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미디어 담론을 통해 본 다문화의 역설 : 언론의 반(反)다문화 정서에 대한 재현방식을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서구 다문화사회를 중심으로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논쟁이 다시금 재점화되면서 이른바 ‘다문화주의에 대한 반격’과 ‘후퇴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전 지구적으로 반다문화 정서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한국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 내 부상하고 있는 반다문화 정서에 주목하여, 다문화 사회라는 현실구성과 다문화 담론의 주요 생산자로서 언론에 초점을 맞춰, 반다문화 정서의 사회적 확산에 대해 언론은 어떠한 관점과 입장에서 반다문화 담론의 부상 배경과 특징을 조명하고 전달하고 있는지, 나아가 어떻게 이를 의제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반다문화 관련 흐름들이 갖는 상징적 의미와 사회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반다문화 담론의 부상은 다문화 담론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 1>에서는 한국사회 내 반다문화 정서가 부상하게 되면서 언론을 통해 생산되고 있는 다문화 담론 지형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그 함의는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는 언론이 반다문화 담론의 부상에 대해 어떻게 재현하고 개입하는지에 따라 반다문화 담론의 부상이 한국사회에서 다문화 담론을 둘러싼 새로운 접근 방식과 사회적 논의가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문제 2>에서는 언론이 반다문화 정서의 사회적 확산에 대해 어떠한 지점에 주목하여 이를 조명하고 전달하는지, 나아가 그 과정에서 어떠한 관점과 문제의식을 드러내며 의제화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문제 1>과 관련해 분석기간 동안 다문화 관련 기사에 관한 언론 보도는 양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연도별 주요 이슈로는 인종차별과 외국인 혐오 문제를 비롯해 제도적 차원에서의 차별 금지법 제정과 같은 반다문화 정서와 관련된 논의가 의제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문화 주체와 관련해서도 그동안 언론의 주된 재현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과 이주노동자에 집중되었던 양상에서 일부 탈피하여, 미등록 이주아동과 국내 체류 난민 등으로 확대되어 이에 대한 조명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그동안 선행연구들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던 정착형 이주민으로서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 가정을 중심으로 하는 포섭 전략과 이주노동자를 비롯해 정주가 허락되지 않은 이주민에 대한 배제의 논리는 분석기간이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언론의 재현방식에서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론사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전자는 보수언론에서 후자는 진보언론에서 보다 주목하여 의제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다문화 담론이 부상하는 현상에 대해 사회적 맥락에서의 배경과 원인을 진단하고, 분석하는데 있어 해석의 틀을 제공하는 실질적인 발화의 주체는 언론사 기자이기 보다는 학문영역의 지식인 혹은 전문가 집단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문제 2>와 관련해 언론의 반다문화 정서에 대한 재현작용의 특징과 그 함의를 살펴본 결과, 첫째, 한국 헌정사상 최초로 귀화 이주민 출신의 국회의원을 둘러싼 인종차별적 공격에 대한 의제화 과정에서 보수와 진보 언론의 세력화 양상을 징후적으로 감지할 수 있었다. 둘째, 외국인 범죄에 의한 사회 안전망에 대한 위협은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의 재현 방식에 따라 ‘실재적 위협’이 될 수도 있고, ‘상상된 위협’이 될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경제적 차원에서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일자리와 복지를 둘러싼 경쟁과 관련해서는 텍스트 기저에 인종적 위계질서가 비교적 강하게 작동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대립구도를 설정하고, 내국인의 역차별 문제 등 ‘상대적 박탈감’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다.
