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韓國 新石器時代 社會 文化相 硏究 = A Study on Korean Neolithic Society and its Cultural Aspect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tudies on the Neolithic culture of Korea, thereby establishing an information database regarding the achievements of discovering the Neolithic archeological sites and reconstructing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Neolithic Age in Korea. In this study, ‘society’ collectively refers to the overall social structure such as dependency on hunting, fishing, gathering and farming in the Neolithic era of Korea, residential mobility and settlement, inter-group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network. The ‘cultural aspect’ is a collective term for the materialistic and non-materialistic aspects of individuals in their group or collective life in the Neolithic era.
    In Chapter I, a comprehensive chronological method and a regional classification method were propose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chronological studies of the Neolithic era and regional classifications start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chronological study of the Neolithic culture, five phases of pre-, early-, middle-, late- and near-end period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discoveries of mounds in case of the southern province in Korea. Now, 6 phases are proposed, including Gosan-ri remains in Jeju Island as the super-early period. It becomes a standard for establishing parallel relations among regions in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the Midwest region had a three phase system, which divides into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based on the type change in Chulmun pottery. A five phase chronological system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outhern region, is now proposed.
    Area classification in Neolithic societies has been mainly based on pottery. The extensive regional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performed according to the cardinal points, which still serves as a basic framework. The current extensive regional classification is relatively simplified, such as the southern, Midwest, northeastern and northwestern regions. The Central-Eastern Korea (Youngdong region) is also added here. Since the 1990s, new sub-regional classifications have also been made in the southern and Central-Western Korea, recognizing the inland and coastal regional differences. Taken together, we defined the comprehensive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Neolithic era in Korea into 6 phases, including super-early, pre-, early-, middle-, late- and near-end, while we categorized the extensive regional classification into 5 major regions including southern, Central-Eastern, northeastern, Central-Western and northwestern regions.
    Chapter II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relics in the Neolithic era, and presents some new interpretations and hypotheses for a part of ruins, remains and relics. First, the nature of residence as a living facility, pit remnants as a storage facility, stone collection remnant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food processing, tombs as a burial facility, as well as pottery kilns, stone workshops, shellmounds, tillage remnants as production facility were examined. And,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Gosan-ri remains in Jeju Isl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outhern coastal shellmounds, the background of the fishing culture of the eastern coast and the southern coast were revisited, in which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nature and basis of the formed group in the eastern coastal remains at that time were inferr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depth’ was emphasized in the study of pit remnants. Earthenware previously recognized as a coffin is now revisited as a food storage container in a residential area. In addition, groove remnants reported as a pottery furnace is proposed to be a smoking facility for the storage of seasonal food or to be a steaming facility in order to obtain fiber from plant in their garment culture.
    Additionally, regarding stone-made fish hook of union mode, the J-shaped fish hook culture, called the Osanri type was propose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stage I culture of Bel’kachi in the Far East Siberia. The I-shaped fish hook culture, mainly excavated from the southern coast was regarded to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Kitoi culture formed along with the Angara River around Lake Baikal. An assumption that conical stoneware serves as a fishing tool for catching snapper fish living in the lagoon of the eastern coast was proposed.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sword-shaped stoneware were analyzed and estimated to be a drum used in a primitive type loom. In addition, a possibility that small arrows of the remnants of Gosan-ri in Jeju Island and obsidian arrowheads and spear-heads excavated from the southern and eastern coasts were used with poison, was sugges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early stage remains of the East Sea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 of migration of groups with the northern cultures specialized in hunting and fishing.
    In Chapter III, a database spanning 400 archaeological sites identified in the Korean peninsula was established. The main cultural aspects of the six period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period, the distribution of the ruins by reg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s were examined. The earliest cultural aspects limited to Jeju Island are represented by the Gosan-ri pottery style and small arrowheads. The pre-period can be divided into the flat-base pottery culture in the central-eastern region and the Raised-Design Ware culture in the southern region. The early period is a period of typical Chulmun pottery culture, represented by Yeongseon-dong pottery style in the southern region and Chulmun pottery in the Central-Western Korea region. In the middle period, the number of relics was rapidly increasing. In terms of pottery culture, it was the time when the very first identity of the Neolithic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is formed. In the late period, the number of relics reached its peak and the range of lithography on pottery was reduced and the pattern of pottery was simplified. In the near-end period, the number of relics was rapidly decreasing. The degeneration and annihilation of the pottery patterns was go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relics according to each region was made by using the relic information database. And a distribution map of the ruins per period was prepared and reviewed. In the pre- and early- periods, almost all of the relics were found to be shellmound relics from shorelines and islands,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highly dependent on marine resources. However, in the middle period, the dependence on shellmounds was greatly reduced. This phenomenon continued until the late period, which implies that some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middle period persisted. It was understood that the near-end period was a time to welcome the transition to the new era by using the location of the late period relics as it wa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s was revisited with the validity of the regional classification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the type of earthenware representing each period. Additio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of pit remnants, stone collection remnants, grates and bricks, fishnet sinkers, and spindle whor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s and the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s were inferred. The excavation frequency and concentration analysis of the major relics of each period also made inferences about interchanges between the regions.
    In Chapter IV, we deduced the structure and existence of Korean Neolithic Society and inferred the group relation through analysis of information network. The dynamic spatio-temporal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Neolithic socio-cultural landscape developed on the Korean Peninsula was further clarified. The Korean Neolithic society had already showed the essential factors of a complex hunter-gather society that was already more complex than the general hunting society in its pre- and early- periods. After the middle period, it was understood that the cultivation of crops such as millet and foxtail millet by the field agriculture were extended, which implied that they were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farming society with high settlement. This can be deduced from the fact that the number of total relics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otal shellmounds had decreased, the residential location had shifted inland hills or riverside area, and the number of tools related to agriculture had increased. The information network and the flow of information between regions were grasped by the topographic analysis and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Geumgang pottery style. The information network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Geum-gang River basin is understood to be developed in a broader area. And the relation between groups can be deduced from the investigational contents of Yongdam-Dam submerged area where the ruins after the middle period are distributed along the water system. Despite the multiple overlapping regions of securing commerci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site catchment analysis, many groups of relics could coexist, because the clan community, which shares the awareness of the cognitive relationship based on the clan society, formed a united society. And we verified that their livelihood was based on slash-and-burn agriculture, while hunting and gathering were complementary means of their livelihood, and were often carried out by several groups through collaborative work. In short, the Neolithic Society of Korea had coexisted in various forms with the mobile hunter-gatherer society and complex hunter-gatherer society before the early period. From the middle period onward, the transition to a farming society occurred. It was inferred that they formed a ‘complex society’ at a relatively low level close to that of the ‘segmentary society’ or the ‘segmentary lineage system’.

