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儀禮 班次圖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present paper is a comprehensive study on printed illustrations (banchado) produced during the performance of state rituals in the Joseon period. These prints, similar to processions paintings, are illustrations of a ritual parade, where government officials, the royal guard, the ceremonial implements and palanquins, mobilized for the event, are represented in strict accordance to their position in the procession ranks. 176 of them are presently extant in the form of royal protocols (Uigwe) and 30 ― as separate scrolls. The present form of pictorial banchado developed from an earlier version, where the elements of the procession were only denoted with Chinese characters (字圖, word-pictures) while pictures of human figures and palanquins, accompanied with small word designations, were later added.

    These printed illustrations, or Robudo (鹵簿圖, Illustrations of the Royal Guard of Honor), called to enhance the dignity of the state rituals, are visual materials unique to the Joseon Dynasty. They are assumed to have been developed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Hyungnye (凶禮, Sorrowful rit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in order to clearly grasp the general picture of the procession for better arrangement, and to have spread later to other state ritu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every time when a state rite was performed, a temporary office called Dogam (都監) was established, with the task to plan and carry out the ritual. After the end of the ceremony, the Dogam recorded the whole process in Uigwe (儀軌, Royal protocols). Before the ritual, based on its status and scale, the Dogam produced two printed illustrations containing notes on the rite from the Yejo (禮曹, Ministry of Rites), a list with the name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called to participate, and guidelines for the royal guard from the Byeongjo (兵曹, Ministry of War). The first print was presented to the king for approval (內入班次圖) while the second print was kept in the Dogam and used as guidelines for the procession alignment (都監班次圖). The print for the Uigwe was made after the end of the ritual, when all the materials were gathered and the royal protocol was compiled. It contained also a replica of the first print given to the king. The banchado for the royal protocol was not a pictorial representation of the actual scene of the procession, but a reproduction of the print produced before the ritual.

    The composition of the processions in banchado differs, depending on the rite. The illustrated protocols of state funerals show the procession to the mountain tomb with palanquins containing the spirit tablet (魂帛), the coffin (梓宮), ceremonial objects (冊寶類) and burial objects (副葬品) enshrined before in the Spirit-tablet Hall (殯殿). The illustration produced during the Bumyo ritual (祔廟, Enshrinement in Jongmyo) shows the procession bringing the memorial tablets and the ceremonial objects from the Spirit Hall (honjeon) into the Jongmyo royal shrine after the Damje (禫祭, a ceremonial offering on the 27th month after a state funeral). When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 was changed, a procession similar to the funeral cortege was also organized but instead of a spirit tablet, a drawing of the tablet on paper was placed into the palanquins.

    The banchado produced during Garye (嘉禮, Felicitous Rites) shows the procession of the bride from her temporary residence, the Byeolgung (別宮), to the palace, for the Dongnoe-yeon (同牢宴, the banquet for the royal couple’s formal wedding vow). After the wedding ceremony of King Yeongjo (1724-1776) and Queen Jeongsun in 1759, the rite of Chinyeong (親迎) was adopted, when the king personally inducted his bride into the palace, which found its place in the royal protocol illustrations as well (親迎擧動班次圖). The illustrated prints related to the investiture ceremony (Chaegnye, 冊禮) show the procession bringing to the palace the royal attributes ― the order for investiture by the king, the seal and the royal books, as well as the palanquin and the ceremonial implements of the crown-prince. The banchado produced during the rituals of worship and posthumous veneration represent the procession of taking the jade book and the golden seal with the posthumous title of the deceased king into the palace, or to the place where his body or memorial tablet was enshrined (the palace or the Jongmyo shrine).

    The composition of these printed illustrations consists of three layers. In the central row are depicted important ceremonial implements, such as parasols and fans on long bamboo poles, palanquins with the royal regalia, such as jade books, the seal, or with the royal coffin. In the upper and lower row are situated other members of the procession ― ushers, eunuchs, holders of ceremonial implements. The figures in the central row are represented facing frontward, from the back, as if lying flat on the picture plane, while the palanquins are shown from a side view, or as three-dimensional objects. The ceremonial implements holders and the royal guard from the upper and lower rows are depicted facing the central row. Such specific way of portrayal was typical for the visual interpretation of the actual processions which centered on the middle row, with the royal guard and implement holders, arranged on both sides.