    반다문화 정서를 둘러싼 언론의 재현전략에 있어서도 반다문화 정서를 유발하는 다양한 층위의 요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언론에서는 가령,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선진담론’을 내세워 선진국민으로서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와 같은 반지성주의적이고 일탈적인 행위를 지양해야 한다는 식으로 접근하거나, 인류 보편의 가치로서 ‘인권담론’을 내세워 인종, 민족, 젠더, 종교 등의 차이로 이주민이 사회에서 차별받거나 배제되지 않아야 함을 강조하는 등 다소 추상적이고 규범적 차원으로 접근하고 귀결시킴으로써, 반다문화 정서의 문제를 탈정치화한다. 즉, 반다문화 정서가 등장하게 된 사회구조적인 배경과 이를 조건 짓는 권력의 문제 그리고 사회계층과의 관계 속에서 정치, 경제, 사회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이념화되고 도구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사회 내 반다문화 담론의 부상은 유럽의 사례에서 보듯이 한국사회가 다민족・다인종 사회로 진입해 가는 과정에서 벌어질 수 있는 사회적 갈등과 충돌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진단해 보고, 지금까지 전개되어 온 지배적인 다문화 담론에 관한 논의를 비판적이고 성찰적인 차원에서 재점검할 수 있는 계기로 인식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The controversy over multiculturalism reinitiated mainly in Western multicultural societies. Consequently, the so-called ‘multiculturalism backlash’ and the retreat have become serious and anti-multicultural emotions is rapidly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The trend also influences the South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anti-multicultural emotions emerging in South Korean society,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media as a major producer of multicultural discours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anti-multicultural discourses were composed (e.g., aspect), what kinds of viewpoints and problems would be revealed, and how they are publicized and itemized. Through these results, I examined the symbolic meanings and social implications contained in the trends related to anti-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n society.
    The emergence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s presupposed the existence of multicultural discourses. <Study Question 1> analyzed how the terrain of multicultural discourse, which was produced by the media, were changed and what were the implications of it as the anti-multicultural emotions emerged. Depending on how the media reproduces and intervenes the rise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s, new approaches and social discourses surrounding the multicultural discourses in South Korean society could be more actively deployed along with the rise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s. In this context, <Study Question 2> mainly examined and analyzed what the media focused on, highlighted, and delivered regarding the spread of anti-multicultural emotions and, furthermore, what kind of viewpoints and critical thoughts appeared and publicized in the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quantity of press release associated with multiculture tended to decrease. However, discourses related to anti-multicultural emotions such as racial discrimination, xenophobia, and the enactment of the prohibition on discrimination had been discussed more seriously. The media used mainly to deal with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and immigrant workers but it started to illuminate stateless migrant children and domestic refugees issues.
    As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continuousl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media's representation method maintained the subsumption strategy for settlement type migrants such as interna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logic of exclusion on migrants, who were not allowed to settle in south Korea, such as immigrant workers.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tendency of the media, the former is mainly publicized by conservative journalism and the latter is mainly done by progressive journalism.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cademic intellectuals or experts are mostly responsible for diagnosing the background and cause of the emergence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 in the social context and providing the interpretation framework for an analysis than reporters of the media.
    Regarding th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against the media's anti-multicultural emotions, it was possible to detect the signs of empowerment of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journalism in the process of racial discrimination attacks on Jasmine Lee. In addition, the threat to the social safety net due to foreign criminals can be either a 'real threat' or an 'imagined threat' depending on how the media reproduces it. In the economic aspect, the media strongly employs the racial hierarchy in the base of texts when the media deals with the job competition and welfare benefits between indigenous people and migrants. The media sets a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indigenous and migratory people and emphasizes a "relative deprivation" such as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indigenous people.
    Various levels of factors cause anti-multicultural emotions. However, the representation strategy of the media often makes an approach of ‘the advanced country discourses’ that we should meet the global standards and avoid anti-intellectual attitude and aberrant such as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Alternatively, the media put the flag of ‘the humanity discourses’ with emphasizing that migrants should not be discriminated or excluded from the society because they have a different ethnicity, gender, or religion – an abstract and normative approach. These approaches of the media isolate the issue from the politics. In other words, these approaches excluded the social structure background making the anti-multicultural emotions appeared, the problem of political power game determining it, and the possibility of ideologizing or instrumentalizing it according to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nterests i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lasse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se idea and expression shown in the anti-multicultural emotions of the media in the relation to the multicultural discourses produced by the media. This study diagnosed the potential of social conflicts, which can occur in the process of entering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society in South Korea as shown in the Europe, proactively. Moreover, it proposed to review the multicultural discourses in the introspective viewpoint.

