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자영업자의 SNS 마케팅 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유효성을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국내 자영업자는 경제성장의 둔화와 고용부진으로 인해 위기에 처해있다. 생계형 자영업자의 위기는 가계경제의 위기로 이어져 전반적인 내수 경기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서비스업,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등 내수경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는 업종에 몰려있기 때문에 자영업은 경기침체의 피해를 가장 많이 입고 있다.
      한편, 2010년 이후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한 실시간 정보 이동이 매우 용이하고 활발해졌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강력한 파급 효과를 지녔기 때문에 마케팅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자금과 인력이 부족한 영세 자영업자에게 SNS 비즈니스는 저비용 고효율의 지속적인 마케팅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유의 브랜드를 구축하여 고객의 신뢰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영세 자영업자들은 생계형 창업이 많기 때문에 인력이나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SNS 비즈니스나 인플루언서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영성과 개선을 위한 자영업자의 SNS 비즈니스와 인플루언서 활용현황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자영업자의 경영성과를 개선하고 가계경제의 안정화와 내수경기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영업자의 SNS 비즈니스 운영방식을 독립변수로, 자영업자의 SNS 비즈니스 운용능력을 매개변수로, 그리고 경영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자영업 사장들의 모임 카페나 요식업 등 자영업자들의 카카오 오픈채팅방,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하고자하는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을 통한 실증분석에서 발견된 주요 내용과 자영업자의 경영성과 개선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영업자의 SNS 비즈니스 운영은 자영업자의 재무적 경영성과와 비재무적 경영성과 모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영업자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활용을 통하여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다.
      둘째, 자영업자의 SNS 비즈니스 운영방법은 SNS 마케팅 운용능력에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영업자는 SNS 비즈니스의 운영을 통하여 SNS 마케팅 운용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셋째, SNS 계정을 직접 운영하는 경우 자영업자의 SNS 마케팅 운용능력 가운데 지속성이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독창성은 재무적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영업자가 SNS 계정을 직접 운영하는 경우 지속적 업데이트와 관리를 통해 비재무적 성과를, 타 업체와 구별되는 독창적인 운영과 콘텐츠를 통해 재무적 성과를 제고할 수 있다.
      넷째, 인플루언서에 직접 의뢰하는 경우 자영업자의 SNS 마케팅 운용능력 가운데 전문성과 지속성이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플루언서에 직접 의뢰하는 경우 자영업자는 SNS 채널, 콘텐츠, 구독자 관리에 대한 전문성과 지속성을 제고함으로써 비재무적 성과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플루언서에 직접 의뢰를 통해 재무적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플루언서의 자체 보유 역량을 검토하여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SNS 비즈니스 대행 운영의 경우 자영업자의 SNS 마케팅 운용능력 가운데 전문성이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NS 비즈니스 대행 운영의 경우 자영업자는 SNS 마케팅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함으로써 경영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더보기

      Independent businesses within the country are facing a crisis due to the slump in economic growth and poor employment. The crisis faced by working independent businesses leads to the crisis of household economy, which results in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entire domestic economy. Independent businesses in particular face the most negative effects of economic slowdown since they include service, wholesale and retail, food, and lodging industries, which all are directly influenced by domestic economy.
      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of live information through the social network system (SNS) has become easier and more active with the wide distribution of smart phones. Since the social network system has a great ripple effect, it is used as a marketing tool. It provides a low-cost and highly efficient marketing opportunity for independent businesses that do not have enough funds or labor forces and can also be a way to earn the trust of consumers by establishing a unique brand. However, since most of the independent businesses lack experience or employees since they do it for a living, it is difficult for them to properly make use of SNS businesses or influencers.
      Therefore, this research mainly focuses on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SNS businesses and influencers by independent businesses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and suggesting efficient business models and marketing strategies. This research aims to yield better business performance of independent businesses, stabilize household economy, and vitalize domestic economy.
      In order to fulfill thes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operation method of SNS businesses of independent businesses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management capability was set as the parameter, and the business result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 online survey was also conducted on internet cafes and kakaotalk independent chatting rooms of independent businesses as well as independent businesses wanting to use influencer marketing.
