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감학습법의 적용과 전망 : 서울 N중학교 인성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The applications and prospects of Five-Senses Learning model : Based on the case of humanity education in NamSeoul Middle School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a hypothesis that Five-Senses Learning is a starting point in the essential purposes of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 as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is progressed in the viewpoint of Five-Senses Learning. To reappraise the suitability of Five-Senses Learning Model this study applied this learning model to a student group of school maladjustment of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observed from 21 April 2015 to 26 June 2015.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possibility of educational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Five-Senses Learning Model that development of the right consciousness is possible only from the correct senses and sensory receptions in the objective world was higher. Secondly, a basis of diagnostic scale development by individual and type for Five-Senses Learning Model was established in the diagnostic scale of 12 meridians, the pathway of Chi energy flow. Thirdly, necessities of Five-Senses Learning Programs by object and type were spreading and many other programs by Five-Senses Learning methods were organizing. Lastly, when Five-Senses Learning Model is applied to the school environment the behavior modification in sequential of student will be developed from the ability of five-senses to the leadership, self-governing and administration ability, and Sotong ability beyond the simple sensory receptions like seeing, reading and writing.
본 연구는 오감학습의 관점에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현행 인성교육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앞으로 학교폭력뿐 아니라 근본적으로 인간개발이라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있어 오감학습이 출발점이 된다는 점을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난 2014년 4월21일부터 6월26일까지 서울의 한 중학교의 학교부적응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안교실에 오감학습 오감학교 협동조합의 오감학습 프로그램을 적용,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세계에 대한 올바른 감각과 감수로부터 올바른 의식의 형성은 가능하다는 오감학습법의 교육적 적용과 확장 가능성이 높아졌다. 둘째, 12경락 진단척도를 통해 개인별, 유형별 오감학습법을 위한 진단척도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셋째, 오감학습법의 대상별, 단계별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확산시키고 지금까지 제기된 오감학습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오감학습법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행동수정의 순차는 단순히 보고 읽고 쓰는 오관의 능력을 넘어서 인간의 오감능력은 리더십으로 그리고 경세력과 소통력으로 발달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