : A preliminary evaluation", 24 ( 3 ) , 263-273 ., 1996
    • 72 Johnson , S. M. , & Talitman , E., "Predictors of success in emotionally focused marital therapy", 23 ( 2 ) , 135-152 ., 1997
    • 73 김명자, 김미숙, "도시 부부의 결혼안정성 및 그 관련변인 연구", 가정과삶의질연구, 8(1), 171-183, 1989
    • 74 김봉환, 정경아, "성인애착, 공감능력 및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인간연구, 31(1), 89-104, 2010
    • 75 권석만, 서장원, "한국판 고통 감내력 부족 척도의 타당화 연구", Korean J 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3(4), 783-801, 2014
    • 76 김정민, "Satir 부부관계향상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가족과 가족치 료, 19(2), 19-40, 2011
    • 77 김교헌, 전겸구, 이준석,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2000
    • 78 신희천, 정교영, "부부치료의 주요 이론적 접근과 최근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1-30, 2007
    • 79 Dattilio, F. M., "커플 및 가족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김진숙 역)", 학지사 (원전은 2009년에 출판), 2020
    • 80 Epstein , N. , Baucom , D. H. , & Rankin , L. A ., "Treatment of marital conflict : 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13 ( 1 ) , 45-57 ., 1993
    • 81 Davis ,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 85, 1980
    • 82 Lillis , J. , & Hayes , S. C., "Measuring avoidance and inflexibility in weight related problems", 4 ( 1 ) , 30-40 ., 2008
    • 83 Chamberlain , J. M. , & Haaga , D. A .,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ponses to negative feedback", 19 ( 3 ) , 177-189 ., 2001
    • 84 박은영, 황영훈, "애착이론과 자아분화이론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1, 155-177, 2003
    • 85 김도환, 황상민,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세대의 심리적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2), 31-47, 2004
    • 86 이효선, "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87 정혜정, 조은경,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15(1), 19-46, 2007
    • 88 이미정, "보웬 가족치료이론의 기독교 가족상담에로의 적용", 서울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2
    • 89 Neff , K. 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2 ( 3 ) , 223-250, 2003
    • 90 Domingue , R. , & Mollen , D., "Attachment and conflict communication in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26 ( 5 ) , 678-696, 2009
    • 91 Brubacher, L. L., "변화 요인을 통해 본 정서중심 부부치료 (박성덕 역)", 학지사 (원전은 2018년에 출판), 2019
    • 92 진현정, 허재홍, 최명식,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2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861-878, 2009
    • 93 Mairal , J . B,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 IBCT ) as a third-wave therapy", 27 ( 1 ) , 13-18 ., 2015
    • 94 Cramer , 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onflict style in romantic relationships", 134 ( 3 ) , 337-341, 2000
    • 95 Crowell , J . A. , Treboux , D. , & Waters , E., "Stability of attachment representations : The transition to marriage .", 38 ( 4 ) , 467-479 ., 2002
    • 96 Strauss , J. P. , Connerley , M. L. , & Ammermann , P. A ., "The threat hypothesis , personality , and attitudes toward diversity", 39 ( 1 ) , 32-52 ., 2003
    • 97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 구 1", Korean J 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8(1), 123-139, 1999
    • 98 Johnson , W. , McGue , M. , & Krueger , R. F., "Personality stability in late adulthood : A behavioral genetic analysis", 73 ( 2 ) , 523-552 ., 2005
    • 99 Park , H. , & Antonioni , D., "Personality , reciprocity , and strength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41 ( 1 ) , 110-125 ., 2007
    • 100 Larsen, D. L., Attkisson, C.C. , Hargreaves, W. A., & Nguyen, T. D., "Assessment of client/patient satisfaction: development of a general scale", 2 ( 3 ) , 197-207 ., 1979
    • 101 Mather , D. , & Tranby , E., "New Dimensions of Tolerance : A Case for a Broader , Categorical Approach", 1 , 512-531 ., 2014
