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경북방언의 종결어미 연구 : 『한국구비문학대계』(경북 편)을 대상으로

    • 저자

      조현준

    • 발행사항

      경산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8. 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

    • 주제어

    • KDC

      710.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Sentence Final-Endings of the Gyeong-Buk Dialect

    • 형태사항

      253 P.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은규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47023-200000112955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So far, the sentence final-endings of the Gyeong-buk dialect in the 1980s on the dialect oral materials to Hanguk Gubi Munhak Daegye(Part of Gyeong-Buk) are divided into dialectal form and standard form and examined as list systems, regional distributions and use aspects, and syntactic characteristic.
    Dialect studies are now expanding from a direct survey and questionnaire method to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dialect material construction with utilizing it. It has not only more materializing all of the Korean dialects but also advantages in dialect studies in terms of efficiency and it can also show a more materialized and practical dialect phenomenon.
    Hanguk Gubi Munhak Daegye is the largest dialect oral material but there has not been many Korean linguistic studies. The reason is electronic problem by morpho phoneme spelling and laymen’s arbitrary transcription. However, it is confirmed to be a precious subject of studing dialect because phonoligical study is possible in terms of providing oral materials and it shows a number of practical dialect phenomenon in vocabulary, grammar and test.
    As a basic discussion for an analysis of the Sentence Final-Endings of the Gyeong-buk Dualect, It presents the system by examining the grammatical function of the Sentence Final-Endings of the Gyeong-buk Dualect with the earlier study about the sentence final mood and the relative honorific system. As an issue, problems whitch are about the setting of a exclamatory sentence, formal and informal styles, Haiso and Haso style, and a honorific level of Hage style. As a result, the sentence final mood sets predic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suggestive mood and formal style sets Haso, Hage, Haera with Haeyo, Haeye, Haeyeo, and Hae style whitch is informal.
    In summary of the analysis based on creating the sentence final-ending list of Daegye and organizing the contents until now as in the following
    First, as a newly discovered Sentence Final-Endongs, there are ‘-lkkinde’ of Hae style predicative mood and ‘-nideoyo’, ‘-pnideoyo’ of Haeyo style predicative mood in informal style. ‘-lkkinde’ is the form of ‘ stem of the verb + - l geot + nde’ through grammaticalization. ‘nideoyo’ and ‘-pnideoyo’ show the fact that there also is ‘Haso style + Haeyo style’, not ‘Hae style + Haeyo style’. There is also a case that an existing form uses other sentence final-mood, it is confirmed that ‘dei’ of Haera style interrogative mood with interrogative is used for explanatory interrogative sentence.
    Second, the sentence final-ending list are divided into dialectal form and standard form and each forms shows that there are many forms of interrogative and predicative final-ending in formal, while imperative and suggestive don’t; it appears in Haeyo style > Haeye > Hae style > Haryeo style order in informal style.
    Third, One of the features of the Sentence Final-Endings of the Gyeong-buk Dialect in the 1980s is that it gets different use in area distribution due to the sentence final mood. In case of high dialectal form there are about Haso style, Hage style, Haera style interrogative mood and Haiso style, Haso style imperative mood.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dialect is maintained in a interrogative and a imperative mood, it appears that other sentence final moods are greatly influenced by standard form. In case of Hage style, only standard form is showed, while dialectal form isn’t.
    Fourth, as relative honorific, it shows the properties in the use. Especially in case of Haso style it relatively shows less than Haiso in frequency of use and form. These points also is that a relative honorific system of Gyeong-buk Dialect shows a transitional character of Haiso and Haso style at that time.
    Fifth, the Sentence Final-Endings show oppositively according to the inferior dialect area of Gyeong-buk dialect. Like ‘-pnideo : -nideo’. ‘-nikkeo : -nikkyeo’, depending on a semivowel, it has tended to classify Gyeong-buk West dialect area(Sangju, Kumi) and Gyeong-buk Middle East East dialect area(Gyeongju, Yeongdeok, Andong). And Gyeong-buk Middle and West dialect area(Daegu, Seongju) whitch are the agglutination spot of the two areas show their mix-used distinctly.
    Sixth, there are some sentence final-endings which seem to a peculiar combination way in a syntactic form. ‘-nideo/pnideo’, ‘-nidei/pnidei’ of Haiso style on a predicative mood is opposed regionally, but it is possible to have one’s will combination while appearing to equal a stem of the verb and prefinal ending. ‘Iso’, ‘-siso’ of Haiso style imperative mood dose not appear to opposition reginally, but combination way appears to one’s will. And ‘-ga/go’. ‘-nna’ of Haera imperative mood combining a specific vocabulary is used to combine with each ‘do-’, ‘o-’ only. Also there is a case of a change in a morpheme while combining with ‘geot’ of a dependent noun and ‘i’ of a copula, which appears that ‘-lse’ of Hage style predicative mood is ‘geot + i- + -lse’ > ‘gess + -lse’ > ‘-gessse’ and ‘nga’ of Hage style interrogative mood is ‘geot + i- +-nga’ > ‘geot + -nga’ > ‘geotga’.
    Daegye is selected and put on record in the 1980s, the sentence final-endings of the Gyeong-buk dialect phenomenon at the time was well shown. Especially, compared with dialectal form and standard form, this fact largely affected the influence of a standard language can be confirmed. There is a high gap in language change in the 2010s and 1980s because today dialect also is changing. Therefore, through the comparison of today Gyeong-buk dialect on the basis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trend of the sentence final-endings phenomenon leaves the ongoing research theme.