      The summary of the main content discovered by analysis through survey and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of independent businesses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operation of SNS businesses by independent businesses was proven to significantly affect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Therefore, independent businesses can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influencer marketing.
      Seco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NS business by the independent business has proven to significantly affect the SNS marketing management capability. Therefore, independent businesses can improve their SNS marketing management capability through the operation of SNS businesses.
      Third, when operated directly by the independent business, consistency significantly influenced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while originality affected 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Therefore, when independent businesses run SNS accounts themselves, they are able to enhance non-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constant updates and management and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by operating the accounts in a creative way with original contents.
      Fourth, when independent businesses use influencers for marketing, marketing management capability qualities such as expertise and consistency significantly influence non-financial performance. Therefore, independent businesses that directly contact influencers can improve non-financial performance by enhancing expertise and consistency in managing their SNS channels, contents, and viewers. When directly working with influencers, it seems important to select influencers based on their competence in order to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Last, in the case of letting some other businesses run the SNS account, it turns out that expertise, an SNS marketing management cap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Therefore, if some other business runs the SNS account, independent businesses can improve expertise and thus enhance business performance.

      더보기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 2 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5
      •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7
      • 제 1 절 자영업의 현황과 실태 7
      • 1. 자영업의 개념 및 현황 8
      • 2. 자영업의 종류와 특성 16
      • 3. 선행 연구 검토 22
      • 제 2 절 SNS 비즈니스 전략 연구 28
      • 1. SNS 비즈니스의 개념 및 특성 28
      • 2. SNS 비즈니스의 유형 41
      • 3. SNS 비즈니스의 종류 47
      • 4. SNS 마케팅과 운영 방법 73
      • 제 3 절 인플루언서 마케팅 84
      • 1.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개념 및 종류 84
      • 2.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특성 88
      • 제 4 절 디지털 마케팅 90
      • 1. 디지털 마케팅의 고객자산화 효과 90
      • 2. 자영업자의 디지털마케팅 선행 연구 93
      • 제 3 장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96
      •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96
      • 1. 연구모형의 설계 96
      • 2. 연구가설의 설정 97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101
      • 1. SNS 비즈니스 운영 방법 101
      • 2. 종속변수: 디지털 마케팅 자산(경영성과) 103
      • 3. 매개변수: 자영업자의 SNS 마케팅 운용능력 104
      • 제 3 절 설문지의 구성 105
      • 제 4 절 자료의 분석방법 106
      • 제 4 장 실증 분석 결과의 해석 107
      • 제 1 절 자료의 분석 107
      • 제 2 절 분석결과의 해석 119
      • 제 3 절 가설 검증 136
      • 제 5 장 결 론 148
      • 제 1 절 연구 결과의 요약 148
      • 제 2 절 연구 결과의 시사점 151
      • 참 고 문 헌 155
      • 부록 177
      • Abstract 186
      더보기
      • 1 박상범, "중소기업론", 서울 : 삼영사, 2006
      • 2 박희석, "서울시 자영업", 정책리포트(82), 1-20, 2011
      • 3 김중태, "나는 블로그가 좋다", 이비컴, 2003
      • 4 김철환, "페이스북 장사의 신", 블로터앤미디어, 2013
      • 5 박성민, "기업의 SNS 新활용방식", SERI 경영노트, 115호, 2011
      • 6 김춘화,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 중소기업연구, 19(2), 46-51, 2013
      • 7 윤영석, 이현우, "개인 방송 플랫폼 기술", 정보와 통신, 33(4), 56-63, 2016
      • 8 윤상진, "플랫폼으로 진화중인 SNS", 소셜 플랫폼의 확대 전망, kt 경제경 영연구소, 2011
      • 9 권영남, "소상공인창업성패요인분석",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0