    • 102 Fletcher , G. J. , & Kerr , P. S., "Through the eyes of love : reality and illus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136 ( 4 ) , 627-658 ., 2010
    • 103 Kenny , D. A. , & Acitelli , L. K., "Accuracy and bias in the perception of the partner in a close relationship", 80 ( 3 ) , 439-448 ., 2001
    • 104 Shackelford , T. K. , Besser , A. , & Goetz , A. T., "Personality , marital satisfaction , and probability of marital infidelity", 6 ( 1 ) , 13-25 ., 2008
    • 105 Goldberg , L. R.,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59 ( 6 ) , 1216-1229 ., 1990
    • 106 Nichols, M. P., Schwartz, R. C., "가족치료 (김영애, 김정택, 심혜숙, 정석환, 제석봉 공역)",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2년에 출판), 2005
    • 107 김광은, 이위갑, "연애관계에서 성인 애착 유형 및 요인에 따른 관 계 만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33-247, 2005
    • 108 이경희,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109 김중술, 이민식, "부부관계 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의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5(1), 291-299, 1995
    • 110 Neff , L. A. , & Karney , B. R., "Stress crossover in newlywed marriage : A longitudinal and dyadic perspective", 69 ( 3 ) , 594-607 ., 2007
    • 111 Christensen , A. , & Heavey , C. L., "Gender and social structure in the demand/withdraw pattern of marital conflict", 59 ( 1 ) , 73-81 ., 1990
    • 112 김애란, 최바올, 이은지, 왕윤정, 서영석, 백근영, "커플의 성인애착과 관계만족: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227-250, 2013
    • 113 Doss , B. D. , Benson , L. A. , Georgia , E. J. , & Christensen , A ., "Translation of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to a Web-based Intervention", 52 ( 1 ) , 139-153 ., 2013
    • 114 김계현, 김원중, "상담자의 성과 자기개방이 상담평가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5(1), 48-69, 1993
    • 115 Simons, J. S., & Gaher, R. M.,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29 ( 2 ) , 83-102, 2005
    • 116 Andersson, G., "인터넷 기반 인지행동치료 (김환, 최혜라, 한수미 역). 학지사", (원전은 2015년 출판), 2020
    • 117 권석만, 임영진, 김빛나,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 는 영향", Korean J 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2), 573-596, 2010
    • 118 Gordon , W. J. , Johnson , S. , Manion , I. , & Cloutier , P., "Emotionally focused marital intervention for couple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64 ( 5 ) , 1029-1036 ., 1996
    • 119 이영호, 이정은,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3), 531-548, 2000
    • 120 Snyder , D. K., "Affective reconstruction in the context of a pluralistic approach to couple therapy", 6 ( 4 ) , 348 ., 1999
    • 121 Helgeson, V. S., "Relation of agency and communion to well-being: Evidence and potential explanations", 116 ( 3 ) , 412-428 ., 1994
    • 122 박성아,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정서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 감내 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123 조영주, "미혼 커플의 비난 및 철회 의사소통에서 지각의 정확성과 편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3), 417-443, 2017
    • 124 전명진, 고재홍, "부부의 유사성과 결혼 만족도간의 관계: 프로파일 유사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3), 1-16, 2003
    • 125 Priem , J. S. , Solomon , D. H. , & Steuber , K. R., "Accuracy and bias in perceptions of emotionally supportive communication in marriage", 16 ( 4 ) , 531-552 ., 2009
    • 126 Anders , S. L. , & Tucker , J. S., "Adult attachment style ,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 and social support", 7 ( 4 ) , 379-389 ., 2000
    • 127 Han , S., "Attachment insecurity and openness to diversity : The roles of self-esteem and trust", 111 , 291-296, 2017
    • 128 Baxter , L. A. , & West , L., "Couple perceptions of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 A dialectical perspective", 20 ( 4 ) , 491-514 ., 2003
    • 129 Meyers , S. A. , & Landsberger , S. A .,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 and marital satisfaction", 9 ( 2 ) , 159-172 ., 2002
