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익사업에서 국․공유재산 취득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ate and Public property Acquisition System in Public Works Projec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7-98(22쪽)
제공처
국문초록
「토지보상법」상의 공익사업에 편입된 국․공유재산의 공용수용 및 손실보상과 관련하여 ‘「국토계획법」상의 공공시설’에 해당하는 국․공유재산은 대체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사업시행자에게 무상으로 귀속되고, 공공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국․공유재산은 사업시행자가 유상으로 보상한 후에 취득한다(국토계획법 제65조제1항).
무상귀속과 관련하여 국․공유재산이 ‘「국토계획법」상의 공공시설’에 해당하려면 공용 개시와 공적 이용이라는 두 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하나, 두 요건 중 어느 하나를 갖추지 못한 국․공유재산에 관해 관계기관간 이견과 갈등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공공사업의 지연과 행정적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시설의 무상귀속과 관련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공시설의 판단기준을 정립한 후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효율적인 분쟁절차로서 행정쟁송절차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공공시설이 아닌 국․공유재산은 2004년 「국유재산법 시행령」 개정으로 인해 ‘「토지보상법」에 의한 취득평가’가 아닌 ‘「국유재산법」에 의한 일반재산 매각평가’도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사유재산과 국·공유재산간의 개발이익 반영여부와 관련한 평가기준이 상이하게 되어 헌법상 평등원칙에 위반되는 점, 저렴한 주택 공급 등의 국책사업 목적에 반하는 점, 감정평가액에 관한 분쟁 해소절차가 부존재하여 원활한 갈등해소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토지소유주체의 차이에 따른 이원적 취득기준에 기인하므로 ‘「토지보상법」에 의한 취득평가’로 감정평가 및 손실보상 방식을 일원화하는 방식으로 해소되어야 한다. 다만, 사업목적의 공공성이 희박한 민간사업에서도 ‘「토지보상법」에 의한 취득평가’를 적용하게 되면 ‘국․공유재산에 대한 부당한 저가 취득’이라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므로 민간 사업시행자에게는 ‘「국유재산법」에 따른 매각평가’ 방식이 적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국․공유재산의 공용수용 및 손실보상 제도에 대한 합리적 개선을 통해 소모적 갈등을 해소하여 공익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본연의 정책목적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When state and public property equivalent to public facility is incorporated into a public work project, it shall be attributed free of charge to the project implementer, and if not, the project implementer shall acquire it for a fee.
For state and public property to become a public facility, public designation and public use must be met as two requirements, but there is a conflict between related agencies over state and public property that does not meet either of the requirements, resulting in delays in public work project and administrative wast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o public facil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judgment standards for public facility and establish a legal basis, and to prepare administrative dispute procedures as an efficient dispute resolution procedure.
On the other hand, state and public propert, not public facilities, can be assessed as the sale price of general property, not the land compensation price due to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tate Property Act in 2004. As a result, there are problems that violat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equality, contradict the purpose of public work project such as the supply of affordable housing, and there is no dispute resolution procedure for the appraisal amount, making it impossible to resolve the conflict smoothly. Since these problems are due to dual acquisition standards, they should be resolved by unifying the method through acquisition evaluation under the Land Compensation Act.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ow-cost acquisition of public land by private project implementer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State Property Act to private project implementer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rational system improvement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state and public propert, public work project can be quickly promoted and the original policy objectives can be achieved by resolving exhausting conflic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