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사회재난 법제에 대한 공법적 연구 = A Study on the Legislative System of Social Disaster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Recently, interest in social disasters is increasing. Existing natural disasters are focused on minimizing damage because they cannot be controlled by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droughts, and typhoons. However, social disasters are disasters that are artificially caused by humans, such as fires, traffic accident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s, and unlike natural disasters, they can be controlled through systems and policies. Korea is also taking various measures to prevent social disasters and minimize damage in the event of an outbreak while experiencing various social disasters, but various legal problems are revealed and social conflicts are causing. In addition, as society becomes more sophisticated and complex, various new social disasters occur due to unexpected causes, and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safety of the people exposed to disasters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uncertainty about disasters increases, the state must fulfill its obligation to actively guarantee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safety of its people. However, administrative measures taken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for the safety and public welfare of the people from social disasters rather limit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and are widely infringed on basic and property right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pproach to social disasters is not just a government policy issue, but a practical approach that includes the interests of the state and the people in preparation for risks caused by the rapidly changing disaster environment. Therefore, it analyzes the overall social disaster and disaster legislation, reviews legislation and policies of major countries, and seeks ways to prevent, prepare, respond, and recover social disasters.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foundation by presenting legal improvement measures centering on the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nd to establish a soci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더보기

    최근 사회재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자연재난은 지진, 가뭄, 태풍 등 천재지변으로 현대과학과 기술력으로 통제할 수 없기에 피해의 최소화에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재난은 화재, 교통사고, 환경오염사고와 같이 사람에 의해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재난으로서 자연재난과 달리 제도와 정책을 통하여 통제할 수 있는 재난이다. 우리나라도 여러 사회재난을 겪으면서 사회재난의 예방과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여러 법적 문제점이 드러나고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 더불어 사회가 고도화·복잡화되면서 예상치 못한 원인으로 다양한 신종 사회재난이 발생되고, 재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국민의 안전에 대한 국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재난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국가는 국민의 안전을 적극적으로 보장하고 책임지는 의무를 다해야 한다. 그러나 사회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공공복리를 위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취하는 행정적 조치들이 오히려 국민의 자유과 권리를 제한하고 기본권과 재산권을 광범위하게 침해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재난에 대한 접근은 단순히 정부의 정책문제가 아닌, 급변하는 재난환경에 따른 위험성 대비, 국가와 국민의 이해관계를 포함하는 실질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재난과 재난법제를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주요국가의 법제 및 정책들을 검토하여, 사회재난에 대한 실질적인 예방·대비·대응·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즉,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중심으로 법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지방자치단체를 기초로 지역 전반의 사회재난을 책임지고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사회재난관리체계 확립을 위한 방안을 설정하고자 한다.

