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Gifted Education Program of Language Arts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영재와 영재교육(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3-88(26쪽)
제공처
최근 우리나라에는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영재교육은 여러 영역에서의 영재교육이라기 보다는 수학과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의 정서와 문화적 수준을 높여 문화발전에 기여하며 삶을 윤택하고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서는 언어영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영재의 개념을 확인하고 언어영재교육을 위한 고려점을 개괄하는 한편 국내의 언어영재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다양한 영역의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 중에서도 특히 언어영재를 위한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유치원에서 초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도전적인 교육과정으로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Gifted education in Korea has typically focused on science and mathematics. However Gifted education programs for language arts are needed for the promotion of our emotional and cultural level in order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ulture and to improve life quality. Therefore,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diverse domains should b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as soon as possibl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aspect of giftedness. Language arts programs for the gifted should present opportunities for challenging curriculum throughout K-12 continuum. One way to enhances such possibilities is to redirect and refocus the traditional language arts strands in such a way as to make them more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gifted learner at the appropriate state of developmental readiness. Second, it is important to treat the strands of language, literature, writing, and oral discourse as separate domains of study as well as find suitable ways to interrelate them. Even gifted students need to feel they have gained some control over a tool skill such as writing or oral communication. The separate and integral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again allows a level of competence to precede work in interdisciplinary areas. Third, educators in language arts programs for the gifted need to organize subject mater carefully over the years these students are in school so that needless repetition and redundancy is removed from their curriculum experience. Standards can be combined or truncated to allow for deeper exploration or accelerated opportunities. The results of such efforts would be to address the needs of the gifted population directly and find alternatives for advanced learners that truly challenge and enrich their earning in the verbal ar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