    더보기
    • 목 차
    • Ⅰ.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검토 4
    • 1.3. 연구 대상 16
    • 1.4. 연구 내용 및 방법 27
    • Ⅱ. 경북방언 종결어미의 문법적 성격 30
    • 2.1. 문장 종결법의 설정 31
    • 2.2.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구분 39
    • 2.3. 상대 높임법의 체계 설정 47
    • Ⅲ. 『대계』의 경북방언 종결어미 분석 60
    • 3.1. 격식체 62
    • 3.1.1. 서술법 종결어미의 종류와 지역 분포 및 사용 양상과
    • 통사・의미적 특성 63
    • 3.1.1.1. 하이소체 63
    • 3.1.1.2. 하소체 81
    • 3.1.1.3. 하게체 87
    • 3.1.1.4. 해라체 95
    • 3.1.2. 의문법 종결어미의 종류와 지역 분포 및 사용 양상과
    • 통사・의미적 특성 105
    • 3.1.2.1. 하이소체 105
    • 3.1.2.2. 하소체 115
    • 3.1.2.3. 하게체 120
    • 3.1.2.4. 해라체 127
    • 3.1.3. 명령법 종결어미의 종류와 지역 분포 및 사용 양상과
    • 통사・의미적 특성 136
    • 3.1.3.1. 하이소체 136
    • 3.1.3.2. 하소체 144
    • 3.1.3.3. 하게체 146
    • 3.1.3.4. 해라체 150
    • 3.1.4. 청유법 종결어미의 종류와 지역 분포 및 사용 양상과
    • 통사・의미적 특성 158
    • 3.1.4.1. 하이소체 158
    • 3.1.4.2. 하소체 163
    • 3.1.4.3. 하게체 171
    • 3.1.4.4. 해라체 174
    • 3.2. 비격식체 179
    • 3.2.1. 서술법 종결어미의 종류와 지역 분포 및 사용 양상과
    • 통사・의미적 특성 179
    • 3.2.1.1. 해체 179
    • 3.2.1.2. 해요체/해예체/해여체 189
    • 3.2.2. 의문법 종결어미의 종류와 지역 분포 및 사용 양상과
    • 통사・의미적 특성 195
    • 3.2.2.1. 해체 195
    • 3.2.2.2. 해요체/해예체/해여체 200
    • 3.2.3. 명령법 종결어미의 종류와 지역 분포 및 사용 양상과
    • 통사・의미적 특성 205
    • 3.2.3.1. 해체 205
    • 3.2.3.2. 해요체/해예체/해여체 206
    • 3.2.4. 청유법 종결어미의 종류와 지역 분포 및 사용 양상과
    • 통사・의미적 특성 210
    • 3.2.4.1. 해체 210
    • 3.2.4.2. 해요체/해예체/해여체 210
    • Ⅳ. 결론 213
    • 참고 문헌 217
    • 부록 238
    • 표 목차
    • <표 1> 경북 대방언권의 종결어미 체계 설정 양상 9
    • <표 2> 경북 하위 지역어의 종결어미 체계 설정 양상 11
    • <표 3> 경북방언의 문장 종결법 분류 32
    • <표 4> 감탄법 종결어미 목록 34
    • <표 5> 감탄법 종결어미와 다른 문장 종결법의 중첩 비교 35
    • <표 6> 경북방언의 문장 종결법 체계 38
    • <표 7>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비교 39
    • <표 8> 경북방언의 격식체/비격식체 체계 46
    • <표 9> 경북방언 상대 높임법 분류 48
    • <표 10> 경북방언 상대 높임법의 체계 53
    • <표 11> 경북방언과 표준어의 상대 높임법의 비교 55
    • <표 12> 경북방언의 상대 높임법 체계 59
    • <표 13> 하이소체 서술법 종결어미 67
    • <표 14> 하이소체 서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69
    • <표 15> 하소체 서술법 종결어미 82
    • <표 16> 하소체 서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84
    • <표 17> 하게체 서술법 종결어미 88
    • <표 18> 하게체 서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90
    • <표 19> 해라체 서술법 종결어미 97
    • <표 20> 해라체 서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99
    • <표 21> 하이소체 의문법 종결어미 107
    • <표 22> 하이소체 의문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09
    • <표 23> 하소체 의문법 종결어미 116
    • <표 24> 하소체 의문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17
    • <표 25> 하게체 의문법 종결어미 121
    • <표 26> 하게체 의문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23
    • <표 27> 해라체 의문법 종결어미 128
    • <표 28> 해라체 의문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29
    • <표 29> 하이소체 명령법 종결어미 137
    • <표 30> 하이소체 명령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38
    • <표 31> 하소체 명령법 종결어미 144
    • <표 32> 하소체 명령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45
    • <표 33> 하게체 명령법 종결어미 147
    • <표 34> 하게체 명령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48
    • <표 35> 해라체 명령법 종결어미 152
    • <표 36> 해라체 명령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52
    • <표 37> 하이소체 청유법 종결어미 159
    • <표 38> 하이소체 청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60
    • <표 39> 하소체 청유법 종결어미 164
    • <표 40> 하소체 청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65
    • <표 41> 하게체 청유법 종결어미 171
    • <표 42> 하게체 청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73
    • <표 43> 해라체 청유법 종결어미 175
    • <표 44> 해라체 청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77
    • <표 45> 해체 서술법 종결어미 181
    • <표 46> 해체 서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83
    • <표 47> 해요체/해예체/해여체 서술법 종결어미 191
    • <표 48> 해요체/해예체/해여체 서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91
    • <표 49> 해체 의문법 종결어미 196
    • <표 50> 해체 의문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196
    • <표 51> 해요체/해예체/해여체 의문법 종결어미 201
    • <표 52> 해요체/해예체/해여체 의문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202
    • <표 53> 해요체/해예체/해여체 명령법 종결어미 207
    • <표 54> 해요체/해예체/해여체 명령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207
    • <표 55> 해요체/해예체/해여체 청유법 종결어미 211
    • <표 56> 해요체/해예체/해여체 청유법 종결어미의 지역 분포와 사용 양상 211
    • <표 57> 󰡔대계󰡕(경북 편)의 종결어미 체계 215
    • 그림 목차
    • [그림 1] 화자-청자 간의 격식체/비격식체 구조 44
    • [그림 2] 하이소체 서술법의 결합 구조 77
    • [그림 3] 하이소체 명령법의 결합 구조 143
    • 부록 목차
    • [부록 1] 『대계』(경북 편)의 조사 지역 및 제보자 수 238
    • [부록 2] 『대계』(경북 편)의 연령대별 제보자 수 238
    • [부록 3] 서술법 종결어미의 목록 체계 설정 양상 239
    • [부록 4] 의문법 종결어미의 목록 체계 설정 양상 243
    • [부록 5] 명령법 종결어미의 목록 체계 설정 양상 247
    • [부록 6] 청유법 종결어미의 목록 체계 설정 양상 251
    더보기