    더보기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목적 5
    • 제2장 이론적 논의 및 문헌 연구 8
    • 제1절 국내외 다문화 담론의 지형 변화 8
    • 1. 서구 다문화사회의 균열과 다문화주의의 위기 8
    • 2. 한국사회의 다문화 담론 형성 배경과 특징 12
    • 3. 한국사회의 다문화 담론을 둘러싼 비판과 주요 쟁점 15
    • 제2절 한국사회의 반(反)다문화 담론에 대한 이해 18
    • 1. 반(反)다문화 담론의 등장 배경과 특징 21
    • 2. 반(反)다문화 담론의 주요 유형과 확산 전략 22
    • 3. 반(反)다문화 담론의 심리적 기제 및 주요 근거 29
    • 제3절 언론의 현실구성과 다문화 재현 35
    • 1. 언론의 현실구성과 다문화사회 35
    • 2. 다문화 관련 언론 재현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37
    • 3. 다문화 관련 언론 보도의 관행화된 인식 43
    • 제3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7
    • 제1절 연구문제 47
    • 제2절 연구방법 52
    • 1.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접근 방법 52
    • 2.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54
    • 3. 자료수집방법 56
    • 제4장 분석결과 58
    • 제1절 다문화 관련 기사의 연도별 분포 양상과 주요 이슈 58
    • 제2절 언론을 통해 생산된 다문화 담론 지형의 변화와 그 함의 61
    • 1. 다문화 관련 기사의 주제 유형 및 사회제도적 맥락 61
    • 2. 다문화 관련 기사의 정보원 유형: 정보원의 역할과 인용 맥락을 중심으로 65
    • 3. 다문화 정책 및 다문화 주체를 둘러싼 담론의 특징과 의미 70
    • 제3절 언론의 반다문화 정서에 대한 재현작용의 특징과 그 함의 87
    • 1. 이자스민을 둘러싼 보수 언론과 진보 언론의 세력화 양상 89
    • 2. 외국인 범죄를 둘러싼 ‘실재적 위협’과 ‘상상적 위협’의 대립 95
    • 3. 일자리와 복지를 둘러싼 선주민과 이주민과의 경쟁 98
    • 제5장 결론 및 제언 104
    • 제1절 요약 및 논의 104
    • 1. 연구결과의 요약 104
    • 2. 논의: 넷우익, 극우주의 그리고 반다문화 정서 107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09
    • 참고문헌 110
    • Abstract 121
    더보기
    • 1 박경태, "<인종주의>", 책세상, 서울: 책세상, 2009
    • 2 Lippmann, W., "Public Opinion", Macmillan, NY: Free Press. 김규환 역 (1973). <여론>, 서 울: 현대사상사, 1922
    • 3 신현준, 조경희, 이정은, 윤영도, "<귀환 혹은 순환>", 서울: 그린비, 2013
    • 4 엄한진, "「다문화 사회론」", 소화, 서울: 소화출판사, 2011
    • 5 김세균, 임종헌, 이환식, 송태수, 김수행, "<유럽의 제노포비아>", 서울: 문화과학사, 2006
    • 6 김현미 ( Hyun Mee Kim ),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현대사회와 문화>, 26권, 57-79, 2008
    • 7 김희강,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서울: 엘피, 2016
    • 8 김현미,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서울: 돌베개, 2014
    • 9 구견서,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현상과 인식>, 27(3), 29-114, 2003
    • 10 김휘택, "반다문화주의, 정체성, 민족",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연구>, 15권, 305-333, 2013
    • 11 임덕영, "이자스민 씨를 둘러싼 시선들", 노동사회과학연구소, <정세와노동>, 80호, 28-36, 2012
    • 12 백미연, 이종두, "한국의 특수성과 다문화 정책",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국제관계연구>, 17권 1호, 335-361, 2012
    • 13 김영숙 ( Young Sook Kim ), "한국의 반다문화 담론 내용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45권 3호, 125-151, 2015
    • 14 이창호, 정의철, "혼혈인에 대한 미디어 보도 분석", <한국언론학보>, 51권 5호, 84-110, 2007
    • 15 강미옥, "<보수는 왜 다문화를 선택했는가>", 서울: 상상너머, 2014
    • 16 이종일, "문화인종주의의 형성논리와 원인",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육연구논총>, 25(2), 15-41, 2009
    • 17 윤인진,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특성과 변화", <분쟁해결연구>, 9권 2호, 135-166, 2010
    • 18 윤인진(Yoon In-Jin),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2권 2호, 72-103, 2008
    • 19 채영길, "미디어의 이주민 타자화 프레임 분석", 부산경남언론학회, <언론학연구>, 14권 2호, 205-241, 2010
    • 20 김정현,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에 관한 논의",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5권 4호, 35-75, 2001
    • 21 Girard, R., "The Scapegoat. 김진식 (역) (2007). <희생양>", 서울: 민음사, 1989