      • 10 이정권, 최영,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59(1), 115-148, 2015
      • 11 서재만, "자영업자 현황 및 정책방향", 국회예산정책처, 2011
      • 12 김병수, "“SNS활용기업의 성공전략,”", SERI경영노트, 100호, 2011
      • 13 박기우, 최순화, 이상민, "사이버 커뮤니티의 가치평가", 삼성경제연구소, 2000
      • 14 성지미, 안주엽, "자영업 지속기간의 결정요인", 노동경제논집 26(2), 1-30, 2003
      • 15 이명진, 최문경, "자영업, 선택인가? 한국과 미국", 한국사회학 39(1), 21-51, 2005
      • 16 안광호, 하영원, 이학식,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 경기: 법문사, 2015
      • 17 문유경, "여성 자영업자의 특성과 취업력", 한국인구학 25(2), 69-106, 2002
      • 18 변양규, "노동시장 유연성 및 안정성 제고", 한국경제연구원, 18-68, 2013
      • 19 문유경, 안주엽, 성지미, "여성자영업자의 현황과 대책방안", 서울: 한국여 성개발원, 2002
      • 20 한규훈, "SNS 광고효과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홍보학연구, 16(3), 132-168, 2010
      • 21 정준화, "SNS를 활용한 광고유형에 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5(6), 275-297, 2014
      • 22 정부연, "소셜 광고 시장의 현황 및 전망. ", 방송통신정책, 24(5), 26-32., 2012
      • 23 류재우, 최호영, "우리나라 자영업 부문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22(1): 109-140, 1999
      • 24 김철민, "“소상공인현황 및 지원정책분석”",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 논문집, 435, 2015
      • 25 금재호, 이인실, "자영업 매출과 소득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연구 29(4): 103-140, 2011
      • 26 서근하, 윤성욱, "한국 소상공인 창업문화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6 권 제 1호, 99-118, 2003
      • 27 주현, "“자영업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KIET 산업경제 10월호, 7-18, 2014
      • 28 김정현, 두진희, "페이스북 광고 유형에 따른 효과 연구", 한국광고홍보학 보, 14(2), 300-330, 2012
      • 29 권윤정, "“대전지역 자영업의 현황과 시사점”",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2013
      • 30 이지영, 이현주, "이미지 기반 SNS의 패션 광고 표현 연구", 한국디자인학 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132-133, 2015
      • 31 이장우, 장수덕, "성공벤처기업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1권 1호, 105-133, 1999
      • 32 손홍재, "소상공인 창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6
      • 33 박창귀, "우리나라 자영업의 과도기적 특성 연구", 경제연구 43(1), 163-191, 2016
      • 34 금재호, 조준모, "자영업의 선택에 관한 이론 및 실증분석", 노동경제논집 특별호, 23집, 81-107, 2000
      • 35 이은민, "주요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의 최근 동향", 정보통신방송정책, 25(7), 57-66, 2013
      • 36 금재호, "노동시장의 구조변화와 고용부진의 원인", 한국국제경제학회 하 계세미나, 1-41, 2012
      • 37 성혜진, 이상건, "SNS 활용유형에 따른 외식소비자의 세분화", 한국관광레 저학회, 26(4), 189-204, 2014
      • 38 최윤영, "공연 마케팅에서의 SNS활용에 대한 시사점", 대한무용학회논문 집, 66, 183-215, 2011
      • 39 최영균, "마케팅 툴로서 소셜미디어의 실제와 전략", 마케팅, 44(8), 31-37, 2010
      • 40 성규선, "소상공인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경영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41 류재우, 최호영, "자영업부문을 중심으로 한 노동력의 유동", 노동경제논 집 23(1): 한국노동경제학회, 137-165, 2000
      • 42 이승주, "자영업의 지속여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43 신재권, 이지영, 이상우, "카카오스토리 이용패턴과 이용 동기 연구", 한국 콘텐츠학회 논문지, 15(1), 379-387, 2015
      • 44 이재관, "커뮤니티 요소를 고려하는 웹사이트 평가", 한국경영과학회, 17(3), 119-129, 2002
      • 45 구창환, 최규문, 유윤수, "페이스북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도서 출판사 더숲, 2010
      • 46 전병유, "“자영업 선택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149-179, 2003
      • 47 최용욱, "브랜드 블로그의 활용과 성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48 금재호, "자영업 이탈과 노동시장 성과에 관한 연구", 경제학 공동학술대 회, 197-227, 2009
      • 49 고상민, 황보환, 지용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한 국전자거래학회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5(2), 103-118, 2010
      • 50 홍문기, "“SNS를 이용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광고연구, 겨울91 호, 515-547, 2011
      • 51 고봉상, 이상천, 용세중, "벤처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벤 처경영연구, 제6권 2호, 3-33, 2003
      • 52 이남주, "소상공인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53 서구원,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광고전략", 한국광고학회 세 미나 자료집, 47-60, 2011
      • 54 성지미, "여성의 자영업 결정요인과 경력단절 가능성", 노동경제논집, 25(1), 161-182, 2002
      • 55 김해룡, 정성한, "소상공인 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벤처경영연 구, 제4권 제2호, 3-29., 2001
      • 56 최용록, "소셜 마케팅의 패러다임 특성과 활성화 방안", e-비즈니스연구, 12(2). 31-37, 2011