    • 130 Hill , E. W., "Discovering forgiveness through empathy : Implications for couple and family therapy", 32 ( 2 ) , 169-185 ., 2010
    • 131 Wood , V. F. , & Bell , P. A, "Predicting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yles from personality characteristics", 45 ( 2 ) , 126-131, 2008
    • 132 송대현, "탈중심화 처치가 폭식경향자의 음식갈망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133 Deci , E. L. , & Ryan , R. M.,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 4 ) , 227-268 ., 2000
    • 134 고재홍, 허진자, "부부의 심리적 욕구차이, 배우자 욕구오해 및 부부갈등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27-41, 2008
    • 135 이연주, "성인애착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136 Radloff , L. S.,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 3 ) , 385-401 ., 1977
    • 137 강혜숙, 김영희, "부부의 성격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상담학연구, 13(6), 2861-2880, 2012
    • 138 Lampis , J. , Cataudella , S. , Busonera , A. , & Carta , S., "Personality Similar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Adjustment During the Couple Life Cycle", 26 ( 1 ) , 31-39 ., 2017
    • 139 Davis , M. H. , & Oathout , H. A., "Maintenance of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 Empathy and relational competence", 53 ( 2 ) , 397-410 ., 1987
    • 140 Cummings , E. M. , Faircloth , W. B. , Mitchell , P. M. , Cummings , J. S. , & Schermerhorn , A. C., "Evaluating a brief pre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marital conflict in community families", 22 ( 2 ) , 193 ., 2008
    • 141 Wachs , K. , & Cordova , J. V., "Mindful relating : Exploring mindfulness and emotion repertoires in intimate relationships", 33 ( 4 ) , 464-481 ., 2007
    • 142 Cramer , D. , & Jowett , S., "Perceived empathy , accurate empath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heterosexual couples", 27 ( 3 ) , 327-349 ., 2010
    • 143 Forman, E. M., Herbert, J. D., "인지행동치료와 수용 마음챙김 기반 치료 (박경, 김혜은, 양선미 역)", 학지사 (원전은 2011년에 출판), 2015
    • 144 Kozlowski , A, "Mindful mating : Exploring the connection between mindful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28 ( 1-2 ) , 92-104, 2013
    • 145 Baumeister , R. F. , & Leary , M. R., "The need to belong :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117 ( 3 ) , 497-529, 1995
    • 146 김은진, 이주희, 박순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8(6), 123-145, 2011
    • 147 양수진, 이정윤,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4), 1921-1935, 2012
    • 148 한혜영, 현명호,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부부 조망수용과 갈등해결 효능감의 매개 효과", Korean J 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4), 935-952, 2006
    • 149 이경성, 한덕웅, "친밀한 이성관계에서 이상과 현재의 차이가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63-184, 2005
    • 150 Wood , W. , Rhodes , N. , & Whelan , M., "Sex differences in positive wellbeing : A consideration of emotional style and marital status", 106 ( 2 ) , 249-264 ., 1989
    • 151 전성규, "대상관계수준과 파트너 행동수용이 이성관계 집착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152 이원주, "중년기 부부의 애착과 결혼만족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153 Johnson , S. M. , Makinen , J . A. , & Millikin , J. W., "Attachment injuries in couple relationships : A new perspective on impasses in couples therapy", 27 ( 2 ) , 145-155 ., 2001
    • 154 Feeney , J . A, "Attachment style , communication patterns , and satisfaction across the life cycle of marriage", 1 ( 4 ) , 333-348, 1994
    • 155 Richards , D. , & Richardson , T., "Computer-based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depression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2 ( 4 ) , 329-342 ., 2012
    • 156 Feeney , J . A, "Issues of closeness and distance in dating relationships : Effects of sex and attachment style", 16 ( 5 ) , 571-590, 1999