    • 1 홍윤표, "null",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2002
    • 2 홍종선, "null", 현대 한국어 구어의 형성과 변천-2 한국문화사, 2016
    • 3 이익섭, "방언학", 민음사, 민음사, 1984
    • 4 김공칠, "방언학", 정향출판사, 정향출판사, 1977
    • 5 김병제, "방언사전", 과학, 백과사전, 과학백과사전 종합출판사(평양), 1980
    • 6 코흐, 쿠르트, "“방언.”", 기독교문서선교회,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667-675, 1990
    • 7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태학사, 2003
    • 8 이기문, "문학과 방언", 역락, 역락, 2001
    • 9 김계곤, "우리 옛 말본", 외솔회, 샘문화사, 1975
    • 10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정음사, 1961
    • 11 이상규, "경북방언사전", 태학사, 1999
    • 12 김성렬, "국어방언연구", 국학자료원, 국학자료원, 2001
    • 13 김형규, "한국방언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 출판부, 1974
    • 14 이상규, "「동남 방언」", 국립국어연구원, 새국어생활 8-4,국립국어연구원,111-132, 1998
    • 15 박경래, "「중부 방언」", 국립국어연구원, 문법연구와 자료 ,태학사,819-876, 1998
    • 16 김태엽, "경북말의 문법", 사람, 도서출판 사람, 1999
    • 17 김덕호, 이상규, "한국어 방언학", 학연사, 1999
    • 18 김동소, "한국어 특질론", 정림사, 정림사, 2005
    • 19 김방한, "「구조방언학」",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어학연구 4-1,서울대 언어교육원,1-23, 1968
    • 20 곽충구, "「비교방언론」",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1,73-101, 2005
    • 21 이숭녕, "「한국방언사」", 한국문화사대계 5,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323-411, 1967
    • 22 전광현, "국어사와 방언 2", 월인, 2003
    • 23 리윤구, 안운, 심희섭, "조선어방언사전", 연변인민출판사, 1992
    • 24 황대화, "조선어방언연구", 료녕민족출판사, 遼寧民族出版社(瀋陽), 1999
    • 25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 탑출판사, 1993
    • 26 강정희, "「방언 문법론」", 방언학의 자료와 이론 ,국어국문학회,79-103, 1990
    • 27 안귀남, "경북방언의 연구", 민속원, 민속원, 2007
    • 28 강등학, "구비문학의 이해", 도서출판 월인, 2008
    • 29 小倉進平, "조선어 방언사전",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9
    • 30 최학근, "국어 방언학 서설", 정연사, 정연사, 1959
    • 31 소창진평, "한국어 방언 연구", 전남대학교출판부,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9
    • 32 이기갑, "《국어방언문법》", 태학사, 태학사, 2003
    • 33 최학근, "『한국방언사전』", 현문사, 현문사, 1978
    • 34 최명옥, 김주석, "경주 속담,말 사전", 한국문화사, 2001
    • 35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문화사, 1984
    • 36 권재일,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박이정, 1998
    • 37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민음사, 1992
    • 38 김동소, "『한국어의 역사』", 정림사, 2007
    • 39 김영광, "개정 조선어방언학", 태학사, 태학사, 2013
    • 40 이상규, "경북방언 문법연구", 박이정, 박이정, 1999
    • 41 구현옥, "국어방언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0
    • 42 이상규, "「상화 시와 방언」", 울산대학교, 울산어문논집 15 울산대,45-64, 2001
    • 43 한영목, "『충남 방언 문법』", 집문당, 집문당, 2008
    • 44 성낙수, "개정 우리말 방언학", 한국문화사, 2000
    • 45 이태영, "전라북도 방언 연구", 역락, 역락, 2011
    • 46 김병제, "조선어 방언학 개요", 사회과학원 출판사(평양), 1965
    • 47 김영태, "「창원지역어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문학전공, 중앙대 박사학위 논문, 1983
    • 48 김동소, "『중세한국어개설』",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3
    • 49 곽충구, "ㄴ),「방언 연구사」",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423-480, 2002
    • 50 곽충구, 박진혁, "문학 속의 북한 방언", 글누림, 글누림, 2010
    • 51 이태영, "문학 속의 전라 방언", 글누림, 글누림, 2010
    • 52 박경래, "문학 속의 충청 방언", 글누림, 글누림, 2010
    • 53 김영배, "방언 접촉의 한 고찰", 국어학회, 국어학 4,국어학회,83-91, 1975
    • 54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06
    • 55 박창원, "「고령지방의 언어」", 고령문화원, 고령문화 6,고령문화원,29-36, 1991
    • 56 정철주, 최임식, "「성주지역어 연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24,계명대 한국학연 구소,117-194, 1997
    • 57 고영근, "『국어형태론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 출판부, 1989
    • 58 안귀남, "경북방언의 어휘연구", 문예원, 2015
    • 59 徐泰龍, "정동사어미의 형태론", 진단학회, 진단학보 60,진단학회,159-192, 1985
    • 60 최동주, "「울릉도 말의 어미」", 언어의 역사 ,태학사,241-278, 1999
    • 61 서정목, "『국어 의문문 연구』", 탑출판사, 1987
    • 62 황대화, "『동해안 방언 연구』", 김일성 종합대학 출판사(평양), 1986
    • 63 김태엽, "경북말의 높임법 연구", 태학사, 태학사, 1996
    • 64 남기심, "국어 연결어미의 쓰임", 서광학술자료사, 1994
    • 65 정승철,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태학사, 태학사, 2013
    • 66 최명옥, "“국어의 방언 구획.”", 국립국어연구원, 새국어생활 8-4 국립국어연구원,5-29, 1998
    • 67 강정희, "「지역 방언론 :문법」",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1,한국방언학회,193-211, 2005
    • 68 최명옥, "경북 동해안 방언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80
    • 69 백두현, 이상규, "내일을 위한 방언 연구", 경북대학교출판부, 경북대 출판부, 1996
    • 70 이상규, "위반의 주술,시와 방언", 경북대학교출판부, 경북대 출판부, 2005
    • 71 이상규, "「경북방언의 경어법」", 국립국어연구원, 새국어생활 1-3,국립국어연구원,59-72, 1991
    • 72 최명옥, "「국어방어학의 체계」", 방언학 1,한국방언학회,35-72, 2005
    • 73 이상규, "「방언자료 처리방법」", 문학과언어연구회, 문학과 언어 7,문학과 언어연구회, 193-232, 1986
    • 74 강신항, "「안동방언의 경어법」", 난정 남광우 박사 화갑 기념 논총 ,일 조각,235-253, 1980
    • 75 김덕호, "경북방언의 지리언어학", 월인, 월인, 2001
    • 76 곽충구, 이병근, "편, 방언 (국어학강좌 6)", 태학사, 1998
    • 77 권재일, "20세기 초기 국어의 문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출판부, 2005
    • 78 최동주, "「동해안 방언의 문법」",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연구총서 ,28,영남대 민족 문화연구소,63-115, 2003