    더보기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 제2장 사회재난과 재난법제의 이론적 배경 6
    • 제1절 사회재난의 규범적 분석 6
    • 1. 사회재난의 정의 6
    • 2. 헌법상 안전권의 실현 14
    • 3. 사회재난과 국가배상법 25
    • 제2절 재난법제의 법적 지위 30
    • 1. 실정법상 근거 30
    • 2. 재난법제의 독립적 지위 구축 31
    • 3. 재난법제의 행위형식 분석 34
    • 제3절 사회재난 법제개선의 필요성 41
    • 1. 사회재난 패러다임의 변화 41
    • 2. 적극적 국민 안전권 보장의 필요성 42
    • 3. 사회재난으로 인한 갈등의 심화 43
    • 제3장 사회재난 법제 비교분석 51
    • 제1절 한국의 사회재난 법제 분석 51
    • 1. 법률 및 조직체계 51
    • 2. 대응체계 73
    • 3. 구제체계 80
    • 제2절 외국의 사회재난 법제 현황 84
    • 1. 독일 84
    • 2. 일본 105
    • 3. 미국 114
    • 제3절 사회재난 법제 관련 검토사항 122
    • 1. 외국의 법제적 논의사항 122
    • 2. 소결 126
    • 제4장 사회재난 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28
    • 제1절 법률체계의 문제점 및 정비방안 128
    • 1. 법률상의 체계 및 현실적합성 문제 128
    • 2.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정비방안 131
    • 3. 통합형 재난관리 기본조례의 제정 133
    • 제2절 조직법상 문제점 및 개선방안 135
    • 1. 조직체계 및 관리의 미흡 135
    • 2.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개선 142
    • 3. 일원화된 재난상황실 구축과 전문인력의 양성 145
    • 4. 재정적 측면에서의 개선 146
    • 제3절 작용법상의 한계와 구축방안 148
    • 1. 기본권과의 충돌 148
    • 2. 행정작용상의 대응 149
    • 3. 사회재난 특별재난지역 선포기준 구체화 156
    • 제4절 구제법상 문제점 및 책임법제 확립방안 162
    • 1. 사회재난에 따른 구제의 한계 162
    • 2. 사회재난에 따른 손실보상 167
    • 3. 사회재난의 구상권 기준 현실화 173
    • 제5장 결론 180
    • 참고문헌 183
    • ABSTRACT 194
    더보기
    • 1 박재영, 진병문, 윤혜경, 안대명, "재난안전", 북스힐, 2017
    • 2 김철용, "행정법", 고시계사, 2020
    • 3 정형근, "행정법", 피앤씨미디어, 2019
    • 4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20
    • 5 류충, "재난관리론", 미래소방, 2014
    • 6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2020
    • 7 김철용, "행정법입문", 고시계사, 2020
    • 8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 9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8
    • 10 김학성, "헌법학원론", 피앤씨미디어, 2019
    • 11 김남철, "행정법 강론", 박영사, 2019
    • 12 홍정선, "행정법원론(하)", 박영사, 2019
    • 13 김민섭, "“공법상 위험책임”", 법학논총, 제24권 제1호, 국민대학교 출판부, 2011
    • 14 이계수, "“원자력발전과 인권”", 민주법학, 제53권,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3
    • 15 김경석, 황찬근, "“재난관리와 국가배상”", 홍익법학, 제16권, 제1호, 홍익대 학교 법학연구소, 2015
    • 16 Michael Kloepfer ,, "? Handbuch des Katastrophenrechts ?", 2015
    • 17 이연, "국가위기관리와 재난정보", 박영사, 2016
    • 18 어민선, "“우리나라 방재정책의 변천”,", 경기논단, 제5권 제2호, 경기연구 원, 2003
    • 19 주강원, "“재난과 재난법에 관한 소고”", 홍익법학, 제15권 제2호, 홍익대 학교 법학연구소, 2014
    • 20 김창섭, 최재용, 박경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이해",  TOPAMI N, 2016, 2016
    • 21 이계수, "“메르스와 법 전염병의 법률학”", 민주법학, 제58권, 민주주의법 학연구회, 2015
    • 22 홍완식, "“안전권 실현을 위한 입법정책”", 유럽헌법연구, 제14권, 유럽헌 법학회, 2013
    • 23 전훈, "“질병에 의한 재난과 손해전보”", 공법학연구, 제19권 제3호, 한국 비교공법학회, 2018
    • 24 유정현, "“국민 안전권 확보를 위한 고찰”", 한국위기관리논집, 제4권 제2 호, 2008
    • 25 김영규, 임송태, 백준호, 김영수, "“재난종합관리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 행정연구원, 1996
    • 26 김광현, 조은화, 정다은, 이기석, 박하늘, "“인적재난과 사회적 재난의 사례”",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2014
    • 27 황창근, "“행정입법부작위로 인한 국가배상”", 행정판례평석, 박영사, 2011
    • 28 김상구, "“협상방법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제14권 제1 호, 한국정부학회, 2002