      • 57 오상영, "자영업 컨설팅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1(2), 99-121, 2016
      • 58 김성호, 최훈, 조동환, "“부산지역의 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지 역산업연구 39권 1호, 299-322, 2016
      • 59 김철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SNS 특성요인”", 전남대학교 대 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1
      • 60 홍순창, "“소상공인 경제활동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6
      • 61 박혜림, "네일샵의 SNS 마케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62 박춘엽, "소기업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무엇이 문제인가", 소기업소상공인 경쟁력강화 포럼(2), 19-34, 2009
      • 63 박정기, "소상공인 창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의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2
      • 64 박정기, 빈봉식, "소상공인 창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소기 업연구 제24권 제3호,135-158, 2002
      • 65 오상진, 유시정, 오종철, "인터넷 콘텐츠 이용자의 기술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12, 121-137, 2006
      • 66 임재해, "페이스북 공동체의 소통 기능과 정치적 변혁성", 한국민속학, 55, 145-188, 2012
      • 67 강종구, 조윤제, 박창귀, "한국의 경제성장과 사회지표의 변화,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 470호. 109-112, 2012
      • 68 문승렬, "자영업자의 역량이 사업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9(5), 835-849, 2018
      • 69 류만희, "“자영업 창업실태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 지학 13, 19-33, 2003
      • 70 양묘, "브랜드 블로그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71 금재호, 조준모, "외환위기 전후의 노동시장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 노동 경제논집, 24(1), 35-66, 2001
      • 72 황보윤, "“소상공서비스업종 경영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73 김광석, "자영업자 진입-퇴출 추계와 특징, 현안과 과제 15(4)", 현대경제 연구원, 2015
      • 74 김성태, "“우리나라 영세자영업자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추계자료, 2013
      • 75 박범순, 유미원, "제품관여도와 광고모델에 따른 비교광고 효과 연구", 광 고연구, 104, 5-47, 2015
      • 76 곽선혜, "SNS를 활용한 자기표현과 관계맺기 전략에 대한 연구", 경희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77 오환종, 이국용, 윤영선, "온라인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19(1), 205-224, 2006
      • 78 김일광, "우리나라 자영업 업체 현황과 재무특성에 관한 연구", 지역산업 연구, 제41권 제3호, 343-364, 2018
      • 79 윤석주, "인스타그램(Instagram) 이용자의 자기표현에 관한 연구", 경희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80 강명주, 이용왕, "소상공인 창업의 개념적 성공모형, 경제경영연구 4(1)", 동의대학교 경제경영전략연구소, 1-22, 2006
      • 81 이남주, 이충섭, 이윤원, "소상공인의 전략적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무와 회계 정보 저널, 제9권, 제3호, 101-122, 2009
      • 82 박춘래, 이충섭, 이남주, "소상공인의 창업과정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제24권,3호, 32-45, 2010
      • 83 V.I.B, 이태운, 손수지, 김수연, 김선아, "광고인 듯 광고 아닌 광고같은 너, 인플루언서 마케팅", <마케팅>, 51(5), 56-66, 2017
      • 84 이장우, 장수덕,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사조직연구」제9권,59-92, 2001
      • 85 정승철, "사회적기업의 디지털마케팅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86 이충섭, "소상공인의 창업과정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회계와재 무정보연구, 10(1), 323-325, 2014
      • 87 권혁진, "소셜미디어가 기업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2011
      • 88 김우영, "자영업자의 이질성과 취약 자영계층에 대한 정책과제", 경제학공 동학술대회, 230-268, 2009
      • 89 송경재, "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의 특성과 정치참여", 한국과 국제정치 26(3), 129-157, 2010
      • 90 임현경, "PC통신을 통한 가상공동체의 형성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 91 이병구,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92 한호석, "SNS를 활용한 중소기업의 마케팅 전략,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4
      • 93 황성원, "모바일 SNS를 이용한 공공기관정책 홍보 전략에 대한 연구", 한 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94 염소영, "블로그 정보 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95 정진욱, 최강식, 정진화, "자영업 부문의 소득분포 및 소득결정요인: 분위 회귀분석", 노동경제논집 28(1): 135-156, 2005
      • 96 나영, 이창우,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시스템의 불균형요인에 관한 연구", 세무와 회계저널, 9(3), 191-223, 2008
      • 97 김우영, "취업형태의 비교우위와 자영업주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노동 경제논집, 23집, 55-80, 2000
      • 98 김현정, 한미정, 표희선, "파워블로그 포스트의 광고 효과 및 구전 효과에 관한 분석", 한국광고홍보학보, 13(4), 315-362, 2011