    더보기

    본 연구는 기왕의 한국 신석기문화에 대한 연구성과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하고 신석기유적 발굴성과의 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한국 신석기시대 사회 문화상을 재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社會)’는 한국 신석기시대의 수렵·어로·채집·농경에의 의존도, 주거의 이동성과 정주성, 집단 간의 교류와 정보네트워크 등 전반적 사회구조를 총칭하며, ‘문화상(文化相)’은 신석기시대 사람들의 집단, 또는 집단적 생활에서 나타나는 물질적, 비물질적 양태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제Ⅰ장에서는 일제강점기로부터 시작된 신석기시대 편년연구와 지역구분에 대한 연구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통합편년안과 광역지역구분안을 제시하였다. 신석기문화에 대한 편년연구에 있어서 남부지방의 경우는 패총의 발굴성과를 바탕으로 조기·전기·중기·후기·말기의 5기 편년안이 구축되었고, 지금은 제주도 고산리유적을 초창기로 추가하여 6기 편년이 제시되어, 한반도 전체의 지역간 병행관계 설정의 기준이 되고 있다. 한편 중서부지방은 즐문토기의 형식변화를 기준으로 전기·중기·후기로 구분하는 3기 편년체계의 골격을 갖추었으며, 지금은 남부지방 편년안에 대응하는 5기 편년안이 제시되고 있다.
    신석기시대 지역구분은 주로 토기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왔다. 한반도 전체의 광역지역구분은 일찍부터 방위에 따라 구분해 왔으며 지금도 기본적인 틀이 되고 있다. 현재의 광역지역구분은 남부·중서부·동북·서북지방과 같이 비교적 단순화하는 경향이며, 여기에 중동부(영동지방)을 추가하기도 한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부터 내륙과 해안의 지역차를 인식하면서 남부지방과 중서부지방에서는 새로운 소지역구분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한국 신석기시대의 통합편년안(統合編年案)은 초창기-조기-전기-중기-후기-말기의 6개 시기로 구분하고, 광역지역구분(廣域地域區分)은 남부·중동부·동북·중서부·서북지방의 5개 지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보았다.
    제Ⅱ장에서는 신석기시대 주요 유구의 성격에 대해 검토하고 일부 유적과 유구 및 유물에 대해서는 새로운 해석과 가설을 제시하였다. 먼저 생활시설인 주거지(住居址)와 저장시설인 수혈유구(竪穴遺構), 식료가공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집석유구(集石遺構), 매장유구인 무덤을 비롯하여 생산시설인 토기가마, 석기제작장, 패총, 경작유구 등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제주 고산리유적의 편년과 성격, 남해안 패총의 형성과정, 동해안과 남해안의 어로문화 성립배경 등을 재검토하여, 당시 사회구조와 동해안유적 형성 집단의 성격과 출자에 대해 추론하였다. 아울러 수혈주거지의 연구에 있어서 ‘깊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기왕에 옹관묘로 인식해 온 토기를 주거지내의 식료저장 용기로 재해석하였다. 또 토기가마로 보고된 구상유구(溝狀遺構)는 계절성 식료를 저장하기 위한 훈제(燻製)시설이거나, 제승문화(製繩文化)와 관련하여 섬유식물의 인피(靭皮)를 얻기 위한 증숙시설(蒸熟施設)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석제결합식조침(石製結合式釣針)과 관련하여 오산리형으로 불리는 ‘J’자형 조침문화는 시베리아 극동지방의 벨카치(Bel'kachi)Ⅰ단계 문화와 관련성을 제기하였고, 남해안에서 주로 출토되는 ‘I’자형 조침문화는 바이칼호 주변의 안가라강 일대에 형성된 키토이(Kitoi)문화와 관련성이 큰 것으로 보았다. 원추형석기(圓錐形石器)는 동해안의 석호에 서식하는 가물치를 잡기 위한 조침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고, 석도형석기(石刀形石器)는 재질과 구조를 분석하여 원시적 형태의 직조기에 사용되는 북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제주 고산리유적의 소형 타제석촉과, 남해안 및 동해안에서 출토되는 흑요석제 타제석촉 및 타제작살에는 독(毒)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상을 근거로 동해안의 조기단계 유적은 수렵과 어로의 전문성이 높은 북방계 수렵어로문화를 가진 집단들의 이주의 결과로 파악하였다.
    제Ⅲ장에서는 한반도에서 지금까지 확인된 400여 개소에 이르는 유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초창기부터 말기에 이르는 6개 시기별 주요 문화상의 양태와 지역별 유적분포, 지역간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제주도에 한정된 초창기의 문화상은 고산리식토기와 수렵용의 소형 타제석촉으로 대표되며, 조기는 중동부지방의 평저토기문화권과 남부지방의 융기문토기문화권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전기는 전형적인 즐문토기문화의 시기로서 남부지방에서는 자돌압인문(刺突押引文)의 영선동식토기, 중서부지방에서는 침선문(沈線文)의 구분문계(區分文系)토기로 대표된다. 중기는 유적의 수가 급증하며 토기문화상으로 볼 때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제일성(齊一性)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후기는 유적 수가 절정에 이르고 토기 시문범위의 축소와 문양의 단순화가 진행된다. 말기는 유적의 수가 급감하며 토기 문양의 퇴화와 소멸이 진행된다.
    각 지역별 유적분포는 유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시기별 유적분포도를 작성하여 검토하였다. 조기와 전기에는 거의 모든 유적이 해안과 도서의 패총유적으로 나타나 해양 수산자원에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중기가 패총에 의존도가 크게 감소하는데, 이런 현상은 후기까지 그대로 이어져 중기에 일어난 모종의 사회경제적 변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았다. 말기는 후기의 유적입지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새로운 시대적 전환을 맞이하는 시기로 이해하였다. 지역간의 상호관계는 각 시기를 대표하는 토기형식의 분포를 분석하여 지역구분의 타당성과 함께 검토하였다. 또 수혈유구, 집석유구, 갈판과 갈돌, 어망추, 방추차 등의 분포 분석을 통해 지역간의 관계와 생업환경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었고, 각 시기별 주요 유물의 출토빈도와 집중도 분석을 통해 지역간의 교류에 대해서도 추론하였다.
    제Ⅵ장에서는 한국 신석기사회의 구조와 존재양태를 유추하고, 정보네트워크의 분석을 통해 집단관계를 추론함으로써, 시·공간적으로 한반도에서 전개된 신석기사회 문화상의 동태적인 변천과정을 한층 명료하게 소묘할 수 있었다.