    The extant Uigwe banchado (illustrations included in royal protocol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procession arrangement and the formal expression.

    First, the period from the 17th century until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in the early 18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e banchado of the main state rituals were designed and produced. Banchado produced during the time of King Sunjo (1567-1608) and Gwanghegun (1608-1623) were simple and centered on rituals of worship and the reception of envoys from Ming China.

    From the time of King Injo (1623-1649) illustrated prints were produced during all important events ― auspicious ceremonies, investiture rituals or sorrowful rites, such as state funerals, tomb processions and enshrinement of memorial tablets in the Jongmyo shrine. The prints from that time are concise, the royal guard being depicted in single file, while the rows with the officials in charge of the ceremony and the officials with temporal duties were omitted. In addition, illustrations of royal funerary processions or enshrinement in the Jongmyo shrine did not exhibit the Gomyeong (a document approving the king’s enthronement), received from Qing China. They show the modified form of the ritual after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The printed illustrations take an unregulated and simplified form until the mid-17th century. With the funeral ceremony of King Hyojong (1649-1659) in 1659, the picture plane obtained clear arrangement, the expression became formalized and the three-tier composition was fixated.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greatly improved by the ingakchaesaekbeop (woodcarving and painting) technique introduced at that time, where the images were carved and printed, while the headgear of the officials and the implements were painted. This technique, introduced during the enshrinement ritual of King Hyojong in the Jongmyo shrine, continued into the late 17th century and developed, so that the figures of the men, the horses, the palanquins and the palanquin bearers were carved simultaneously.

    All figures in procession illustrations from this period were only outlined while their movements and facial features were not depicted. The palanquins in the central row were represented in quadrangle cross section with their shafts drawn in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similar to the character 井. Т he palanquin bearers were depicted in specific flat two-dimensional composition around this 井 structure ― the front figures i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figures piled up on the top. At the same time, while the Uigwe made especially for the king (御覽用儀軌) followed the composition and the spatial structure typical for the illustrations of the time, it was produced only by minutely copying and coloring the shapes by hand, without applying the woodcarving and painting technique.

    Second, in the 18th century, during the rule of the kings Yeongjo and Jeongjo (1776-1880), with the modification of the state ritual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king’s power, banchado became more actively utilized. This was the time, when newly composed illustrations of the rituals of reverence and worship, the enshrinement of the portrait of the deceased king or carrying of his memorial tablet from the Jongmyo shrine started to appear, and the processions of the ruling king were first depicted as protocol illustrations. The stay of the king at the Hwaseong fortress during his journey in 1795 (華城園幸) was also designed as independent procession painting. Illustrations of the rituals considered especially important by the king were made for the us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or were standardized as Buna banchado (分兒 班次圖, Authorized Banchado for a training manual) and actively used in the procession arrangement. Thus, the illustrations of this period functioned as a means to exert the king’s authority regarding important ceremonies, enhanced the solemnity of state rituals and contribut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king’s power.

    In the 18th century, banchado shows tendency towards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procession and clearly exposing the social rank of the participants. The royal guard standing abreast was modified to three cohorts’ formation while to each palanquin, an entourage with the official in charge of it, was attached. In terms of formal expression, while the multi-view three tier composition was maintained, a change is visible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central row palanquins. In accord with the three-dimensional depiction of the palanquins, their shafts were arranged in parallel and diagonal lines and the bearers ― in diagonal disposition, which brought a more realistic sense of space in palanquin procession representation. Various advances in technique are noticeable, such as rendition of body movements, figures in three-quarter view and engraving of the sedan chairs and their bearers, the palanquins for the ancestral tablets (yoyeo) and for ritual items (chaeyeo) and their bearers, as three-dimensional solid objects. The 17th century trend of flatness of the central row palanquin images was replaced with more realistic sense of space in the 18th century, which demonstrates a change in the technique of the court painters. From the middle of the century this was applied to all royal protocol paintings.