    • 29 김정현, 박광동, 나채준, 김현희, "“재난 안전 관련 법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 법제연구원, 2014
    • 30 송기춘, "“국가의 기본권보장의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31 권세훈, "“입법 작용에 대한 국가손해배상제도”", 비교법학, 제24집, 부산 외국어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 32 전학선, "“재난관리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외법논집, 제38권 제4호,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 33 이부하, "“헌법상 가치로서의 안전과 안전보장”", 홍익법학, 제14권 제2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34 김원중, "“지방자치에 관한 헌법 수용가능 범위”", 지방자치법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0
    • 35 김창섭, 하동명, "“특수재난의 개념과 정의에 관한 연구”", 한국위험물학회 지, 제4권 제2호, 한국위험물학회, 2016
    • 36 오윤경, 정지범, "“국가재난안전관리의 전략에 대한 연구”", KIPA 연구보고 서, 2016
    • 37 고동현, "“사회적 재난으로서 허리케인 카트리나”", 한국사회정책, 제22권 제2호, 한국사회정책학회, 2015
    • 38 김환학, "“환경행정법의 기본원칙에 대한 재검토”", 공법연구, 제40집 제4 호, 한국공법학회, 2012
    • 39 이선우, 탁성숙, 임다희, "“재난갈등의 발생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Crisiso nomy, 제15권 제5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9
    • 40 최권중, "“재난관리 법제상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1
    • 41 김영주, "“재난분야 갈등관리 매뉴얼 표준안 개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4
    • 42 김종성, "“지방재난관리조직의 바람직한 구축방안”", 지방행정연구, 제22권 제1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8
    • 43 지홍기, "“소방방재청 신설 및 기본법 제정의 문제점”", 한국도시방재학회 지, 제3권 제3호, 한국방재학회, 2003
    • 44 이우영,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대한 입법평론”", 입법학연구, 제14 집 제1호, 한국입법학회, 2017
    • 45 이원호, 홍성호, "“재난 및 안전관리 분야 정부조직개편 추세”", 한국방재학 회논문집, 통권 제98호, 한국방재학회, 2018
    • 46 강성철, 최우정, 김민정, "“재난관리과정의 갈등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지방정부학회 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2018
    • 47 김동희, "“한국과 프랑스의 국가보상제도의 비교고찰”", 법학, 제61집, 서 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985
    • 48 정지범, "“광의와 협의의 위험, 위기, 재난관리의 범위”", 한국방재학회 논 문집, 제9권 제4호, 한국방재학회, 2009
    • 49 송석윤,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에 관한 시론적 연구”", 법학논집, 제8권 제1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 50 이양수, "“조직심리와 조직행태에 관한 비교론적 고찰”", 사회과학논집, 제 15권,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84
    • 51 John C. Pine ., "? Natural Hazards Analysis : Reducing the Impacts of Disa sters ?", 2009
    • 52 주상현, "“미국 재난관리 시스템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한국자치행정학 보, 제30권 제4호,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 53 여은태, "“재난관리 패러다임 변화를 위한 공법적 과제”", 공법학연구, 제2 0권 제3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 54 전훈, "“재난패러다임의 전환과 재난법제의 설계방향”", 법학논고, 제53집,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 55 권건주, 위금숙, 양기근, 백민호, "한국의 재난현장 대응체계: 문제점과 향후 과제", 대영문화사, 2009
    • 56 이상경, "“미국의 재난대응체계의 규범적 고찰과 시사점”", 서울법학, 제23권 제2호,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 57 김해룡, "“방재행정체제의 개편에 대한 평가와 개선과제”", 토지공법연구, 제68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 58 홍지완,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34권 제9호, 대한건축학회, 2018
    • 59 김원중, "“행정조직법과 정부조직개편에 관한 법적 검토”", 토지공법연구, 제79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 60 이천성, "“대형 인명사고의 특별 위로금 지급에 관한 연구”", 손해사정연구 , 제6권, 한국손해사정학회, 2012
    • 61 나채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체계정비를 위한 연구”", 한국법제연구 원, 2018
    • 62 안철현, "“중앙정부 차원의 재난 관리 체계 문제점과 대안”", 한국법제연구원 연구포럼 자료, 2012
    • 63 박균성, "“프랑스 행정법상의 행정상손해전보책임의 근거”", 월간고시, 고 시연구사, 1990