    • 157 Campbell , L. , Simpson , J . A. , Boldry , J. , & Kashy , D. A ., "Perceptions of conflict and support in romantic relationships : the role of attachment anxiety", 88 ( 3 ) , 510-531 ., 2005
    • 158 박미선, "성격유형에 따른 감성지능, 심리적 웰빙, 직무성과 간의 인과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159 정은희, "원가족분화, 자아존중감과 부부 갈등대처방식에 따른 결혼안정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160 Lemay , E. P. , Jr , Clark , M. S. , & Feeney , B. C., "Projection of responsiveness to needs and the construction of satisfying communal relationships", 92 ( 5 ) , 834-853 ., 2007
    • 161 박혜숙, "Rasch 측정모형을 사용한 대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7(2), 453-477, 2013
    • 162 백상은, 설경옥, "미혼 남녀의 성인 애착과 관계 만족: 주는 감사와 받는 감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351-381, 2015
    • 163 신희천, 한소영,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의 다집단 요인분석과 잠재평균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447-465, 2007
    • 164 김정호, "통합동기관리 혹은 통합동기치료: 인지행동치료의 새로운 흐름의 이 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677-697, 2009
    • 165 Nisenbaum , M. G. , & Lopez , F. G., "Adult attachment orientations and anger express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 A dyadic analysis", 62 ( 1 ) , 63 ., 2015
    • 166 Spanier , G. B, "Measuring dyadic adjustment :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38 ( 1 ) , 15-28 ., 1976
    • 167 배병훈, 함경애, 이동귀, "Rasch 모형을 이용한 한국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단축형 (SDS-9) 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6(6), 177-197, 2015
    • 168 Bammen, J., Satir, V., Gomori, M., Gerber, J., "사티어 모델: 가족치료 의 지평을 넘어서 (한국버지니아사티어연구회 역)", 김영애가족치료연구 소 (원전은 1991년에 출판), 2004
    • 169 정석원, 정진철, "청소년의 다문화 교육경험과 사회적 친밀감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연구, 5(1), 51-68, 2012
    • 170 Ryan , R. M. , & Deci , E. L.,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to psychotherapy : The motivational basis for effective change", 49 ( 3 ) , 186, 2008
    • 171 Butzer , B. , & Campbell , L., "Adult attachment , sexual satisfaction ,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 A study of married couples", 15 ( 1 ) , 141-154, 2008
    • 172 Frazier , P. A. , & Esterly , E., "Correlates of relationship beliefs : Gender , relationship experienc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7 ( 3 ) , 331-352 ., 1990
    • 173 Cook , W. L. , & Kenny , D. A,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A model of bidirectional effects in developmental studies", 29 ( 2 ) , 101-109 ., 2005
    • 174 Epstein, N., & Eidelson, R. J, "Unrealistic beliefs of clinical couples: Their relationship to expectations, goals and satisfaction", 9 ( 4 ) , 13-22 ., 1981
    • 175 Peterson , B. D. , Eifert , G. H. , Feingold , T. , & Davidson , S., "Using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o Treat Distressed Couples : A Case Study With Two Couples", 16 ( 4 ) , 430-442 ., 2009
    • 176 Doss , B. D. , & Christensen , A ., "Acceptance in romantic relationships : the frequency and acceptability of partner behavior inventory", 18 ( 3 ) , 289-302 ., 2006
    • 177 Mikulincer , M. , & Shaver , P. R., "Boosting attachment security to promote mental health , prosocial values , and inter-group tolerance", 18 ( 3 ) , 139-156 ., 2007
    • 178 Kelly , E. L. , & Conley , J. J, "Personality and compatibility : A prospective analysis of marital stabi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52 ( 1 ) , 27-40, 1987
    • 179 Galina , K., "Basic Assumptions as Predictors of Interpersonal Tolerance and Ethnic Identity in Psychology Students", 86 , 511-517, 2013
    • 180 McNulty , J. K., "Neuroticism and interpersonal negativity : The independent contributions of perceptions and behaviors", 34 ( 11 ) , 1439-1450 ., 2008