      • 99 정병찬, "“SNS 정보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 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병찬, 구장옥(2013). SNS 전달자 특성과 SNS 정보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 2012
      • 100 신재익, 정지희, 정기한, "기업의 SNS 활동이 브랜드 및 구전,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자료집, 1-8, 2010
      • 101 김여정,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브랜드 이미지 연상 방식에 관한 분석", 홍 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102 김세준, 이세진, "정보원, 메시지의 유형 및 수신자 성향에 따른 구전효과 연구", 광고연구, 96, 100-136, 2013
      • 103 지은정, "“경기변동이 자영업이행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집단별 차이”", 사회복지연구 43권 2호, 141-178, 2012
      • 104 김나은, 김민화, "여행사 웹사이트의 브랜드 신뢰가 고객 충성도에 미치 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12(1), 133-156, 2010
      • 105 김대진, "SNS의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을 위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 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106 안광호, "쇼핑 가치가 고객 만족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 국마케팅학회, 10(2), 99-123, 2009
      • 107 곽현수, "SNS의 관계특성과 콘텐츠요인이 신뢰와 정보 확산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17
      • 108 목양숙, 이경렬, "새로운 광고마케팅 플랫폼으로서 소셜미디어의 확산과 활용실태", 조형미디어학, 14(4), 153-160, 2011
      • 109 강노을, "SNS를 활용한 골프마케팅이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110 이남주, 이충섭, "소상공인의 성장단계별 경영전략과 지원서비스의 기업 성과 영향", 재무와 회계정보저널, 제10권 제2호, 167-188, 2010
      • 111 배현우, 하성호, 임광혁,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온라인 게임 이용자 커뮤니티 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9(8), 178-189, 2009
      • 112 김일철, "SNS 시대의 광고 범주와 정의에 관한 재고: 복잡계 관점에서의 모색", 광고PR실학연구, 6(2), 7-26, 2013
      • 113 문성식, "SNS(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홍보마케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14 이상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구전정보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 115 노병수, "창업교육이 셀프리더십과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16 김윤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추이 및 이용 행태분석, KISDI STAT Report",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 117 이수경, "감성적 소비와 이성적 소비가 소비태도와 소비행복에 미치는 영 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118 김정인, 신주현, 남민지, "인스타그램 기반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한 사 용자 감정정보 측정",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7(9), 1125-1133, 2014
      • 119 최동락,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이 소상공인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20 전재용, "SNS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 SNS활용정도를 중심으로",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121 장지남, "지역 소상공인의 SNS 마케팅 사례연구 : 고재영 빵집과 도나우 불고기",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22 박동수, "“소상공인 창업에서 개인특성과 만족도 및 재무적 성과간의 관 계”", 서울대 경영논집 제 34권 제 3호, 95-115, 2000
      • 123 염정윤, 정세훈, 이희정, "블로그 마케팅에서 정보원의 정보 전달 방식과 후원표시 유무의 효과",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1(3), 95-130, 2014
      • 124 공훈의, "SNS는 스토리를 좋아해 - 사진 1장 동영상 10초의 스토리로 SNS 스타 되기", 2014
      • 125 손규헌, "SNS를 활용한 기업 홍보가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126 송윤진, "외식업체 SNS특성요인이 이용자 신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 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27 박은경, "패션 인스타그램의 이용동기와 특성이 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 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128 서길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품 평가와 온라인 상점의 신뢰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물, 2002
      • 129 오지연, "인스타그램의 이용 동기가 인플루언서 속성 및 관계유지에 미치 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 130 강병구, 한필구, 전병호,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용수준과 경영성과간 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4(1), 659-665, 2004
      • 131 홍다운, "“SNS의 특성이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사 및 추천행동에 미 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32 나종연, "사용확산모형을 적용한 소비자의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활용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21권, 제2호, 443-472, 2010