    • 79 강영봉, 박경래, 이상규, 곽충구, "「문학작품 속의 방언」", 방언학 5, 237-266, 2006
    • 80 이병근, "「방언 경계에 대하여」", 한국문화인류학 2-1,한국문화인류 학회,47-56, 1969
    • 81 최명옥, "「친족 명칭과 경어법」", 방언 6,한국정신문화연구원,1-26, 1982
    • 82 남기심,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83 리동빈,, "조선어방언학(류학생용)", 역락, 역락, 2004
    • 84 강영봉, "≪문학 속의 제주 방언≫", 글누림, 글누림, 2010
    • 85 김병제, "《조선언어지리학시고》",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과학백과사전 종합출판사(평양), 1988
    • 86 박경래, "구술 발화의 조사와 정리",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6,한국방언학회,73-116, 2007
    • 87 최명옥, "한국어 방언 연구의 실제", 태학사, 태학사, 1998
    • 88 천시권, "“경북지방의 방언구획”",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13,한국어문학회,1-12, 1965
    • 89 이기백, "「경상북도의 방언구획」",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동서문화 3,계명대 인문과학연구, 183-217, 1969
    • 90 이기갑, "「구술발화와 담화분석」",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6,한국방언학회,49-71, 2007
    • 91 최명옥, "「국어학의 이해 6-방언」", 새국어생활 8-3 국립국어연 구원,193-202, 1998
    • 92 김태엽, "「포항지역어의 서술법」",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6,우리말글학회,19-42, 1988
    • 93 이기갑, "「국어 방언의 확인물음」", 한국언어학회(언어학), 언어학 62,한국언어학회,193-216, 2012
    • 94 전재호, "「대구방언연구-자료편2」", 어문학 14,한국어문학회,223-255, 1966
    • 95 전재호, "「대구방언연구-자료편3」", 어문학 15,한국어문학회,80-107, 1966
    • 96 전재호, "「대구방언연구-자료편4」", 어문학 16,한국어문학회,157-180, 1967
    • 97 이익섭, "「방언에서의 의미 분화」", 방언 3,한국정신문화연구원,1-26, 1980
    • 98 이익섭, "「방언자료의 수집 방법」", 방언 1,한국정신문화연구원,88-117, 1979
    • 99 김흥수, "「소설의 방언에 대하여」", 문학과 방언 역락,287-310, 2001
    • 100 김영신, "「경남 방언의 말밑 연구」", 한글학회, 한글 180,한글학회,95-129, 1983
    • 101 이기갑, "「방언 분화와 방언 구획」",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1,한국방언학회,103-124, 2005
    • 102 김정대, "「지역방언론 :어휘,의미」", 방언학 1,한국방언학회,215-268, 2005
    • 103 성기철, "『현대 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985
    • 104 홍종선(Hong Jong seon), "한국어 구어의 감탄문 표현",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101,한국언어 문학회,37-59, 2017
    • 105 최명옥, "「경상북도의 방언지리학」", 진단학회, 진단학보 73 진단학회, 139-163, 1992
    • 106 이태영, "「문학 작품과 방언 연구」,",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25 한국어학회, 89-120, 2004
    • 107 박창원, "「방언 연구의 의의(재론)」",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6,한국방언학회,117-137, 2007
    • 108 임지룡, "「안동방언의 청자대우법」", 청암 김영태 박사 화갑기념 논문 집 ,태학사,461-484, 1998
    • 109 곽충구, "ㄱ),「방언 연구와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55-88, 2002
    • 110 위평량, "「≪토지≫의 방언적 성격」",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49,한국언어문학 회,625-646, 2002
    • 111 최명옥, "「경상도의 방언구획 시론」",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861-892, 1994
    • 112 서태룡, "「국어의 명령형에 대하여」", 국어학회, 국어학 14,국어학회,437-461, 1985
    • 113 이기문, "「소월시의 언어에 대하여」", 문학과 방언 ,53-80, 2001
    • 114 안귀남, "「안동방언의 부정법 연구」", 안동어문학 2-3,안동어문학회, 83-115, 2000
    • 115 백두현, "「영남방언의 통시적 변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논총 20,영남대 민족문 화연구소,23-79, 1999
    • 116 신창순, "「경북 안동 지방의 존대어」", 안암어문학회, 어문논집 1,안암어문학회, 51-62, 1963
    • 117 김승호, "「경북 영덕 방언의 연구Ⅱ」", 한국어문교육학회, 어문학교육 2,한국어문교육학 회,31-44, 1980
    • 118 이익섭, "「국어 경어법 체계화 문제」", 국어학 2,국어학회,39-64, 1974
    • 119 곽충구, "「국어사 연구와 국어 방언」", 이기문 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신구문화사,45-71, 1996
    • 120 이병근, "「방언 연구의 흐름과 반성」", 방언 1,한국정신문화연구원, 12-31, 1979
    • 121 최명옥, "「방언 조사와 연구의 의의」", 새국어생활 13-4,국립국어연 구원,5-21, 2003
    • 122 장충덕, "「어휘 연구와 방언의 역할」",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16,75-98, 2012
    • 123 이상민, "「울산 방언의 물음법 연구」", 청람어문학회, 청람어문학 5,청람어문학회, 60-91, 1991
    • 124 이은규, "「향약명 어휘의 변천 연구」",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연구 ,제 45집,국어교 육학회, 2009
    • 125 이승재, "방언 연구-자료에서 이론으로", 태학사, 태학사, 2004
    • 126 정승철, "한국 방언자료집 편찬의 역사",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20,한국방언학회, 7-35, 2014
    • 127 이은규, "「 구급신방 의 표기와 음운」",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제 20호,언어 과학회, 1999
    • 128 서정욱, "「대구 방언 서법 체계 연구」", 계명대학교, 계명대 석사학위 논문, 1981
    • 129 강정희, "「방연연구 방법론 개관(Ⅰ)」", 이화어문논문집 ,이화어문학회, 157-169, 1989
    • 130 김태엽, "「의문형어미 {ㄴ교}의 형성」", 백민 전재호 박사 회갑기념 국 어학논총 ,형설출판사,291-304, 1985
    • 131 김무식, "경북 고령 지역의 언어와 생활", 태학사, 태학사, 2011
    • 132 이상규, "경북 상주 지역의 언어와 생활", 태학사, 태학사, 2007
    • 133 김무식, "경북 청송 지역의 언어와 생활", 태학사, 태학사, 2009
    • 134 최명옥, "구술 발화 자료와 개별 방언론",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6,한국방언학회,7-47, 2007
    • 135 황대화, "《조선어 동서방언 비교연구》",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1998
    • 136 권재일, "「경북방언의 인용구문 연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논총 36,서울대 인문학연 구소,151-166, 1996
    • 137 천시권, "「경북방언의 형태론적 고찰」", 청계 김사엽박사 송수 기념 논 총 ,147-168, 1973
    • 138 문순덕, "「방언문법론의 현황과 과제」", 국어학회, 국어학 54,국어학회,455-485, 2009