    한국 신석기사회는 조기와 전기에 이미 일반적인 수렵채집사회 보다 복합도가 증가한 복합수렵채집사회(complex hunter-gatherer society)의 요소가 나타나며, 중기 이후에는 화전농법(火田農法)에 의한 조·기장 등의 밭작물 재배가 확산되면서 점차 정주성이 높은 농경사회로 전환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유적 수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패총이 감소하고, 내륙의 구릉지나 강변 충적지로 주거 입지가 이동하며, 농경관련 도구가 증가하는 사실을 통해 유추할 수 있었다.
    지역간의 정보네트워크와 정보의 흐름은 지형도 분석과 금강식토기(錦江式土器)의 발생 및 전개과정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낙동강 수계와 금강 수계 상류지역의 정보네트워크 양상은 보다 광역권으로 전개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집단간의 관계는 중기 이후의 유적이 수계를 따라 연접하여 분포하는 용담댐수몰지역의 조사 내용을 통해 유추할 수 있었다. 자원영역분석(資源領域分析; Site catchment analysis)상의 상용자원 확보영역이 다중으로 중첩됨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유적 집단이 공존할 수 있었던 것은, 씨족사회에 기반을 둔 혈연적 유대관계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씨족공동체가 연합된 형태의 사회를 구성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생계기반은 화전농경에 있었으며, 수렵과 채집은 보완적 생계수단으로서 수시로 여러 집단이 공동작업을 통해 수행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요컨대 한국 신석기사회는 전기까지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이동식수렵채집사회(Mobile hunter-gatherer society)와 복합수렵채집사회가 다양한 형태로 공존하였지만, 중기 이후부터는 농경채집사회로 이행하면서 한층 사회 복합도가 증가한 ‘분절사회(Segmentary Society)’ 혹은 ‘분절적 종족 시스템(segmentary lineage system)’에 가까운 비교적 낮은 수준의 ‘복합사회(complex society)’를 형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보기
    • 머리말 1
    • 제1절. 문제의 제기 1
    • 제2절. 연구목적 4
    • 제3절. 연구방법 8
    • 제Ⅰ장. 신석기문화 연구사 13
    • 제1절. 편년연구사 14
    • 1. 남부지방 16
    • 2. 중서부지방 24
    • 3. 중동부지방 31
    • 제2절. 지역구분 연구사 36
    • 1. 광역지역구분 39
    • 2. 소지역구분 46
    • 3. 북한학계의 동향 49
    • 제3절. 편년과 지역구분의 통합조정 52
    • 1. 통합 편년안 52
    • 2. 통합 지역구분안 57
    • 제Ⅱ장. 주요 유구의 성격과 유적·유물에 대한 검토 66
    • 제1절. 주요 유구 성격에 대한 검토 66
    • 1. 주거지 66
    • 2. 수혈유구 70
    • 3. 집석유구 73
    • 4. 무덤 78
    • 5. 생산시설 80
    • 6. 기타시설 87
    • 제2절. 유적 및 유물의 새로운 이해 90
    • 1. 유적에 대한 재검토 90
    • 2. 유구와 유물에 대한 재검토 106
    • 제Ⅲ장. 시기별 문화상과 지역간의 관계 152
    • 제1절. 시기별로 본 문화상의 양태 153
    • 1. 초창기 155
    • 2. 조기 158
    • 3. 전기 163
    • 4. 중기 166
    • 5. 후기 171
    • 6. 말기 174
    • 제2절. 지역별 유적분포와 지역간의 관계 176
    • 1. 지역별 유적분포 양태 178
    • 2. 지역간 유구·유물의 분포 분석 191
    • 3. 문화상으로 본 교류 196
    • 제Ⅳ장. 한국 신석기사회 소묘 205
    • 제1절. 신석기사회의 구조와 존재양태 207
    • 1. 사회구조의 유추 207
    • 2. 존재양태 217
    • 제2절. 지역간의 정보네트워크와 집단관계 226
    • 1. 정보네트워크 226
    • 2. 집단관계 241
    • 맺음말 255
    • 參考文獻 263
    • [Abstract] 281
    더보기
    • 1 임효재, "「편년」", 『한국사론』12-하, 국사편찬위원회, 1983
    • 2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전사", 백산자료원,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91
    • 3 김정기, "「주생활」", 『한국사론』17집, 한국의 고고학Ⅳ(보유편), 국사편찬위원회, 1987
    • 4 김춘남, "『한국사』", 한국고시회, 2, 국사편찬위원회, 1997
    • 5 신종환, "「생활시설」", 『영남의 고고학』, 영남고고학회, 사회평론, 2015
    • 6 신종환, "「생활시설」", 『한국 신석기문화 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 7 이성주, "「신석기시대」", 『국사관논총』16, 1990
    • 8 이성주, "「신석기시대」", 『한국선사고고학사-연구현황과 전망』, 까치, 1992
    • 9 한영희, "「신석기시대」",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의 반세기』, 제19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광복 50주년 기념 국제학회, 1995
    • 10 박순발, 임효재, "『오이도패총』", 서울대학교박물관, 1988
    • 11 최종혁, "「교류와 교역」", 『한국 신석기문화 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 12 한영희, "「지역적 비교」", 『한국사론』12-하, 국사편찬위원회, 1983
    • 13 한창균, "『하담 도유호』", 혜안, 2017
    • 14 신종환, "「금강식토기고」", 『고고학지』11, 2000
    • 15 李淸圭, "제주도 고고학 연구", 학연문화사, 학연문화사, 1995
    • 16 김태호, 이민부, "「제4장 해안 지형」", 『한국의 자연지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17 최종규, "『삼한고고학연구』", 서경문화사, 서경문화사, 1995
    • 18 이희준,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2007
    • 19 도유호, "『조선원시고고학』", 과학원, 과학원출판사, 1960
    • 20 김원용, "『한국고고학개론』", 일지사, 일지사, 1973
    • 21 김원용, "『한국고고학개설』", 2판, 일지사, 1981
    • 22 김원룡, "『한국고고학개설』", 일지사, 3판, 일지사, 1986
    • 23 임효재, "『한국신석기문화』", 집문당, 집문당, 2000
    • 24 신종환, "「금릉 송죽리유적」", 영남고고학회, 『영남고고학』7, 1990
    • 25 최종규, "「석호문화의 제창」", 『고대연구』3, 1992
    • 26 신종환, 배성혁, "「선사시대의 김천」", 『영남문화의 첫 관문 김천』, 국립대구박물관, 2005
    • 27 신종환, "「울주 신암리유적」", 영남고고학회, 『영남고고학』6, 1989
    • 28 임상택, "「패총유적의 성격」", 『과기고고연구』3, 아주대학교박물관, 1998
    • 29 국립경주박물관, "『울진 후포리유적』", 國立慶州博物館, 국립경주박물관, 1991
    • 30 제주대학교, "『제주 고산리 유적』", 濟州大學校博物館, 제주대학교박물관, 2003
    • 31 김용간, "남경유적에 관한 연구", 과학, 백과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4
    • 32 이정근, 임학종, "「선사토기 제작실험」", 『한 일 교류의 고고학』, 영남고고학회 구주 고고학회, 2006
    • 33 임학종, "「신석기시대의 무덤」", 『한국신석기연구』15, 2007
    • 34 송은숙, "「중부지역 토기문화」", 『한국 신석기문화 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 35 박성근, "「후포리유적 재검토」", 『남한의 신석기유적 재조명』, 한국신석기학회, 2013
    • 36 하인수, "『신석기시대 도구론』", 진인진, 진인진, 2017
    • 37 구자진, 배성혁, "『신석기시대 주거지』", 한국신석기학회 한강문화재연구원, 2009