      • 133 조승행,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정보와 의사결정유형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2), 639-650, 2016
      • 134 박철민, 윤병섭, "한국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환경 및 경영전략이 경영 성 과에 미치는 영향", 2004년 경영관련학회 통합학술대회, 5-31, 2004
      • 135 함재민, "SNS에 나타나는 이미지 표현에 대한 연구: 미투데이와 페이스 북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5), 20-30, 2011
      • 136 김모란, 안광호, 김성환, "“고객 자산 구성 요소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상 대적 효과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26(1), 23-45, 2011
      • 137 김미경, 이은선, 이미경,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기업 페이스 북 팬페이지 이용행태 분석", 광고학연구, 23(2), 31-55, 2012
      • 138 김순태, "소상공인특성과 정부지원정책 요인이 사업전략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39 유민지, "외식기업 SNS 마케팅 특성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소비가 치의 조절효과",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140 박한실, "페이스북 쇼핑몰에서 상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 141 박상희, "브랜드 블로그 특성이 블로그 몰입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142 구진규, "SNS의 특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신제품 수용의 조 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143 문재영, 심선희, "모바일 SNS 속성이 관계형성과 정보공유를 매개로 사 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품질경영학회지, 40(1), 60-72, 2012
      • 144 강명수,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커뮤니티 몰입과 이용의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1), 77-98, 2002
      • 145 노승화, 이세진, 방혜진, "유대강도, 정보의 속성 및 관여도가 SNS 내 구 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23(4), 110-146, 2012
      • 146 박현수, 한상필, "SNS를 이용한 5가지 유형별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실증 적 연구. ICE 2011 발표자료", ICE 2011, 2011
      • 147 홍재구, "온라인 커뮤니티 관리활동이 온라인 커뮤니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148 김은정, 이문봉,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참여 동기와 사회적 영향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 연구, 14(2), 191-214, 2005
      • 149 이진욱, "DEA를 이용한 소상공인 자금지원사업의 효율성분석 및 개선방 안 도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50 최지훈, 문준연, "가상공동체 참여 동기와 공동체 의식, 충성도 및 구매 의도간 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5(2) : 83-84, 2003
      • 151 신재연, "블로그 정보 특성이 제품구매 및 블로그 만족, 구전,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152 오미현, "『SNS특성에 의한 패션제품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 및 온라인구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153 정종희,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정부지원프 로그램의 조절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154 김린아, 한은경,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 동기가 이용 만족과 지속 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111(35), 5-39, 2016
      • 155 성열홍, 오지연,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주목성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4, 165-176, 2018
      • 156 원욱연, "SNS 웹사이트에 대한 실증연구: 품질 요인, 사용자 만족, 지속 적 사용의도, 구전의도",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157 명건식, 한재용, 정철호, "온라인 커뮤니티 유형별 다중비교를 통한 커뮤 니티 특성요인의 설명력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17, 219-242, 2007
      • 158 김슬지, "외식업체 SNS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 의도 및 구전 의 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159 김기승, 조준모, "자영업에 관한 유인가설과 구축가설에 대한 검증: 월간 단기패널을 이용한 실증분석", 국제경제연구 12(2), 1-27, 2006
      • 160 강병서, 조철호, "블로그 서비스품질이 서비스 가치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 향: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품질경영학회지 한국품질경영학회, Vol.35No.1, 2007
      • 161 최영택, "소셜미디어(SNS)를 활용한 기업의 PR에 관한 연구: 소셜미디어 및 기업특성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162 문성실, "1인 미디어 상점의 블로그 마케팅 특징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행 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63 김운한, 심성욱, "1인 창조기업의 광고콘텐츠산업 적용에 관한 연구: 기술 및 경영 자원 요인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3(6), 53-81, 2011