    • 139 최명옥, "「어미의 재구조화에 대하여」",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김완진 선생 회갑기념논총),민음사,238-251, 1990
    • 140 최명옥, 김주석, "경주지역어 텍스트 1(경상북도)", 역락, 2007
    • 141 윤평현, "「≪혼불≫의 어휘 특성 고찰」", ≪혼불≫의 언어 세계 ,전북 대 출판부,237-292, 2004
    • 142 이문규, "「대구방언의 성조 중화 현상」", 문학과언어연구회, 문학과 언어 18,문학과언어 연구회,21-44, 1997
    • 143 김영선, "「방언 자료의 언어학적 가치」", 우리말학회, 우리말연구 29,우리말학회, 185-207, 2011
    • 144 배정숙, "「성주 방언의 활용어미 연구」", 단국대학교, 단국대 교육대학원 논문, 1989
    • 145 소신애, "대방언권 자료집의 체재와 성과",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20,한국방언학 회,37-72, 2014
    • 146 김병선, "「국어 문헌 자료의 처리 방법」", 국어연구소, 국어생활 16,국어연구소, 109-125, 1989
    • 147 이문규, "「동해안 세 방언의 성조 연구」", 문학과 언어학회, 문학과 언어 20,문학과언어 연구회,51-74, 1998
    • 148 이상규, "「육사 시에 나타난 안동방언」,",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72 한국어문학회, 47-74, 2001
    • 149 이정복, "국어 경어법 사용의 전략적 특성", 태학사, 태학사, 2001
    • 150 이종희, "국어 종결어미의 의미 체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2004
    • 151 윤석민,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당, 집문당, 2000
    • 152 서정목, "「경남방언의 의문법에 대하여」", 국어의 통사,의미론 ,352-371, 1983
    • 153 안귀남, "「경북방언의 간접인용문 연구」",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42,언어과학 회,45-80, 2007
    • 154 신기상, "「동부경남의 존대소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84,국어국문학 회,212-215, 1980
    • 155 장희승, "「문경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대구대 석사학위 논문, 2000
    • 156 안귀남, "「방언에서의 청자존대법 연구」", 국어학회, 국어학 47,국어학회,449-507, 2006
    • 157 이동화, "「성주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12,한민족어 문학회,173-185, 1985
    • 158 강신항, "「안동방언의 서술법과 의문법」",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3,언어학회,9-27, 1978
    • 159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 자료(Ⅰ)」", 한민족어문학회, 영남어문학 20,영남어문학 회,233-296, 1991
    • 160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 자료(Ⅱ)」", 한민족어문학회, 영남어문학 22,영남어문학 회,115-177, 1992
    • 161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 자료(Ⅲ)」", 영남어문학 28,영남어문학 회,71-134, 1996
    • 162 김태엽, "「포항방언의 의문형어미 연구」", 대구대 석사학위 논문, 1982
    • 163 이혁화, "「경북 서부방언의 상대경어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 30-4 한국 학중앙연구원,251-278, 2007
    • 164 이상규, "「경북방언 연구의 성과와 전망」", 남북한의 방언 연구-그 현 황과 과제 ,경운출판사,193-250, 1992
    • 165 구본관, "「경주방언 피동형에 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1990
    • 166 이태영, "「방언 말뭉치의 전산화와 활용」",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21,한국어학회, 65-104, 2003
    • 167 신창순, "「안동 방언의 서상법 종결어미」", 안동문화 2,안동학회, 53-69, 1972
    • 168 김정균, "「안동 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안동대학교, 안동대 석사학위 논문, 1998
    • 169 안귀남, "「안동방언 연구의 성과와 방향」", 안동어문학 6,안동어문학 회,1-40, 2002
    • 170 강신항, "「안동방언의 명령법,약속법 등」", 성균관대 논문집 26,성균 관대,31-52, 1979
    • 171 김태엽, "「영일 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계명대 박사학위 논문, 1992
    • 172 윤석민, "「현대 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996
    • 173 고영근, "「현대국어 문체법에 대한 연구」", 어학연구 12-1,서울대 어 학연구소,17-53, 1976
    • 174 임정민, "「경남 민요에 나타난 경남 방언」", 창원대 석사학위 논문, 2008
    • 175 김정대, "「경상도 방언 ‘-이라’의 문법」",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서강인문논총 22,서강대 인 문과학연구소,121-156, 2007
    • 176 정희선, "「동남 방언의 상대 대우법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경상대 석사학위 논문, 2013
    • 177 김태엽, "「방언 문법 연구의 성과와 전망」", 慶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인문과학 10,경북대 인문 과학연구소,165-188, 1994
    • 178 여찬영, "「종합적 문법 체계의 변모 양상」", 효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실, 國文學硏究 ,제 14호,효 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실, 1991
    • 179 장덕순, "「한국구비문학대계의 활용방안」", 국어국문학 86,국어국문학 회,296, 1981
    • 180 김태엽, "「경북말의 서술어미와 의문어미」",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24,우리말글학 회,1-22, 2002
    • 181 천시권, "「경북방언의 의문첨사에 대하여」",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연구 7,국어교육 학회,21-35, 1975
    • 182 김덕호, "「경북방언의 지리언어학적 연구」", 경북대 박사학위 논문, 1997
    • 183 최명옥, "「경상남북도간의 방언분화 연구」", 애산학회, 애산학보 13 애산학회, 53-103, 1992
    • 184 임 환,, "「방언연구;경주방언을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학위 논문, 1966
    • 185 백두현, "「영남문헌어의 통시적 음운연구」", 경북대학교, 경북대 박사학위 논문, 1989
    • 186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경상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 187 전인득, "「경북 상주방언의 활용어미 연구」", 영남대 석사학위 논문, 1979
    • 188 배대온, "「경북 안동지역어의 경어법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6,한민족 어문학회,23-46, 1979
    • 189 박지홍, "「경상도 방언의 하위방언권 설정」", 부산대학교, 인문논총 24,부산대, 27-50, 1983
    • 190 이기갑, "「국어 입말 담화의 의문제기형식」", 담화·인지 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9-2,담화, 인지언어학회,121-145, 2002
    • 191 홍윤표, "「방언사 관계 문헌자료에 대하여」", 남북한의 방언연구 ,경운 출판사,405-424, 1991
    • 192 김성주, "「18세기 예천지역어의 청자대우법」", 어문연구 91,한국어문 교육연구회,35-50, 1996
    • 193 김인득, "「경북 상주 방언의 활용어미 연구」", 영남대학교, 영남대 석사학위 논문, 1980