    • 64 박세훈, "“소상공인 영업제한에 대한 행정상 손실보상 연구”", 토지공법연 구, 제94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21
    • 65 손현진, "“일본의 재해(재난) 및 안전관리 법령과 주요 내용”", 한국법제연 구원, 2017
    • 66 이한태, 전우석, "“한국 헌법상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에 관한 연구”", 홍익 법학, 제16권 제4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 67 Hans-Heinrich Trute, "Katastrophenschutzrecht ? Besichtigung eines ver dr ? ngten Rechtsgebiets", 2005
    • 68 김대인, "“행정권한의 분배와 조정을 위한 행정조직법적 과제”", 행정조직법 의 현황과 과제, 한국행정법학회 법제처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년 공동학술대회, 2017, 2017
    • 69 정태종, "“감염병행정으로 인한 소상공인 손실보상의 입법정책”", 토지공법 연구, 제95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21
    • 70 정우열, 정재도, "“우리나라 재난안전관리 법제의 발전과정과 개선방안”",  한국행정사학지, 제43권, 한국행정사학회, 2018
    • 71 이호용,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국가보상의 공법적 검토”", 의료법 학, 제11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0
    • 72 박민규, 정우영, 오금호, "“인적재난분야의 특별재난지역 선포기준에 관한 연 구”",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2006
    • 73 정지범, "“재난상황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현황과 대응 전략 마련”", 한국행 정연구원, 2013
    • 74 김재광, "“코로나19시대 행정법의 대응-감염병예방법을 중심으로”", 법제연 구, 제59호, 한국법제연구원, 2020
    • 75 이기춘, "“독일재난법상 회피원칙과 원인자책임원칙에 관한 연구”", 토지공 법연구, 제72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 76 서재호, 정지범, "국가위기관리 입법론 연구-입법의 기초와 비교법적 접근 ", 법문사, 2009
    • 77 김도희, "“도시 비선호시설 입지정책의 갈등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78 안영훈, "“통합재난관리체계 확립을 위한 중앙-지방간 업무 재설계”", KRI LA Focus, 제48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 79 이장희, "“공공장소 퇴거명령과 무관용경찰활동론의 헌법적 문제점”", 공법 학연구, 제19권 제3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 80 홍수정, "“정부-주민 간 비선호시설 입지갈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상명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81 한형서, "“Strategies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nd Its Implement ation in Germany”", 유럽연구, 제25권 제1호, 유럽헌법학회, 2007
    • 82 나태준, "“갈등해결의 제도적 접근: 형행 갈등관련 제도분석 및 대안”", 한 국행정연구원, 2004
    • 83 김종수, 송윤석, "“대도시 재난관리조직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 구”", 도시행정학보, 제22권 제2호, 한국도시행정학회, 2009
    • 84 정명운,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 체계 및 법제 정비 방안 연구”", 한 국법제연구원, 2016
    • 85 김남욱, "“코로나-19에 관한 재난지원금과 세제지원제도의 합리화 방안”",  국가법연구, 제17집 제1호, 한국국가법학회, 2021
    • 86 김은성, 함종석, 양기근, 안혁근, 박형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재난안전관리 의 효과적 협력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09
    • 87 김덕길, 장대원, 김연수, "“사회재난 위험성 평가를 위한 재난유형 재분류 및 위험성 평가”", 물과 미래, 제52권 제3권, 한국수자원학회, 2019
    • 88 이부하, "“헌법국가에서 국민의 안전보장-독일 헌법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제21권 제1호, 한독사회과학회, 2011
    • 89 Kiyoshi Kurokawa, "The official report of The Fukushima Nuclear Acci dent Independent Investigation Commission", 2012
    • 90 강호권, "“한국의 복합재난 대응을 위한 위기관리시스템 운영에 관한 연 구”",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91 이기철, "“헌법재판소는 비례의 원칙에 목적의 정당성을 포함시켜도 좋은 가”", 공법연구, 제35집 제1호, 한국공법학회, 2006
    • 92 나채준, "“재난환경 변화에 따른 과학적 재해관리체계 강화를 위한 법제연 구”", 한국법제연구원, 2012
    • 93 박효근,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재난관리체계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 방안”", 법과 정책연구, 제15권 제4호, 한국법정책학회, 2015