    • 22 박경태, "다문화, 화려한 수사와 유행을 넘어서", 비판사회학회, <경제와사회>, 94호, 379-385, 2012
    • 23 최영신, "“외국인의 불법체류와 외국인 범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71권, 1319-1340, 2007
    • 24 김비환, "다문화민주주의?: 몇 가지 예비적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다문화사회연구>, 4권 1호, 5-34, 2011
    • 25 이기형, "미디어 문화연구와 문화정치로의 초대", 서울: 논형, 2011
    • 26 문재원, "다문화주의 담론의 재구성에 대한 고찰", 순천향대학교, <순천향인문과학논총>, 33권 3 호, 161-187, 2014
    • 27 한건수, "한국의 다문화 사회 이행과 이주노동자",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 현실>, 91호, 21-31, 2011
    • 28 이종원(Lee, Jong-Won), "희생양 메커니즘과 폭력의 윤리적 문제",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철학탐구>, 40호, 273-301, 2015
    • 29 김영명, "한국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5권 1 호, 141-142, 2013
    • 30 이용승, "한국 다문화주의의 담론지형에 관한 소고",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16권, 133-159, 2011
    • 31 김수정, 김은이, "아시아 여성의 국제결혼에 대한 미디어 담론",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 보>, 43호, 385-426, 2008
    • 32 한건수(Han Geon Su), ""타자만들기" :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의 재현",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 9권 2호, 157-193, 2003
    • 33 신연재, "스펜서(Herbert Spencer)의 사회진화론과 자유주의",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34(1), 201-216, 1994
    • 34 Sae young), 이현, 홍세영, Hyun), "「외국인 범죄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 52호, 25-51, 2011
    • 35 야스다, "고이치 <거리로 나온 넷우익>. 김현욱 (역) (2013)", 서울: 후마니타스, 2013
    • 36 강진구(Jin-Gu, Kang),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연구>, 17 권, 7-37, 2014
    • 37 고동현, 최성수, 김호기, 김영범, "<한국사회의 계층갈등과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국민대통합위원회, 2015
    • 38 황정미, 최현, 김이선, 이동주, 이명진, "한국사회의 다민족 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연 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7-19-02), 2007
    • 39 안지현, 이희경, 유경한, "TV 광고에 나타난 전략적 다문화주의와 인종주의",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 언론정보학보>, 39호, 474-505, 2007
    • 40 김남국, "「다문화 시대의 시민: 한국 사회에 대한 시론」",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45권 4호, 97-121, 2005
    • 41 다카하라 모토아키, "<한중일 인터넷 세대가 서로 미워하는 진짜 이유>", 정호석 (역) (2007) 서울: 삼인, 2006
    • 42 임종헌, "유럽의 인종주의와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한 독사회과학논총>, 16권 1호, 55-82, 2006
    • 43 정혜실, "<한국사회의 인종주의적 혐오표현의 실태와 맥락>", 서울대학교 인권 센터 혐오표현의 실태와 대책 토론회 발표문. 서울: 서울대학교., 2016
    • 44 설동훈, "외국인 노동자, 현대판 노예인가 외국인 용병인가", <당대비평>, 18호, 53-68, 2002
    • 45 오정은, "유럽의 반이민 정서와 극우정당 지지율 관계 분석", 이주사학회, , 13권, 60-82, 2015
    • 46 홍지아, "젠더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언론의 다문화 담론",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언론과학연구>, 10 권 4호, 644-678, 2010
    • 47 주재원,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 문지>, 14권 10호, 472-485, 2014
    • 48 Curan, J., "Media and power. 김예란 정준희 (역) (2005). <미디어 파워>", 서 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 49 이원섭(Lee Won-Sup), "국내 신문의 사외칼럼과 사설 논조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언론과학연구>, 10 권 2호, 421-469, 2010
    • 50 심양섭(Shim Yangsup), "한국사회 반다문화 담론의 쟁점과 실제 그리고 대응",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정치외교사논 총>, 37권 2호, 137-170, 2016