    • 38 서국태, "『조선의 신석기시대』", 사회과학, 사회과학출판사, 1986
    • 39 이융조, "『청주지역 선사문화』", 청주문화원, 청주문화원, 2000
    • 40 신종환, "「패총의 보존과 활용」", 『동삼동패총의 재조명』, 한국신석기학회 동삼동패 총전시관, 2009
    • 41 신종환, "『청원 쌍청리 주거지』", 國立淸州博物館, 국립청주박물관, 1993
    • 42 이현혜, "『한국 고대의 밭농사』", 진단학회, 1997
    • 43 도유호, 황기덕, "궁산 원시 유적 발굴보고", 과학원출판사, 유적발굴보고2, 과학원출판사, 1957
    • 44 이동주, "「남부지역의 토기문화」", 『한국 신석기문화 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 45 김용남,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고고민속』3, 1967
    • 46 리주현, 한은숙, "『총론』조선고고학총서1", 고고학연구소 사회과학정보쎈터, 2009
    • 47 이상균, "『한반도의 신석기문화』", 전주대학교, 전주대학교출판부, 2010
    • 4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 49 김용남, "「궁산문화에 대한 연구」", 『고고민속논문집』8, 1983
    • 50 김상현, "「부산 가덕도 장항유적」", 『일한 신석기시대연구의 현재』, 제9회 일한신 석기시대연구회 발표자료집, 2011
    • 51 김정기, "「한국수혈주거지고(一)」", 『고고학』1집, 한국고고학회, 1968
    • 52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연평도 까치산 패총』",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 53 안승모,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 서경문화사,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서경문화사, 2016
    • 54 한창균, "「1960년대의 북한 고고학」", 『백산학보』55, 2000
    • 55 부산대학교, "『청도 오진리 암음 유적』", 부산대학교 박물관, 부산대학교박물관, 1994
    • 56 신숙정, "「신석기시대의 중원문화」", 『선사문화』2, 1994
    • 57 강창화, "「제주도지역의 토기문화」", 『한국 신석기문화 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 58 안승모, "「한강유역의 신석기문화」", 『한강유역사』, 1993
    • 59 신종환, "「금강식토기에 대한 소고」", 『한 일 신석기시대 공동연구회 한국측 발표 요지』, 한국신석기시대연구회, 1995
    • 60 이영덕, "「서북한지역의 토기 편년」",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와 편년』, 중앙문화재 연구원, 2014
    • 61 양성혁, "「춘천 교동유적의 재검토」", 『영서 중원지방의 신석기문화』, 한국신석기학 회, 2004
    • 62 임효재, "「토기의 시대적 변천과정」", 『한국사론』12-하, 국사편찬위원회, 1983
    • 63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부산의 선사유적과 유물』", 釜山廣域市立博物館 福泉分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복천분관, 1997
    • 64 민길자, "「직물의 종류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6, 국민대학교교육연구소, 1987
    • 65 도유호, "『지탑리원시유적발굴보고』", 과학원, 유적발굴보고8, 과학원출판사, 1961
    • 66 임학종, "『홍도의 성형과 소성 실험』", 大東文化財硏究院, 대동문화재연구원, 2012
    • 67 고동순, "「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한반도 신석기시대 지역문화론』, 동삼동패 총전시관, 2009
    • 68 하인수, "「신석기시대 대외교류연구」", 『박물관연구논집』8, 부산박물관, 2001
    • 69 정인성, "「일제강점기의 낙랑고고학」", 한국고고학회, 『이주의 고고학』, 제34회 한국고고학전국대 회, 2010
    • 70 고재원, "「제주도지역의 신석기문화」", 『한반도 신석기시대 지역문화론』, 동삼동패 총전시관, 2009
    • 71 신종환, "「금강식토기의 성립과 전개」",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와 편년』, 중앙문화 재연구원, 2014
    • 72 이수진, "「동해안지역의 주거와 취락」", 『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한국신석기학 회, 2010
    • 73 안승모, "「신석기문화의 성립과 전개」", 『한국 신석기문화 개론』, 중앙문화재연구 원, 2011
    • 74 김충배, "「신석기시대 낚시바늘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75 한영희, "「중 서부지방의 즐목문토기」", 『제2회 한국학 환태평양국제회의 고고학부 문』, 동북아세아고고학연구회, 1994
    • 76 서국태, "「조선 신석기시대 문화 연구」", 진인진, 『조선고고학전서』9(원시편),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2009
    • 77 김원용, "「춘천 교동 혈거유적과 유물」", 역사학회, 『역사학보』20, 1963
    • 78 한창균, "「195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백산학회, 『백산학보』53, 1999
    • 79 이동주, "「영남내륙지역의 신석기문화」", 『한반도 신석기시대 지역문화론』, 동삼동 패총전시관, 2009
    • 80 구자진, "「중부내륙지역의 신석기문화」", 『한반도 신석기시대 지역문화론』, 동삼 동패총전시관, 2009
    • 81 한창균, "「초기(1945-1950)의 북한 고고학」", 『중재 장충식박사 화갑기념논총(역사 학편)』, 중재 장충식박사 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2
    • 82 안승모, "「고고학으로본 한민족의 계통」", 일조각, 『한국사시민강좌』32, 2003
    • 83 고재원, "「고산리식토기의 분류와 편년」", 『한국신석기시대 토기와 편년』, 진인진, 2014
    • 84 김충배, "「신석기시대 낚시바늘 연구Ⅱ」",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6, 2003
    • 85 배성혁, "「신석기시대 취락의 공간구조」", 『한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2009
    • 86 배성혁, "「신석기시대 취락의 공간구조」",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13, 2007
    • 87 신종환, "「암사동유적의 층위학적 검토」", 『한국 신석기시대의 환경과 생업』, 동국 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2
    • 88 구자진, "『신석기시대 주거와 취락연구』", 서경문화사, 서경문화사, 2011
    • 89 연세대학교, "『연당 쌍굴 사람, 동굴에 살다』", 연세대학교 박물관, 연세대학교박물관, 2004
    • 90 李道學, "『한국 고대사, 그 의문과 진실』", 김영사, 김영사, 2001
    • 91 이상균,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신동향』", 학연문화사, 학연문화사, 2005
    • 92 고재원, "「유물로 본 제주도 고산리문화」", 『한 일 초기신석기문화 비교연구』, 한국 신석기학회 구주승문연구회, 2013
    • 93 강창화, "「제주 고산리 신석기문화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94 하인수, "「패총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의 조개더미 유적』, 한국문화재 조사기관협회, 2010
    • 95 신종환, "「한국 신석기문화의 중심 모색」", 『고고학에서의 중심과 주변』, 제20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2011
    • 96 김정학, "「한국 신석기시대 문화의 연구」", 『한국사학』7, 정신문화연구원, 1986
    • 97 최종혁, "「한반도 남부지역 신석기 문화」", 『한일 신석기시대의 어로와 해양문화』, 제8회 한 일신석기시대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 2009
