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용사면허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 = A Study on the Amelioration of the Cosmetologist License System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피부미용학회지(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0(18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problems with the current cosmetologist licensing system in Korea under the perception that the system is crucial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n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study's results, I suggest comprehensive ways to improve the system as follows:
First, cosmetologist licenses issuer should be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The current system, which stipulates that mayors or governors of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or provinces issue the licenses, is hardly considered legitimate in that their competence has little relevance to cosmetologist's job. Therefore, the issuer should be revised to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is responsible for institutions related to cosmetologists and hairdressing business.
Secondly, we should introduce a esthetician license system. Under the current system, only licensed cosmetologists can engage in skin-care business. It is irrational in light of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Moreover, give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kin-care business community, esthetician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s an independent occupation.
Thirdly, the cosmetologist license exams should be administered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deals with hairdressing affairs. However, if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with administering the exams, it is worth considering ways of entrusting the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of Korea with doing it.
Fourth, qualifications of application for cosmetologist license exams should be limited to those who completed a fixed standard level of education. The current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requires no particular application qualifications as prescribed i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Yet, cosmetologist licensing systems in advanced countries qualify only those who finished a certain period of course of study on hairdressing to apply for the cosmetologist license exams. That is because hairdressing needs requires specialized techniques. Thus, we should limit application qualification for the exam to only those who finish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Lastly, separate legislation concerning cosmetologists should be enacted. It is unreasonable that the law regarding cosmetologists and the hairdressing business is included in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A separate law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system and the particularity of the business should be enacted as soon as possible.
Since 1961 when the Barbering and Cosmetology Act was enacted, the licensing system has not changed a lot with the exception of several amendments, failing to radically rectify irrational provision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Korea's hairdressing is now as advanced as that of developed countries, the above mentioned proposal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policy as ways to enhance public confidence in the cosmetologist licens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icensing system.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8-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주식회사 진셀팜 -> 한국피부과학연구원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Skin and Clinical Sciences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 KCI등재 |
2016-04-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 KCI등재 |
2016-02-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4-03-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5 | 0.602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