    • 51 김선미, "‘한국적’ 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의 성찰과 제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50권 2호, 173-190, 2011
    • 52 김현선, "국민, 半국민, 非국민- 한국 국민 형성의 원리와 과정", <사회연구>, 12 호, 77-106, 2006
    • 53 한경구, 한건수, "다문화사회 개념과 한국사회 다문화 담론에 대한 성찰",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 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36, 2007
    • 54 김세은, 김수아, "다문화사회와 미디어의 재현: 외국인노동자 보도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다문화 사회연구>, 1권 1호, 39-73, 2008
    • 55 김경희, "텔레비전 뉴스 내러티브에 나타난 재한 이주민의 특성",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3권 3호, 7-46, 2009
    • 56 황경아, 이인희, "다문화 관련 미디어 보도 프레임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센터, <다문화 사회연구>, 6권 2호, 83-108, 2013
    • 57 김승환, "이주민에 대한 언론 보도가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관성연구학회, <주관성연구>, 26호, 39-55, 2013
    • 58 T. A, Van Dijk,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백선기 (역) (2004). <미디 어 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 59 이혜경, "“한국 이민정책의 수렴현상-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 42권 2호, 104-137, 2008
    • 60 양정혜,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의료분쟁 보도의 프레임 분석", <한국언론학 보>, 45권 2호, 284-315, 2001
    • 61 강진구,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 고찰: 인터넷 공간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 구>, 32권, 5-34, 2012
    • 62 손희정, "혐오의 시대: 2015,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여/성이 론>, 32권, 12-42, 2015
    • 63 이덕인, "“다문화사회와 재한 외국인에 의한 다문화범죄의 고찰”",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고>, 38집 38권, 73-106, 2012
    • 64 임양준, "한국거주 이주노동자에 대한 신문의 보도 경향과 인식연 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 연구>, 12권 4호, 419-456, 2012
    • 65 나 영, "<한국사회 혐오표현의 배경과 양상: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혐오표현의 실태와 대책 토론회. 서울: 서울대학교., 2016
    • 66 권금상, 이영주, 이동연, 이광석, "<방송영상 제작자를 위한 미디어 속 다문화: 모니 터링 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2013
    • 67 한건수,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 혐오증과 실패론-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다문 화와 인간>, 1권 1호, 113-143, 2012
    • 68 오창우, 이현주, "TV가 재현하는 다문화 현실에 대한 결혼이주여성의 재귀적 해 독",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1권 3호, 147-180, 2011
    • 69 김진희,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국제 갈등 이슈와 다문화교육의 방향 성찰", 한국다문화교육학회, <다문 화교육연구>, 7권 1호, 101-129, 2014
    • 70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최근 다문화담론의사회학",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2집 2호, 36-71, 2008
    • 71 임형백, "한국의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다문화사회의 차이와 정책 차별화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권 1호, 51-74, 2009
    • 72 Macdonell, D., "Theories of Discourse: An Introduction. 임상훈 (역) (2010). <담 론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울, 1986
    • 73 Chris, B., "The sage dictionary of cultural studies. 정영희 이경숙 (역) (2009). <문화연구사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74 황정미, "다문화시민 없는 다문화 교육 : 한국의 다문화 교육 아젠 다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역사학회, <담론201>, 13권 2호, 93-123, 2010
    • 75 마정미, "TV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다문화 사회에 대한 고찰: 공익광고를 중심으 로",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광고홍보학보>, 12권 4호, 223-258, 2010