    • 98 김충배, "「신석기시대 낚시바늘 연구(Ⅰ)」",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5, 2003
    • 99 이희준, "「4~5세기 신라의 고고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100 하인수, "「동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검토」", 『한국고고학보』79, 2011
    • 101 하인수, "「동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검토」", 『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한국신 석기학회 삼한문화재연구원, 2010
    • 102 安承模(Ahn Sung-mo), "「서해안 신석기시대의 편년문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고문화』54, 1999
    • 103 하인수, "「신석기시대 산상유적에 대하여」", 『박물관연구논집』12, 부산박물관, 2006
    • 104 홍은경, "「신석기시대 야외노지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105 최종혁, "「신석기시대 어로민의 생계유형」", 『신석기시대 어로문화』, 동삼동패총전 시관, 2006
    • 106 최종혁, "「신석기시대의 석기조성과 생업」", 『신석기시대 석기론』, 중앙문화재연구 원, 2016
    • 107 하인수, "「영남지방 융기문토기의 재검토」", 『영남지역의 신석기문화』, 영남고고 학회, 1997
    • 108 신숙정, "「일제강점기의 신석기문화 연구」", 『한국 신석기시대 고고학사』, 중앙문화 재연구원, 진인진, 2017
    • 109 박성근,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석부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110 박성근,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석부 연구」",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86, 2013
    • 111 신숙정, "「신석기시대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 신석기문화 개론』, 중앙문화재 연구원, 2011
    • 112 이성주, "「제국주의시대 고고학과 그 잔적」",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고문화』47, 1995
    • 113 오연숙, "「제주도 신석기시대 유적과 유물」", 『제주도 신석기문화의 형성과 전개』, 한국신석기연구회, 2004
    • 114 이수진, "「중동부지역의 중기 토기와 편년」", 『한반도 중동부지역의 신석기 문화』, 한국신석기학회, 2015
    • 115 하인수, "「한국 융기문토기의 성립과 전개」", 『한국 신석기시대의 환경과 생업』, 동 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2
    • 116 임상택, "「호서 신석기문화의 시공적 위치」", 호서고고학회, 『호서고고학』창간호, 1999
    • 117 소상영, "「제주 고산리 유적의 편년과 성격」",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33, 2017
    • 118 이동주, "「동북아시아 융기문토기의 제문제」", 『강원고고학의 제문제』, 1998
    • 119 신종환, "「신석기시대 내륙지역의 어로문화」", 『신석기시대의 어로문화』, 동삼동패 총전시관, 2006
    • 120 김권구, "「청동기시대 영남지역의 농경사회」", 학연문화사, 학연문화사, 2005
    • 121 김수환, "일제강점기 영남지역에서의 고적조사", 학연문화사, 영남고고학회, 2013
    • 122 배성혁, "「경북 김천 송죽리 신석기시대유적」", 『신석기시대의 패총과 동물유체』, 제4회 한일신석기문화 학술세미나발표자료집, 2001
    • 123 양성혁, "「신석기시대 토기 연구성과와 과제」", 『신석기시대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립중앙박물관, 2015
    • 124 이성주, "「일제강점기 고고학조사와 그 성격」", 『일제강점기 영남지역에서의 고적조 사』, 영남고고학회, 2013
    • 125 한영희, "「한반도 중 서부지방의 신석기문화」", 『한국고고학보』5, 1978
    • 126 안승모, "『동아시아 선사시대의 농경과 생업』", 학연문화사, 학연출판사, 1998
    • 127 김용남, "『우리나라 원시집자리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사회과학출판사, 1975
    • 128 임상택, "「동해안지역 조기 토기 편년과 양식」",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와 편년』, 중앙문화재연구원, 2014
    • 129 박동수, 허건, 이영덕, "「여수 경도 내동패총 발굴조사 개보」", 『일한 신석기시대연구 의 현재』, 제9회 일한신석기시대연구회 발표자료집, 2011
    • 130 신종환, "「유적 발굴로 본 신석기시대 연구사」", 『한국 신석기시대 고고학사』, 중앙 문화재연구원, 2017
    • 131 신종환, "「패총의 중요성과 보존 및 활용방안」", 『한국의 조개더미유적』, 한국문화 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0
    • 132 하인수, "「동남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어로구」", 『신석기시대 어로문화』, 동삼동 패총전시관, 2006
    • 133 신종환, "「신석기시대 금강식토기문화의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134 최종혁, "「신석기시대 남부내륙지역 취락연구」",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97, 2015
    • 135 하인수, "「신석기시대 한일문화교류와 흑요석」", 『한일교류의 고고학』, 영남구주고 고학회 제6회 합동고고학대회 자료집, 2004
    • 136 신종환, "「신석기시대금강식토기에 대한 소고」", 영남고고학회, 『영남고고학』17, 1995
    • 137 최종혁, "「생산활동에서 본 한반도 신석기문화」",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2, 2001
    • 138 김재윤, "「서포항유적의 신석기시대 편년 재고」",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71, 2009
    • 139 박근태, "「신석기시대 초창기 단계의 문화양상」", 『한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 전 개』,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 140 조현복, "「영남내륙지방 즐문토기에 대한 고찰」",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141 민길자, 이순선, "「우리나라 직물제직기술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8-2, 1984
    • 142 김정기, "「청동기 및 초기철기시대의 수혈주거」",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34, 1996
    • 143 조미순, "「강원 고성 문암리유적 신석기시대 밭」", 한국고고학회, 『농업의 고고학』, 제36회 한국 고고학전국대회, 2012
    • 144 이희준, "「고고학 논문의 학술성 제고를 위하여」",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100, 2016
    • 145 배성혁, "「김천 송죽리 신석기시대의 취락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146 박근태, "「제주도 신석기시대 초창기 토기 검토」",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창설20주 년기념논문집』,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2010
    • 147 오연숙, "「제주도 신석기토기 변천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148 임효재, "「한 일 문화교류사의 새로운 발굴자료」", 『제주도 신석기문화의 원류』, 한 국신석기연구회, 1995