    • 181 Morgan , C. , Mason , E. , Newby , J. M. , Mahoney , A. E. , Hobbs , M. J. , McAloon , J. , & Andrews , G., "The effectiveness of unguided internet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mixed anxiety and depression", 10 , 47-53 ., 2017
    • 182 Baucom , K. J. , Baucom , B. R. , & Christensen , A ., "Changes in dyadic communication during and after integrative and traditional behavioral couple therapy", 65 , 18-28 ., 2015
    • 183 Karney , B. R. , & Bradbury , T. N.,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 A review of theory , methods , and research", 118 ( 1 ) , 3-34 ., 1995
    • 184 서성희, "간호대학생 대상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8(4), 215-233, 2016
    • 185 김경희, "애착,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이성관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186 Snyder , D. K. , & Wills , R. M., "Behavioral versus insight-oriented marital therapy : effects on individual and interspousal functioning", 57 ( 1 ) , 39-46 ., 1989
    • 187 Baucom , D. H. , Epstein , N. , Sayers , S. L. , & Sher , T. G., "The role of cognitions in marital relationships : Definitional , methodological , and conceptual issues", 57 ( 1 ) , 31-38 ., 1989
    • 188 Jacobson , N. S. , Christensen , A. , Prince , S. E. , Cordova , J. , & Eldridge , K.,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 an acceptance-based , promising new treatment for couple discord", 68 ( 2 ) , 351-355 ., 2000
    • 189 Snyder , D. K. , Wills , R. M. , & Grady-Fletcher , A ., "Long-term effectiveness of behavioral versus insight-oriented marital therapy : A 4-year follow-up study", 59 ( 1 ) , 138-144 ., 1991
    • 190 Schaffhuser , K. , Allemand , M. , & Martin , M., "Personality trait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intimate couples : Three perspectives on personality", 28 ( 2 ) , 120-133, 2014
    • 191 Christensen , A. , & Shenk , J , L., "Communication , conflict , and psychological distance in nondistressed , clinical , and divorcing couples", 59 ( 3 ) , 458-463, 1991
    • 192 Malouff , J. M. , Thorsteinsson , E. B. , Schutte , N. S. , Bhullar , N. , & Rooke , S. E.,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intimate partners : A meta-analysis", 44 ( 1 ) , 124-127 ., 2010
    • 193 문형춘, "내담자 성인애착 특성에 따른 내담자 및 상담자의 내현적 대인반응과 회기성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194 Johnson, S. M., "애착이론과 상담: 개인, 부부, 가족을 위한 정서중심치료 (박성덕, 이지수 공역)", 학지사 (원전은 2019년에 출판), 2021
    • 195 Schneewind , K. A. , & Gerhard , A. K., "Relationship personality , conflict resolution , and marital satisfaction in the first 5 years of marriage", 51 ( 1 ) , 63-71 ., 2002
    • 196 Beaudry , G., "The family reconstruction process and it 's evolution to date : virginia satir 's transformational process", 24 ( 1 ) , 79-92 ., 2002
    • 197 서수균, 이지연, "비합리적 신념과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부적 응적 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75-791, 2011
    • 198 장춘미,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 부부의지지 및 갈등해 결 행동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199 김미라, 하영윤, "중년기 부부관계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owen 의 가족체계이론을 적용하여", 부부가족상담연구, 1(2), 31-51, 2020
    • 200 Sayehmiri , K. , Kareem , K. I. , Abdi , K. , Dalvand , S. , & Gheshlagh , R. 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marital satisfaction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8 ( 1 ) , 15 ., 2020
    • 201 박소영, 박태영, "여성 가정폭력 행위자 가족 상담 사례연구: Bowen 가족치료모델의 관점을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8(1), 183-209, 2019
    • 202 박명옥, "호텔종사자의 성격특성, 인상관리, 상사-부하 교환관계 및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203 Johnson , S. M. , & Keeler , W. L., "Creating healing relationships for couples dealing with trauma : The use of emotionally focused marital therapy", 24 ( 1 ) , 25-40 ., 1998
