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천 연안지역의 해양환경요인과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분포와의 관련성 = Relationships of Pathogenic Vibrio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ir Occurrence in the Seawater of Incheon Coastal A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14-420(7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turbidity and pH on the growth of pathogenic Vibrios. In this study, we was obtained the samples from 2 different sites of the Incheon coastal area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2. The water temperature in August and September was the high. the Incheon port changes the width of a small, wherease in the case of Hanjin harbor of changes of larger width. Salinity and turbid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temperature and hydrogen ion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 Pathogenic vibrios was determined using the real-time PCR method. Pathogenic vibrios in the Incheon port and Hanjin harbor were detected in 11 samples (91.67%) and 9 samples (75.0%) of Vibrio cholerae, 7 samples (58.3%) and 6 samples (50.0%) of V. vulnificus, 10 samples (83.3%) and 12 samples (100.0%) of V. parahaemolyticus, respectively. Pathogenic Vibrio bacteria were the highest at 26.8℃ of seawater in August. Quantitative results were the following: 102 cell/㎖ in Vibrio cholerae, 7.876 cell/㎖ in V. vulnificus, and 503.4 cell/㎖ in V. parahaemolyticus, respectively. The enumeration of pathogenic vibrio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and pH,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and turbidity.
더보기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인천연안 2개 지역에서 매월 1회씩 해수를 채취하여 해양환경 요인인 수온, 염도, 탁도, pH를 측정하고, Real time PCR을 통한 병원성 Vibrio속균의 정성 및 정량 검사 수치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1. 수온은 인천항인 경우 1월에 3℃로 가장 낮았으며, 수온이 점차 상승하여 9월에 최고 수온이 27.2℃를 나타내었다.
한진포구는 1월부터 8월까지 수온이 상승하다가 9월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해수의 염도는 인천항인 경우 25.2~ 29.6 PSU로 변동의 폭이 작은 반면, 한진포구는 3.67~30.4 PSU로 최저 및 최고가 26.83 PSU 차이로 큰 변동의 폭을 나타내었다. 탁도는 인천항인 경우 4.5~25.4 NTU로 수치의 변동이 작은 반면 한진포구는 9.27~359 NTU로 변동의 폭이 큰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한 결과, 인천항인 경우 pH 7.3에서 8.81 값을 나타났으며, 한진포구는 pH 7.7에서8.5값을 나타났다. 인천연안 지역별 해수의 해양환경 요인간유의성을 분석한 결과, 인천항과 한진포구 간에 염도와 탁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p<0.05), 수온과 수소이온농도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2.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Real-time PCR 정성검사 결과, V.
cholerae는 인천항과 한진포구에서 각각 11건(91.67%), 9건(75.0%)이 분리되었고, V. vulnificus는 인천항과 한진포구에서각각 7건(58.3%), 6건(50.0%)이 분리되었으며, V. parahaemolyticus 는 인천항과 한진포구에서 각각 10건(83.3%), 12건(100.0%)이분리되었다. 또한 월별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분리를 분석한결과, 5월에서 10월 사이 분리가 높게 나타났다.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Real-time PCR 정량 분석한 결과, V. cholerae는 6월부터 증가하여 8월에 102 cell/㎖값으로 나타났으며, V. vulnificus 는 8월 및 9월에서 각각 7.876 cell/㎖, 1.748 cell/㎖값의 정량수치를 나타났다. V. parahaemolyticus는 연중 정량 수치를 보였는데, 8월에 503.4 cel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3. 해양환경 요인과 병원성 Vibrio속 세균의 함량을 분석한결과, 8월 수온이 26.8℃에서 V. cholerae 102.98 cell/㎖, V.
vulnificus 7.867 cell/㎖, V. parahaemolyticus 503.44 cell/㎖값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났으며, 염도가 27.9%에서 V. cholerae 102.98 cell/㎖, V. vulnificus 7.867 cell/㎖, V. parahaemolyticus 503.44 cell/㎖값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났다. 탁도나 수소이온농도의 변화에 따라 병원성 Vibrio속 세균의 함량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과 병원성 Vibrio 속 세균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는 각각0.670, 0.495, 0.424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는데, 이중 V. cholerae만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 염도와 병원성 Vibrio속 세균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낮은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탁도와 수소이온농도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6 | 1.104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