    • 149 이동주, "「한국 선사시대 남해안 유문토기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150 변사성, 안영준, "「강상리유적의 질그릇갖춤새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86-2, 1986
    • 151 구자진, "「신석기시대 대천리식집자리의 재검토」", 호서고고학회, 『호서고고학』18, 2008
    • 152 심봉근, "「진주상촌리유적출토 신석기시대 옹관」",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문물연구』2, 1998
    • 153 소상영, "『한반도 중서부 지방 신석기 문화 변동』", 서경문화사, 2016
    • 154 신희권, "「98-99 고성 문암리 신석기유적 발굴조사」", 『한국 신석기시대의 환경과 생업』, 동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1
    • 155 강창화, "「제주도 초기신석기문화의 형성과 전개」", 한국고고학회, 『해양교류의 고고학』, 한국고고 학회, 2002
    • 156 도유호, "「조선원시문화의 년대추정을 위한 시도」", 『문화유산』1958(3), 1958
    • 157 田中聰一, "「한국 신석기시대 융기문토기에 대하여」",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문물연구』창간호, 1997
    • 158 황철주, "「한반도 동 남해안지역 융기문토기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159 김재윤, "『접경의 아이덴티티 동해와 신석기문화』", 서경문화사, 2017
    • 160 최종혁, "「신석기시대 남부지방 생업에 관한 연구」", 『제주도 신석기문화의 형성과 전개』, 한국신석기연구회, 2004
    • 161 구자진, "「한국 신석기시대의 주거지와 마을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162 田中聰一, "「한국 중 남부지방 신석기시대 토기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163 이원준,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의 신석기문화(Ⅰ)」",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7, 2004
    • 164 강창화, "「제주도 고고학 30년, 발굴조사와 그 성과」", 『제주고고』창간호, 제주고고 학연구소, 2014
    • 165 임상택, "「한국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문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166 서국태, "『조선신석기시대문화의 단일성과 고유성』", 사회과학출판사, 1998
    • 167 임상택(Lim Sang Taek),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 양식의 성립과 변동", 중부고고학회, 『고고학』16-1, 2017
    • 168 장명수, "「신석기시대 어구의 형식분류와 편년연구」",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169 이동주, "「우리나라 초기신석기문화의 원류와 성격」", 『전환기의 고고학Ⅰ』, 학연문 화사, 2002
    • 170 이성주, "「한국 청동기시대 ‘사회’고고학의 문제」", 『고문화』68, 2006
    • 171 이상균, "「호남지역 신석기문화의 양상과 대외교류」", 호남고고학회, 『호남고고학보』7, 1998
    • 172 신숙정, "『우리나라 남해안지방의 신석기문화 연구』", 학연문화사, 1994
    • 173 최몽룡, "『한국 고고학 연구: 세계사 속에서의 한국』", 주류성, 주류성, 2014
    • 174 최종규, "「기하문토기의 편년표작성을 위한 일 소고」",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7
    • 175 한창균,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구분 체계에 대하여」", 한국상고사학회, 『한국상고사학보』79, 2013
    • 176 김희찬, "「빗살무늬토기의 소성에 대한 실험적 분석」",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고문화』49, 1996
    • 177 신숙정, "「우리나라 신석기문화 연구경향-1945년까지」", 『한국상고사학보』12, 1993
    • 178 송은숙, "「한국 남해안지역 신석기문화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179 송은숙, "「한국 빗살무늬토기 문화의 확산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180 임상택, "「한반도 신석기시대 취락 운용방식의 일단」", 『한일신석기시대의 주거와 취락』, 제7회 한일신석기시대연구회 발표자료집, 2007
    • 181 임상택, "「신석기시대의 최근 조사 성과와 연구 흐름」", 『한국 고고학의 최근 성과 와 과제』, 한국선사고고학회, 2005
    • 182 안승모,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의 최근 성과와 과제」", 『신석기시대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립중앙박물관, 2015
    • 183 안승모, "「동아시아 정주취락과 농경출현의 상관관계」",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11, 2006
    • 184 구자진, "「중부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 『빗살무늬』, 경기도자박물 관, 2015
    • 185 田中聰一, "「한국 동북부지방 신석기시대토기에 대하여」", 한국신석기연구회 일본구주승문연구회,『'99한 일학술심포지움』, 1999
    • 186 이동주, "「한국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유문토기 연구」", 『한국상고사학보』7, 1991
    • 187 이동주, "「한국융기문토기와 일본 轟식토기에 대하여」", 『부산여대사학』10 11, 1993
    • 188 리주현, "『조선과 동북아시아 지역의 신석기시대문화』", 사회과학, 사회과학출판사, 2013
    • 189 정인성, "「小川敬吉의 고적조사 성과 재검토의 필요성」", 『小川敬吉의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관련자료 집성-대구 경북지역-』, 우리문화재찾기운동본부, 2016
    • 190 김주희, "「가덕도 장항유적 출토 신석기시대 인골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191 임상택, "「동 남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양식」", 『한국신석기연구』24, 2012
    • 192 신숙정, "「신석기개념과 토기발생에 관한 최근의 논의」", 『한국신석기연구』26, 2013
    • 193 韓永熙, "「신석기시대 중 서부지방 토기문화의 재인식」", 경기대학출판부, 『한국의 농경문화』, 경기대 학교박물관, 1996
    • 194 이기성, "「일제강점기 ‘금석병용기’에 대한 일 고찰」", 『한국상고사학보』68, 2010
    • 195 吳蓮淑, "「제주도 신석기시대 토기의 형식과 시기구분」", 호남고고학회, 『호남고고학연구』12, 호 남고고학회, 2000
    • 196 신숙정, "「중서부지역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15, 2008
    • 197 신종환, "「한국 매장문화재조사의 변천과 사회적 역할」", 한국문화유산협회, 『매장문화재조사 정책 및 제도의 발전방향』, 문화재청 한국매장문화재협회, 2015
    • 198 최득준, "「한반도 신석기시대 결합식조침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199 이수진,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중기 토기에 대한 검토」",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200 이기길, "「전남 여천군에서 새로 찾은 신석기시대 유적」", 호남고고학회, 『호남고고학보』창간호, 1995
    • 201 이기성, "「초기 북한 고고학의 신석기 청동기시대 구분」", 『호서고고학』25, 2011
    • 202 박철, "「표대유적 제7지점에서 발굴된 집자리와 유물」", 『조선고고연구』08-2, 2008
    • 203 이상균, "「신석기시대의 남해안과 서북구주지방의 생업」",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전주사학』4, 1996