    • 204 Morry , M. M.,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a predictor of similarity ratings : A test of the attraction-similarity hypothesis", 22 ( 4 ) , 561-584 ., 2005
    • 205 Macho , S. , & Ledermann , T., "Estimating , Testing , and Comparing Specific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 The Phantom Model Approach", 16 ( 1 ) , 34-43 ., 2011
    • 206 Butrus , N. , & Witenberg , R. T., "Some personality predictors of tolerance to human diversity : The roles of openness , agreeableness , and empathy", 48 ( 4 ) , 290-298 ., 2013
    • 207 Neff , L. A. , & Karney , B. R., "To know you is to love you : The implications of global adoration and specific accuracy for marital relationships", 88 ( 3 ) , 480-497 ., 2005
    • 208 조영주, "부부의 자기보고 결혼만족 및 지각된 배우자의 결혼만족 간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4(1), 67-85, 2019
    • 209 Kirk, S., Thomas, G., Patricia, R., "상담에서의 단기개입전략 초점화된 수용전념치료의 원리와 실제 (김창대, 남지은 역)",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12년에 출판), 2017
    • 210 Lovell , K. , & Richards , D., "Multiple access points and levels of entry ( MAPLE ) : ensuring choice , accessibility and equity for CBT services", 28 ( 4 ) , 379-391 ., 2000
    • 211 이선희, 임성문,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프 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449-476, 2013
    • 212 Fresco , D. M. , Moore , M. T. , van Dulmen , M. H. , Segal , Z. V. , Ma , S. H. , Teasdale , J. D. , & Williams , J. M. G., "Initi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xperiences questionnaire :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decentering", 38 ( 3 ) , 234-246 ., 2007
    • 213 윤가현, 정정화, "이혼 위기부부를 대상으로 한 이마고 부부관계치료: 위기문제의 본질 인식 및 수용 과정", The J 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7(2), 25-48, 2018
    • 214 이선희,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 램 개발과 효과검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215 Thomas , G. , & Fletcher , G. J, "Mind-reading accuracy in intimate relationships : assessing the roles of the relationship , the target , and the judge", 85 ( 6 ) , 1079-1094 ., 2003
    • 216 전은희, 정여주, "대학생 커플관계에서 자기분화가 커플관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상담학연구, 18(5), 153-168, 2017
    • 217 방수진, "정신역동적 가족치료 적용 후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변화 연구: 이혼 위기 부부를 대상으로", 연세상담코칭연구, 4, 79-103, 2015
    • 218 Wu , R. , Liu , Z. , Guo , Q. , Cai , M. , & Zhou , J, "Couple similarity on personality , moral identity and spirituality predict life satisfaction of spouses and their offspring", 21 ( 3 ) , 1037-1058 ., 2020
    • 219 Costa , P. T. , & McCrae , R. R., "Personality in adulthood : a six-year longitudinal study of self-reports and spouse ratings on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54 ( 5 ) , 853-863 ., 1988
    • 220 김영희, 허은경, "부부간의 상호작용이 결혼생활만족도와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1(3), 417-441, 2016
    • 221 서수균, 연수진, "이성관계에서 안정애착이 갈등해결전략과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411-431, 2013
    • 222 오명자, "은퇴한 노인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223 Long , E. C. , Angera , J. J. , Carter , S. J. , Nakamoto , M. , & Kalso , M., "Understanding the one you love : A longitudinal assessment of an empathy training program for couples in romantic relationships", 48 ( 3 ) , 235-242 ., 1999
    • 224 고재홍, 박영화,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65-83, 2005
    • 225 Taggart , T. C. , Bannon , S. M. , & Hammett , J. F., "Personality traits moderate the association between conflict resolution and subsequ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dating couples", 139 ( 1 ) , 281-289 ., 2019
    • 226 이석동, "골프장 캐디의 Big-Five 성격유형에 따른 고객 무례성 인지, 부정적 정서, 감정노동 및 소진과의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227 Tidwell , N. D. , Eastwick , P. W. , & Finkel , E. J ., "Perceived , not actual , similarity predicts initial attraction in a live romantic context : Evidence from the speed-dating paradigm", 20 ( 2 ) , 199-215 ., 2013