    • 194 이정복, "「국어 경어법 사용의 전략적 특성」",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998
    • 195 이태영, "「국어 동사의 문법화에 관한 연구」", 전북대 박사학위 논문, 1988
    • 196 김태엽, "「방언 문법의 조사 방법」, 방언학 3", 한국방언학회, 51-74, 2006
    • 197 이상규, "「상화 시에 나타난 방언과 텍스트」", 부산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수련어문학회, 수련어문논집 25,수련 어문학회,21-36, 1999
    • 198 이태영, "「정보화 시대의 국어학 연구 방법」", 국어문학회, 국어문학 34,국어문학 회,67-102, 1999
    • 199 조현준, "경북방언 의문형 종결어미 사용 양상",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30,한국 국학진흥원, 2016
    • 200 임지룡(Lim Ji-ryong), "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새로운 이해",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69, 한민족어문학회,359-398, 2015
    • 201 조현준, "「경북방언의 접속 조사 사용 양상」,", 한국말글학회, 한국말글학 27 한국 말글학회, 2010
    • 202 이정복, "「국어 경어법의 말 단계 변동 현상」", 한국사회언어학회, 사회언어학 4-1,한국 사회언어학회,51-81, 1996
    • 203 최명옥, "「동남방언과 동북방언의 대조연구」",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 태학사,585-630, 1997
    • 204 강정희, "「소설 속에서 만난 낯선 제주 방언」", 문학과 방언 ,385-407, 2001
    • 205 노재환, "「‘혼불’에 반영된 전라방언 연구」", 전북대 석사학위 논문, 2000
    • 206 이상규, "「경북방언의 현지조사 과정과 반성」", 방언 7,한국정신문화 연구원,105-128, 1984
    • 207 최학근, "「경상도 방언에 사용되는 종결어미」", 국어국문학 27,국어국 문학회,253-285, 1964
    • 208 김태엽, "「백신애 소설에 나타나는 경북방언」",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44,우리말글 학회,1-21, 2008
    • 209 전상준, "「예천 풍양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영남대 석사학위 논문, 1999
    • 210 김태엽, "「이상화 시어에 나타나는 경북방언」",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41,우리말글 학회,93-112, 2007
    • 211 김현주, "「일상경험담과 민담의 구술성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연구 4,한국 구비문학회,113-142, 1997
    • 212 김태엽,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경북방언(1)」",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31,우리말 글학회,79-98, 2004
    • 213 김영태, "「경남 방언 종결어미의 경어법 고찰」", 경남방언과 지명연구 , 경남대 출판부,119-143, 1998
    • 214 김영태, "「경북 군위 지역어의 보조용언 연구」", 대구대 박사학위 논문, 1996
    • 215 민원식, "「경북 북부 방언의 격어미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어문연구 15,충남대 어문연구회,43-57, 1986
    • 216 박신명, 이혁화, "「경상방언 어미 ‘-구로’에 대하여」", 어문학 122,한국 어문학회,69-93, 2013
    • 217 이현희, "「국어 종결어미의 발달에 대한 관견」", 국어학회, 국어학 11,국어학회, 143-163, 1982
    • 218 조욱현, "「문경 방언 동사류의 형태론적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 논문, 1993
    • 219 김충회, "「방언 자료의 전산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어전산학회, 한국어전산학 1, 한국어전산학회,85-148, 1991
    • 220 정용구, "「안동 방언의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서강대 석사학위 논문, 1994
    • 221 박숙희, "「피,사동사 형성의 공시성과 통시성」", 한글 227,한글학회,101-132, 2007
    • 222 정진원, "『중세 국어의 텍스트 언어학적 접근』",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1999
    • 223 정 철, "“동남 지역어의 하위 방언 구획 연구”", 경북어문학회, 어문논총 31 경북언 어학회,145-250, 1997
    • 224 이은규, "「 백병구급신방 의 표기와 음운 고찰」",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제 27 호,언어과학회, 2003
    • 225 박신명, "「경북 청송 지역어의 언어 분화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영남대 석사학위 논문, 2014
    • 226 허재영,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80,한 국언어문학회,5-28, 2012
    • 227 소강춘, "「방언 자료의 전산 처리에 관한 연구」", 방언학 4,한국방언 학회,119-143, 2006
    • 228 김태엽, "「영남 방언의 형태적 특성과 그 발달」",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17,우리말 글학회,1-62, 1999
    • 229 최학근, "「경상도 방언에 사용되는 종결어미(2)」", 국어국문학 28,국 어국문학회,203-228, 1965
    • 230 이혁화, "「경상방언의 조사 ‘카마’에 대하여」", 어문학 130,63-84, 2015
    • 231 남명옥, "「함경북도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 박사학위 논문, 2012
    • 232 한성우, "방언정담:사람이 담긴 말,세상이 담긴 말", 어크로스, 어크로스, 2013
    • 233 조현준, "「경북 민요의 의성어 의태어에 대하여」", 한국말글학 29,한 국말글학회, 2012
    • 234 조현준, "「대구 민요의 의성어 의태어에 대하여」", 한국말글학 28,한 국말글학회, 2011
    • 235 高永根, "현대국어의 어말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응용언어학 7-1,서울대 어학연구소,73-99, 1975
    • 236 高永根, "현대국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어학연구 10-1,서울대 어학연구소,118-157, 1974
    • 237 이혁화, "「경북 서부방언의 종결어미 “-어여”」,",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37 한국 어학회,335-360, 2007
    • 238 백두현,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 어휘 연구」", 국어학회, 국어학 32,국어학 회,217-245, 1998
    • 239 왕일화, "「한,중 구비문학 조사방법의 비교 연구」", 건국대 석사학위 논문, 2015
    • 240 이상규, "「‘-거라’명령법어미의 기능과 방언차」", 소당 천시권 박사 화 갑기논총 ,형설출판사, 577-592, 1985
    • 241 이기갑, "「국어 방언 연구의 새로운 길,구술 발화」", 한국문학언어학회, 어문론총 49,한 국문학언어학회,1-21, 2008
    • 242 안귀남, "「서북경북방언의 문장종결조사 ‘-여’」", 한국문화융합학회, 문학과 언어 26,문학 과언어학회,17-48, 2004
    • 243 안귀남, "「안동방언권 청자존대의 화용론적 연구」", 안동어문학 6,안 동어문학회,25-48, 2001
    • 244 정철, "「경북 벽지촌락의 언어체계의 조사연구」,", 慶北大學校.文理科大學.國語國文學科, 어문논총 22 경북 어문학회,23-186, 1988
    • 245 박원우, "「경상도 방언연구-종결어미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희대 석사학위 논문, 1973
    • 246 오세정, "「구비설화 연구에 있어서 지역어의 문제」",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58,우 리말글학회,333-358, 2013