    Third, in the 19th century, banchado reflected the weakening of the royal power and the intensification of the political heavyweights’ domination of the time. The form of banchado followed traditional patterns, while new compositions were not created. During the regency of the queen grandmother, who ruled instead of her young grandson, the outlines of
    banchado made for general distribution were replaced with woodblock prints and the Uigwe for the king was created by woodcarving and painting technique, showing a tendency to stereotyping.

    During the time of King Cheoljong (1849-1863) and King Gojong (1863-1907), with the intensification of the political heavyweights’ domination, the importance of banchado related to rituals of worship increased. A large number of soldiers were mobilized in the royal palanquin wedding procession. In order to raise the solemnity of the ceremony, the number of soldiers of the royal guard taking part in it was increased, especially in auspicious ceremonies. The representation of the royal guard in illustrations of auspicious ceremonies influenced those representing mourning processions of carrying the coffin, and brought about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banchado pages. Furthermore, the illustrations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reflect the changes in auspicious state rituals at the time, such as the procession of the Palace matron (Sanggung, 尙宮) seated on a palanquin held by eight bearers, or the processions of the parents of the monarch during the wedding ceremony of King Gojong and Queen Myeongseong.

    In terms of expression, after the 1830s a certain formal improvement of completion degree is detectable. Figures became slightly larger, the facial features started to appear and the proportions became more accurate. Figures were shown from the back or from side view with different colors of the garment and different movements, depending on their role in the procession. Furthermore, every flag and ceremonial implement was engraved. The flags with funeral odes (manjang) and the soldiers holding them, the carts containing funeral aroma vessels (hyangjeongja), the palanquins for the memorial tablets (yoyeo) and ritual items (chaeyeo), the cart with the spirit tablet (sinyeon) and the empty royal cart (puryeon) with their bearers were engraved on one plate.

    The arrangement of the shafts of the palanquins and the bearers from the central row followed the diagonal- and parallel-lined composition from the 18th century, but the proportions of the figures and the correlation of the objects became more natural. In this way, various movements were expressed and a more realistic and natural composition was achieved. Thus, compared to the 18th century, the 19th century banchado demonstrates a more refined expression mode. At the same time, banchado from the time of the kings Cheoljong and Gojong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does not show attempts for introducing new models and followed the versions created in the previous century, which led to a noticeable decline in their quality. Nonetheless, amid the movement for strengthening of the king’s power in Gojong time, a series of king’s outings procession illustrations were created, such as Dongga-banchado (Royal Palanquin Procession), Gyeongjinhaenghaeng-banchado (Royal procession to Gyeongjin), Daehanjeguk-donggado (Royal procession of the Korean Empire), etc. They were produced with reference to royal journey paintings from the times of Jeongjo and expressed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royal family by recording such scenes as the processions of the royal family to the Jongmyo shrine for worship, or through emphasizing the raising military power in representations of the personal inspection of the army by the king.

    Fourth, in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1898-1910), with the rise of the country’s status, the new ceremonial outfit of the royal guard and the new government and military system found their reflection in banchado. Great importance was attached to illustrations of the ceremony of proclamation of the empire, the state funeral of Empress Myeongseong, and the creation of portraits of the previous kings. In 1897, during the proclamation of the empire, the color of the ceremonial flags and palanquins was changed to yellow while imperial flags and a pongyeo (palanquin decorated with phoenixes) were arranged during the mourning procession with the coffin of Empress Myeongseong. After the royal banquet in 1901 celeb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Gojong, the new ceremonial implements of the empire such as triangle, round and square shaped ceremonial flags were arranged for the main members of the imperial court ― the emperor, the crown prince, the crown princess and the empress, but could not attain the level of an organized system. Although the attir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royal guard was changed into modern costumes and headgear, the engraving technique could not reach such level of plasticity and borrowed the forms coined in the previous century. After the abolishment of the Dohwaseo (The Bureau of Painting), charge of banchado took inexperienced painters, who did not have the capacity for new developments in the genre.