    • 204 한창균, "「북한의 1950년대 선사유적 발굴과 그 연구 동향」", 『한민족』2, 1990
    • 205 신종환, "「일제강점기 고령지역의 고고학조사와 그 영향」", 『일제강점기 영남지역에 서의 고적조사』, 영남고고학회, 2013
    • 206 조미순, "「고성 문암리 선사유적의 발굴조사 성과와 의의」", 『고성 문암리유적의 재 조명』, 강원고고문화연구원, 2014
    • 207 김은영, "「신석기시대 연평도지역의 생계 주거 체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6
    • 208 안승모, "「신석기시대의 식물성식료1-야생식용식물 자료-」", 『한국 신석기시대의 환경과 생업』, 동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2
    • 209 임상택, "「중서부 신석기시대 석기에 대한 초보적 검토Ⅰ」",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창간 호, 2001
    • 210 최득준, "「한반도 신석기시대 섬유생산 가마에 대한 시론」", 부산고고학회, 『고고광장』20, 2017
    • 211 이상균, "「한반도 신석기시대 주거의 현상과 지역적 특징」", 『한반도신석기문화의 신동향』, 2005
    • 212 고동순, 홍성학, "「양양 오산리유적 최하층 출토 토기에 대한 예찰」", 『강원고고학 보』9, 2007
    • 213 신숙정, "「동삼동발굴80주년의 회고: 橫山將三郞과 L.L.Sample」", 『동삼동패총의 재조명』, 동삼동패총전시관, 2009
    • 214 임상택, "「한반도 신석기시대 복합수렵채집사회 성격 시론」",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30, 2015
    • 215 장은혜,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조 전기토기 전환과정 연구」", 『한국신석기연구』28, 2014
    • 216 장은혜,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조 전기토기 전환과정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 217 임상택, "「북한의 신석기시대 연구사-토기편년을 중심으로-」", 『한국 신석기시대 고고학사』,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 218 홍은경, "「신석기시대 집석유구의 기능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81, 2011
    • 219 신숙정, "「한국 신석기시대 환경과 문화변동에 대한 토론문」", 『신석기시대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립중앙박물관, 2015
    • 220 임승경, "「Ⅴ. 고찰-울산 처용리 출토 결상이식에 대한 고찰-」", 『울산 처용리 21번 지 유적』, 우리문화재연구원, 2012
    • 221 강창화, 고재원, "「고산리식토기와 동북아에서의 고산리문화의 위치」", 『제주 고산리 유적 국제학술대회』, 제주대학교박물관, 2016
    • 222 김장석, "「오산리토기의 연구-상대편년 및 타지역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1991
    • 223 하야시, "켄사쿠(천선행 역), ,『일본 신석기시대 생업과 주거』", 사회평론, 2015
    • 224 임학종, "「남해안 신석기시대초기의 토기문화에 대한 일고찰」",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북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1993
    • 225 하인수, "「즐문토기의 편년연구와 과제-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와 편년』, 중앙문화재연구원, 2014
    • 226 임상택, "『한국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문화 변동과정 연구』", 학연문화사, 2008
    • 227 안승모, "유혜선, ,「진안 갈머리 적석유구에 대한 지방산분석」", 『한국신석기연구』3, 2002
    • 228 안승모, "「남부지방에서의 농업, 정주취락의 출현과 사회변화」", 『남부지방 신석기 문화의 제문제』, 한국신석기학회, 2006
    • 229 한창균, "「도유호와 한흥수: 그들의 행적과 학술 논쟁(1948-1950)」",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 보』87, 2013
    • 230 임상택, "「신석기시대 대한해협 양안지역 교류에 대한 재검토」", 영남고고학회, 『영남고고학』47, 2008
    • 231 강인욱,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선사시대 유적의 조사와 인식」", 한국상고사학회, 『한국상고사학보』 61, 2008
    • 232 임상택, "「한국고고학의 기원론과 계통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고고학보』 102, 2017
    • 233 방문배, "「고산리유적 유구의 성격과 정착 가능성에 대한 검토」", 『제주 고산리유적 국제학술대회』, 제주대학교박물관, 2016
    • 234 임효재, "「방사성탄소연대에 의한 한국신석기문화의 편년연구」", 『김철준박사화갑 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3
    • 235 유지인, "「신석기시대 중 후기 중서부 해안지역 취락구조 연구」",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 85, 2012
    • 236 안승모, "「한국 남부지방 신석기시대 농경 연구의 현상과 과제」",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 구』10, 2005
    • 237 조은하, "강원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농경 수용과 생계양상의 변화",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호서고고학』 31, 2014
    • 238 이경아, "한반도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운용과 두류의 작물화 검토", 중앙문화재연구원, 『중앙고고연 구』15, 2014
    • 239 안승모, "「금강식토기와 능격문의 형성과정에 대한 예비적 고찰」", 호남고고학회, 『호남고고학 보』17, 2003
    • 240 이동주, "「동아시아에 있어서 한국의 초기 신석기문화에 대하여」", 『동아시아의 신 석기문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994
    • 241 이기성, "「북한 선사고고학의 패러다임-학사적 검토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북한고고학의 패러다임과 논리-서북한 선시시대연구』, 중부고고학회, 2015
    • 242 안승모, "「신석기시대 지역성과 지역분류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한반도 신석기 시대 지역문화론』, 동삼동패총전시관, 2009
    • 243 서국태, "「질그릇을 통하여 본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문화류형」", 『조선고고연구』 90-3, 1990
    • 244 고동순, "「동해안지방의 오산리식토기와 융기문토기의 층위 검토」", 『한국신석기문 화의 양상과 전개』, 서경문화사, 2012
    • 245 임상택, "「신석기시대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과 취락구조의 특징」", 한국상고사학회, 『한국상고사학 보』70, 2010
    • 246 고동순, "「양양 오산리유적 최하층 출토 토기와 관련 유적의 비교」", 제5회 환동해 선사문화연구회 학술발표회, 2008
    • 247 구자진,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주거지의 지역권설정과 변화양상」", 『한국신석기연 구』13, 2007
    • 248 정징원, "「중국 동북지방의 융기문토기-송눈평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 보』26, 1991
    • 249 하인수, "「남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연구-편년과 생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250 강인욱, "「鳥居龍藏으로 본 일제강점기 한국 선사시대에 대한 이해」", 『이주의 고고 학』, 제34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2010