    • 247 김흥규, "「국문학 연구에 있어서의 컴퓨터의 활용」", 국어생활 16,국 어연구소,126-133, 1989
    • 248 민원식, "「문경말의 어미구조에 대한 통시적 연구」", 충남대 박사학위 논문, 1994
    • 249 김봉국, "「소,핵방언권 방언자료집의 체재와 성과」", 방언학 20,한국 방언학회,73-104, 2014
    • 250 신승원, "「영풍지역어의 분화 양상」, 영남어문학 17", 영남어문학회, 27-36, 1990
    • 251 신승원, "「영풍지역어의 조사 자료」, 영남어문학 18", 영남어문학회, 121-149, 1990
    • 252 최동주, "「정보화 시대와 국어연구의 새로운 방향」",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 37,한민족어문학회,99-103, 2000
    • 253 김태엽, "「종결어미의 화계와 부름말」, 우리말글 10", 우리말글학회, 107-126, 1992
    • 254 장윤희, "「중세국어 종결어미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998
    • 255 김태엽,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경북방언의 어휘」",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35,우 리말글학회,43-73, 2005
    • 256 전민규, "「<박문수 실수담>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대구가톨릭대 석 사학위 논문, 2011
    • 257 오종갑, "「<칠대만법>에 나타난 경상도방언의 요소」", 국어 음운의 통 시적 연구 ,159-176, 1988
    • 258 김덕호, 김명주, "「경북 성주지역의 언어 추이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1,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79-121, 2012
    • 259 권재일, "「경북방언의 문장종결조사 {이}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 1, 대구대 인문과학연구소,219-235, 1982
    • 260 이기갑, "「국어 담화의 연결표지-완형 표현의 반복」",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13-2,담화,인지언어학회,133-158, 2006
    • 261 이기갑 , "한국어 방언들 사이의 상대높임법 비교 연구", 한국언어학회, 언어학 21, 한국언어학회,185-217, 1997
    • 262 신하영, "「 시의전서 와 반찬등속 의 국어학적 연구」",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117, 한국어문학회,101-127, 2012
    • 263 이문규, "「경북방언의 ‘나가더라’류 성조형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문학과 언어 25,문 학과언어연구회,109-126, 2003
    • 264 백두현, "「경상 방언의 통시적 연구 성과와 그 전망」", 인문과학 10, 경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3-47, 1994
    • 265 김무식, "「대구 경북 지역어 연구 양상과 대구 문화」",  어문론총 55, 한국문학언어학회,9-34, 2011
    • 266 김병선, "「한국구비문학대계의 증보와 디지털 편찬」", 국제고려학회 서 울지회 논문집 12,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57-88, 2009
    • 267 김태엽, "「현진건 소설의 방언 연구」, 국어국문학 142", 국어국문학 회,55-80, 2006
    • 268 전혜숙, "≪강원도 동해안 방언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8
    • 269 임석규, "「성조 현상을 토대로 한 방언구획을 위하여」", 방언학 19,한 국방언학회,5-40, 2014
    • 270 김세환, "「청송지역어 용언 어간의 통시적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 박사학 위 논문, 2012
    • 271 안주호, "「현대국어 연결어미 “-면서”에 관한 고찰」", 현대문법학회, 현대문법연구 45,현대문법학회,181-200, 2006
    • 272 강신항, "“경북 안동, 봉화, 영해지역의 이중언어생활”",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 논문 집 22,성균관대,33-51, 1976
    • 273 성진영, "「동남 방언 조동사 연구 :문법화와 관련하여」", 경상대학교 대학원, 경상대 석사학 위 논문, 2013
    • 274 장충덕, "「문경지역어 설명의문형 어미의 사회적 변이」", 충북대 석사학 위 논문, 2000
    • 275 권화숙, "「안동지역어의 서술법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연 구 21,한국외국어대 한국어문학연구회, 2005
    • 276 이상규, "「동남방언의 사동법-영천 지역어를 중심으로-」", 문학과 언어 2,문학과 언어연구회,15-30, 1981
    • 277 김선희, "「연변 방언 연구-조사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 학 64,한민족어문학회,71-98, 2013
    • 278 김태엽, "「이병각 작품에 나타난 경북방언」, 어문연구 51", 어문연구 학회,301-322, 2006
    • 279 곽충구, "「이용악의 시어에 나타난 방언과 시문법 의식」", 문학과 방언 ,81-108, 2001
    • 280 이혁화, "「방언형태론의 연구 방법 -통시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7, 한국방언학회,35-55, 2008
    • 281 안귀남, "「안동방언 친족호칭어와 청자존대법의 상관성」",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4,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7-44, 2003
    • 282 김주원, "「18세기 경상도 방언을 반영하는 불서에 대하여」", 유창균 박사 환갑 기념 논문집 ,151-172, 1984
    • 283 이태욱, "「대구방언의 곡용어미와 활용어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석 사학위 논문, 1986
    • 284 안귀남 ( Kwi Nam An ), "경상북도 방언 연구의 현 단계와 상주 방언의 특징",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 학 29,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227-284, 2016
    • 285 이기백, 전재호, "정철,「선산,구미 지역의 언어 추이」, 어문논총 12", 경북어문학회,1-74, 1979
    • 286 이혁화,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의 용법과 기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문화 47,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303-324, 2009
    • 287 김태엽, "「김동리 소설에 나타나는 경북방언」, 우리말글 38", 우리말 글학회,1-20, 2006
    • 288 임규홍, "「경상방언 종결형 어미 ‘-ㄴ기라’에 대한 연구」", 배달말 42, 배달말학회,39-67, 2008
    • 289 이태영, "「채만식 소설 천하태평춘 에 나타난 방언의 특징」", 국어문학회, 국어문 학 32,국어문학회,177-216, 1997
    • 290 김성렬, "「하동 방언 어휘 연구:소설 ≪토지≫를 중심으로」", 아주어문 연구 2,아주대 국어국문학과,23-69, 1995
    • 291 정석호, "경북동남부 방언사전 –영천,경주,포항을 중심으로-", 글누림, 글누림, 2007
    • 292 김용직, "「방언과 한국문학-문학작품에 나타난 방언의 문제」", 새국어 생활 6,국립국어원,167-192, 2001
    • 293 서정목, "「경남 방언의 의문법에 대하여-해라체를 중심으로-」", 언어 4-2,한국언어학회,115-142, 1979
    • 294 서재극, "「경북방언 연구-문헌상에 나타난 자료를 중심으로-」", 어문학 8,한국어문학회,71-90, 1962
    • 295 윤석민, "「설화텍스트의 대화 분석-화행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 언어학 6,텍스트언어학회,107-151, 1999