    • 76 오경석,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오경석 외 (편),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21-56 쪽)",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7
    • 77 채영길(Young-Gil Chae), "한국 보수 언론 및 온라인 커뮤니티의 이주노동자 재현과 갈등 은유 분석",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8권 4호, 210-237, 2014
    • 78 한희정, "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 다음사이트 ‘아고라’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75호, 43-79, 2016
    • 79 Mills, C. W., "The Racial Contracts. 정범신 (역) (2006). <인종계약: 근대를 보는 또 하나의 시선>", 서울: 아침이슬, 1997
    • 80 양은경, "민족의 역이주와 위계적 민족성의 담론 구성: 조선일보의 조선족 담론 분석", <한국방송학보>, 24권 5호, 194-237, 2010
    • 81 김세은, 이승선, "사회 갈등과 미디어; 제주해군기지 건설 관련 방송 뉴스의 취재원 특성 분석",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6권 5호, 7-43, 2012
    • 82 안진, "나는 왜 백인 출연자를 선택하는가? - 어느 TV 제작자의 자기민속지 학적 연구", <미디어,젠더&문화>, 30권 3호, 83-121., 2015
    • 83 안지현, 이상길, "다문화 주의와 미디어/문화연구: 국내연구동향의 검토와 새로운 전망의 모색",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1권 5호, 58-83, 2007
    • 84 김현미, "8월). <인종주의 확산과 ‘국가없음’>. 2014 한국사회 인종차별 실태 보 고대회", 서울: 서울글로벌문화체험센터, 2014
    • 85 양정혜, "소수 민족 이주여성의 재현: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관한 뉴스보도 분석. <미디어", 젠더&문화>, 7호, 47-77, 2007
    • 86 반 현, "소수인종 프레이밍: LA 폭동 전후 ‘로스엔젤레스 타임스’의 한인 이미 지 변화", <한국언론학연구>, 44호, 91-113, 2000
    • 87 김미나, "다문화 사회의 진행 단계와 정책의 관점: 주요국과 한국의 다문화정책 비 교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47권 4호, 193-223, 2009
    • 88 Fairclough, N., "미디어 정치 담론: 분석틀.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백 선기 (역) (2004). <미디어 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 89 김비환,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 민권 문제", 한국법철학회, <법철학연구>, 10권 2호, 317-348, 2007
    • 90 육주원, "반다문화 담론의 타자 만들기를 통해 본 다문화: 반다문화 담론의 협력 적 경쟁관계",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50집 4호, 109-134, 2016
    • 91 전의령, "‘선량한 이주민, 불량한 이주민’: 한국의 주류 이주 다문화 담론과 반다 문화 담론", <경제와사회>, 106호, 238-270, 2015
    • 92 Vertovec, S., Wessendorf, S., "The Multiculturalism Backlash.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역) (2014). <흔들리는 다문화주의>", 서울: 박영사, 2010
    • 93 우남숙, "「사회진화론의 동아시아 수용에 관한 연구:역사적 경로와 이론적 원형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한국동양정치사상연구>, 10권 2호, 117-141, 2011
    • 94 김재일, 정창화, "다문화사회 진입과 미디어의 사회통합적 역할: 주요 종합일간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38권 3호, 251-271, 2012
    • 95 Martiniello, M., "Sortir Des Ghettos Culturels. 윤진 (역) (2002).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다르게, 평등하게 살기>", 서울: 한울, 1997
    • 96 남재일, 이순향, "한국 신문 다문화 보도의 담론적 성격: 3개 신문의 다문화 보도 프 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18권 2호, 125-156, 2014
    • 97 박경숙, 이재승, "지역 텔레비전의 다문화 관련 뉴스 프레임 분석: KBS제주, 제주 MBC, JIBS, KCTV JEJU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3권 1호, 326-358, 2013
    • 98 서정민, 조지영, "누가 다문화 사회를 노래하는가?-신자유주의적 통치술로써 의 한국 다문화 담론과 그 효과", <한국사회학>, 47집 5호, 101-137, 2013
    • 99 김훈순, 홍지아, "다인종 가정 재현을 통해 본 한국사회의 다문화 담론: TV다큐멘 터리 <인간극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4권 5호, 544-583, 2010
    • 100 심 훈, "KBS <인간극장>에 나타난 다문화 방영물 서사 분석: 이야기 구도와 등 장인물, 발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6권 4호, 184-209, 2012
