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노인 무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탐구 - 미적 발달이론을 기반으로 =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Dance Education for the Elderly - Based on the aesthetic development the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문화예술교육연구(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5-225(2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dance education for the elderly by paying attention to 'Why do the elderly learn dance?' The research metho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dance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 explored da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lderly learners based on aesthetic development theory. Based on the theory of aesthetic development, the research results on the elderly da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accumulation and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s are as follows. First, the key elements of dance education for the aesthetic development of the elderly are 'body as a place of memory, movement as an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emotion embedded in gestures', and 'Aesthetic sense, thinking, and behavior' should be connec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y of elderly learners. Second, elderly da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aesthetic development are divided into "body awareness, breath, rhythm/speed as a way to connect senses and movements," "demonstration/repeat practice , use tools, performance experience as a way to develop movement" and "self-directed, narrative, and ritual community as a way to express and communicate.” Dance education for the elderly based on aesthetic development is an attempt to propose a new direction on what and how to teach. It is hop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useful data to diversify teaching methods in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o revitalize dance education for the elderly.
더보기본 연구는 ‘노인들은 왜 무용을 배우는가?’에 주목하여 노인 무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노인 무용교육에 대한 문헌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미적 발달이론에 기반하여 노인 학습자들을 위한 무용교수학습방법을 탐색하였다. 미적 발달이론을 토대로 미적 경험의 축적과 발달이라는 관점에서 노인 무용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미적 발달을 위한 무용교육의 핵심요소는 ‘기억의 장소로서의 신체, 경험이 응축된 움직임, 몸짓에 배어있는 감정’이며 이를 중심으로 노인 학습자의 특성과 개별성을 고려하여 ‘미적 감각·사고·행위’를 연결해야 한다. 둘째, 미적 발달을 위한 노인 무용교수학습방법은 ‘감각과 움직임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써 신체자각, 호흡, 리듬/속도감’, 움직임을 발전시키는 방법으로써 ‘시범/반복 연습, 도구 활용, 공연 경험’, 자신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방법으로써 ‘자기 연출, 내러티브, 의례공동체’로 구분된다. 미적 발달에 기반한 노인 무용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서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고 노인을 위한 무용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노인 무용교육 현장의 교수법을 다양화하고 노인 무용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