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 형태와 현실인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1-127(27쪽)
제공처
이 연구에서는 <부여노정기>, <금행일기>, <이부인기행가사> 등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 세 편에 대한 검토를 통해 여성 여행자의 특성과 여정의 구성, 현실인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여성기행가사의 여행 형태를 보면 교통수단이나 여행 동반자의 수, 여행 일정 등으로 볼 때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여성 여행자들은 혼인한 여성으로서 상당한 가문내적 지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요 여정과 경관의 구성을 보면 작자들은 각 지역의 대표적인 도로를 여로(旅路)로 이용하고 있으며, 제시된 주요 경관 역시 그 노정 내에서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 형태는 모두 가문 내의 후원 아래 진행된 공식적 여행의 성격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여성기행가사에 나타난 작자들의 현실인식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여성들은 특정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부여함으로써 타 지역을 타자화하기보다는 각 지역 민속에 대한 고른 관심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여행의 동기나 과정 자체에서도 나타나듯이 여성들은 여행을 통해 자신의 근원을 강조함으로써 자기정체성을 보다 강고히 하는 계기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는 여성들이 자기 자신, 가문 공동체, 그리고 지역문화를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가 하는 점을 드러낸다.
더보기Kihaengkasas by women in the 19th century were as follows : Buyeono -jeongki, Kuemhaengilki, Yi-Buin Kihaengkasa.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Kihaengkasas by women in the latter Joseon period and its travel mode and awareness of reality. It is certain that we are able to realize characteristics of woman traveler, travel course, awareness of reality.Travel mode of Kihaengkasa by women contains the following factors ; transportation methods, number of traveling companion, travel itinerary.Women traveler were the married and the high position of family. Travel courses use a representative road in each region. Travel mode of Kihaengkasa by women in the latter Joseon period shows official travel of considerable scale like this. Awareness of realities of Kihaengkasas by women contains interest in local folklore and miss feeling of parents. Those indicate women's viewpoint on self-identity, family community, local folklore.As seen from above, The outcome and prospects of this study run as follows ;At first, we can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Kihaengkasas by women through several elementry of travel mode. Second, we can also grasp awareness of reality of Kihaengkasas by women. Third, we can compare Kihaengkasa by women with another genres by women. For example, Kihaengkasa by women in the 20th century, Hwajeonga, and so 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