    • 296 백두현,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적 문법 형태에 대하여」", 경북어문학회, 어문논 총 24,경북어문학회,51-72, 1990
    • 297 이기백, 전재호, "정철,「선산,구미지역어의 언어의 추이」, 어문논총 12", 경 북어문학회,1-74, null
    • 298 이혁화, "「경상방언 사동사의 한 유형:{빠주다}류를 중심으로」", 방언 학 11,한국방언학회,85-116, 2010
    • 299 조원형, "「편지글에 나타나는 종결어미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2003
    • 300 이준환, ""방언사전의 방언 어휘 수록 및 기술 현황, 성과와 한계"",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코 기토 77,부산대 인문학연구소,70-109, 2015
    • 301 신승용, 이상규, "문학 속의 경상 방언(국립국어원 문학 속의 방언 총 서1)", 글누림, 2010
    • 302 박종갑, "「의문법 어미의 종류에 따른 의문문 유형의 의미기능」", 한민족어문학회, 한민 족어문학 13,한민족어문학회,397-419, 1986
    • 303 이혁화, "「경상방언의 특이 명령문과 종결보조사 {보자}의 설정」", 민 족문화논총 51,영남대민족문화연구소,295-320, 2012
    • 304 황병순, "「의문문의 특수성에 대하여 - 경상도 지역어를 통하여」", 한민족어문학회, 영 남어문학 7,영남어문학회,131-147, 1980
    • 305 최동주, "「울릉도 방언의 문법 -복면 천부리의 언어를 중심으로-」", 울 릉도 독도의 종합적 연구(제5부 국어학 분야) ,영남대 민족문 화연구소,481-521, 1998
    • 306 여찬영, "「경상도 방언의 /ŋ/음운 현상과 古文獻에 나타난 「ㆁ」」", 연세어문학 ,제 4호,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73
    • 307 조동일, "「<한국구비문학대계> 자료 수집과 설화 분류의 기본 원리」", 정신문화연구 12,한국학중앙연구원,3-16, 1985
    • 308 서정목, "「중부방언의 ‘-(으)려고’와 남부방언의 ‘-(으)라(고)’」", 이정 정연찬 선생 회갑기념 논문집 탑출판사,713-725, 1989
    • 309 김태엽, "국어 높임법의 체계 –청자 높임법의 실현 매체를 중심으 로", 어문학 64,한국어문학회,43-61, 1998
    • 310 박창배, "「안동방언의 의문법 종결어미 -안동군 북후면을 중심으로」", 國民大學校 國語國文學硏究會, 국민대 교육대학원 논문, 1988
    • 311 조현준, "「경북방언의 격조사 연구-방언 구술 담화 자료를 중심으로 -」", 대구가톨릭대 석사학위 논문, 2010
    • 312 남경란,, "「사회방언 자료의 전산 처리에 대하여」, 한국말글학 ,제 20 집", 한국말글학회, 2003
    • 313 유두영, "「경북 선산군 지역어 연구:모음체계,umlaut,경어법을 중심 으로」", 강남어문 8,강남대 국어국문학과,115-132, 1994
    • 314 김정대, "「<수겡옥낭좌전>에 반영된 경상도 방언 문법적 요소에 대하 여」", 가라문화 9,경남대 가라문화연구소,77-111, 1992
    • 315 최전승, "「시어와 방언:‘기룹다’와 ‘하냥’의 방언 형태론과 의미론」", 국 어문학 35,전북대,75-135, 2000
    • 316 김정인, "「경북 영양방언의 존대법 연구:종지법의 종결어미를 중심으 로」", 솔뫼어문학 1,안동대 국어국문학,91-112, 1985
    • 317 김주원, "「경상도방언의 高調의 본질과 중세국어 聲調의 대응에 대하여 」", 언어학 13,한국언어학회,75-93, 1991
    • 318 윤석민, "「소설과 방언 그리고 텍스트언어학-<혼불>의 방언을 중심으 로-」", 국어국문학 142,국어국문학회,81-110, 2006
    • 319 고광모, "“상대 높임의 조사 ‘-요’와 ‘-(이)ㅂ쇼’의 기원과 형성 과정”", 국어학회, 국 어학 36,국어학회,259-282, 2000
    • 320 전혜숙,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 마을의 반촌언어에 대한 재고 찰」",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1,한국방언학회,303-340, 2005
    • 321 서정목, "「명령법 어미와 공손법의 등급:근대 국어와 경상도 방언의 경우」", 관악어문연구 8,서울대 국어국문학과,213-246, 1983
    • 322 김대현, "「안동지역어의 의문형 어미에 대하여 - 남후지역어를 중심으 로」",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10,우리말글학회,57-82, 1992
    • 323 서평자,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1979~1988(82冊),크 라운判」", 정신문화연구 12-1,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 324 김주원, "「18세기 경상도방언의 음운현상-몇몇 불서를 중심으로-」, 인문연구 6",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31-56, 1984
    • 325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 자료(Ⅳ)-지리언어학적 고찰을 위한 기 초작업-」", 한민족어문학 33,한민족어문학회,135-185, 1998
    • 326 이태영, "「‘혼불’에 쓰인 방언의 기능과 등장인물의 성격」, 혼불의 언어세계』", 혼불학술총서 2 전북대 출판부, 2004
    • 327 권재일, "「경북방언의 의존동사의 통사론적 연구-경북의 북부 방언을 중심으로-」", 한글 190,한글학회,163-190, 1985
    • 328 권 일, "「경상도 방언의 평서법 [-구마]와 약속법 [-구마]의 고찰」, 대구어문논총 13", 대구어문학회,117-138, 1995
    • 329 고광모, "「중부방언과 남부방언의 ‘-소/오’계 어미들의 역사 -명령법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한글 253,135-167, 2001
    • 330 심우장, "「설화의 구연 전략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 한국 텍스트과학의 제과제", 역락,193-236, 2001
    • 331 정승철, "「국어 활용어미의 방언 분화 -‘-(으)이-’계 설명 의문 종결어 미를 중심으로」", 국어학 39,국어학회,201-220, 2002
    • 332 소강춘, "「소설 태평천하 에 반영된 채만식의 방언의식 –정보처리 방 법론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37,국어문학회,53-83, 2002
    • 333 심우장, "「구비문학과 텍스트과학-방법론적인 관련 기능성을 중심으 로-」, 구비문학연구 13", 한국구비문학회,29-60, 2001
    • 334 이혁화, "「경북방언의 지시 부정 형식 “글아이마,글아이라,글아이라 도”등의 구성과 기원」",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과학 95,연세대 인문학연구원, 59-82, 2011
    • 335 김태엽, "「일제강점기 경북방언의 문법-경북출신 작가들의 작품에 나 타난 방언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 50,우리말글학회,1-21, 2010
    • 336 박지윤, "「경북방언 “인자”의 담화표지 실현 양상-중부방언 “인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화법연구 18,한국화법학회,215-250, 2011
    • 337 이병근, "「1910-20년대 일본인에 의한 한국어연구의 과제와 방향 -小 倉進平의 방언연구를 중심으로-」", 방언학 2,한국방언학회, 23-61, 2005
    • 338 박종갑, "「영남방언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그 분포 양상-의문법 어미 실현에 따른 제약을 중심으로-」", 어문학 68,한국어문학회, 1-20, 1999
    • 339 최전승, "「아주낮춤의 종결어미 ‘-ㄹ다’와 예사낮춤의 ‘-ㄹ세/-ㄹ시/-시’ 의 형성과 방언적 발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선청어문 24,서울대 국어교육과, 295-327, 1996
    • 340 김형철, "「<수겡옥낭좌전>의 어휘연구;공동연구 <수겡옥낭좌전>반영 된 경상도 방언적 요소에 대하여」", 가라문화 9,경남대 가 라문화연구소,15-41, 1992
    • 341 남경란,, "「동해안 어촌 지역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영덕,울진,삼 척,강릉을 중심으로-」, 한국말글학 ,제 21집", 한국말글학회,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