    • 101 Weimann, G., "Communication unreality : modern media and the reconstruction of reality. 김용호 (역) (2003). <매체의 현실 구성론>", 서울: 커뮤 니케이션북스, 1999
    • 102 정연구(Yeon Goo Cheong), 심훈(Hoon Shim), 윤태일(Tae-Il Yoon), 송현주(Hyun-Joo Song), "뉴스 미디어의 결혼이주여성 보도가 수용자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다문화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韓國言論學會, <한국언론학보>, 55권 2호, 405-444, 2011
    • 103 박관영, 이인희, 이병주, "레이코프와 존슨의 은유 개념을 통한 프레임 분석: ‘사학법 개정’ 관련 갈등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9호, 385-427, 2007
    • 104 정의철, "지역방송의 다문화프로그램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연구: 방송관계자 및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8권 2호, 191-218, 2014
    • 105 서덕희, "한국 다문화 연구의 특징과 한계: 국제결혼이주여성, 그리고 그 자 녀에 관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센터, <다문화사회연구>, 3권 2호, 5-32, 2010
    • 106 심영섭, 허찬행, "다문화사회 방송의 사회 통합적 기능에 대한 연구: 법적 규범, 방송사의 행위규범과 편성행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공사 방송문화연구소, <방송문화연구>, 26권 2호, 149-176, 2014
    • 107 구승우, 정준, 전솔비, 이승준, 이기형, 박민, "대중문화 텍스트로 진단하는 ‘다문화주 의’의 현황: 영화 <완득이>를 논의의 주요한 사례와 매개(catalyst)로", <커뮤니케 이션이론>, 10권 3호, 97-160, 2014
    • 108 박권일, "공백을 들여다보는 어떤 방식: 넷우익이라는 ‘보편 증상’. 박권일 외 (편), <지금, 여기의 극우주의> (17-61쪽)", 서울: 자음과 모음, 2014
    • 109 전경옥, "다문화 사회의 학교 내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미국 캘리포니아 주 공립학교 다문화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 25권 2호, 41-76, 2010
    • 110 김수경, "이주민 문제의 정치적 탈이념화: 미디어의 이념적 성향에 따른 이주노동 자와 결혼이미자 프레임 분석(1990-2009)", <한국사회학>, 49집 1호, 77-110, 2015
    • 111 김예란, 유단비, 김지윤, "인종, 젠더, 계급의 다문화적 역학 : TV '다문화적 드라마'의 초국적 사랑 내러티브와 자본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언론과 사회>, 17권 1호, 2-41, 2009
    • 112 이창호, 정의철, "다문화사회 대중매체의 사회통합적 역할 탐구: 다문화정책 담당자 및 다문화방송 제작자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4권 5호, 370-414, 2010
    • 113 김정선, "반다문화주의의 이데올로기적인 환상에 대하여. 이주여성인권포럼 (편), <우리 모두 조금 낯선 사람들> (100-121쪽)", 서울: 오월의봄, 2013
    • 114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오경석 외 (편),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57-80쪽)",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7
    • 115 김현희, "외국인 범죄/테러리즘과 반다문화 정서의 “글로벌화”: 시화호 토막살인 사건과 파리 연쇄테러사건을 중심으로", , 30권 1호, 213-242, 2016
    • 116 박권일, "뉴라이트에서 네오라이트로? 한국의 반反이주 노동담론 분석. 이택광 박 권일 외 4인 (편), <우파의 불만> (198-231쪽)", 서울: 글항아리, 2012
    • 117 박성태, "사회 갈등적 공공이슈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연구: 정권교체기 보 수와 진보언론의 교육정책 관련 보도태도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한국공공관리학보>, 25권 3호, 97-118, 2011
    • 118 Chomsky, A., "They take our jobs!. 백미연 (역) (2008). <“그들이 우리의 일자 리를 빼앗고 있다!”-이민에 대한 미국 사회의 편견과 신화>", 서울: 전략과 문화, 2007
    • 119 김태영, 윤태진,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 속의 다문화주의: JTBC <비정상회담>의 ‘기미가요’논란을 통해 본 다문화주의 담론의 취약성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77 호, 255-288, 2016
    • 120 심 훈, "다문화 휴먼 다큐멘터리에 관한 비판적 담론 분석: KBS<인간극장>에 등 장하는 결혼 이주민의 언술행위 중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7권 4 호, 131-167, 2013
    • 121 김수미, "대상화와 문제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 뉴스 보도 연구. 한국방송 학회 (편). <한국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정치> (144-185쪽)",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