    The thirty banchado extant in the form of separate scrolls were mostly produced in the period betwee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he Korean empire and are thought to have been presented to the king before the ceremony, or used in the Dogam. Their procession arrangement is identical with the Uigwe illustrations. The details in banchado designed for the king were carefully rendered and colored, and demonstrate a high level of perfection. At the same time, the creation of haenghaengdo (行幸圖, illustrations of royal journeys) recording the actual processions of the king’s outings, was limited to the times of the kings Jeongjo and Gojong. 〔translation Nelly Russ〕

    더보기

    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국가 의례 거행시에 제작된 반차도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반차도는 의식에 참여하는 관원과 시위군사, 각종 의장과 器物 및 가마류(輦轝)를 정해진 차례대로 圖示해 놓은 시각자료이다. 국가 의례에 禮貌와 威儀를 갖추기 위해 제작된 鹵簿圖로서 조선 전기 흉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제작되어 다른 의례로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에는 글자를 字圖 형식으로 나열하다가 사람과 가마류를 그림으로 대체하여 시각성을 강화하고 옆에 글자를 작게 附記하여 현재의 모습과 같은 회화식 반차도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반차라는 유교적 질서를 중시한 조선에서 행렬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 실무에 활용하기 위해 독특하게 발전시켜 간 시각자료였다.

    의례 전담기구로 설립된 도감에서는 의식에 관한 예조의 儀註와 참여하는 집사관‧차비관의 명단, 시위에 관한 병조의 節目, 동원되는 의장 규모를 토대로 의식 전에 2건의 반차도를 제작하였다. 한 건은 국왕의 재가를 위해 내입하고, 다른 한 건은 도감에 두고 반차 정돈에 활용하였다. 의례가 끝난 뒤 관련 자료들을 모아 의궤로 成冊할 때 사전에 제작된 반차도를 복제하여 수록한 것이 의궤 반차도였다. 그러므로 의궤의 반차도는 실제 의례 행렬을 그린 기록화와는 성격이 다르다.

    반차도의 행렬 구성은 의례마다 달랐다. 발인반차도는 殯殿에 모셔져 있던 혼백과 재궁, 冊寶類와 부장품 가마류를 산릉으로 배진해 가는 행렬을 그린 것이다. 부묘 의례의 반차도는 魂殿에 모시던 책보류와 神主를 禫祭 후 종묘로 봉안해 가는 神主詣宗廟 행렬을 그린 것이다. 遷陵時에는 발인반차도에 준하여 편성하되 신련 대신 종이에 신주를 쓴 지방련을 두었다. 가례 반차도는 별궁에서의 親迎禮 후 同牢宴을 위해 입궐하는 신부의 詣闕班次圖가 제작되다가 1759년 영조와 정순왕후의 가례 때부터 친영 행렬이 더해졌다. 책례 반차도는 책례에 필요한 備物典冊인 교명‧책‧인, 왕세자의 연과 의장 등을 제작하여 대궐로 배진해 가는 행렬을 그린 것이다. 정조 연간부터 등장하는 존숭(추숭) 의례의 반차도는 존호(추상존호)의 책보를 제작하여 대궐로 내입하거나 존호를 올릴 대상자(혹은 신주)가 있는 곳으로 배진해 가는 행렬을 그린 것이다.

    반차도의 표현 형식은 중앙 열에 陽繖과 靑扇 같은 중요 의장, 의례 주인공의 책보나 재궁을 봉안한 가마류, 담당 집사관을 배치하고, 上下 열에 의장기‧引路人‧내시 등 시위 관련 사항을 배치하는 삼단구성으로 되어 있다. 중앙 열의 인물은 後面觀으로 前方을 향해 엎어진 모습으로, 가마류는 側面觀의 단면 혹은 입체형으로 묘사되며 상하 열의 의장기 擔持軍과 시위군사들은 중앙 열을 향해 엎어진 측면관으로 묘사되었다. 삼단구성에 多視點으로 행렬을 묘사하는 방식은 중앙 열 좌우에 의장 및 시위 인원을 배치하는 실제 행렬을 반차도로 시각화할 때 취한 기본 형식이었다.

    현전 의궤 반차도는 행렬 구성과 표현 형식에 따라 크게 네 시기로 나눠 볼 수 있다.