      • 164 최지윤, 정윤재,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전략: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8권 4호, 47-72., 2015
      • 165 김상훈, 안대천,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 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광고학연구, 23(3), 53-84, 2012
      • 166 이상현, "온라인 구전 정보특성과 커뮤니티 특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67 라은주,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특성이 관계품질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 168 맹주형, "인스타그램의 광고 표현유형이 제품유형에 따라 인게이지먼트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9
      • 169 강경희, "SNS 특성이 집단지성에 의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70 주뢰, "“SNS 마케팅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피부관리실을 방문할 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71 박지영, "페이스북 이용 동기에 따른 상호작용성이 패션제품의 구전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 172 이혜성, "외식소비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 동기가 이용자 참 여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73 박정은, "학습지 업체의 SNS 활용특성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174 양상훈, "기업의 SNS 마케팅 중 메시지 유형이 이용자의 심리적 유형에 따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75 전지혜, "이미지 기반 SNS의 특성이 외식업체 브랜드에 대한 구전, 태도, 방문,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176 곽비송, "SNS특성이 레스토랑의 몰입 및 신뢰 그리고 행동의도에 미치 는 영향, 제40차 정기학술발표대회", 관광경영연구, 130-150, 2016
      • 177 김주안,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제품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온 라인 커뮤니티요인에 관한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454-462, 2005
      • 178 나성진, "모바일 SNS 특성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제 조업 근무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179 김재휘, 박유진, "인터넷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지가 커뮤니티 몰입 과 동일시 및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 격, 제19권 제 1호, 13-25, 2005
      • 180 오왕규, "Technology Aceptance Model을 적용한 외식기업의 SNS특성이 사용자 지각과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181 박근영, "지방공기업 CEO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
      • 182 서근하, "창업가정신과 마케팅활동성이 소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과 시장지향성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183 정정희, "SNS특성과 인지부조화 감소행동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충성도 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184 김혜경, 손동진, "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 전략 연구: 올 레드 TV 글로벌 디지털 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10(2), 64-95, 2017
      • 185 박세준, "인스타그램 게시글 정보특성과 수용의도 및 구전효과의 영향관 계 연구: 한국, 미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186 박다영, "헤어샵 관련 인스타그램의 상호작용성, 정보성, 신뢰성, 호의적 소비자태도, 이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7
      • 187 박성덕, "소상공인의 경영자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상공인 지원제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88 김보미, "공인중개업자의 SNS 마케팅 활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인중개업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5
      • 189 윤각, 조재수, 이준희,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몰입과 광고길이가 프리롤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침입성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PR실 학연구, 11(3), 30-53, 2018
      • 190 Zhang Chengchao,, "온라인 커뮤니티 혜택 및 특성과 개인 특성에 따른 참여도가 온라인 공동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6
      • 191 하선민, "기업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특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 SNS유형에 따라,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192 김민제, "김민제(2017, 07, 04). 하루 평균 30분 동영상 앱 이용...유튜브 가장 많이 본다. <서울경제>.URL: http://www.sedaily.com/NewsView/1OICF6PSX7", 2017
      • 193 남인용, 박경미, "광고모델의 신체 노출과 소비자의 성별 및 신체 존중감 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명인 광고모델과 일반인 광 고모델의 비교",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0(3), 161-170,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