    • 251 구자진, "「서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의 주거지 의미」", 『한국신석기 연구』18, 2009
    • 252 송은숙, "「신석기시대 생계방식의 변천과 남부내륙지역 농경의 개시」", 호남고고학회, 『호남고고 학보』8, 2001
    • 253 신숙정, "「우리나라 신석기 청동기시대의 동굴 및 바위그늘 유적 연구」", 『우리나라 선사시대의 동굴유적과 문화』, 연세대학교박물관 추계 학술세미나, 2004
    • 254 김장석, "「중서부 후기신석기시대의 토지이용전략과 자원이용권 공유」",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 대』18, 2003
    • 255 李熙濬, "「한반도 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기반과 그 변천」", 영남고고학회, 『영남고고 학』58, 2011
    • 256 정인성, "「일제강점기 ‘경주고적보존회’와 모로가 히데오(諸鹿央雄)」", 『대구사학』 95, 2009
    • 257 金恩塋, "「고성 문암리유적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 평저토기문화의 전개」",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 재』40, 2007
    • 258 김권구, "「주거지고고학 자료분석 방법의 몇가지 예와 문제점의 일고찰」", 한국상고사학회, 『한국상 고사학보』19, 1995
    • 259 金壯錫(Jangsuk Kim), 梁成赫(Seonghyeok Yang), "「중서부 신석기시대 편년과 패총 이용전략에 대한 새로운이해」",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45, 2001
    • 260 신숙정, "「한국,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초기철기시대 고고학사 토론문」", 『한국의 고고학사Ⅰ』, 한국상고사학회 제43회 학술대회, 2015
    • 261 배성혁, "「신석기시대의 토기요 연구-김천 송죽리 토기요지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보』62, 2007
    • 262 이준정, "「수렵 채집 경제에서 농경으로의 전이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영남고 고학』28, 2001
    • 263 이헌종,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성격과 문화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고고학회, 『한국 고고학보』39, 1998
    • 264 김대환,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사업에서 후지타 료사쿠(藤田亮策)의 역할」", 『한국상 고사학보』91, 2016
    • 265 金恩塋, "「러시아 연해주와 주변지역 신석기시대 전기 토기의 편년과 동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고문 화』76, 2010
    • 266 배성혁, "「신석기시대 후기 토기요 연구-김천 지좌리토기요지를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한국 신석기연구』25, 2013
    • 267 金恩塋, "「한반도 중동부지역 신석기시대 평저토기의 시공적 위치에 대하여」", 부산고고연구회,『석 헌 정징원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2006
    • 268 정징원, "「남해안지방 융기문토기에 대한 연구-형식분류와 편년을 中心으로-」", 『부 산사학』9, 1985
    • 269 정징원, "「남해안지방 초기 즐문토기의 일검토-조도패총 출토품을 중심으로-」", 『영 남고고학보』7, 1990
    • 270 소상영, "「신석기시대 토기제작 과정의 실험적 연구-토기 소성흔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유산협회, 『야외고고학』3, 2007
    • 271 박철, "「표대유적에서 또다시 발굴된 신석기시대의 질그릇가마터에 대하여」", 『조선 고고연구』05-2, 2005
    • 272 김석훈, "「황해중부도서지역의 신석기시대 화덕자리와 제염유적에 대한 연구」", 인 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273 임상택, "「서해중부지역 빗살무늬토기 편년연구-신석기후기 편년 세분화 시론-」", 『한국고고학보』40, 1999
    • 274 김범철, "「‘주거지’에서 ‘주거자’로-한국 선사시대 가구고고학을 위한 제언」", 『한국 고고학보』90, 2014
    • 275 김용간,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질그릇갖춤새 변천에 보이는 문화발전의 고유성」", 『고고민속론문집』7,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 276 정인성, "「關野貞의 낙랑유적 조사 연구 재검토-일제강점기 ‘古蹟調査’의 기억1」", 『호남고고학보』24, 2006
    • 277 김장석, "「남한지역 후기신석기-전기청동기 전환: 자료의 재검토를 통한 가설의 제 시」",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48, 2002
    • 278 이동주, "「암사동유적 편년의 새로운 시점-서해안 빗살문토기의 발생과정과 관련하 여-」", 『한국신석기연구』5, 2003
    • 279 이성주, "「형식론과 계통론-일본 제국주의 고고학의 물질문화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21세기의 한국고고학(Ⅰ)』, 희정 최몽룡교수 정년퇴임논총, 주류 성, 2008
    • 280 한창균, "「초기 북한 신석기 고고학의 성립 과정-해방 이후∼1850년대의 연구 동 향을 중심으로」", 『북한지역 신석기문화의 연구』, 한국신석기학회, 2017
    • 281 성춘택, "「수렵채집민의 이동성과 한반도 남부의 플라이스트세 말-홀로세 초 문화변 동의 이해」", 『한국고고학보』72, 2009
    • 282 소상영, "「신석기시대 토기제작 과정의 실험적 연구Ⅱ-흑반과 토기 단면색조의 관련 성을 중심으로-」", 『한강고고』3, 2012
    • 283 이기길, 황성옥, "「암사동(바위절)유적의 신석기시대 뾰족밑 무늬토기의 연구-만들기 와 그 배경을 중심으로-」", 『손보기박사 정년기념 고고인류학 논총』, 1988
    • 284 김권구, "「무덤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사회구조의 변천-수장의 출현과 불평등 제도 화 양상의 불안정성-」", 『무덤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사회와 문화』, 경남 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학연문화사, 2012
    • 285 이기성, "「朝鮮總督府의 古蹟調査委員會와 古墳及遺物保存規則-일제강점기 고적조 사의 제도적 장치(1)-」", 『영남고고학』51, 2009
    • 286 Nelson, S. M., "The Questions of argricultural impact on sociopolitical development in prehistoric Korea, 한국 고대 도작문화의 기원, 임효재 편", 학연문화사, 2000
    • 287 조대연,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의 토기 소성유구 변화양상에 관한 일고찰-실험 고고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호서고고학회, 『호서고고학』23, 2010
    • 288 김민구, "「수렵채집사회 거주 유적 출토 식물상의 통시적 변화와 변화 요인의 해석 -일본 산나이마루야마 유적의 예-」",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64, 2007
    • 289 임상택,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토기문화의 비교-광역 정보 교환망과 중서부 빗살무늬토기 전통의 성립-」", 백산학회, 『백산학보』100, 2014
    • 290 小畑弘己, 조은하, 조미순, 이경아, 신이슬, 서민석, "「토기 압흔을 활용한 중부동해안지 역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이용 연구-고성 문암리유적, 양양 오산리 송전리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보』28,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