    첫째, 17세기부터 18세기 전반 경종 연간은 兩亂을 거치면서 기본 국가 전례와 관련한 반차도들이 제작된 시기이다. 선조와 광해군대에는 존숭 의례와 賓禮 관련 반차도가 제작되다가 인조대부터 국상‧부묘‧천릉 등 흉례, 가례‧책례 등 기본 전례를 행하면서 반차도가 제작되었다. 이 시기 반차도는 시위군사가 일렬횡대로 표현되고 집사관과 차비관 행렬이 생략되는 등 간략화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국왕의 발인반차도와 祔廟時 반차도에는 淸으로부터 받은 誥命을 배설하지 않아 明 멸망 후 對淸 관계 속에서 변화된 국가 의례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반차도는 17세기 중엽까지 간략한 필치로 자유롭게 묘사되다가 1659년 효종 발인 때부터 像을 유형화하고 삼단구성을 정연하게 갖추어 화면을 정돈하였다. 이어 印刻으로 상을 새겨 찍은 뒤 官帽나 持物을 補筆하고 채색하는, 반차도 특유의 印刻彩色法을 도입하여 제작력을 향상시켰다. 1661년 효종 부묘 때부터 도입된 인각채색법은 17세기 후반으로 가면서 인물과 말, 가마와 여사군을 일체형으로 새기는 방향으로 진전되어 나갔다. 이 시기 인물은 이목구비나 움직임이 묘사되지 않고 윤곽선 위주로 단순하게 처리되었다. 또한 중앙 열의 가마류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묘사하고 가마채를 ‘井’字처럼 수직 수평의 구도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여사군은 ‘井’자형 구도에 맞춰 앞쪽 인물은 앞에, 뒤쪽 인물을 그 위에 층층이 포개어 놓는 공간구성법을 취하여 이차원적 평면도와 같은 특징을 보인다. 한편 어람용 의궤 반차도는 구도와 공간구성법은 동시기 표현 경향을 따르면서 인각채색법을 쓰지 않고 세밀하게 필사하고 채색하여 완성하였다.

    둘째, 18세기 영정조 연간은 禮制와 노부‧의장 제도의 정비와 함께 殿庭 및 擧動 관련 절차들이 대폭 정비되고 국가 의례에서 반차도의 활용 영역이 크게 확장된 시기이다. 기본 전례 외에 선대왕의 御眞 봉안, 종묘의 신주 移安, 존숭 의례에서 반차도가 새로이 제작되었으며, 살아 있는 국왕의 행렬이 반차도로 시각화되기 시작하여 1795년 화성 원행을 계기로 독자적인 행렬도로 발전하였다. 또한 국왕이 중시한 의례에서 실무관원용으로 分兒班次圖를 정식화하여 행렬 정돈에 활용하였다. 그리하여 이 시기 반차도는 의례에 대한 국왕의 통제권을 행사하는 수단으로 기능하여 국가 의례에 예모와 위의를 더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18세기 반차도는 행렬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반차를 분명히 드러내는 경향을 보인다. 일렬 횡대로 늘어서던 시위군사 표현에 3隊로 作隊한 군의 편제 모습이 반영되고 각 가마마다 배진하는 집사관과 차비관의 행렬을 圖示하였다. 또한 의장기의 대‧중‧소 크기에 따라 담지군의 숫자를 달리 표현하지 않고 1인으로 통일하였다. 표현 형식 면에서는 다시점의 삼단구성을 유지하면서 중앙 열의 가마를 입체형으로 묘사하고 평행사선구도의 가마채 배치, 사선식 여사군 포치를 통해 사실적인 공간감을 드러내었다. 인각은 동세가 가미된 상, 3/4분면상 등이 제작되고 輦과 여사군, 腰轝‧彩轝와 여사군의 일체형 인각을 활용하는 등 기법상의 진전도 보였다. 중앙 열 가마 묘사에서 보이는 사실적인 공간감은 17세기 의궤 반차도의 평면적인 표현 경향 과는 다른 18세기적 특징으로, 화원들의 표현 경향의 변화를 보여 주며 중엽부터 전체 의궤 반차도에 적용되었다.