    • 94 견승엽,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 강화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95 권건주,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시 군 구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5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 96 양기근,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 현력적 재난관리 방안 연구-일본의 사례 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제5권 제1호, 성균관대학교, 2010
    • 97 김정훈, "“헌법상 국민의 안전권 구현에 관한 연구: 재난 및 안전관리 법제 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 98 문현철, "“국가재난관리체제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법적고찰”", 국가위기관리연구, 제3권 제2호,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2009
    • 99 김용운,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 조항의 헌법적 의의-미국에서의 관련 논 의를 참고하여”", 동아법학, 제84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 100 이호동, "“위기관리 역량제고를 위한 법적 개선과제: 일본 위기관리 법체계 분석과 시사점”", 한국위기관리논집, 제7권 제4호, 위기관리이론 과실천, 2011
    • 101 문현철, "“국가 재난관리 체제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에 대한 법적 고찰”",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학술세미 나, 2007
    • 102 고명석, 김병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재난 정 의 및 관리대응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9권 제4호,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 103 제성훈, "“연구노트 : 러시아연방 인문공간 연구: 러시아의 인간안보(huma n security): 개념과 이슈”", Russia& Russian Federation , 제 3권 제2호,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 104 조 성, "“재난대비활동과 지방정부 재난조직 레질리언스의 관계-구조방정 식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회보, 제15권 제3호, 한국 지방정부학회, 2018
    • 105 박태순, 양기근, "“재난갈등의 분석과 갈등관리 전략: 허베이스피리트호 기 름유출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 12호, 한국콘텐츠학회, 2009
    • 106 강인호, 이계만 , 안병철, "“NIMBY와 PIMFT 입지의 지방정부 간 갈등관리 : 공항건설과 외국어고입지갈등구조 비교연구”", 한국지방자치학 회보, 제17권 제2호, 2005
    • 107 이기춘, "“우리나라 재난법제의 비판적 검토와 독일재난법상 기본원칙론의 도입필요성에 관한 고찰”", 공법학연구, 제18권 제1호, 한국비교 공법학회, 2017
    • 108 강성철, 최우정, 김민정, "“재난갈등의 원인분석 및 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울산지역 태풍차바(CHABA)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2권 제1호,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 109 윤수정, "“국민 안전권 보장을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안전권 의 공법적 논의구조를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제20권 제3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 110 박원규, "감염병예방법상 이동제한조치에 대한 법적 검토-코로나19 관 련 독일의 법적상황 및 논의를 중심으로", 경찰법연구, 제18권 제2호, 2020
    • 111 김관보, 이선영, "“화장장건립 분쟁 사례에 대한 제도론적 고찰: IAD 분석 틀의 ‘부천화장장 게임상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4호, 2010
    • 112 이근옥, "“정보공개법상 개인정보 보호와 공익의 조화-코로나19 팬더믹하 에서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10 3권,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 113 권경득, "“비선호시설 설치를 둘러싼 지방정부 간 갈등연구: 청주, 청원 광역쓰레기매립장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년 동계학술발표회 자료집, 한국지방자치학회, 2004, 2003
    • 114 최호철, "재난대응역량과 재난관리성과의 관계성에 법․제도 체계성이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시민인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 115 최승필, "“재난방지체계에 있어서 구조와 권한에 관한 법 제도적 검토-우 리나라와 독일의 재난관리체계를 중심으로”", 외법논집, 제36권 제1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법학연구소, 2012
    • 116 이기춘, "“독일 재난관리법의 기초-재난개념, 재난관리개념, 재난관리법제 의 특성, 협의 및 광의의 재난법개념에 관한 고찰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법연구, 통권 제50호,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6
    • 117 Masatugu Nemoto Eri Ariga, "“재난발생시 ‘재난약자’에 대한 지역사회 지 원체계 강화방안 연구: 한 일 양국의 재난약자에 대한 사전조사 체계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6호, 위기 관리 이론과 실천,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