    • 228 Chapman , A. L. , & Dehle , C.,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9 ( 2 ) , 150-163 ., 2002
    • 229 McPheters , J. K. , & Sandberg , J. G., "The relationship among couple relationship quality , physical functioning , and depression in multiple sclerosis patients and partners", 28 ( 1 ) , 48 ., 2010
    • 230 강지영, 이인수,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 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자기-상대방효과", 상담학연구, 18(2), 351-373, 2017
    • 231 황여주, "미혼 남녀의 정서조절과 이성관계만족도 관계에서 갈등대처방략의 매개효과와 갈등빈도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석사학위논문, 2013
    • 232 이다미, "불안정 애착의 세대 간 전이를 경험한 어머니-자녀에 관한 사례 연구: Bowen의 가족상담이론을 중심으로", 복음과 상담, 21, 222-254, 2013
    • 233 김아영, 조영주, "자기분화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에서 건설적 및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4), 567-588, 2018
    • 234 김은하, 박효경, "미혼커플의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상담학연구, 18(6), 203-217, 2017
    • 235 Jacobson , N. S., "A component analysis of behavioral marital therapy :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behavior exchange and communication/problem-solving training", 52 ( 2 ) , 295-305 ., 1984
    • 236 Morry , M. M., "The attraction-similarity hypothesis among cross-sex friends : Relationship satisfaction , perceived similarities , and self-serving perceptions", 24 ( 1 ) , 117-138 ., 2007
    • 237 Finn , C. , Mitte , K. , & Neyer , F. J ., "Recent decreases in specific interpretation biases predict decreases in neuroticism :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with young adult couples", 83 ( 3 ) , 274-286 ., 2015
    • 238 최연실, 한지수, "공통요인을 통해 본 구조적 가족치료와 통합적 행동부부치료 (IBCT) 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 및 가족치료적 함의", 가족과 가족치료 29, 359-384, 2021
    • 239 김혜원, 한소영, 이지연, "중년기 기혼 여성의 성인애착 불안/회피와 결혼만 족도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행동과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43(3), 267-297, 2017
    • 240 Baucom , K. J. , Sevier , M. , Eldridge , K. A. , Doss , B. D. , & Christensen , A ., "Observed communication in couples two years after integrative and traditional behavioral couple therapy : outcome and link with five-year follow-up", 79 ( 5 ) , 565-576 ., 2011
    • 241 김순옥, 이화자, "가족상담: 경험적 부부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성 검증-Satir 성장모델과 비폭력대화 (NVC) 모델의 통합", 상담학연구, 11(2), 831-854, 2010
    • 242 Christensen , A. , Atkins , D. C. , Yi , J. , Baucom , D. H. , & George , W. H., "Couple and individual adjustment for 2 years following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omparing traditional versus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74 ( 6 ) , 1180-1191, 2006
    • 243 심은정, 조영주, "남녀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파트너에 대한 공감과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6), 179-202, 2017
    • 244 강수경, 정미라, 김해미, "임신기 부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 략를 매개로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3), 355-375, 2018
    • 245 Schmitt , D. P., "The Big Five related to risky sexual behaviour across 10 world regions : Differential personality associations of sexual promiscuity and relationship infidelity", 18 ( 4 ) , 301-319, 2004
    • 246 Hadden , B. W. , Smith , C. V. , & Webster , G. D., "Relationship duration moderates associations between attachment and relationship quality : Meta-analytic support for the temporal adult romantic attachment model", 18 ( 1 ) , 47-58 ., 2014
    • 247 김미경,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존중감, 일치성 및 청소년 자녀 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Satir 모델기반 성장부모교육 프로그램", 창의인성연구, 3(1), 161-183,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