    셋째, 19세기는 새로운 의례에서 반차도가 제작되지 않고 기존의 반차도 형식을 답습하는 경향을 보인다. 19세기 초부터 분상용 의궤 반차도의 윤곽선이 木版 版廓으로 대체되었고 어람용 의궤도 인각채색법으로 제작되어 제작의 상투화 양상을 보인다. 철종과 고종대에는 세도 정치의 심화와 함께 존숭 의례의 반차도 비중이 높아졌다. 또한 국왕의 친영 행렬에 대규모 군병을 동원하여 왕실과 왕권의 위엄을 드러냄에 따라 반차도에서 시위군사의 면수가 크게 늘었다. 가례 반차도의 시위군 표현은 발인반차도에도 영향을 주어 면수 증대를 가져왔다. 또한 후반으로 가면서 팔인교를 탄 상궁 행렬, 고종 가례에 참여한 국왕의 생부 생모 행렬 등 변화된 의례의 모습이 반차도에 반영되었다.

    표현 면에서는 1830년대 들어 인물이 약간씩 커지면서 이목구비가 묘사되고 비례가 적정해 지는 등 조형적 완성도가 높아지고 한층 세련된 상들이 제작되었다. 인물들의 복장이 구체적으로 표현되고, 들고 있는 지물이나 동작도 보다 합리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각종 깃발과 의장물을 인각으로 제작하고 만장과 만장군, 향정자, 요여‧채여, 신련‧부련 등을 여사군과 함께 일체형으로 인각하였다. 중앙 열의 가마채와 여사군을 포치하는 방식은 18세기 중엽 이래의 평행사선식 구도를 따르면서 포치하는 인물상의 신체 비례나 사물간의 비례가 적정하고 여러 동작들을 포괄한 일체형 인각을 통해 좀더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화면이 구성되었다. 이것이 18세기 반차도에 비해 세련된 19세기적 표현 경향이다.

    한편 19세기 후반 철종~고종대의 의궤 반차도에서는 새로운 조형이 시도되지 않고 前代의 조형을 답습하여 반차도의 수준이 현저히 하락하였다. 그러한 와중에도 고종대 왕권 강화 움직임과 함께 〈경진행행반차도〉 〈동가반차도〉 〈대한제국동가도〉 등 일련의 행행도들이 제작되었다. 이 행행도들은 정조대의 원행 관련 행렬도를 참조하여 閱武를 통한 兵權 강화 모습, 왕과 왕세자와 왕후가 함께 종묘에 전알하러 가는 행렬을 기록함으로써 왕권과 왕실의 盛勢를 드러내려 하였다.

    넷째, 대한제국기는 황제국으로 국격이 바뀌면서 새로운 의장과 軍制 및 官制가 반차도에 반영되었다. 의례 면에서는 황제국 선포와 관련한 대례, 명성황후 국장, 선대 황제들의 어진 제작과 관련한 반차도에 큰 비중이 두어졌다. 1897년 대한제국 선포 당시에는 기존의 의장과 가마의 색깔을 황색으로 바꾸어 사용하였고 명성황후 발인시에 황후의 의장과 鳳輿 등을 마련하였다. 삼각형‧원형‧방형으로 된 대한제국의 새 의장은 1901년 고종 탄생 50주년 기념 진연 이후 황제‧황태자‧황태자비‧황비 등 주요 황실 성원을 중심으로 정비되었을 뿐 전반적인 제도적 정비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하였다. 한편 관원 및 시위군의 복색은 모두 근대식 바지와 상의, 모자 차림으로 바뀌었으나 인각의 조형 수준은 그다지 높지 못하며 그 외에는 대부분 前代의 조형을 차용하였다. 도화서 해체 이후 경험 없는 화원들이 제작을 담당하면서 조형적인 발전을 꾀할 여력이 없었던 사정을 보여 준다.

    한편 두루마리로 전하는 30건의 독립 반차도 중 행행도와 대한제국기 명성황후 국장 및 순종 가례시의 반차도 4건을 제외한 20여건의 반차도는 사전에 제작된 반차도들이다. 이 반차도들은 의궤 반차도와 행렬 구성이 동일하고 세로 폭을 넓게 활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어람 반차도에서는 세부 묘사와 채색을 정밀하게 하여 완성도를 높인 것이 확인된다. 도감 반차도로 추정되는 것은 행렬이 분리되어 일부만 전하거나 명칭 표기가 없는 등 불완전한 형태로 전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