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의 인디언 선교에 대한 목회상담적 평가 = An Assessment of Jonathan Edwards's Missionary Work for Native Americans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저자
지의정 (총신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21-549(29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n attempt at assessing Jonathan Edwards's theology and missionary ministry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This attempt was made to find the principles and resources of caring for the soul in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ary work instead of pastoral counseling based on modern psychology.
The research content was developed as follows: first, it checked Edwards's missionary theology as the root of missionary work that targeted Native Americans; second, i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missionary work for Native Americans; and third, his missionary work for Native Americans was examined to find the principle of pastoral counseling applicable to the current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and assess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The common goal between pastoral counseling and missionary work is a change to one's inside and life driven by the salvation of the soul (conversion). True changes to one's inside lead to changes in his or her life. Edwards made it clear that the subject of such changes should be God since he inherited the Calvinistic anthropology and thus did not find an answer to a problem in human beings as sinners. He believed that a true change would come when people discovered the purpose of creation and experienced God as the origin of joy and happiness i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heir Creator, as his creations.
In his time, missionary work for Native Americans happened in an inferior environment as missionary work deteriorated as a means of development and had political and economic rights intervened in it. Edwards, however, sought after changes to one's heart in his paradigm and style of missionary work by sympathizing, listening to, and mediating joys, sorrows, and problems of life rather than allowing superior individuals or nations to partially improve uncivilized people and develop the environment. This was a pastoral counseling-based style of missionary work to practice God's love in order to help people experience him. Edwards's style and attitude of missionary work based on the care of the soul will provide significant insights into the care of the soul including therapeutic alliance, embracing with love, and staying with others in today's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본고는 에드워즈(Edwards)의 신학과 인디언 선교사역을 목회상담적 관점에서 평가해 보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현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목회상담이 아니라 기독교 선교 역사 속에서 영혼 돌봄의 원리와 자원을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으로 첫째, 인디언 선교의 뿌리인 에드워즈(Edwards)의 선교 신학을 확인한다. 둘째, 에드워즈(Edwards)의 인디언 선교의 특징을 연구한다. 셋째, 인디언 선교를 통해 오늘날 목회상담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목회상담의 원리를 도출하고 그의 인디언 선교를 목회상담적 관점에서 평가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에드워즈(Edwards)의 신학과 선교에 관한 여러 가지 문헌을 통해 연구하였다.
목회상담과 선교의 공통된 목적은 영혼의 구원(회심)으로 말미암는 내적인 변화와 삶의 변화이다. 진정한 내적인 변화는 삶의 변화로 연결된다. 에드워즈(Edwards)는 변화의 주체가 하나님이심을 분명히 했다. 왜냐하면, 그는 칼빈주의 인간론을 계승하고 있어서 죄인 된 인간으로부터 문제의 해답을 찾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간을 창조하신 하나님과 피조물의 관계 속에서 창조의 목적을 발견하고 기쁨과 행복의 근원인 하나님을 경험할 때 진정한 변화는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당시 인디언 선교는 매우 열악한 환경 가운데서 진행되었다. 왜냐하면, 선교가 식민지 개발의 수단으로 전락 되었으며 정치적 경제적 이권이 개입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드워즈(Edwards)의 선교 패러다임과 방식은 우월한 개인이나 민족이 미개한 사람들을 부분적으로 개선 시키고 환경을 개발하는 방식이 아니라 삶의 애환과 문제를 공감하고 경청하며 중재하는 방식으로 마음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이는 하나님을 경험토록 하기 위한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목회상담적 선교방식이었다. 그의 영혼 돌봄의 선교방식과 태도는 오늘날 목회상담의 현장에 치료적 동맹 관계, 사랑으로 안아주기, 함께 머물러주기 등 영혼 돌봄에 관한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4 | 0.653 | 0.6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