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izations in the Semantic Representation of Polysemous Words and Implications = 다의어 의미표시의 일반화 및 시사성
저자
Ryoo,Woong-dal (English Lang. & Lit., Dong-A University)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5
작성언어
English
KDC
04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93(27쪽)
제공처
소장기관
근래에 다의어(polysemous words)의 의미표시에 많은 학자들의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 결과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엇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들 가운데 실용적 시사성이 있는 몇가지를 고찰해 보았다. 비록 이들 이론이 그 관점과 관심의 범위가 다르기는 하지만 한 낱말의 여러 특정한 의마가 하나의 일반적인 핵심의미로 일반화 될 수 있으며, 또한 도식적인(schematic)관계에 있다는데 의견이 일치되고 있다. 이러한 가정은 매우 중요한 실제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 낱말을 안다는것은 모든 특정한 의미를 개별적으로 아는것을 의미한다고 생각되지 않으므로, 이는 영어학습자를 위한 사전에 있어서 의미정의와 영어어휘교수에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사전은 한 낱말의 여러 특정화된 의미를 개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외국학습자들이 낱말에 대해 극히 단편적이거나 나아가서는 그릇된 개념을 갖게되므로 낱말을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사전을 참조해도 문전(text)속에서 낱말의 뜻이 통하지 않는다"라는 학습자들의 불평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그러나 이론가들이 제사한 일반화된 의미는 너무 추상화되어 실제적인 의미와는 거리가 멀어 실용성이 결여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낱말의 여러 특정화된 의미를 하나의 중심 의미로 일반화하는 필요성과 방법이 제시 되었다. 하나의 일반화된 의미에서 다양한 특정한 의미를 끌어내는 파생규칙도 유사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 다만 Miller의 해석규칙(construal rules)이 제한된 낱말의 의미 해석에 유용하며 Jackendoff의 의미장교차일반화(cross-field generalizations)는 많은 영어동사의 의미식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언어사용자의 어휘능력(lexical competence)에 관한 현재의 연구정도 및 학습자의 팔요성을 감안할 때 본 논문에서 제시된 다의어의 의미 일반화 방안, 도식적개념, 해석규칙 및 의미장교차일반화는 외국학습자들을 위한 낱말의 의미 정의 및 다의성해제(disambiguation)방안 창출에 매우 귀중한 가능성을 제시해 줄 것으로 믿어진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